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56B1 - 다단압 복수기 - Google Patents

다단압 복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56B1
KR101218456B1 KR1020100059391A KR20100059391A KR101218456B1 KR 101218456 B1 KR101218456 B1 KR 101218456B1 KR 1020100059391 A KR1020100059391 A KR 1020100059391A KR 20100059391 A KR20100059391 A KR 20100059391A KR 101218456 B1 KR101218456 B1 KR 10121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ier
condenser
heating steam
multistage pressure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810A (ko
Inventor
? 야도리하라
고이찌 요시무라
다까아끼 게즈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3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7/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condensers, e.g. provision of reserv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재열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저압측의 복수기의 복수와 고압측의 복수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증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단압 복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내 압력이 낮은 순서대로 저압 복수기(1), 중압 복수기(2), 고압 복수기(3)가 배치되어 있는 다단압 복수기에 있어서,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는, 각각,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 터빈 배기를 응축시켜 얻어지는 복수를 유하시키는 다공군(5P)이 복수기 중심부보다도 냉각수 유입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다공판(5)과, 다공군(5P)으로부터 유입되는 복수의 재열을 행하기 위한 재열실을 냉각수의 유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 구획판(6)을 구비하고, 다공판(5) 및 복수 구획판(6)에 의해 구획되는 재열실(7)로 고압 복수기(3) 내의 가열 증기를 공급하는 가열 증기 유로(8)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단압 복수기{MULTI-PRESSURE CONDENSER}
본 발명은, 증기를 냉각수에 의해 응축시켜 복수(復水)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復水器)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 플랜트나 화력 발전 플랜트 등에 적용되는 복수기는, 증기 터빈에 의해 팽창 작업을 끝낸 터빈 배기를 냉각수에 의해 응축시켜 복수로 하는 것이다. 복수는, 급수 가열기를 거쳐 증기 발생기로 보내져 사용된다. 복수기의 기내는, 터빈 배기를 복수로 응축시킬 때에 터빈 배기가 갖는 열에너지를 더 많이 회수할 수 있도록 진공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내를 진공으로 유지하고, 터빈 배기를 복수로 응축시키는 복수기는, 통상 헤드부측에 증기 터빈을 적재 설치하는 형식을 채용하고 있다.
복수기의 진공도가 높을수록 증기 터빈의 출력이 증대되어, 플랜트 효율이 높아지는 한편, 복수기에서 응축된 복수를 급수 가열기로 보낼 때, 복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플랜트 효율이 개선된다. 이것에 유효한 방식으로서, 종래부터 기내 압력이 상이한 복수(複數)의 복수기로 이루어지는 다단압 복수기(「복압식 복수기」라고도 함)가 사용되고 있다. 다단압 복수기에 의해 플랜트 효율이 개선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1) 복압식으로 함으로써 터빈 배기 압력의 평균값이 모든 복수기의 압력을 동일하게 한 단압식에 비해 낮아져, 터빈 열낙차가 증가한다.
2) 복수기 내에서 응축된 저압 복수기 및 중압 복수기의 복수를 포화 온도가 높은 고압 복수기 내에 흘림으로써 재열을 행하므로, 온도가 높은 복수를 급수 가열기로 보낼 수 있어, 터빈 추기량(抽氣量)이 감소하므로 출력은 증가한다.
3) 각 복수기의 포화 온도와 냉각수 출구 온도와의 차, 즉, 종단부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복수기 냉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압 복수기의 복수를 고압 복수기의 증기로 가열하는 방법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7065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173768호 공보
특허문헌 1은, 압력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저압 복수기의 재열실 내에 트레이를 설치하고, 고압 복수기로부터의 증기를 이용하여,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격벽으로부터 적하되는 복수를 가열함과 함께, 트레이로부터 오버플로우한 복수에 의해 재열실 내의 복수에 순환류를 발생시켜, 복수 표면에서 표면 난류 열전달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다공판 아래에 트레이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저압 복수기의 복수에 순환류 형성 촉진 수단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고압 복수기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와 저압 복수기의 복수를 효과적으로 접촉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어, 증기와 복수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는 것이 고려된다.
특허문헌 2는, 저압 복수기의 핫 웰 바닥에 다공판을 설치하고, 다공판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유하(流下)되는 액체가 원뿔형 장해물의 정점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그 정점을 상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는, 원뿔형 장해물에 복수가 접촉됨으로써 액막 형상이 된다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다공판 이하에 장해물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용접 등의 작업이 증가하여, 제조 시간이 증대된다.
