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94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94B1
KR101218294B1 KR1020120075675A KR20120075675A KR101218294B1 KR 101218294 B1 KR101218294 B1 KR 101218294B1 KR 1020120075675 A KR1020120075675 A KR 1020120075675A KR 20120075675 A KR20120075675 A KR 20120075675A KR 101218294 B1 KR101218294 B1 KR 10121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output
external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제
진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는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MOBILE TERMINAL AND SCREEN SH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증대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가 다양해 지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보다 넓은 스크린을 갖는 외부 기기와 공유하고자 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량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할 수 없다면, 이동 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이후에도, 불편함 없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출력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는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가 최소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동함에 있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핫스팟(hotspot)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는 Wi-Fi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용 태그에 태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핫스팟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이 화면 공유 방법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의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출력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미러링이 제공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부가 핫스팟으로 설정된 경우, 무선 통신부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1 클론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2 클론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모듈"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미러링이 제공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1의 예시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는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되는 것으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는 대시보드 중앙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는 보통 방송을 시청하거나, 네비게이션(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인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비단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트 스크린, 네비게이션, TV, 컴퓨터 모니터, PDA< 태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스크린은 차량의 뒷자석 승객을 고려하여 앞좌석의 머리 받침(헤드 레스트 : Head Rest)이나 등받이에 매설된 형태의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가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의 클론(clone) 영상이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기초로 클론 영상을 형성한 뒤,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클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와의 미러링(Mirroring)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클론 영상은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영상과 동일 화면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가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Private Information)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영상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영상과 상이한 제2 클론 영상 또는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클론 영상(제1 클론 영상 또는 제2 클론 영상)이나 대체 영상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가 이동 단말기(100)로 접속하면,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클론 영상 또는 제2 클론 영상이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는 도중,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로 터치 입력이 제공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로부터 터치 입력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로부터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뒤, 제1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10), 디스플레이부(120), 무선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간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모듈(132), WLAN 모듈(134), 블루투스(Bluetooth) 모듈(136) 및 NFC 모듈(1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3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무선 신호는 호 신호(음성 호 신호 또는 화상통화 호 신호)나 메시지(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30)의 WLAN 모듈(134)이나 블루투스 모듈(136)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WLAN 모듈(134)을 이용하는 경우, Wi-Fi Direct 통신을 기초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거나, WLAN 모듈(134)을 핫스팟(Hotspot)으로 설정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WLAN 모듈(134)이 핫스팟으로 설정되면, WLAN 모듈(134)은 이동통신 모듈(132)로부터 수신되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Wi-Fi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경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36)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용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와 같이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하지 못한 것일 경우, 상술한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를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WLAN 모듈(134)은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하지 못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와 연동되고, 블루투스 모듈(136)은 차량내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음향이 차량내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무선 통신부(130)가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기초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술한 통신 기술 이외의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부(13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30)는 Zigbee, Wibro 등의 통신 기술을 기초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되어, 양자 사이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어부(14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대한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 일부 상이한 제2 출력 영상 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대한 대체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되도록 무선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동을 지시하는 연동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S301), 제어부(140)는 연동 준비 동작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연동 준비 동작은 무선 통신부(13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WLAN 모듈(134)의 활성화, 블루투스 모듈(136)의 활성화 또는 무선 통신부(130)를 핫스팟으로 설정하는 것 등이 연동 준비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연동 준비 동작이 미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연동 준비 동작의 수행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 화면을 출력하여 연동 준비 동작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S303).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Wi-Fi Direct나 블루투스를 통해 연동되는 경우, 유도 화면은 WLAN 모듈(134) 또는 블루투스 모듈(136)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핫스팟으로 설정되는 무선 통신부(13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통신부(130)와 연동되는 경우라면, 유도 화면은 무선 통신부(130)를 핫스팟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있는 핫스팟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핫스팟 설정 화면을 통해 무선 통신부(130)를 핫스팟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 핫스팟으로 설정시 사용할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 비밀번호 등도 더욱 설정할 수 있다.
WLAN 모듈(134), 블루투스 모듈(136)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 되거나, 무선 통신부(130)를 핫스팟으로 설정함으로써 연동 준비 동작이 완료된 경우, 무선 통신부(13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요청을 기초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부(13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4).
