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95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95B1
KR101218295B1 KR1020120075677A KR20120075677A KR101218295B1 KR 101218295 B1 KR101218295 B1 KR 101218295B1 KR 1020120075677 A KR1020120075677 A KR 1020120075677A KR 20120075677 A KR20120075677 A KR 20120075677A KR 101218295 B1 KR101218295 B1 KR 10121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touch screen
output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제
진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제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MOBILE TERMINAL AND SCREEN SH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증대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가 다양해 지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보다 넓은 스크린을 갖는 외부 기기와 공유하고자 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량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할 수 없다면, 이동 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이후에도, 불편함 없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출력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영상을 출력하는 제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화면 밝기를 최소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제1 터치스크린의 전력 소모를 줄여 이동 단말기의 전원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이다.
나아가,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된 클론 영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동 단말기는 제1 음향 출력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음향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클론 영상 및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이한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터치스크린; 이동 단말기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클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클론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클론 영상이 전체화면으로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클론 영상이 PIP(Picture in picture)로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클론 영상이 PIP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에는 모(母)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의 제2 영역에는 상기 클론 영상이 PIP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영역에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출력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UVS(Ubiquitous Virtual Screen)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VS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의 제1 비컨 신호 전송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핫스팟의 접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고정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8은 클론 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클론 영상이 PIP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모듈"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UVS(Ubiquitous Virtual Screen)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UVS 서비스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보다 큰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원격으로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 조작(예컨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UVS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제어하거나 구매하는 사용 행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 있어서, UVS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스마트 폰과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되는 것으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는 대시보드 중앙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는 보통 방송을 시청하거나, 네비게이션(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각각 스마트폰과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로 예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조치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MP3 플레이어, PDA, PMP, 핸드폰, 네비게이션 단말 등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시트 스크린, 네비게이션, TV, 컴퓨터 모니터, PDA, 태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스크린은 차량의 뒷자석 승객을 고려하여 앞좌석의 머리 받침(헤드 레스트 : Head Rest)이나 등받이에 매설된 형태의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동종의 기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UVS 서비스가 체결되면,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UVS 서비스가 체결되는 것을 이동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록도와 이들의 동작 흐름도를 토대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는 '제1'의 첨두어를 부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에는 '제2'의 첨두어를 부가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메모리(110), 제1 터치스크린(120), 제1 음향 출력 모듈(130), 제1 이동통신 모듈(140),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 제1 근거리 통신부(160) 및 제1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 및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통신 모듈(140)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무선 신호는 호 신호(음성 호 신호 또는 화상통화 호 신호)나 메시지(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통신 모듈(140)에는 CDMA, WCDMA, LTE, HSDPA 등의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은 제2 유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에는 Wi-Fi(또는, Wi-Fi Direct), Wibro, WiMax 등의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은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로 비컨(Beacon)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컨 신호는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로 제공되거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통해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와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로 USB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제1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제1 제어부(170)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을 핫스팟(Hotspot)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핫스팟은 이동형 AP(Access point)의 개념으로 핫스팟으로 설정된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은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제1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초로 더욱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70)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형성하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이 형성하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는 음향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의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비접촉식 통신 태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UV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값을 제공하거나, UVS 서비스가 개시될 수 있도록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비접촉식 통신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 통신 방식을 적용한 것일 수 있다.
