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445B1 -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445B1
KR101217445B1 KR1020100110199A KR20100110199A KR101217445B1 KR 101217445 B1 KR101217445 B1 KR 101217445B1 KR 1020100110199 A KR1020100110199 A KR 1020100110199A KR 20100110199 A KR20100110199 A KR 20100110199A KR 101217445 B1 KR101217445 B1 KR 10121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processing liquid
permanent magn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820A (ko
Inventor
홍순걸
Original Assignee
홍순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걸 filed Critical 홍순걸
Priority to KR102010011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4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B01D29/4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mounted transversely on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액이 순환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가공액에 가장 많이 함유된 이물질인 금속성분을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줌으로써, 순환장치의 필터 수명을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클리닝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를 사용한 다음 쉽게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구비된 용기; 일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용기에 클램프로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판; 용기와 마감판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 및 마감판과 맞닿도록 끼워져서 각 영구자석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클리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WORKING WATER FILTER PROTECTION APPARATUS FOR ELELCTRIC DISCHARGE MACHINGING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방전가공후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가공액이 가공액순환장치의 필터에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필터의 막힘을 방지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가공기는 방전현상을 인위적으로 설정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공방법으로서 스파크 방전으로 인한 금속의 침식 현상을 이용하는 가공기이다.
특히, 방전가공기에는 방전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에서 가공액이 이용한다. 가공액으로는 물이 많이 사용되는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과 함께 냉각기능도 함께 갖는다. 그리고, 가공액은 방전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순환장치에 의해 방전가공기와 가공액순환장치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이때, 가공액은 방전가공시에 공작물에 접촉하기 때문에 방전가공으로 발생된 여러 가지 이물질을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들은 순환장치를 통해 순환되는 동안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전가공기는 가공액에 금속성분이 주를 이루는 이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순환장치에 구비되는 필터가 단시간에 막혀 이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2)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크게 제작해야 하는데, 이는 순환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어 장착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3) 필터의 수명이 짧아 가공액을 순환시켜 주는 순환장치의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공액이 순환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가공액에 가장 많이 함유된 이물질인 금속성분을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줌으로써, 순환장치의 필터 수명을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자석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클리닝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를 사용한 다음 쉽게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된 용기; 일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용기에 클램프로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판; 용기와 마감판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 및 마감판과 맞닿도록 끼워져서 각 영구자석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클리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입구부는 용기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위치에 이 중심축과 수직으로 한쌍이 형성되고;, 출구부는 입구부를 통과하는 가공액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한쌍이 형성되되, 한쌍의 입구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구자석은 마감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씰링부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며, 바깥쪽과 안쪽에는 각각 날개부가 돌출형성되며, 용기와 마감판이 맞닿는 면에는 씰링부가 끼움설치되도록 씰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클리닝수단은, 각 영구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닝구멍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나사체결 방식이 가능한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가공액과 맞닿는 하면의 테두리에는 사면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클리닝플레이트; 선단에 체결구멍에 나사체결방식으로 탈장착하여 사용되는 손잡이부; 및 각 영구자석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석삽입홈이 형성된 변형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가공액에 함유된 이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금속 성분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가공액 순환장치의 필터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 필터를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용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높이차와 엇갈린 배치에 의하여 가공액이 용기 내에서 와류와 순환 그리고 난류을 일으켜 이물질이 영구자석에의 부착력을 높여 필터링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3)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금속입자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4) 가공액 순환장치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뿐만 아니라 이물질로 인하여 가공액 순환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5) 가공액을 필터링함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액필터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액필터 보호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영구자석을 클리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액필터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액필터 보호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영구자석을 클리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P"는 영구자석에 부착된 이물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는, 가공액을 순환시켜 주기 위한 용기(100), 영구자석(220)을 이용한 필터링기능과 함께 이 용기(100)를 마감시켜 주는 마감판(200), 용기(100)와 마감판(200) 사이로 가공액이 누설되지 않게 하기 위한 씰링부(300), 그리고 이물질이 끼인 영구자석(220)을 청소해 주기 위한 클리닝수단(400)을 포함한다.
이하, 이들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00)는 방전가공기로부터 일정한 용량의 가공액을 공급받아 필터링 후 순환장치로 공급해 주게 된다.