핫스팟(hotspot)은 무선 통신부(130)를 AP(Access Point) 또는 무선 모뎀(modem)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로, 무선 통신부(130)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Wi-Fi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핫스팟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부(130)에 접속함으로써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S304 단계는 도 4와 같이 더욱 구체화될 수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부(130)가 핫스팟으로 설정된 경우,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연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부(130)가 핫스팟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면,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Wi-Fi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핫스팟으로 설정될 수 있다(S401). 핫스팟으로 설정되면,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Wi-Fi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경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402). 이때, Wi-Fi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거나, 후술될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Wi-Fi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에는 핫스팟의 SSID, 무선 통신부(130)의 MAC 주소 및 보안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802.11 결합(Association)을 요청하면(S403), 무선 통신부(130)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S404).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IP 주소가 할당되면, 제어부(14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할당된 IP 주소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Physical 주소를 매핑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핫스팟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부(130)에 접속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암호와, 설정된 접속 암호를 비교한뒤, 일치여부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IP 주소를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로 조절하고,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 밝기를 최소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S305).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기 이전, 제어부(140)는 센서(도면 미도시)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가 포트레이트 모드를 유지하는 도중,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바뀌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통신 채널이 설정된 이후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연동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론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감상하기 보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을 감상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므로, 이동 단말기(100)가 아닌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나 시트 스크린과 같은 고정형 장치의 경우, 클론 영상을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에 따라 가로나 세로로 회전시키는 것 보다 고정형 장치의 화면 비율에 따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과 관계없이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통신 채널이 형성된 이후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지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후술될 제1 클론 영상, 제2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클론 영상, 제2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이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 및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길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일예로, 제1 클론 영상, 제2 클론 영상 및 대체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클론 영상(또는 대체 영상)도 가로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클론 영상(또는 대체 영상)을 가로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긴 경우라 하더라도, 클론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론 영상을 PIP로 표시하는 경우라면, 클론 영상이 가로 이미지로 표시될 필요가 없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영역(12)에는 모 영상이 표시되고, 제2 영역(14)에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2)과 제2 영역(14)이 분할된 경우라면, 제2 영역(14)을 통해서는 세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클론 영상(또는 대체 영상)을 세로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하는 것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 밝기가 최소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론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감상하는 것이 극히 드물 것이므로,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 밝기를 최소로 유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기 전,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6).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프라이버시 모드의 On/Off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7). 여기서, 프라이버시 모드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포함되는 사적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것인지를 설정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모드가 On 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 속 사적 정보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지 않으며, 프라이버시 모드가 Off 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 속 사적 정보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프라이버스 모드의 On/Off 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프라이버시 모드가 Off인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308).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프라이버시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는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309).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있는 경우,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공유를 원치 않는 화면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은 방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운전자 및 동승자가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10)에, 운전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운전자의 주민등록 번호나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다면,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동승자에게 자동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함에 있어, 사적 정보의 포함 여부를 기초로 제1 클론 영상, 제2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적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노출을 꺼려하는 데이터로, 자신 또는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 송수신 메시지 목록, 작성 중인 문자 메시지 내용, 계좌 정보, 자신 또는 특정 상대방의 계좌 정보, 자신 또는 특정 상대방의 주민등록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클론 영상, 제2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후술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1 클론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동일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클론 영상은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9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2 클론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로 설정된 전화번호(901)가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9의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출력 영상에 표시된 전화번호(901)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영상 처리를 가한 제2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출력 영상과 전화번호를 가릴 수 있는 차단 레이어(903)가 결합하여 제2 클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론 영상의 차단 레리어(903)에 기인하여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적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즉, 제2 클론 영상은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에 사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영상 처리가 가해지는 영상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과 사적 정보의 표시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 레이어(903)가 결합하여 제2 클론 영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에 표시된 사적 정보를 블러(Blur) 처리하거나 사적 정보를 모자이크(Mosaic) 처리하여 제2 클론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에 복수의 사적 정보가 표시된 경우, 제2 클론 영상은 출력 영상 속의 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만을 가린 것이면 족하다. 즉, 제어부(140)는 출력 영상 속의 모든 사적 정보가 차단되도록 제2 클론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출력 영상 속 적어도 하나의 사적 정보만을 차단한 채로 제2 클론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2 클론 영상이 아닌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에서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로 설정된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10의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부(120)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이한 영상을 출력하므로,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적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2 클론 영상 또는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표시되는 도중, 제어부(140)가 소정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경우(S310), 제어부(140)는 제2 클론 영상 또는 대체 영상의 송출을 멈추고, 디스플레이부(120)와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거나, 제2 클론 영상을 수정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S311).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적 정보가 출력되는 중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애초에 프라이버시 모드가 Off 상태라면, 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어, 타인과 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영상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지만, 프라이버시 모드가 On 상태라면,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모드를 Off 상태로 전환한 뒤, 사적 영상을 포함하는 출력 영상이 재 표시되도록 조작하여야만 사적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어 번거로운 조작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영상이 복수의 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고자 하는 니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라면, 프라이버시 모드가 On 이더라도, 출력 영상이 포함하는 사적 정보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도록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거나, 수정된 제2 클론 영상(즉, 이전 제2 클론 영상에서 차단된 사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노출되도록 수정된 신규 제2 클론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란 제2 클론 영상 및 대체 영상이 최초 제공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2 클론 영상 및 대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도중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가하여진 경우(예컨대, 공유하고자 하는 사적 정보에 터치 입력을 가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통화 연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신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완료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3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연동 개시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S301) 및 사용자가 연동 준비 동작의 유도 화면을 통해 연동 준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S303)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동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것을 강제하는 것은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연동 개시 명령의 입력 과정 및 연동 준비 동작의 수행 과정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용 태그에 태깅(tagging)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술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용 태그는 NFC 태그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를 근거리 통신용 태그에 태깅함으로써 자동으로 연동 개시 명령 및 연동 준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도 3의 S301 내지 S303 단계는 다음의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은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먼저, NFC 모듈(138)이 NFC 태그에 태깅되면, NFC 모듈(138)은 NFC 태그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101). NFC 모듈(138)이 NFC 태그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 개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S1102).