다단압 복수기의 복수의 재열에 대해서는 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재열의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저압측의 복수기의 복수와 고압측의 복수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증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재열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저압측의 복수기의 복수와 고압측의 복수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증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단압 복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다단압 복수기는, 기내 압력이 낮은 순서대로 제1 복수기, 제2 복수기, 제3 복수기가 배치되어 있는 다단압 복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기 및 상기 제2 복수기는, 각각,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 터빈 배기를 응축시켜 얻어지는 복수를 유하시키는 다공군이 복수기 중심부보다도 냉각수 유입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제1 구획판과, 상기 다공군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의 재열을 행하기 위한 재열실을 냉각수의 유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판 및 상기 제2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재열실로 상기 제3 복수기 내의 가열 증기를 공급하는 가열 증기 유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열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저압측의 복수기의 복수와 고압측의 복수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증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단압 복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상기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4는 오리피스를 갖는 벤트관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오리피스를 갖는 벤트관이 다공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오리피스를 갖는 벤트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9는 도 8의 다단압 복수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처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더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하기 위해, 외측으로부터는 본래 보이지 않는 주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단압 복수기는, 기내 압력이 낮은 순서대로 저압 복수기(1)(제1 복수기), 중압 복수기(2)(제2 복수기), 고압 복수기(3)(제3 복수기)가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저압 복수기(1), 중압 복수기(2), 및 고압 복수기(3)는, 도시하지 않은 저압 증기 터빈, 중압 증기 터빈, 및 고압 증기 터빈에 의해 팽창 작업을 끝낸 터빈 배기를 각각 냉각수에 의해 응축시켜 복수로 한다.
이들 저압 복수기(1), 중압 복수기(2), 및 고압 복수기(3)에는, 각각,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관군(4)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는, 다단압 복수기의 외부로부터 처음으로 저압 복수기(1)의 냉각관군(4)에 유입되어, 유출된 후, U자형의 배관을 거쳐, 다음에 중압 복수기(2)의 냉각관군(4)에 유입되어, 유출된 후, U자형의 배관을 거쳐, 마지막으로 고압 복수기(3)의 냉각관군(4)에 유입되어, 유출된다.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는, 각각, 압력 격벽으로서의 다공판(제1 구획판)(5), 복수 구획판(제2 구획판)(6), 및 재열실(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압 복수기(3)에는, 상술한 요소(5 내지 7)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간소한 구조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저압 복수기(1)와 중압 복수기(2) 사이, 및 중압 복수기(2)와 고압 복수기(3) 사이에는 가열 증기 유로(8)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증기 유로(8)는, 고압 복수기(3)로부터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여 저압 복수기(1)에 이르는 유로와, 고압 복수기(3)로부터 중압 복수기(2)에 이르는 유로를 갖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가열 증기 유로(8)는, 고압 복수기(3) 내의 가열 증기를, 중압 복수기(2)의 재열실(7) 및 저압 복수기(1)의 재열실(7)로 각각 최단 거리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증기 유로(8)는, 고압 복수기(3)와 중압 복수기(2) 사이, 및 중압 복수기(2)와 저압 복수기(1) 사이에 있어서 각각 구배를 갖는다(경사져 있음). 이러한 구배를 마련함으로써, 유로의 도중에 가열 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었다고 하여도 고이지 않고 공급처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공판(5)은, 종래의 것과는 달리,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 터빈 배기를 응축시켜 얻어지는 복수를 유하시키는 다공군(5P)이 복수기 중심부보다도 냉각수 유입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판이다. 즉, 다공판(5) 상의 전체 영역 중, 복수 구획판(6)의 위치로부터 냉각수 유출측에는 다공군은 전혀 천공되어 있지 않고, 한편, 복수 구획판(6)의 위치로부터 냉각수 유입측에는, 영역(5A)에 다공군(5P)이 균등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영역(5A)에 다공군(5P)을 천공함으로써,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직접 또한 충분히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 구획판(6)은,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의 재열을 행하기 위한 재열실을 냉각수의 유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판이다. 