이러한 용기(100)에는 가공액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입구부(110)와 출구부(120)가 형성된다. 특히,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는 한쌍씩 형성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가공액의 입출입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입구부(110)와 출구부(120)는 용기(100)의 내부 안쪽면과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함으로써, 가공액이 용기(100) 내에서 최대한 크게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게 설치한다. 또한, 한쌍의 입구부(110)는 용기(1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하고, 출구부(120)는 이 한쌍의 입구부(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입구부(110)를 통해 유입된 가공액이 용기(100) 내에서 와류를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00)에는 상면에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130)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130)에는 마감판(200)에 의해 밀폐유지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씰링홈(131)이 형성된다.
마감판(200)은 상기 용기(100)를 밀폐시켜 주기 위한 일종의 원형플레이트이다. 이러한 마감판(200)에는 상면에 분리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210)가 구비된다.
특히, 마감판(200)은 하면에 복수의 영구자석(220)이 구비된다. 이때, 이들 영구자석(220)은 마감판(200)의 중앙을 중심으로 가상의 원호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구자석(220)을 6개를 하나의 원호 상에 배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많은 갯수를 여려 원호 상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영구자석(220)은 후술할 클리닝수단(400)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감판(200)의 중앙 부분이 아닌 곳에 설치한다.
또한, 마감판(200)에는 상기 씰링홈(131)과 마주보는 위치에 또 다른 씰링홈(230)이 형성된다. 이들 씰링홈(131,230)에는 후술하게 될 씰링부(300)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마감판(200)은 씰링부(300)를 매개로 상기 플랜지(130)의 상부에 얹혀지게 하여 클램프(240)로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의 클램프(240)는 플랜지를 갖는 파이프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클램프를 이용한다.
씰링부(300)는 단면이 둥근 오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각각 안쪽과 바깥쪽으로 날개부(310)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씰링부(300)는 단면이 둥근 부분이 상기 씰링홈(131,230)에 끼워져서 밀폐효과를 줌과 동시에, 양측의 날개부(310)가 각각 용기(100)와 플랜지(130) 사이에서 밀폐작용 효과를 더욱 높여주게 된다.
클리닝수단(400)은 영구자석(200)의 표면에서 이물질(P)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플레이트(410), 마감판(200)으로부터 이 클리닝플레이트(410)를 쉽게 빼낼 수 있게 해 주는 손잡이부(420), 그리고 영구자석(220)이 휨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클리닝플레이트(410)를 쉽게 빼내거나 끼울 수 있게 해 주는 변형방지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리닝플레이트(410)는 용기(10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플레이트로서, 상면에는 복수의 클리닝구멍(411)이 형성된다. 이때 이들 클리닝구멍(411)은 상기 각 영구자석(220)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하나씩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클리닝플레이트(410)에는 하면의 중앙에 체결구멍(412)이 형성된다. 이 체결구멍(412)에는 손잡이부(420)가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탈장착할 수 있도록 탭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클리닝플레이트(4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여 영구자석(220)이 파손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리닝플레이트(410)는 가공액과 실질적으로 맞닿는 하면의 전테 테두리에 사면(4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면(413)은 용기(100)에 가공액이 채워짐에 따라 가공액의 압력에 의하여 클리닝플레이트(410)를 가압하여 마감판(200)과 맞닿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클리닝플레이트(410)는 클리닝구멍(411)에 영구자석(220)이 끼워지게 하여 마감판(200)과 밀착된 상태가 되게 하여 사용한다. 이때, 클리닝플레이트(410)는 사면(413)이 용기(100)의 안쪽을 향하도록 영구자석(220)에 끼움 설치한다.