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연동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라면,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140)는 연동 준비 동작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S1103), 연동 준비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연동 준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4). 예컨대, 무선 통신부(130)의 WLAN 모듈(134)이나 블루투스 모듈(136)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40)는 WLAN 모듈(134)이나 블루투스 모듈(136)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130)가 핫스팟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30)가 핫스팟으로 자동으로 핫스팟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NFC 태그는 스티커 형태로 제공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 혹은 외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NFC 태그가 스티커 형태로 제공되면, NFC 태그의 부착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NFC 태그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 혹은 외장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NFC를 기초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핫스팟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부(130)의 SSID가 히든(hidden) 상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NFC 통신을 통해 SSID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핫스팟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암호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NFC 통신을 통해 수신한 SSID 및 접속 암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100 : 이동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무선 통신부
140 : 제어부

Claims (31)

  1. 디스플레이부;
    핫스팟으로 설정되어 Wi-Fi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을 유도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는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과 무관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클론 영상,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클론 영상,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가 최소 레벨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론 영상은 상기 사적 정보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도록 상기 출력 영상의 일부를 차단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정보는, 전화번호, 송수신 메시지 내용, 통화 수발신 내역, 계좌 정보 및 주민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용 태그에 태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핫스팟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접속 비밀번호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태그로 상기 무선 통신부의 SSID 및 상기 접속 비밀번호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및 차량용 시트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영상에 상기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사적 정보가 차단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클론 영상, 상기 제2 클론 영상 및 상기 대체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영상에 상기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사적 정보가 차단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1 클론 영상이 제공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영상에 상기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적 정보를 차단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2 클론 영상이나 상기 대체 영상이 제공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 소정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상기 제1 클론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핫스팟으로 설정되어 Wi-Fi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부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의 포함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동일한 제1 클론 영상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출력 영상에 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력 영상과 다른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영상의 대체 영상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과 관계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나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클론 영상,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클론 영상,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를 최소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론 영상은 상기 사적 정보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도록 상기 출력 영상의 일부를 차단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정보는, 전화번호, 송수신 메시지 내용, 통화 수발신 내역, 계좌 정보 및 주민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4. 삭제
  25. 제 17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를 근거리 통신용 태그에 태깅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용 태그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용 태그와의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핫스팟으로 설정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6. 삭제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무선 통신부의 SSID 및 접속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및 차량용 시트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정보가 차단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 소정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2 클론 영상 또는 상기 대체 영상에 갈음하여 상기 제1 클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 방법.
KR1020120075675A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KR10121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75A KR101218294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75A KR101218294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294B1 true KR101218294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75A KR101218294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8781A1 (en) * 2013-05-30 2014-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20150050883A (ko) * 2013-11-01 201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6701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US9419923B2 (en) 2013-02-28 2016-08-16 Lg Uplus Corp.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KR20170064092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KR20180003598A (ko) * 2015-08-05 2018-01-09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생방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62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US20120066419A1 (en) 2010-09-13 2012-03-15 Kia Motors Corporation Terminal having content interwork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62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US20120066419A1 (en) 2010-09-13 2012-03-15 Kia Motors Corporation Terminal having content interwork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923B2 (en) 2013-02-28 2016-08-16 Lg Uplus Corp.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EP2808781A1 (en) * 2013-05-30 2014-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20150050883A (ko) * 2013-11-01 201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18B1 (ko) * 2013-11-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6701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2243778B1 (ko) * 2013-12-27 2021-04-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20180003598A (ko) * 2015-08-05 2018-01-09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생방송 방법 및 장치
KR102005660B1 (ko) * 2015-08-05 2019-07-30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생방송 방법 및 장치
KR20170064092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KR102418054B1 (ko) * 2015-11-30 2022-07-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1713B2 (en) Smart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237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427203B2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のアクセス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182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EP2499875B1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6702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6383109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端末、通信機器、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11665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EP2426969A1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security setting method thereof
JP2017507623A (ja) 設備のネットワーキ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KR1012182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CN111338536B (zh) 多屏电子设备的屏幕录制方法及装置、多屏电子设备、存储介质
US9483156B2 (en) Selectively broadcasting audio and video content
US98265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obile terminal
KR20160059456A (ko) 무선기기 리스트의 표시 방법과 장치, 무선기기,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그 브로드캐스팅방법
CN108848484B (zh) 设备共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194197A (zh) 交互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1012182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US20170041377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0587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US9219798B2 (en)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40072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6529595A (ja) 位置特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