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387B1 -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 Google Patents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387B1
KR101217387B1 KR1020110011007A KR20110011007A KR101217387B1 KR 101217387 B1 KR101217387 B1 KR 101217387B1 KR 1020110011007 A KR1020110011007 A KR 1020110011007A KR 20110011007 A KR20110011007 A KR 20110011007A KR 101217387 B1 KR101217387 B1 KR 10121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thyme
island thyme
island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530A (ko
Inventor
강명숙
Original Assignee
강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숙 filed Critical 강명숙
Priority to KR102011001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3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를 제외하고 채취된 섬백리향을 수세를 거쳐 30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영하 30~50℃ 범위에서 급속냉동하는 동결단계(S10); 상기 동결된 섬백리향을 진공 상태에서 15~25시간동안 승화건조하는 건조단계(S20); 상기 건조된 섬백리향 원료를 100~400 메쉬 내외의 분말 형태로 분쇄하고, 상기 분말에 실리콘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입자상에 1~10㎛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분쇄단계(S30); 및 상기 분쇄된 섬백리향 원료 5±3중량%를 비누소지 95±3중량%와 혼합하되, 상기 비누소지는 베이스에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야자유, 알로에를 선택적으로 미량을 더 첨가하여 비누를 생성하는 비누화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강한 꽃향기를 지닌 국내 자생식물을 채취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사용 과정에서 향 발산의 기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Method for Producing Soap using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and the Soap thereby}
본 발명은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꽃향기를 지닌 국내 자생식물을 채취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사용 과정에서 향 발산의 기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 비누의 경우 향과 색을 만들어 내기 위해 인공 색소, 합성 향료를 사용하지만 천연 비누의 경우 천연식물성 색소와 함께 식물성 오일이나 에센셜 오일의 향을 발산하므로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한다. 이외에 천연 비누 속에 각종 허브, 아로마 등의 기능성 재료를 부여하면 피부질환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반 비누에 비하여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천연 비누만을 취급하는 전문점들을 통한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다.
일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65450호는 물과 혼합되어 세정용 거품을 제공하는 천연팜유 90wt% 내지 97wt%와, 상기 천연팜유에 균등하게 혼합되어 상기 거품과 함께 천연 허브향을 제공하는 0.05mm 이하의 허브파우더 9.5wt% 내지 2.5wt%와, 상기 천연팜유를 고체화시키기 위한 고형제 0.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향기비누를 제안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향기를 유발시켜 후각의 거부감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하며 까다로운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비누의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 천연의 허브 재료 자체가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향기를 지속하는데 있어 한계성을 보인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8843호는 비누 내부에 설치할 캡슐을 만들고 그곳에 딸기(식물의 꽃, 열매, 잎)의 모조품 또는 사진을 내장시킨 다음 이것을 비누 내부에 설치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유지로 비누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는 내장된 식물의 향기와 색을 비누에서 발산하도록 하여 비누의 주기능에 정신적인 안정과 즐거움을 더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그다지 원활한 향의 발산을 기대하기 곤란하거나 향이 단기간에 소멸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65450호 “천연 향기비누 및 그 제조방법”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8843호 “향내음 자연비누”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한 꽃향기를 지닌 국내 자생식물을 채취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사용과정에서 향 발산의 기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뿌리를 제외하고 채취된 섬백리향을 수세를 거쳐 30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영하 30~50℃ 범위에서 급속냉동하는 동결단계; 상기 동결된 섬백리향을 진공 상태에서 15~25시간동안 승화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섬백리향 원료를 100~400 메쉬 내외의 분말 형태로 분쇄하고, 상기 분말에 실리콘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입자상에 1~10㎛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분쇄단계; 및 상기 분쇄된 섬백리향 원료 5±3중량%를 비누소지 95±3중량%와 혼합하되, 상기 비누소지는 베이스에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야자유, 알로에를 선택적으로 미량을 더 첨가하여 비누를 생성하는 비누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한 꽃향기를 지닌 국내 자생식물을 채취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사용 과정에서 향 발산의 기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단계 도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제조과정 도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섬백리향(일명 울릉백리향 또는 울릉국화)은 들국화의 한 종류인 여러해살이풀로 키가 작고 밑 둥에서 가지를 많이 치며 잎은 봄에 돋아 가을에 떨어지고 꽃은 9~10월에 핀다. 그 희귀성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꽃향기가 백 리를 갈 만큼 매우 강하다.
