KR101219170B1 -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 Google Patents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70B1
KR101219170B1 KR1020100123722A KR20100123722A KR101219170B1 KR 101219170 B1 KR101219170 B1 KR 101219170B1 KR 1020100123722 A KR1020100123722 A KR 1020100123722A KR 20100123722 A KR20100123722 A KR 20100123722A KR 101219170 B1 KR101219170 B1 KR 10121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carbon nanotubes
conductive ink
presen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451A (ko
Inventor
유광현
서창호
김순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1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박막 코팅으로도 전도도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로 습식 코팅된 투명전극보다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및 태양열전지의 투명전극 등의 전극 재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는 적어도 2개의 전도성 탄소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전도성 탄소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와 그라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CONDUCTIVITE INK AN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THEM}
본 발명은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박막 코팅으로도 전도도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로 습식 코팅된 투명전극보다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및 태양열전지의 투명전극 등의 전극 재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 태양 전지, 표시소자 등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투명전극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투명전극은 주로 ITO(Indium Tin Oxide)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소자들은 수요량이 많아지고 원료 가격 상승에 의해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굽힐 경우 생성되는 크랙으로 저항이 증가하고 크랙 발생 이후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 사용되던 투명전극으로 ITO가 가격증가와 공정상의 높은 단가의 한계로 인해 점차 다른 방식의 투명전극의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현시점에서의 대안으로써 탄소나노튜브를 증착 혹은 고분자와 혼용하여 코팅하는 방식이 떠오르고 있지만 이 방식으로는 ITO투명전극 만큼 전도성과 투명도를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최근 전도성이 우수한 판상 그라펜이 투명도를 높이면서 전도성을 만족시키는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그라펜은 단일 분자구조로 대형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판상입자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형태로 용액 상에 분산된 그라펜 시트는 투명도나 전도성은 우수하지만 코팅 시 두께가 얇아지면 전도도의 균일성이 떨어지게 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식 박막 코팅으로도 전도도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로 습식 코팅된 투명전극보다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및 태양열전지의 투명전극 등의 전극 재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2개의 전도성 탄소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탄소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와 그라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투명기재 상에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전극은 4번 메이어바 코팅시 표면저항이 1 ~ 1000 Ohm/sq 이고, 투과가 85% ~ 9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은 코팅 후 면 저항의 편차가 ±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식 박막 코팅으로도 전도도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로 습식 코팅된 투명전극보다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및 태양열전지의 투명전극 등의 전극 재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적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복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도성 잉크 및 투명전극을 제공하며, 이를 사용하여 각종 표시소자 및 태양전지 등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투명전극은 높은 투명도와 전도성이 요구될 뿐 아니라 전도도의 균일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는 적어도 2개의 전도성 탄소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탄소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와 그라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는 1개의 벽을 가진 원통형 구조의 탄소 단일벽 튜브를 말한다. 직경이 수 nm내지 수십 nm이며 길이가 수십 μm 에서 수백 μm이며 준 1차원적 양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저차원에서 물리적 견고성, 화학적 안정성, 열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에 따라 도체 또는 반도체의 성질을 띠는 독특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실용화하려고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박막화를 하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 박막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를 생성함과 동시에 박막으로 제조하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Chemical Vapor Deposition)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화학 기상 증착법은 알루미늄 박막이나 유리 위에 나노 크기의 금속 촉매를 스퍼터링(sputtering)하거나 혹은 PAM(Porous Alimina Membrane)를 형판으로 한 후, 탄소 소오스 가스를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하여 열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수직 정렬되도록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주로 FED 소자에서 주로 응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통상적인 화학 기상 증착법이 700~900℃의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고 있어, 박막에 열적 결함 가능성이 커지는 바,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하는 증착온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Science vol.282, 6, 1998).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한국 공개특허 2001-0103274에서는 저온에서 탄소나노튜브를 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박막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하는 방법에는 증발법, 여과법, Airbrushing법, 코팅액을 이용한 기판 피복법 등이 있다.