제1 유무선 통신부와 제2 유무선 통신부 사이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1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의 실시간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을 외부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부(170)는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을 통해 출력될 음향 데이터도 외부 단말 장치(혹은 외부 단말 장치에 외장된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메모리(210), 제2 터치스크린(220), 제2 음향 출력 모듈(230),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 및 제2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 및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는 단일의 함체에 내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이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과 함께 다른 구성요소와 분리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을 이용하여 각각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을 각각 제2 터치스크린(220)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VS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를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와 태깅하면(S401),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는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로부터 UVS 서비스 개시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02).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제1 제어부(170)는 트리거 신호에 의거하여 미러링(Mirroring)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03). 미러링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와 동일(또는 유사)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70)는 트리거 신호가 인가되어야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클론 영상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제어부(170)는 UV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미러링 모드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70)는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UV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클론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S401 내지 S403 단계에서는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를 통해 수신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미러링 모드가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를 이용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링 모드에 진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UVS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기초로 미러링 모드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미러링 모드가 설정되면, 제1 제어부(170)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 및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사이에 통신채널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4).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 및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사이에 통신채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제1 제어부(170)는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로 제1 비컨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5). 이때, 제1 제어부(170)는 제1 비컨 신호 전송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의 제1 비컨 신호 전송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USB 테더링'(510)이 선택된 경우,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1 비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용 Wi-Fi 핫스팟(Hotspot)'(520)이 선택된 경우,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은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제1 비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USB 테더링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1:1 통신 채널이 형성되므로, 의도치 않은 불특정 상대방이 통신 채널에 개입하지 않는다. 그에 반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을 핫스팟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1 비컨 신호를 전달하므로, 의도치않은 불특성 상대방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핫스팟의 접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핫스팟의 접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의 예에서, 사용자가 '핫스팟 설정'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는 도 6에 예시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토대로 사용자는 핫스팟으로 설정된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보안 방식 및 핫스팟 접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제1 비컨 신호에는 핫스팟의 구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핫스팟의 구성 정보는 핫스팟의 SSID, 암호 설정 유무, DTIM 및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제공하는 제1 비컨 신호에는 핫스팟의 구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핫스팟의 구성 정보란 핫스팟의 SSID, 암호 설정 유무,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및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로부터 제1 비컨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제어부(260)는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또는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과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406).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접근 암호가 설정된 핫스팟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인증 요청 신호에 비밀번호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제1 제어부(170)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과는 별개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 상호간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S407) 제1 제어부(17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 사이에도 통신 채널이 형성되도록 더욱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7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이 주기적으로 제2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S408).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2 비컨 신호를 감지하면, 제2 제어부(26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409). 마찬가지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에 접근 암호가 설정된 경우라면, 인증 요청 신호에 비밀번호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호 연동되면, 제1 제어부(170)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화면 밝기를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S410).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동되어 상호 동일(또는 유사)한 출력을 갖는 경우라면, 굳이 제1 터치스크린(120)의 화면 밝기를 최대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또는 유사)한 출력을 갖는 경우라면 제1 터치스크린(120)이 아닌 제2 터치스크린(22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또는 유사)한 화면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화면 밝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전원 효율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 및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411).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 및 포트레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것은 제2 터치스크린(220)에 최적화된 클론 영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고정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7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길고,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함몰되어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7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를 유지한다면,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에도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에 적합한 최적의 클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반해, 도 7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회전 불가능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에서는 포트레이트 모드에 적합한 비율을 갖는 클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된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 영역을 사용할 수 없고, 일부에 데드 존(Dead zone, 7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상시 랜드스케이프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회전 불가능한 고정형 장치인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클론 영상을 가로 또는 세로로 회전하는 것보다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제1 터치스크린(120)이 고정된 출력 모드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예로, 제2 디스플레이부의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긴 경우라면, 제1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2 디스플레이부의 세로변이 가로변보다 긴 경우라면,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반드시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비율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가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부의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긴 경우라 하더라도,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일예로, 후술될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가 클론 영상을 전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고정하고,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모드를 고정함과 동시에, 제1 제어부(170)는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더욱 제어할 수 있다(S412).