즉, 다공판(5) 및 복수 구획판(6)에 의해, 종래보다도 좁아진 재열실(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공판(5) 및 복수 구획판(6)에 의해 구획된 재열실(7)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와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압 복수기(2) 내의 재열실(7)과,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는 별개의 공간에 있기 때문에,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가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가열 증기 유로(8) 내를 흐르는 가열 증기를 냉각시키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공군(5P)이 차지하는 영역(5A) 내의 중심 위치에는, 다공판(5)의 상하의 압력차에 의해 가열 증기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벤트 구멍(5Q)이 천공되어 있다. 이때, 벤트 구멍(5Q)의 상방에 복수 회피를 위한 갓(구멍에 복수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영역(5A) 내에 벤트 구멍(5Q)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벤트 구멍(5Q)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다공판(5)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가열 증기가 충분히 접촉되어 혼합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단압 복수기에 있어서, 냉각수가 저압 복수기(1), 중압 복수기(2), 및 고압 복수기(3)의 각 냉각관군(4)을 순서대로 흐르면, 각 복수기 내에서는 증기 터빈 배기가 냉각되고, 응축된 복수가 유하된다.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있어서는, 다공판(5)의 영역(5A)에 천공되어 있는 다공군(5P)으로부터 복수가 재열실(7)에 유하된다. 한편, 고압 복수기(3)로부터는, 가열 증기가 가열 증기 유로(8)를 통해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의 재열실(7)에 유입된다. 재열실(7)에 유입된 가열 증기는, 가열 증기가 벤트 구멍(5Q)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다공판(5)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가열 증기가 충분히 접촉되어, 혼합이 촉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의해 효과적으로 재열 처리가 행하여진 복수는, 각각의 액상부에 저류된 후, 고압 복수기(3)의 액상부로 보내져,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급수 가열기로 보내진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구조의 간소화를 실현하면서,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있어서 유하되는 복수와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를 효율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어,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있어서의 복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높은 온도의 복수를 급수 가열기로 보낼 수 있고, 급수 가열기에서 복수의 가열에 사용하고 있었던 터빈 추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발전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열 증기 유로(8)는, 고압 복수기(3)로부터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여 저압 복수기(1)에 이르는 유로를 갖고 있으므로, 고압 복수기(3) 내의 가열 증기를 저압 복수기(1)의 재열실(7)로 최단 거리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열 증기 유로(8)는, 고압 복수기(3)와 중압 복수기(2) 사이, 및 중압 복수기(2)와 저압 복수기(1) 사이에 각각 구배를 갖고 있으므로, 유로의 도중에 가열 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었다고 하여도 고이지 않고 공급처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공판(5)은, 한정된 영역(5A)에 다공군(5P)을 천공한 것이기 때문에,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직접 또한 충분히 접촉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공판(5) 및 복수 구획판(6)에 의해, 종래보다도 좁아진 재열실(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와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를 골고루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압 복수기(2) 내의 재열실(7)과,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는 별개의 공간에 있기 때문에,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가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가열 증기 유로(8) 내를 흐르는 가열 증기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벤트 구멍(5Q)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다공판(5)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충분히 접촉시켜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의 다공군(5P)의 영역(5A) 내의 중심 위치에, 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오리피스(교축 구멍)(9Q)를 갖는 벤트관(9)(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관)이 설치된다. 도 4의 (a), (b)에, 각각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의 상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은, 전술한 도 2 중에 도시되는 벤트 구멍(5Q)의 위치에 설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5)의 벤트 구멍(5Q)을 통과하는 가열 증기가 벤트관(9)의 내부를 통해 오리피스(9Q)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설치한다. 이때, 오리피스(9Q)의 상방에 복수 회피를 위한 갓(복수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을 설치하여도 된다.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9Q)에 복수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벤트관(9)의 본체의 일부를 U자형으로 한 것을 채용하여도 된다.