이중 증발법은 탄소나노튜브를 알코올계 용액에 분산시키고 그 분산용액을 금속 기판 위에 떨어뜨린 후 가열하여 용액을 증발 시켜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이고, 여과법은 여과 필터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용액을 여과시키고 여과 후 잔류 하는 탄소나노튜브를 건조시켜 탄소나노튜브 페이퍼 형태로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이다(Science vol.305, 1273, 2004), (Nanotechnology vol.15, 379, 2004). 또한, Airbrushing법은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용액을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뜨겁게 가열된 기판 위에 분사시켜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Applied Physics Letters vol.76, 1668, 2000)이고, 기판 피복법은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기판에 도입하고 상기 도입된 코팅액을 기계적 힘으로 일방향으로 펴 주어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유도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경우 결합제를 혼합하여 박막을 제조하고 있어 탄소나노튜브의 고유한 특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여 소자로서의 성능발현에 제약을 주게 되고, 또한 이러한 결합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 복잡한 제조과정으로 인하여 실용화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그라펜"은 탄소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판상의 2차원 구조이다. 최근 그래파이트로부터 한층 또는 수층의 그라펜 시트를 벗겨내어, 상기 시트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의 물질과 다른 매우 유용한 특성이 발견되었다. 가장 주목할 특징으로는 그라펜 시트는 전자가 이동할 경우 마치 전자의 질량이 제로인 것처럼 흐른다는 것이며, 이는 전자가 진공중의 빛이 이동하는 속도로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그라펜 시트는 또한 전자와 정공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정수양자홀효과(half-integer quantum hall effect)를 가진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상기 그라펜 시트의 전자 이동도는 약 20,000 내지 50,000cm/Vs 의 높은 값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그라펜 시트와 비슷한 계열인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합성 후 정제를 거치는 경우 수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값싼 재료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더라도 최종 제품의 가격은 비싼 반면, 그레파이트는 매우 싸다는 장점이 있으며, 탄소나노튜브(CNT)의 경우 그 키랄성 및 직경에 따라 금속, 반도체 특성이 달라질 뿐만이 아니라, 동일한 반도체 특성을 가지더라도 밴드갭이 모두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주어진 탄소나노튜브로부터 특정 반도체 성질 또는 금속성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탄소나노튜브를 모두 분리해야 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에 그라펜 시트는 넓은 영역에서 생산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면적 단위의 입자 형태로 사용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분산상의 문제점과 박막 코팅시 ∏궤도 함수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전자함수의 배향이 다른 경우 계면저항이 커질 수 있어, 거시적 관점에서 접근할 때 전도성 부분에 불균일이 발생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펜 시트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전극은 박막 코팅시 그라펜 시트에서 발생하는 전도도의 불균일을 섬유형태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극복하고, 그라펜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전도성 필름에 비해 투명도를 높였으며, 표층에 입자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가 도입한 투명 전도성 필름을 구현하게 한다. 상기 그라펜 시트와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투명전극은 분산된 그라펜 시트를 포함하는 용액를 제조하는 제1단계, 분산된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한 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여 바인더를 첨가하는 제3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 단일벽탄소나노튜브(SWCNT) 파우더를 용매에 넣고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 후 초음파를 통해 분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에서 고형분의 양이 1~10 wt%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5wt%인 것이 좋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100%를 기준으로 할 때 50 ~ 250wt%이면 바람직하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고형분이 10wt% 초과할 경우 투명도를 저하할 수 있고, 1wt% 미만인 경우 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양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기준 50wt%미만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후 재응집을 초래할 수 있고, 250wt%이상일 경우 코팅 시 결점 등으로 발생될 수 있어 전도성의 균일함을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 폴리머 분산제는, 특히 적어도 500g/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g/mol,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 g/mol의 수 평균분자질량을 바람직하게 가지는 기능화된 폴리머를 기준으로하는 분산제로서 사용하고, 특히, 분산제는 작용기 및 또는 안료 친화성을 가지는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공중합체, 폴리머 및 공중합체의 알킬 암모늄염, 산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공중합체, 콤브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예로써, 안료친화성을 가지는 기들을 가지는 블록공중합체, 특히 안료 친화성을 가지는 염기 성기, 선택적으로 변형된 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 선택적으로 변형된 폴리우레탄, 선택적으로 변형된 또는 염화된폴리아민, 인산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지방산 라디칼을 가지는 폴리머 및 공중합체, 선택적으로 변형된 폴리 아크릴 레이트, 예로써 트랜스 에스테르화된 폴리 아크릴레이트, 선택적으로 변형된 폴리에스테르, 예로써 산작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포스페이트 및 그것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용도에 따라 분산제의 종류는 선택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분산제의 분자량이 500g/mol 미만인 경우 후가공시 코팅불균일 등을 초래할 수 있고, 2000g/mol 초과인 경우 후가공 이후 결점이나 이물 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용매는 친수성 용매나 소수성 용매 중 용도에 따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균일분산을 위해 초음파 처리시간은 5~30분, 초음파 에너지는 15,000 ~ 100,000 kJ/kg 이면 바람직하다. 