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이 아닌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을 통해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굳이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을 통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을 비활성화하여,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을 통해서만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70)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 및 제1 음향 출력 모듈(130)을 통해 출력될 음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413). 이때, 영상 데이터인 클론 영상은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또는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 및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또는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 사이의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되고, 음향 데이터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 사이의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또는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 및/또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이 각각 클론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2 제어부(260)는 클론 영상 및 음향 데이터가 각각 제2 터치스크린(220) 및 제2 음향 출력 모듈(23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터치스크린(220)에 클론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제2 제어부(260)는 전체 화면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클론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 및 도 9는 각각 클론 영상이 전체 화면 및 PIP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260)는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트는 제2 터치스크린(220)에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260)는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PIP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70)는,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터치스크린(220)의 제1 영역(920)에는 모(母)화면을 표시하고, 제2 영역(930)에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클론 영상을 PIP 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클론 영상을 PIP로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트 및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가 동시에 제2 터치스크린(2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트는 모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영역(920)에,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는 클론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930)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또는 유사)한 클론 영상이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260)는 클론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8 및 도 9에서는 'Jane의 스마트폰' 으로 예시됨, 810,910).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란, 핫스팟의 SSID, 이동 단말기(100)의 종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 이름, 이동 단말기(100) 소지자의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어떤 이동 단말기(100)와 연동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70)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S414). 제1 제어부(170)는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클론 영상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415).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에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굳이 클론 영상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다면, 제2 터치스크린(220)은 기 수신한 클론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터치스크린(120)과 동일(또는 유사)한 영상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제1 터치스크린(120)의 출력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갱신된 클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통신 부하를 줄이고,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 제2 터치스크린(220)으로 터치 입력이 가하여진 경우(S416), 제2 제어부(260)는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가 이동 단말기(100)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17). 제2 터치스크린(220)이 클론 영상을 전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경우라면, 제2 터치스크린(220)에 가하여지는 터치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클론 영상이 제2 터치스크린(220)의 제2 영역에 PIP로 표시되는 경우라면, 제1 영역에 가하여지는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영역에 가하여지는 터치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가 이동 단말기(100)라 판단된 경우, 제2 제어부(260)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18). 제1 제어부(170)는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기초로, 터치 입력이 지정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S419).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라면, 제2 제어부(260)는 스스로 터치 입력이 지정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S420).
도 4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곧바로 클론 영상 및 음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반드시 상기 조건을 충족하자마자 클론 영상 및/또는 음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통신 채널(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 -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이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을 기다려 클론 영상 및/또는 음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클론 영상 및/또는 음향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스스로의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테더링(tethering)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70)가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또는 제2 유선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은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1 이동통신 모듈(1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이동통신 모듈(140)은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또는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가 수신한 변환된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도록 변조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요청한 인터넷 접속을 대리 수행할 수 있다. 제1 이동통신 모듈(140)은 응답 결과를 복조하고, 복조된 응답 결과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또는 제1 유선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인터넷 접속 불능인 단말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테더링(tethering)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는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과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 사이의 통신 채널이 형성된 이후,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 사이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반드시 도시된 순서에 따라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의 역순으로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 인터넷 모듈과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50)이 동시에 각각의 통신 채널의 개설을 시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에서, 제1 근거리 통신용 태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2 근거리 통신용 태그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입력 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트리거 신호를 반드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2 근거리 통신용 태그로부터 수신할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 제1 근거리 통신용 태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는 무관한 제3 근거리 통신용 태그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3 근거리 통신용 태그는 스티커 형태로 발부되어 차량 내 임의의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 근거리 통신용 태그는 제1 근거리 통신용 태그로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데이터 연계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도 4에서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접근 암호를 갖는 핫스팟으로 설정된 경우,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은 비밀번호를 포함하여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로 인증을 요청해야 한다. 이때, 제2 무선 인터넷 모듈(240)의 인정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것일 수도 있지만,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 및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 사이의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이 생성한 비컨 신호 역시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가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로부터, 비컨 신호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의 접근 암호를 수신하면, 제2 제어부(260)는 비컨 신호에 포함된 핫스팟의 SSID 및 수신된 접근 암호를 기초로 제1 무선 인터넷 모듈(15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180)를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270)에 태깅하는 것 만으로, S403 내지 S406 단계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제1 메모리