손잡이부(420)는 상기 마감판(200)과 밀착되게 설치된 클리닝플레이트(410)를 쉽게 잡아당겨 영구자석(220)으로부터 이물질(P)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손잡이부(420)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구멍(412)에 나사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부(421)가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부(420)의 전체 길이는 영구자석(220)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잡이부(420)를 영구자석(220)과 나란하게 하여 클리닝플레이트(410)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변형방지판(430)은 클리닝플레이트(410)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각 영구자석(220)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자석삽입홈(431)이 형성된다. 이 자석삽입홈(431)은 변형방지판(430)을 관통하지 않게 형성하여 영구자석(220)이 끼워질 수 있는 깊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클리닝수단(400)은 클리닝플레이트(410)를 영구자석(220)에 끼워 마감판(200)과 밀착되게 설치한 다음, 영구자석(220)의 단부에 자석삽입홈(431)를 끼워 변형방지판(430)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클리닝수단(400)의 이물질 제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
먼저, 클리닝수단(400)의 장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감판(200)을 용기(100)에 장착하기 전에 수행된다. 이때, 클리닝수단(400)은 클리닝플레이트(410)와 변형방지판(430)만 장착된다.
즉, 클리닝플레이트(410)는 각 클리닝구멍(411)을 통해 영구자석(220)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클리닝플레이트(410)는 마감판(200)과 맞닿을 때까지 끼워넣는다. 만일, 클리닝플레이트(410)가 마감판(200)과 맞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클리닝플레이트(410)와 사면(413)에 가해지게 되어 결국 클리닝플레이트(410)는 마감판(200)과 맞닿게 설치된다.
그리고, 변형방지판(430)은 각 자석삽입홈(431)에 영구자석(220)의 단부가 끼워지게 한다. 이는 용기(100) 내에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영구자석(220)이 휘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마감판(200)에 클리닝수단(400)이 장착되면, 이 마감판(200)을 용기(100)에 덮어 클램프(240)로 밀봉시킨다. 이때, 용기(100)와 마감판(200) 사이에는 씰링부(300)가 끼워져서 씰링작용을 한다.
한편, 이물질(P)의 제거를 위해서는, 먼저 용기(100)로부터 마감판(200)을 분리시킨다. 이때의 분리는 클램프(240)를 벗겨냄에 따라 쉽게 분리되게 된다.
먼저, 용기(100)로부터 마감판(200)을 빼내게 되면, 도 4a와 같이, 영구자석(220)의 양단부에 각각 클리닝플레이트(410)와 변형방지판(430)이 장착된 상태로 용기(100)로부터 빠져나온다. 그 다음으로, 변형방지판(43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변형방지판(430)을 잡아 당김에 따라 쉽게 제거된다.
이어, 도 4b와 같이, 손잡이부(420)를 클리닝플레이트(410)에 고정시킨다. 이때의 고정은 나사부(421)를 체결구멍(412)에 맞춰 손잡이부(420)를 돌림에 따라 쉽게 나사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손잡이부(420)를 잡아당김에 따라 클리닝플레이트(410)가 영구자석(220)의 안내를 받아 마감판(200)과 이격되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클리닝플레이트(410)는 영구자석(220)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P)을 긁어내면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처럼 클리닝플레이트(410)가 영구자석(22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이물질(P)은 영구자석(220)의 단부에 모이게 되는데 이는 커터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용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는 방전가공기용 가공액 순환장치의 필터 앞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공액에 다량의 이물질(P)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액 순환장치로 가공액이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P)을 일차적으로 걸러줌으로써, 가공액 순환장치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극성을 이용하여 가공액에 함유된 이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이 가공액을 가공액 순환장치에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순환장치의 필터 수명을 연장시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순환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용기 110 : 입구부
120 : 출구부 130 : 플랜지
131, 230 : 씰링홈 200 : 마감판
210 : 손잡이 220 : 영구자석
240 : 클램프 300 : 씰링부
310 : 날개부 400 : 클리닝수단
410 : 클리닝플레이트 411 : 클리닝구멍
412 : 체결구멍 420 : 손잡이부
421 : 나사부

Claims (5)

  1. 삭제
  2. 입구부(110)와 출구부(120)가 형성된 용기(100); 일면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복수의 영구자석(220)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100)에 클램프(240)로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판(200); 상기 용기(100)와 상기 마감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300); 및 상기 마감판(200)과 맞닿도록 끼워져서 상기 각 영구자석(220)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클리닝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110)는 상기 용기(100)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위치에 중심축과 수직으로 한쌍이 형성되며,