초음파 처리시간이 5분 미만이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의 균일분산이 어려우며 30분을 초과할 경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가 절단될 수도 있다. 또한 초음파 에너지가 15,000 kJ/kg 미만인 경우 균일분산이 어렵고 100,000 kJ/kg초과인 경우 단일벽탄소나노튜브(SWCNT)가 절단될 수도 있어 전도도 물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표면적이 10~3000 m2/g범위인 그라펜 시트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그라펜 시트 분산용액을 얻는다. 표면적이 10 m2/g미만인 경우 전도성은 좋지만 입자가 크고 흑색을 띄어 투명도가 나빠지고, 3000 m2/g초과인 경우 그라펜 시트의 직경이 너무 작아 양자효과에 의한 재응집의 문제, 계면저항이 증가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용매는 물이나 친수성 용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분산제는 공중합체 분산제를 사용해도 좋다. 안정화를 목적으로 염기를 첨가해도 바람직하다. 그라펜 시트 고형분의 양은 0.1wt% ~ 5wt%가 바람직하며 분산시 초음파를 사용해도 좋다. 그라펜 시트 고형분 양이 극소량인 경우 전도성이 나빠지는 문제, 과량의 경우 투과도가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값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필름기재에 상기 단계1과 단계2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여 필름 기재의 부착이 용이한 바인더를 첨가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조한다. 상기 단계에서 바인더는 기재와 부착력이 좋으며 입자 이탈이 적고 투명성이 우수한 우레탄 계열이나 아크릴 계열, 에폭시 계열 등이 유리하며 제1단계나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미리 첨가하거나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과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섞고 첨가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극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투명기재 상에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은 4번 메이어바 코팅시 표면저항이 1 ~ 1000 Ohm/sq 이고, 투과가 85% ~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은 코팅 후 면 저항의 편차가 ±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산 처리한 이후 초음파 분산법을 사용하여 분산시켜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첨가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친수성 용액을 제조하였고, 그라펜 시트에 NaOH로 적정하여 Ph를 7이상으로 제어하고 초음파 분산법을 통하여 분산시킨 친수성 용액과 상기 용액을 섞은 후 우레탄계 바인더를 첨가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작하였다. 상기에 기술한 용액은, 평균길이 15 μm, 평균 다발직경 10nm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3wt%, SDS(sodium dodecyl sulfate)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3wt%, 그라펜 시트 0.4wt%, 우레탄계 바인더 0.3wt%, 웨팅제 EXP4051 0.15wt%를 포함한다. 용액을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표면에, 4번 메이어바 코팅 및 180℃ 30sec 건조함으로써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도성 잉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다른 조성으로 평균길이 15 μm, 평균 다발직경 10nm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2wt%, SDS (sodium dodecyl sulfate)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2wt%, 그라펜 시트 0.6wt%, 우레탄계 바인더 0.3wt%, 웨팅제 EXP4051 0.15wt%를 포함한 잉크를 제조한다. 상기 전도성 잉크를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표면에, 4번 메이어바 코팅 및 180℃ 30sec 건조함으로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산처리한 이후 초음파 분산법을 사용하여 분산시켜 SDS (sodium dodecyl sulfate)를 첨가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친수성 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에 우레탄계 바인더를 첨가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작하였다. 조성은 평균길이 15 μm, 평균 다발직경 10nm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5wt%, SDS(sodium dodecyl sulfate)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5wt%, 우레탄계 바인더 0.3wt%, 웨팅제 EXP4051 0.15wt%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이다. 상기 잉크를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표면에, 4번 메이어바 코팅 및 180℃ 30sec 건조함으로써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그라펜 시트에 NaOH로 적정하여 Ph를 7이상으로 제어하고 초음파 분산법을 통하여 분산시킨 친수성 용액에 우레탄계 바인더를 첨가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작하였다. 그라펜 시트 1wt%, 우레탄계 바인더 0.3wt%, 웨팅제 EXP4051 0.15wt%를 포함한 조성으로 전도성 잉크를 제작하였다. 상기 잉크를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표면에 4번 메이어바 코팅 및 180℃ 30sec 건조함으로써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투명전극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하기 표 1의 면 저항은 4 point probe 방식의 MODEL SRM-232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투과도는 NDH 5000W 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의 면 저항과 표준편차는 상기 필름의 각기 다른 부위 20회 측정한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이고, 투과도는 550nm파장의 측정결과 값이다.
