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530B1 - 하의용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하의용 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530B1
KR101217530B1 KR1020110052633A KR20110052633A KR101217530B1 KR 101217530 B1 KR101217530 B1 KR 101217530B1 KR 1020110052633 A KR1020110052633 A KR 1020110052633A KR 20110052633 A KR20110052633 A KR 20110052633A KR 101217530 B1 KR101217530 B1 KR 10121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entilation
air supply
ai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791A (ko
Inventor
강웅석
Original Assignee
강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웅석 filed Critical 강웅석
Priority to KR102011005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53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하의용 통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는, 허리밴드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요성 송풍관과, 송풍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급기튜브와, 급기튜브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연장튜브와, 연장튜브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연장튜브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모듈을 포함하고, 송풍관의 하측에는 송풍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의용 통풍장치{VENTILATING DEVICE FOR PANTS}
본 발명은 하의용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의 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일상생활 중에도 땀을 분비하며, 기온이 높을 경우에는 체온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땀을 분비한다. 그런데, 피부에 타 물질이 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피부로부터 분비된 땀의 건조속도가 저하되어 땀에 포함된 수분이 의복 등에 잔류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또는 학습을 위해 장시간 앉아있거나 장시간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의자와 피부 또는 의복이 밀착된 상태가 상당시간 지속될 수 있으므로, 피부로부터 분비된 땀이 하의나 의자의 표면 등에 축적될 수 있다.
땀이 의복에 축적되는 경우, 피부에 장시간 습윤상태가 유지되므로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에 포함된 자극적인 성분들에 의해 가려움증 등이 발생되거나 땀띠와 같은 피부질환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땀의 증발에 의한 체온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체온이 부분적으로 상승하여 땀이 더 분비되는 악순환이 발생될 수 있고, 특히 남성의 경우에는 서혜부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낭습이 유발되거나 고환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생식력의 약화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풍기능을 부가한 의자 등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통풍기능을 갖는 의자 등은 의복의 표면에 공기가 공급되므로 효과적인 통풍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를 들어, 통기성이 낮은 소재로 제조된 의복을 착용한 경우에는 의복의 표면에 공기가 공급되더라도 피부와 의복 사이로는 공기가 거의 유입되지는 못하므로 통풍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통기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된 의복을 착용했더라도 의자에 앉은 자세일 때 하중이 가해지는 엉덩이 부분이나 피부가 접히게 되는 서혜부 등에서는 의복과 피부 사이의 통풍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의 외부의 공기가 하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하의와 피부 사이에 직접적인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하의본체 및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허리밴드부를 구비한 하의용 통풍장치로서, 상기 허리밴드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요성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급기튜브와,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튜브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관의 하측에는 상기 송풍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하의용 통풍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듈은, 일측에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과, 일측이 상기 프로펠러를 커버하며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부가 연결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1 연결구와, 상기 연장튜브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하의본체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주머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착용자의 일측 무릎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관은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송풍구는, 상기 송풍관의 상기 급기튜브의 일단부가 연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하의본체 및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허리밴드부를 구비한 하의용 통풍장치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통풍구가 형성된 통풍관 본체 및 상기 통풍관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관 본체를 상기 허리밴드부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통풍관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관은 상기 통풍관 본체가 상기 허리밴드부 내측에 고정되면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하의본체 외부의 공기 및 상기 하의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통풍관 본체의 하측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 연장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튜브는 그 타단부가 상기 통풍관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서혜부까지의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통풍관 본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하의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의본체 내부로 유동시키는 급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풍관 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모듈은,
일측에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과, 상기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리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모터 지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의용 통풍장치는, 상기 하의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혀리밴드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통풍내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풍내피는 직조된 다수의 소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소선 사이에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와 하의 사이에서 직접적인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땀의 축적으로 인한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피부질환이나 낭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하의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분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의 급기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의 통풍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C-C 선분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분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하의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하의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1)에는 송풍관(100), 급기튜브(121), 급기모듈(200) 및 연장튜브(241)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된 하의본체(10)는 일반적인 바지와 같다.