우선, 본 발명은 채취된 섬백리향을 영하 30~50℃ 범위에서 급속 냉동하는 동결단계(S10)을 거친다. 섬백리향의 은은하고 청명한 느낌을 주는 티몰(tymol) 성분을 최대로 보존하기 위해 6~9월에 채취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만일 양산에 적절한 양으로 확보되지 않는 경우 유사종인 백리향을 채취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채취된 섬백리향을 간단히 수세한 후에 영하 30~50℃ 범위에서 급속냉동하면 티몰을 비롯한 P 시멘피넨(P-Cymene Pinene), 리날롤(Linalool) 등의 주요 성분의 손실이 최소화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동결단계(S10)는 뿌리를 제외하고 채취된 섬백리향을 수세를 거쳐 30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채취한지 24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급냉으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만일 섬백리향의 채취량이 많은 경우에는 초과분을 그늘진 곳에서 말린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결된 섬백리향을 진공 상태에서 15~25시간동안 승화 건조하는 건조단계(S20)를 거친다. 본 단계는 일종의 동결건조 과정으로서 부분압을 낮춤으로써 수분을 직접 증기화하는 승화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15~25시간의 공정시간은 특정의 진공도(예컨대 6 mbar 또는 4.6 Torr)를 기준으로 하며, 생산량의 증대가 필요한 경우 진공압을 더욱 낮추어 공정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조된 섬백리향 원료를 100~400 메쉬 내외의 분말 형태로 분쇄하는 분쇄단계(S30)를 거친다. 섬백리향 원료에 백리향 원료를 비롯한 다른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배합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배합한 후 1, 2, 3차 분쇄기를 이용하여 배합 물질을 미세 분말화한다. 분쇄된 섬백리향 분말의 입자가 너무 크면 비누사용 시 이물감을 주고, 너무 작으면 주요 성분의 변질이 초래되면서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도 크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분쇄단계(S30)는 미분쇄된 분말에 실리콘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입자상에 1~10㎛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리콘으로 코팅하면 비누사용 시 내부에 보존된 향기가 일시적으로 인출되어 향기 발산력을 증대시킨다. 코팅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향기의 용출이 원활하지 않고, 너무 얇으면 향기의 장기 보존성이 약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조된 섬백리향 원료를 상기한 분말대신 액상정유(植物精油, 기름) 상태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섬백리향으로부터 식물정유를 추출하기 위한 수증기 증류장치에서는 그 가동시간을 약 40분 이내로 제한하여 실시한다. 수증기 증류추출 방식으로 얻어진 식물정유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얄의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식물정유에 혼합하여 약 24-36시간 가량을 냉장고에 밀봉하여 보관한다. 24시간이 경과하면 식물정유를 여과지 등의 필터로 거른 다음,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순수한 식물정유(섬백리향의 액상정유)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 또는 액상정유 상태의 섬백리향 원료 5±3중량%를 비누소지 92~98중량%와 혼합하여 비누를 생성하는 비누화단계(S40)를 거친다. 비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비누소지에 상기 전 단계에서 생성된 섬백리향 원료(분말 또는 액상정유)를 상기의 중량%로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한다. 통상 비누소지는 우지, 야자유, 식물유 등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100℃ 정도로 가열하여 비누화하고 여기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해서 염석하는 비누화법으로 생성하거나, 우지 등을 비누화해서 지방산을 만들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는 중화법으로 생성된다. 천연의 비누소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성분의 첨가가 가능하다. 일예로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미네랄오일, 테트라나트륨염, 트리글로산 등을 기반으로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알려진 각종의 식물성 천연 원료를 첨가한다. 섬백리향 원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원료 5±3중량%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품질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가장 적절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비누화단계(S40)의 비누소지는 베이스에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야자유, 알로에를 미량을 선택적으로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야자유, 알로에는 피부를 습윤하게 유지하거나 트러블을 완화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추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콩알 크기의 알갱이 비누소지(1) 95±3중량%와 분말상태의 섬백리향 원료(2) 5±3중량%를 혼합기(10)에 함께 투입한 후 약 30분±15분가량을 상온 상태에서 적절히 혼합한다. 분말 대신 액상정유 상태의 섬백리향 원료(2a)일 경우에도 콩알 크기의 알갱이 비누소지(1) 95±3중량%와 액상정유 상태의 섬백리향 원료(2a) 5±3중량%를 혼합기(10)에 함께 투입한 후 약 30분±15분가량을 상온 상태에서 혼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에서 나온 1차 혼합물(15)을 1차 믹서기(20)에 재투입하여 약 10분±5분가량을 으깨면서 믹서하게 되면 분말상태의 섬백리향 분말 또는 섬백리향 액상정유(2a)가 알갱이 크기의 비누소지(1)와 함께 으깨어지면서 서로 잘 섞이면서 스크류(22) 방식에 의해 앞으로 전진 배출되고, 이어 2차 믹서기(30)에 2차 혼합물(25)을 재투입해서 약 10분±5분가량을 다시 으깨면서 믹서한 뒤 스크류(32) 방식으로 전진 배출한다. 이 때, 1차 믹서기(20)의 경우에는 분말 또는 액상정유의 섬백리향 물질과 비누소지와 함께 으깨어주는데 중점이 있고, 2차 믹서기(30)의 경우에는 으깨어진 2차 혼합물질(25)을 재혼합해서 좀 더 점성력 있는 상태의 물질로 만드는데 주안점이 있다.