    상기 출구부(120)는 상기 입구부(110)를 통과하는 가공액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한쌍이 형성되되, 상기 한쌍의 입구부(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220)은 마감판(2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300)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며, 바깥쪽과 안쪽에는 각각 날개부(31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용기(100)와 마감판(200)이 맞닿는 면에는 상기 씰링부(300)가 끼움설치되도록 씰링홈(131,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400)은,
    상기 각 영구자석(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닝구멍(411)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나사체결 방식이 가능한 체결구멍(412)이 형성되며, 가공액과 맞닿는 하면의 테두리에는 사면(413)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클리닝플레이트(410);
    선단에 상기 체결구멍(412)에 나사체결방식으로 탈장착하여 사용되는 손잡이부(420); 및
    상기 각 영구자석(22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석삽입홈(431)이 형성된 변형방지판(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KR1020100110199A 2010-11-08 2010-11-08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121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99A KR101217445B1 (ko) 2010-11-08 2010-11-08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99A KR101217445B1 (ko) 2010-11-08 2010-11-08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20A KR20120048820A (ko) 2012-05-16
KR101217445B1 true KR101217445B1 (ko) 2013-01-02

Family

ID=4626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199A KR101217445B1 (ko) 2010-11-08 2010-11-08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805B1 (ko) * 2021-02-02 2021-09-23 형성산업(주) 청소기능을 구비한 철분제거 장치
KR20220092001A (ko) 2020-12-24 2022-07-01 박광현 쉽게 재생하여 사용하는 가공액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5787B (zh) * 2018-08-27 2021-04-09 佛山市顺德区永创翔亿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纯化压敏胶水的装置及系统
KR102409066B1 (ko) * 2020-03-13 2022-06-16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239A (en) * 1991-06-17 1993-02-23 Industrial Magnetics, Inc. Tramp metal separation device
KR100193032B1 (ko) * 1994-10-24 1999-06-15 이와나미 기요히사 위생배관용 개스킷 및 그 제작방법
KR20010110902A (ko) * 2000-06-09 2001-12-15 양병곤 금속이물질 제거장치용 금속편 제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239A (en) * 1991-06-17 1993-02-23 Industrial Magnetics, Inc. Tramp metal separation device
KR100193032B1 (ko) * 1994-10-24 1999-06-15 이와나미 기요히사 위생배관용 개스킷 및 그 제작방법
KR20010110902A (ko) * 2000-06-09 2001-12-15 양병곤 금속이물질 제거장치용 금속편 제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01A (ko) 2020-12-24 2022-07-01 박광현 쉽게 재생하여 사용하는 가공액 필터
KR102297805B1 (ko) * 2021-02-02 2021-09-23 형성산업(주) 청소기능을 구비한 철분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20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445B1 (ko) 방전가공기용 가공액필터 보호장치 및 그 이용방법
EP2241375B1 (en) Magnet separator
US3386588A (en) Coolant filter
JP7162348B2 (ja) 磁気フィルタ装置
KR20090057429A (ko) 더티액 처리 장치
CN203498138U (zh) 平行多级电化学水处理设备
CN103871715A (zh) 变压器油循环净化器
KR200489987Y1 (ko) 진공을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 회수 장치
CN203291610U (zh) 外进外出式精密过滤污水处理机
CN204365629U (zh) 用于铰刀的铁屑清洗设备
CN215983251U (zh) 一种保温锅炉水循环过滤再利用系统
CN105597398A (zh) 一种污水处理设备的颗粒过滤处理装置
CN105521655A (zh) 分离机进料沉淀斗的双滤板结构
KR20150116060A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JP2017000908A (ja) 縦型濾過濃縮装置
CN210186585U (zh) 一种石化油泥清洗过滤系统
CN210385513U (zh) 一种用于页岩气返排液处理的过滤组件
CN210394068U (zh) 一种金属切割液加工过滤装置
CN210645455U (zh) 一种数控加工中心用油水分离装置
JP2005040936A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CN102451586B (zh) 磁性过滤器
KR101303993B1 (ko) 여과스크린이 구비된 중공사막 여과장치
CN211536773U (zh) 一种车床冷却液废液过滤装置
CN205586645U (zh) 一种地沟油处理装置
CN111056684B (zh) 一种电火花穿孔机的介电液过滤分离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