하의본체(10)는 도시되지 않은 착용자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이라는 것은 허벅지 상측으로부터 무릎을 거쳐 발목까지 이르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의본체(10)에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허리밴드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의본체(10)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주머니(13)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관(100)은 허리밴드부(11)의 내측에 결합된다. 이때 허리밴드부(11)는 착용자가 착의 및 탈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지퍼 및 단추 등이 장착되어 일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관(100)은 일측이 개방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개방된 일측이 허리밴드부(11)의 개방되는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관(100)은 가요성 재질로 제조되어 허리밴드부(11)의 변형에 따라 형상이 변화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착용자가 하의본체(10)를 용이하게 착의 또는 탈의하도록 할 수 있다. 송풍관(100)은 착용자가 하의본체(10)를 착의하였을 때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의본체(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관(100)에는 급기튜브(121)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고, 급기튜브(121)의 타단부는 주머니(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튜브(121)는 가요성 재질로 제조되어 착용자의 움직임에 간섭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급기모듈(200)에는 연장튜브(241)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연장튜브(241)의 일단부는 급기튜브(121)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급기모듈(200)은 연장튜브(241) 내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연장튜브(24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연장튜브(241)에 연결된 급기튜브(121)를 거쳐 송풍관(100) 내로 유입된다. 송풍관(1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하의본체(10) 내로 유입되는데, 송풍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관(100)에는 송풍관 본체(110)가 포함되고, 송풍관 본체(110)의 하측에는 송풍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구(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관 본체(110)의 하측에 송풍관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의 A-A 선분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풍관 본체(110) 내에는 중공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관(도 2의 100)은 가요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의 동작을 행하여 송풍관 본체(110)가 굽혀지거나 송풍관 본체(110)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중공부(115)가 협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관 본체(110) 내의 중공부(11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대(113)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도 1의 1)에는 제1 연결구(122) 및 제2 연결구(2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22) 및 제2 연결구(242)는 기밀(airtight)을 유지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접속구로서, 도시되지 않은 가스 배관이나 공압장치의 압축공기 배관 등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제1 연결구(122) 및 제2 연결구(242) 자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구(122)는 급기튜브(121)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242)는 연장튜브(241)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모듈(200)에 의해 연장튜브(241) 내로 유입된 공기는 급기호스(121)를 거쳐 송풍관 본체(110) 내의 중공부(115)로 유입되며, 송풍구(11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송풍구(111)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하의본체(10) 내로 유입되므로, 착용자의 피부와 하의본체(10)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송풍구(111) 중 송풍관 본체(110)에 급기튜브(121)가 연결된 부분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는 다량의 공기가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는 거리에 따른 압력손실에 의해 소량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송풍구(111)들 사이의 공기 배출량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송풍구(111)는 급기튜브(121)와 먼 위치에 형성된 것일수록 그 직경이 증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송풍구(111)를 통한 공기의 배출량이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의 급기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도 1의 1)의 급기모듈(200)에는 모터(211), 모터축(212), 전원단자(213), 프로펠러(214), 전원유닛(221), 급전단자(223) 및 커버(231)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211)의 일측에는 모터축(212)이 설치되고, 모터축(212)의 단부에는 프로펠러(214)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211)에 전력이 공급되면 모터축(212)에 결합된 프로펠러(214)가 회전될 수 있다. 모터(211)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단자(213)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유닛(2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211)에 직접 결합되지는 않고 도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원유닛(221)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단자(2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단자(213) 및 급전단자(223)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면 모터(211)는 전원유닛(22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원유닛(221)으로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및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가정용 전원이나 차량의 시가 라이터 소켓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압기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커버(231)의 