오리피스(9Q)의 구경 등을 포함하는 벤트관(9)의 치수나 형상은, 복수와 가열 증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혼합되는 값을 발견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예를 들어 다공판(5)의 상하의 압력차나 가열 증기의 양 등의 각종 파라미터를 고려한다. 또한, 오리피스(9Q)의 구경 등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종의 벤트관(9)을 적절히 교환하여, 복수와 가열 증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다공판(5)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 전체에 가열 증기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벤트관(9)에 구비되는 오리피스(9Q)의 구경 등의 치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복수와 가열 증기와의 혼합을 한층 촉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있어서, 전술한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이, 다공판(5) 상의 다공군(5P) 중심 위치가 아니라, 이것보다도 가열 증기 유입측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벤트관(9)은, 1개로 하여도 되고 복수개로 하여도 된다. 또한 다공군(5P)은, 다공판(5) 상의 가열 증기 유입측과 벤트관(9) 사이의 영역(5B)에 균등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재열실(7)에는,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재열실(7)의 양측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는 가이드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재열실(7)의 양측부에 집중하여 흐르는 일이 없고, 재열실(7) 중간 정도를 경유하여, 벤트관(9)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고압 복수기(3)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증기가 재열실(7)의 양측부에 집중하여 흐르지 않고, 재열실(7) 중간 정도를 통과하여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가열 증기를 복수 전체에 불균일 없이 혼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다단압 복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저압 복수기(1) 및 중압 복수기(2)에 있어서, 재열실(7)을 형성하고 있었던 복수 구획판(6)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복수기의 수평 방향 전역에 걸쳐 재열실(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공판(5)에는, 다공군(5P)이 복수의 영역(5C)으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리피스(9Q)를 갖는 벤트관(9)이, 다공판(5) 상의 복수의 영역(5C)의 각각의 다공군(5P)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압 복수기(3) 내의 가열 증기를 재열실(7')로 공급하는 가열 증기 유로(8)는, 도 8에 도시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예에서는, 고압 복수기(3)로부터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여 저압 복수기(1)에 이르는 가열 증기 유로(8)가 1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고압 복수기(3)로부터 중압 복수기(2)에 이르는 가열 증기 유로(8)도 1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가열 증기 유로(8)를 3개씩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가, 중압 복수기(2) 내의 다공군(5P)이 차지하는 영역(5C) 아래를 피하여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가, 중압 복수기(2)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8)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가열 증기 유로(8) 내를 흐르는 가열 증기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구조의 한층 더한 간소화를 실현하면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3 동체 구성의 다단압 복수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동체 구성의 다단압 복수기, 혹은 4 동체 이상의 구성의 다단압 복수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하여도 된다. 또한, 상이한 실시 형태에 걸친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도 된다.
1: 저압 복수기
2: 중압 복수기
3: 고압 복수기
4: 냉각관군
5: 다공판(제1 구획판)
5A, 5B: 다공군이 차지하는 영역
5P: 다공군
5Q: 벤트 구멍
6: 복수 구획판(제2 구획판)
7, 7': 재열실
8: 가열 증기 유로
9: 벤트관
9Q: 오리피스
11: 가이드 부재

Claims (13)

  1. 기내 압력이 낮은 순서대로 제1 복수기(1), 제2 복수기(2), 제3 복수기(3)가 배치되어 있는 다단압 복수기로서, 상기 제1 복수기(1) 및 상기 제2 복수기(2)는, 각각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 터빈 배기를 응축시켜 얻어지는 복수를 유하시키는 다공군(5P)이 복수기 중심부보다도 냉각수 유입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제1 구획판(5)과, 상기 다공군(5P)으로부터 유하되는 복수의 재열을 행하기 위한 재열실(7)을 냉각수의 유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구획판(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판(5) 및 상기 제2 구획판(6)에 의해 구획되는 재열실(7)로 상기 제3 복수기(3) 내의 가열 증기를 공급하는 가열 증기 유로(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증기 유로가, 상기 제3 복수기로부터 상기 제2 복수기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복수기에 이르는 유로와, 상기 제3 복수기로부터 상기 제2 복수기에 이르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기 내의 재열실과, 상기 제2 복수기를 관통하는 가열 증기 유로는 별개의 공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증기 유로는, 상기 제3 복수기와 상기 제2 복수기 사이, 및 상기 제2 복수기와 상기 제1 복수기 사이에 각각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증기 유로는, 상기 제3 복수기와 상기 제2 복수기 사이, 및 상기 제2 복수기와 상기 제1 복수기 사이에 각각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벤트 구멍이 상기 제1 구획판 상의 다공군이 차지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관이 상기 제1 구획판 상의 다공군이 차지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상기 구멍에 복수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관이 상기 제1 구획판 상의 다공군 중심 위치보다도 가열 증기 유입측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10. 제8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관이 상기 제1 구획판 상의 다공군 중심 위치보다도 가열 증기 유입측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가까이 대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11. 제9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가 상기 재열실의 측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열 증기가 상기 재열실의 측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압 복수기.