구분 면저항(Ohm/sq.) 투과도 면 저항 편차
실시예1 634.1 Ohm/sq 87.1% ± 6.5%
실시예2 889.5 Ohm/sq 88.3% ± 7.5%
비교예1 633.9 Ohm/sq 83.3% ± 6.4%
비교예2 1,324.5 Ohm/sq 90.6% ± 13.7%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투명전극의 경우에는 비교예 1, 2보다 전도도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높은 투명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는 건식 코팅법이 아닌 습식 코팅을 함으로 공정상 비용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산업성이 우수하고, 기재와 코팅층, 그리고 코팅층과 입자가 기재에 부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용 및 태양전지용 등의 투명전극을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산업적인 활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극에 있어서,
    전도성 탄소구조체로서, 탄소나노튜브와 표면적이 10~3,000 m2/g인 그라펜 시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투명기재 상에 코팅한 투명전극으로서, 상기 투명전극은 4번 메이어바 코팅시 표면저항이 1 ~ 1000 Ohm/sq 이고, 투과도가 85% ~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코팅 후 면 저항의 편차가 ±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극.
KR1020100123722A 2010-12-06 2010-12-06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KR10121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22A KR101219170B1 (ko) 2010-12-06 2010-12-06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22A KR101219170B1 (ko) 2010-12-06 2010-12-06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451A KR20120062451A (ko) 2012-06-14
KR101219170B1 true KR101219170B1 (ko) 2013-01-21

Family

ID=4668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722A KR101219170B1 (ko) 2010-12-06 2010-12-06 전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003A1 (ko) * 2016-04-04 2017-10-12 (주)파루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그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2242B (zh) * 2014-09-02 2016-08-24 江苏格美高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喷墨用石墨烯与碳纳米管导电油墨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201A (ko) * 2007-04-27 2009-12-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투명 도전막 및 투명 도전막의 제조 방법
WO2009152146A1 (en) * 2008-06-09 2009-12-17 Unidym, Inc. Improved cnt/topcoat processes for making a transplant conductor
KR20100076720A (ko) * 2008-12-26 2010-07-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응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5179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가요성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201A (ko) * 2007-04-27 2009-12-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투명 도전막 및 투명 도전막의 제조 방법
WO2009152146A1 (en) * 2008-06-09 2009-12-17 Unidym, Inc. Improved cnt/topcoat processes for making a transplant conductor
KR20100076720A (ko) * 2008-12-26 2010-07-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응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5179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가요성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003A1 (ko) * 2016-04-04 2017-10-12 (주)파루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그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451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g et al. Polymer composites of boron nitride nanotubes and nanosheets
Miller et al. Characterization of epoxy functionalized graphite nanoparticl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matrix nanocomposites
Guo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single wall carbon nanotube composite films
Hao et al. High efficiency electrothermal graphene/tourmaline composite fabric joule heater with durable abrasion resistance via a spray coating route
Hordy et al. Plasma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for the synthesis of stable aqueous nanofluids and poly (vinyl alcohol) nanocomposites
Liu et al. Macroscopic carbon nanotube assembli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Di et al. Ultrastrong, foldable, and highly conductive carbon nanotube film
Valentini et al. A novel method to prepare conductive nanocrystalline cellulose/graphene oxide composite films
US20180215940A1 (en) Nanoplatelet dispersion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s thereof
WO2016136428A1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および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50085523A (ko) 그래핀 소재와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한 막 형성용 조성물
US9922745B2 (en) Aggregate of carbon nanotub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Dassios et al. Polymer–nanotube interaction in MWCNT/poly (vinyl alcohol) composite mats
Liu et al. Poly (vinyl alcohol) reinforced with large-diameter carbon nanotubes via spray winding
KR101884701B1 (ko) 고분율 베타상, 압전성 및 강유전성 특성을 가지는 pvdf 나노섬유막 및 그 제조방법
Souri et al. A facile method for transparent carbon nanosheets heater based on polyimide
Wang et al. Flexible electrothermal laminate films based on tannic acid-modified carbon nanotube/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e
Song et al. Alkylated and restored graphene oxide nanoribbon-reinforced isotactic-polypropylene nanocomposites
Wang et al.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polyacrylonitrile composite nanofibers: fabrication and properties
Lee et al. Fabrication of flexible, transparent and conductive films fro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high aspect ratio using poly ((furfuryl methacrylate)-co-(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as a new polymeric dispersant
Kim et al. Electrospun poly (vinyl alcohol) nanofibers incorporating PEGylated multi-wall carbon nanotube
Xu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y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 film filled with cationic surfactant treated graphene
Ma et al. Ultraviolet light crosslinked graph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hybrid films for highly robust, efficient and flexible electrothermal heaters
Yang et al. One step synthesis of a hybrid Ag/rGO conductive ink using a complexation–covalent bonding based approach
WO2016207804A1 (en) Water-based piezoresistive conductive polymeric paint containing graphene for electromagnetic and senso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