일측은 프로펠러(214)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모터(211)에 결합될 수 있고, 커버(231)의 타측에는 연장튜브(241)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튜브(241) 및 제2 연결구(24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23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234)가 형성될 수 있는데, 흡기구(234)는 커버(231)가 모터(211)에 결합되었을 때 프로펠러(214)가 회전하면 커버(231)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기 용이한 위치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유닛(221)에 의해 모터(211)로 전력이 공급되어 프로펠러(214)가 회전되면, 커버(231) 주변의 공기는 흡기구(234)로 흡입된 후 연장튜브(241)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튜브(241)로 유입된 공기는 급기튜브(도 2의 121) 및 송풍관 본체(110)를 거쳐 송풍구(도 2의 111)를 통하여 하의본체(도 1의 1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도 1의 1)는 하의본체(도 1의 10)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하의본체(도 1의 10)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하의본체(도 1의 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의본체(도 1의 10)가 통기성이 낮은 소재로 제조된 경우에는 하의 본체(도 1의 10)의 하단부로 배출될 수 있고, 하의본체(도 1의 10)가 통기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된 경우에는 하의본체(도 1의 10) 내에서 분산되면서 하의본체(도 1의 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의본체(도 1의 10) 내에는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분비된 땀에 포함된 수분이 원활하게 증발될 수 있고, 하의본체(도 1의 10) 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의 통풍내피가 하의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도 1의 1)에는 통풍내피(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풍내피(300)에는 내피본체(310)가 포함될 수 있는데, 내피본체(310)는 하의본체(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내피본체(310)는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서혜부를 포함하여 허리밴드부(11) 하측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의 B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C-C 선분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피본체(도 5의 310)에는 직조된 다수의 소선(311)이 포함될 수 있다. 소선(311)은 통기구(313)가 형성되도록 직조되어 내피본체(도 5의 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소선(311)의 직경(d)이 매우 가늘거나 소선(311)들 사이의 피치(p)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하의본체(도 5의 10)의 내측면 및 착용자의 피부가 통기구(313)를 통하여 직접 접촉될 수 있으므로, 소선(311)은 그 직경(d)이 지나치게 가늘지 않은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선(311)들 사이의 피치(p)는 소선(311)의 직경(d)에 비하여 3 내지 5배 정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본체(도 5의 310)는,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의 동작을 하여 하의본체(도 5의 10)의 내측면이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가압될 경우에, 다수의 통기구(313)가 형성된 내피본체(도 5의 310)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송풍구(도 2의 111)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착용자의 피부 및 하의본체(도 5의 10) 사이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풍내피(도 5의 300)는 착용자가 장시간 업무 또는 학습을 하거나 장거리 운전을 할 경우에, 하의본체(도 5의 10)와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이나 서혜부에 땀이 축적되거나 부분적인 온도 상승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2)의 급기튜브(421)의 타단부는 하의본체(10)의 일측 무릎부(15)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급기튜브(421)의 타단에는 제1 연결구(42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무릎부(15)는 하의본체(10) 착용자의 무릅 부분을 감싸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2)는 장거리 운전을 하는 경우와 같이 착용자가 장시간 앉아있게 되는 경우 등을 감안한 것으로, 급기모듈(도 4의 200)의 전원유닛(221)을 장시간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유닛(221)을 차량의 시가 라이터 소켓 등에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급기튜브(도 1의 121 참조)가 운전을 위한 조작을 행할 때에 착용자의 손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릎부(15)에 배치한 것이다.
또한, 급기튜브(421)가 착용자의 다리 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운전석이 앉은 상태일 때 급기튜브(421)가 착용자의 몸 및 다른 물체와의 사이에서 가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급기튜브(421)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고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모듈(도 4의 200 참조)에 사용되는 모터(도 4의 211 참조)로서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착신 신호용 진동모터와 같은 초소형 모터를 적용하고 프로펠러(도 4의 214 참조) 또한 이에 상응하는 소초형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급기모듈(도 4의 200 참조)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화 된 급기모듈은 착용자의 허리밴드부(도 1의 11 참조) 등에 클립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 중에도 급기모듈(도 4의 200 참조)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대용량의 급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급기모듈(도 4의 200 참조)에 적절한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도 4의 214 참조) 및 이를 회전시키기에 적절한 규모의 모터(도 4의 211 참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용량의 전력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유닛(도 4의 221 참조)을 가정용 전원이나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3)에는 통풍관(500)이 포함될 수 있고, 연장튜브(600) 및 급기모듈(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풍관(500)에는 통풍관 본체(510) 및 고정클립(511)이 포함될 수 있다.