다음으로, 2차 믹서기(30)를 통해 배출된 2차 혼합물(25)을 다시 비누금형기(40)에 투입해서 원하는 형상 및 모양을 가진 고체비누로 제조할 수 있는데, 높은 압력의 프레스 금형기로 순식간에 비누(45)를 성형하므로 비누(45)가 배출되자마자 바로 포장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한 꽃향기를 지닌 국내 자생식물을 채취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양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과정에서 향 발산의 기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섬백리향 물질에 고유한 살균효과 등이 포함되어 있어 비누로서의 기능이 업 그레이드가 됨은 물론, 인체에 무해한 천연원료로 제조됨에 따라 피부 알러지 반응 등이 발생되지 않는 천연비누의 제조 내지 기능성 비누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비누소지 2: 섬백리향 원료
2a: 액상정류 섬백리향 원료 10: 혼합기
15: 1차 혼합물 20: 1차 믹서기
22, 32: 스크류 25: 2차 혼합물
30: 2차 믹서기 40: 비누금형기
45: 비누

Claims (4)

  1. 뿌리를 제외하고 채취된 섬백리향을 수세를 거쳐 30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영하 30~50℃ 범위에서 급속냉동하는 동결단계(S10);
    상기 동결된 섬백리향을 진공 상태에서 15~25시간동안 승화건조하는 건조단계(S20);
    상기 건조된 섬백리향 원료를 100~400 메쉬 내외의 분말 형태로 분쇄하고, 상기 분말에 실리콘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입자상에 1~10㎛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분쇄단계(S30); 및
    상기 분쇄된 섬백리향 원료 5±3중량%를 비누소지 95±3중량%와 혼합하되, 상기 비누소지는 베이스에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야자유, 알로에를 선택적으로 미량을 더 첨가하여 비누를 생성하는 비누화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11007A 2011-02-08 2011-02-08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KR10121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7A KR101217387B1 (ko) 2011-02-08 2011-02-08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7A KR101217387B1 (ko) 2011-02-08 2011-02-08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30A KR20120090530A (ko) 2012-08-17
KR101217387B1 true KR101217387B1 (ko) 2012-12-31

Family

ID=4688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07A KR101217387B1 (ko) 2011-02-08 2011-02-08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3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30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322B1 (ko) 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스턴트 커피의 제조방법
CN101692898A (zh) 一种天然鲜花香口片及其加工方法
CN104522092A (zh) 一种香茅油香薰蚊香
KR101749929B1 (ko) 마스크 팩용 화장 조성물 제조방법
CN108158918A (zh) 包裹天然提取物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及微胶囊型唇膏
CN102429852A (zh) 一种利用桃花加工祛斑美容超细粉的制备方法
CN106085661A (zh) 一种防蚊虫手工皂及其制作方法
CN104351433A (zh) 一种茉莉花茶及其制备方法
CN106085662A (zh) 一种除臭手工皂及其制作方法
CN108175726A (zh) 一种含牡丹籽皮蜡和牡丹花蜡口红的制备方法
KR20170120831A (ko) 안착 팁이 부착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과 비누 케이스
KR102123830B1 (ko) 제올라이트와 숯을 이용한 편백수 제조방법
KR101217387B1 (ko) 섬백리향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비누
CN107304394A (zh) 一种足浴精油皂及其手工制作方法
CN108485845A (zh) 一种嘉宝果叶片手工皂及其制作方法
CN108553675A (zh) 一种佛手茶檀香及其制备方法
KR101739196B1 (ko)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18826B (zh) 一种泡澡花果茶颗粒包的制备方法
KR101228498B1 (ko) 잣송이 겉껍질 미분을 이용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5454498A (zh) 玫瑰花香味茶及其制造方法
KR101222743B1 (ko) 갓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갓 비누
CN107669582A (zh) 一种纯天然米醋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322726B1 (ko) 가루녹차를 포함하는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CN109554247A (zh) 一种花果精油香皂及其制作方法
CN109567128B (zh) 一种具有天然风味的抹茶香精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