120 : 제1 터치스크린
130 : 제1 음향 출력 모듈
140 : 제1 이동통신 모듈
150 : 제1 무선 인터넷 모듈
160 : 제1 근거리 통신부
170 : 제1 제어부
180 : 제1 비접촉 통신용 태그
190 : 제1 유선 인터페이스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제2 메모리
220 : 제2 터치스크린
230 : 제2 음향 출력 모듈
240 : 제2 무선 인터넷 모듈
250 :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260 : 제2 제어부
270 :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
280 : 제2 유선 인터페이스

Claims (40)

  1. 영상을 출력하는 제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화면 밝기를 최소 레벨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클론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클론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을 포트레이트 모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음향 출력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음향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 영상 및 상기 음향 데이터는 상이한 경로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영상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클론 영상을 갱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컨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비컨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핫스팟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신호는,
    상기 핫스팟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보안 방식 및 접근 암호 설정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비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유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가 인가될 것을 조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클론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진 정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화면 밝기를 최소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클론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클론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스크린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과는 다른 제2 통신 채널을 더욱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음향 데이터를 더욱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미러링 모드로의 진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트리거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3. 제2 터치스크린;
    이동 단말기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클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클론 영상이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에는 모(母)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의 제2 영역에는 상기 PIP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2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영역에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클론 영상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돕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비접촉 통신용 태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이동 단말기와 제1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출력 영상의 클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클론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1. 삭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처리 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좌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20075677A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KR10121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77A KR101218295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77A KR101218295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295B1 true KR101218295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77A KR101218295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794A (ko) * 2014-02-28 2015-09-08 한국과학기술원 이동체의 좌석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무선고속 미러링 시스템
KR101675226B1 (ko) * 2015-05-13 2016-11-10 (주) 비앤디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 미러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9594417B2 (en) 2013-09-13 201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image mirroring method and apparatus
US9612790B2 (en) 2014-04-01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rame information
US9626147B2 (en) 2013-09-0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sink apparatus thereof, mirroring system thereof
WO2021098738A1 (zh) * 2019-11-19 2021-05-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控制电视横竖屏操作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429339B2 (en) 2019-10-21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078A (ja) 2007-12-05 2011-03-0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66419A1 (en) * 2010-09-13 2012-03-15 Kia Motors Corporation Terminal having content interwork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078A (ja) 2007-12-05 2011-03-0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66419A1 (en) * 2010-09-13 2012-03-15 Kia Motors Corporation Terminal having content interwork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6147B2 (en) 2013-09-0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sink apparatus thereof, mirroring system thereof
US9594417B2 (en) 2013-09-13 201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image mirror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50102794A (ko) * 2014-02-28 2015-09-08 한국과학기술원 이동체의 좌석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무선고속 미러링 시스템
KR101621294B1 (ko) * 2014-02-28 2016-06-01 한국과학기술원 이동체의 좌석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무선고속 미러링 시스템
US9612790B2 (en) 2014-04-01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rame information
KR101675226B1 (ko) * 2015-05-13 2016-11-10 (주) 비앤디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 미러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1429339B2 (en) 2019-10-21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98738A1 (zh) * 2019-11-19 2021-05-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控制电视横竖屏操作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343556B2 (en) 2019-11-19 2022-05-24 Shenzhen Skyworth-Rgb Electronic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a horizontal screen or vertical screen of televis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US986702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9164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140146362A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41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KR20120079370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30665B1 (ko) eUICC가 내장된 장치의 프로파일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596018B2 (en) Reg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1601475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176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lectric field informa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7502622A (ja) 無線装置リストの表示方法及びその表示装置、無線装置及びそのブロードキャスト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182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KR20150088494A (ko)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2182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KR20140087080A (ko)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1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42397A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549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2514B1 (ko)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501148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13124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704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981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60815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