통풍관 본체(5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통풍구(515)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클립(511)은 통풍관 본체(5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통풍관 본체(510)의 하측에는 돌기부(513)가 형성될 수 있고, 통풍관 본체(5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17)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기부(513) 및 암나사부(517)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연장튜브(600)는 가요성 재질로 제조된 연장튜브 본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튜브 본체(610)에는 중공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튜브(600)는 통풍관 본체(510)의 하측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통풍관 본체(510)의 하측 부분 중 돌기부(513)가 형성된 부분이 연장튜브 본체(610)의 일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장튜브 본체(610) 일단부의 직경은 돌기부(513) 보다 다소 짧게 형성되어, 연장튜브 본체(610)의 일측에 삽입된 통풍관 본체(510)의 하측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통풍관 본체(510) 및 연장튜브(600)가 결합되면, 통풍구(515) 및 중공부(615)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가 하의에 설치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3)가 하의본체(10)의 허리밴드부(1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하의본체(10) 및 허리밴드부(1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의용 통풍장치(3)의 통풍관 본체(도 9의 510)는 고정클립(511)에 의해 허리밴드부(11) 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클립(511)은, 통풍관 본체(도 9의 510)가 허리밴드부(11) 내측에 고정된 경우에, 통풍구(515)를 통하여 하의본체(10) 외부의 공기 및 하의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상통될 수 있는 위치에 통풍관 본체(도 9의 510)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관(500)에는 연장튜브(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풍관(500) 및 연장튜브(600)가 결합되면 통풍구(515) 및 중공부(615)가 상통될 수 있으므로, 통풍구(515) 및 중공부(615)를 통하여 하의본체(10)의 내외의 공기가 상통될 수 있다.
연장튜브(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튜브(600)는, 통풍관(500)과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착용자의 서혜부에 이르는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3)는 하의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착용자의 서혜부로 공급되거나, 하의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하의본체(10) 내에 땀이나 체온이 축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하의본체(10) 외부의 공기를 통풍구(515)를 통하여 공급하는 급기모듈(700)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급기모듈(700)에는 모터(711), 모터축(712), 전원유닛(721), 프로펠러(714) 및 모터 지지관(730)이 포함될 수 있고, 모터 지지관(730)에는 지지관 본체(731)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711), 모터축(712), 전원유닛(721) 및 프로펠러(714)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터(211), 모터축(212), 전원유닛(221) 및 프로펠러(214)와 각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 지지관(730)의 지지관 본체(731) 외주면에는 수나사부(737)가 형성될 수 있는데, 수나사부(737)는 통풍관 본체(5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517)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도 9의 Ⅹ-Ⅹ 선분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관 본체(731) 내주면에는 복수의 지지리브(73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7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 본체(73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지지리브(733)는 지지관 본체(7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733)의 수는 점선으로 도시된 모터(7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관 본체(731) 및 모터(711) 사이에는 지지리브(733)에 의하여 통풍공간(735)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모터(711), 모터축(712), 전원유닛(721) 및 프로펠러(714)는 지지관 본체(731) 내에 배치되고, 지지리브(733)에 의해 모터(711)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711), 전원유닛(721) 및 모터 지지관(730)은 일체화 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지지관(730)내에 고정된 모터(711)가 전원유닛(72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프로펠러(714)를 회전시키면, 통풍공간(도 10의 735)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모터 지지관(730)은 통풍관 본체(510)에 형성된 통풍구(515) 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지지관 본체(731)의 수나사부(737) 및 통풍관 본체(510)의 암나사부(517)를 나사결합 되도록 하면 모터 지지관(730) 및 통풍관(50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의본체(도 11의 10)를 착용한 착용자가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하의본체(10) 내로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급기모듈(700)을 통풍관(500)에 결합시킨 후 모터(711)가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의용 통풍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2: 하의용 통풍장치 10: 하의본체
11: 허리밴드부 13: 주머니
15: 무릎부 100: 송풍관
110: 송풍관 본체 111: 송풍구
121: 급기튜브 122: 제1 연결구
200, 700: 급기모듈 211, 711: 모터
214, 714: 프로펠러 221, 721: 전원유닛
231: 커버 234: 흡기구
241, 600: 연장튜브 242: 제2 연결구
300: 통풍내피 310: 내피본체
311: 소선 313: 통기구
500: 통풍관 511: 고정클립

Claims (13)

  1. 착용자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하의본체 및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허리밴드부를 구비한 하의용 통풍장치로서,
    상기 허리밴드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요성 송풍관;