  13. 삭제
KR1020100059391A 2009-06-24 2010-06-23 다단압 복수기 KR101218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0041A JP5300618B2 (ja) 2009-06-24 2009-06-24 多段圧復水器
JPJP-P-2009-150041 200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810A KR20100138810A (ko) 2010-12-31
KR101218456B1 true KR101218456B1 (ko) 2013-01-04

Family

ID=4294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391A KR101218456B1 (ko) 2009-06-24 2010-06-23 다단압 복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5886B2 (ko)
EP (1) EP2282151B1 (ko)
JP (1) JP5300618B2 (ko)
KR (1) KR101218456B1 (ko)
CN (1) CN101929807B (ko)
CA (1) CA27082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8416B2 (en) 2011-11-28 2016-11-08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Multistage pressure condenser and steam turbine plant having the same
JP5737215B2 (ja) * 2012-03-13 2015-06-1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試料冷却装置及びサンプリング装置
JP6101527B2 (ja) * 2013-03-22 2017-03-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CN104515408B (zh) * 2013-10-01 2017-11-03 黑龙江省金永科技开发有限公司 多效直热机
CN103816694B (zh) * 2014-03-07 2015-11-25 中石化上海工程有限公司 高黏度、易凝结物料的冷凝方法
CN105091409B (zh) * 2014-05-23 2018-03-30 哈尔滨工大金涛科技股份有限公司 直通式热泵
CN105091062B (zh) * 2014-05-23 2018-07-06 哈尔滨工大金涛科技股份有限公司 直热机
CN111207602B (zh) * 2020-02-17 2024-03-15 国能龙源蓝天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背压供热机组凝结水分级冷却系统及方法
CN113237354B (zh) * 2021-05-13 2022-12-23 厦门纬达树脂有限公司 一种高效环保的环氧树脂加工的余热回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788A (ja) * 2007-10-16 2009-05-07 Toshiba Corp 複圧式復水器及び復水再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3734B2 (ko) * 1971-03-23 1974-11-22
JPS5223009B2 (ko) * 1972-03-10 1977-06-21
AT315042B (de) 1972-07-13 1974-05-10 Smolka & Co Wiener Metall Skibindung
FR2426878A1 (fr) * 1978-05-25 1979-12-21 Alsthom Atlantique Condenseur a plusieurs corps
JPS5921991A (ja) * 1982-07-28 1984-02-04 Toshiba Corp 復水器
EP0128346B1 (de) * 1983-06-09 1986-09-10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Mehrdruckkondensator für Dampfturbinen mit Aufwärmungseinrichtungen zur Unterdrückung der Unterkühlung des Kondensators
JPH06257963A (ja) * 1993-03-08 1994-09-16 Hitachi Ltd 脱気方法および復水器
JPH0821205A (ja) * 1994-07-08 1996-01-23 Japan Atom Power Co Ltd:The 復水器装置
JPH11173768A (ja) * 1997-12-10 1999-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多段圧復水器
JP3706571B2 (ja) * 2001-11-13 2005-10-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段圧復水器
JP2008180188A (ja) * 2007-01-26 2008-08-07 Toshiba Corp 複圧式復水器
JP2008256279A (ja) * 2007-04-05 2008-10-23 Toshiba Corp 復水設備
JP2009052867A (ja) * 2007-08-29 2009-03-12 Toshiba Corp 多段圧復水器
WO2009075300A1 (ja) * 2007-12-10 2009-06-18 Kabushiki Kaisha Toshiba 復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788A (ja) * 2007-10-16 2009-05-07 Toshiba Corp 複圧式復水器及び復水再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2151A3 (en) 2015-01-21
CA2708210C (en) 2013-09-24
EP2282151B1 (en) 2018-11-21
EP2282151A2 (en) 2011-02-09
JP2011007394A (ja) 2011-01-13
US8505886B2 (en) 2013-08-13
US20100329896A1 (en) 2010-12-30
JP5300618B2 (ja) 2013-09-25
CA2708210A1 (en) 2010-12-24
KR20100138810A (ko) 2010-12-31
CN101929807B (zh) 2012-11-28
CN101929807A (zh)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456B1 (ko) 다단압 복수기
US9488416B2 (en) Multistage pressure condenser and steam turbine plant having the same
RU2650458C1 (ru)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пластинчатого типа
CN101828090B (zh) 复压式冷凝器及冷凝水再热方法
JP2009062902A (ja) 湿分分離加熱器
KR20030014640A (ko) 흡수냉온수기 및 흡수냉온수기용 재생기
EP2682701B1 (en) Multistage pressure condenser and steam turbine plant equipped with same
US4598767A (en) Multiple pressure condenser for steam turbines, with heating devices for suppressing condensate overcooling
JP2002130867A (ja) 冷凍機用凝縮器
US8881690B2 (en) Steam generator
EP2218999B1 (en) Steam condenser
KR100922120B1 (ko) 수분 분리 가열기
US9726048B2 (en) Steam turbine plant
JP6449099B2 (ja) 放出処理装置及び放出処理方法
WO2014045996A1 (ja) 第二種吸収式ヒートポンプ
RU2296914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подогреватель
JP6768402B2 (ja) 復水器
JP5936562B2 (ja) 復水器、これを備えている多段圧復水器、復水器に用いる再熱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