    상기 송풍관에 일단부가 연결된 급기튜브;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연장튜브; 및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튜브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관의 하측에는 상기 송풍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모듈은,
    일측에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및
    일측이 상기 프로펠러를 커버하며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부가 연결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1 연결구; 및
    상기 연장튜브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본체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주머니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착용자의 일측 무릎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풍구는, 상기 송풍관의 상기 급기튜브의 일단부가 연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8. 착용자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하의본체 및 상기 하의본체 중 상기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허리밴드부를 구비한 하의용 통풍장치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통풍구가 형성된 통풍관 본체; 및
    상기 통풍관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관 본체를 상기 허리밴드부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통풍관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관은 상기 통풍관 본체가 상기 허리밴드부 내측에 고정되면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하의본체 외부의 공기 및 상기 하의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 본체의 하측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가요성 연장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튜브는 그 타단부가 상기 통풍관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서혜부까지의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 본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하의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의본체 내부로 유동시키는 급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 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모듈은,
    일측에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리브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모터 지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혀리밴드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다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감싸는 통풍내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내피는 직조된 다수의 소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소선 사이에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통풍장치.
KR1020110052633A 2011-06-01 2011-06-01 하의용 통풍장치 KR10121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33A KR101217530B1 (ko) 2011-06-01 2011-06-01 하의용 통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33A KR101217530B1 (ko) 2011-06-01 2011-06-01 하의용 통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791A KR20120133791A (ko) 2012-12-11
KR101217530B1 true KR101217530B1 (ko) 2013-01-02

Family

ID=4751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33A KR101217530B1 (ko) 2011-06-01 2011-06-01 하의용 통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5081B1 (ja) * 2018-12-19 2019-10-23 株式会社アンテック 空調服用ダクト
US11896519B2 (en) 2020-03-12 2024-02-13 David R. Riedel Assembly for gluteal cleft moisture re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97B1 (ko) * 2016-09-07 2017-03-22 고재정 휴대용 음낭 환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302A (ja) * 1993-06-07 1994-12-20 Akira Murase 空調用帯およびそれを備えた服
KR20060065752A (ko) * 2004-12-10 2006-06-14 허은총 개인별 휴대가 가능한 에어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302A (ja) * 1993-06-07 1994-12-20 Akira Murase 空調用帯およびそれを備えた服
KR20060065752A (ko) * 2004-12-10 2006-06-14 허은총 개인별 휴대가 가능한 에어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5081B1 (ja) * 2018-12-19 2019-10-23 株式会社アンテック 空調服用ダクト
US11896519B2 (en) 2020-03-12 2024-02-13 David R. Riedel Assembly for gluteal cleft moisture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791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KR101217530B1 (ko) 하의용 통풍장치
CN110290716B (zh) 空调衣服的衣服主体以及空调衣服
JP6951778B2 (ja) 機能性補助パンティー
JP2018188756A (ja) 着用型送風具
JP3215448U (ja) 外気送風装置
US1095089A (en) Protective garment.
KR100738504B1 (ko) 남성용 팬티
JP7239915B2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CN106108170A (zh) 一种改善恶劣工况环境下工作条件的防护系统
KR20210054478A (ko) 쿨링 팬티
JP6936491B2 (ja) 衣服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衣服
CN207580122U (zh) 一种充气泳衣
US20020069552A1 (en) Footwear with ventilation system
CN111565589A (zh) 主动呼吸系统
CN212038651U (zh) 充气式连体正压头罩
JP2018178268A (ja) 冷却衣服
JP3217144U (ja) 冷却衣服
JP3243587U (ja) ファン付きウェアのウェア本体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KR100498113B1 (ko) 팬티용 신체습기제거장치
CN207978982U (zh) 一种新型内衣
JP2018178342A (ja) 冷却衣服
CN219460047U (zh) 一种宠物服装
US20230250979A1 (en) Air cooler for body
JP3241405U (ja) ファン付きウェアのウェア本体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