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049B1 - Wheelchair - Google Patents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049B1
KR101217049B1 KR1020110015597A KR20110015597A KR101217049B1 KR 101217049 B1 KR101217049 B1 KR 101217049B1 KR 1020110015597 A KR1020110015597 A KR 1020110015597A KR 20110015597 A KR20110015597 A KR 20110015597A KR 101217049 B1 KR101217049 B1 KR 10121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wheel
wheels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6282A (en
Inventor
김경웅
심재훈
유제성
임혜림
차샘이
박원웅
한희섭
허정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049B1/en
Publication of KR2012009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Abstract

본 발명의 휠체어는, 시트 본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바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시트 본체와의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연결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는 프레임 보강대; 및 상기 바퀴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가 삽입되는 바퀴 연결 십자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과 함께 상기 프레임 보강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ody; Wheel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seat frame into whic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at body is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frame reinforcing member penetrating the sheet fram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and into which the frame reinforcement is inserted, wherein the wheel is rotatable about the frame reinforcement along with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Wheelchairs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 및 환자를 위한 휠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휠체어를 타고 길거리에 돌아다니면서 사회생활을 하는 장애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휠체어에 관한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5,577,753 및 대한민국 등록신용신안 제243,984호를 소개하기로 한다.Wheelchairs for the disabled and patients with difficulty in walking are becoming widespread, and as a result,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live in wheelchairs and walk around the streets are increasing. As a patent or utility model for wheelchairs, US Patent No. 5,577,753 and Korean Patent No. 243,984 will be introduced.

미국 등록특허 제5,577,753호에 개시된 휠체어는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바로 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가정용으로 제작되어 특수한 모양의 변기에만 호환 가능하며 높이와 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중화장실 등 다른 크기의 변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The wheelchair disclosed in U.S. Patent No. 5,577,753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ile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getting off the wheelchair. However, since it is manufactured for home use, it is compatible only with specially shaped toilets, and its height and width are fixed so that it cannot be used in other toilets such as public toilets.

한편, 대한민국 등록신용신안 제243,984호에서 개시된 휠체어는 변기를 부착한 휠체어로서, 장애인 및 환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변기가 휠체어에 달려있다는 면에서 용변이 휠체어에 남기 때문에 냄새가 나고 위생상 좋지 않다. 또한, 주기적으로 변기통의 내용물을 치워야 하고 세척도 해야하므로 불편하다.On the other hand, the wheelchair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Credit Model No. 243,984 is a wheelchair with a toilet, it is structured to allow the disabled and patients to solve the toilet themselv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However, in the sense that the toilet is in a wheelchair, the toilet remains in the wheelchair and smells bad and is not good for hygiene.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contents of the toilet bowl should be periodically removed and washed.

본 발명은 바퀴 사이의 폭과 시트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that can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and the height of the seat body.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시트 본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바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시트 본체와의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연결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는 프레임 보강대; 및 상기 바퀴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가 삽입되는 바퀴 연결 십자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과 함께 상기 프레임 보강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seat body; Wheel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seat frame into whic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at body is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frame reinforcing member penetrating the sheet fram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and into which the frame reinforcement is inserted, wherein the wheel is rotatable about the frame reinforcement along with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바퀴가 프레임 보강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휠체어가 통과하기 어려운 폭이 좁은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since the wheels are rotatable around the frame reinforcement, the widths between the wheels can be adjusted using the wheels, and thus, the wheelchairs can pass through narrow passages that are difficult to pass.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상기 시트 본체의 끝단 쪽에서 가까워지도록 각각 회전시키고, 상기 가까워진 끝단 방향으로 상기 바퀴를 굴리고, 상기 바퀴를 상기 회전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바퀴 사이의 폭이 조절된다.In the inventor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2, in the inventor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s are rotated so as to be closer to the ends of the seat body, the wheels are rolled toward the closer ends, and the wheels are rotated in the rotated direction. By rotating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s adjusted.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사용자가 바퀴를 회전시켜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휠체어가 통과하기 어려운 폭이 좁은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user rotates the wheel to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thereby allowing the wheelchair to pass through a narrow passage that is difficult to pass.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시트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구속하는 시트 고정걸쇠를 더 포함한다.Inventive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3, In the inventor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at body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aught in the seat frame, further seat restraining latch to restra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clude.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시트 고정걸쇠가 시트 프레임에 걸려 바퀴의 폭이 조절되지 않게 함으로써, 바퀴의 축이 고정된 평상시에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바퀴 사이의 폭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seat fixing latch is caught by the seat frame so that the width of the wheel is not adjusted, thereby preventing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from being changed due to external impact even when the axis of the wheel is fixed. Can be.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걸쇠의 타측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ㄷ자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에 걸린다.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4 is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seat fixing latch is formed in a U-shap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shape are directed from top to bottom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frame. It is caught in the frame.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시트 고정걸쇠를 ㄷ자 형태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시트 프레임에 걸리게 함으로써, 바퀴의 축이 고정된 평상시에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바퀴 사이의 폭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바퀴연결 십자축의 하부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는 상기 바퀴연결 십자축의 상부에 삽입된다.Accordingly,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by locking the seat latch to the seat frame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a U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from being changed due to external impact even when the axis of the wheel is fixed. The wheelchair of the inventor of claim 5, wherein the wheelchair of the invention of claim 1, further includes a main frame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and the frame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프레임 보강대와 메인 프레임을 각각 바퀴 연결 십자축의 상부 및 하부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프레임 보강대와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바퀴 연결 십자축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퀴 연결 십자축에 연결된 바퀴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바퀴 축 고정걸쇠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ly,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laim 5, the wheel connecting crosses can be freely rotated by allowing the frame reinforcement and the main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heel connecting reticle, respectively. You can change the angle of the wheel connected to the shaft.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6 is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and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restrains rotation of the wheel. It further includes.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바퀴 축 고정걸쇠가 바퀴 연결 십자축에 걸려 바퀴 축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평상시와 같이 바퀴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바퀴가 회전되지 않게 한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리니어 부쉬를 더 포함하고, 리니어 부쉬는 그 일단과 타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 사이의 폭이 조절될 때 상기 시트 프레임과의 마찰을 줄인다.
Therefore, in the wheelchair of the inventor according to claim 6,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is caught on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wheel shaft, so that the wheel does not rotate when the wheel rotation is not required as usual.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includes a linear bush in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ear bush is formed so that the seat frame is inser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s adjusted. Reduce friction with the seat frame.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바퀴 사이의 폭이 조절될 때 시트 프레임이 리니어 부쉬의 축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시트 프레임과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시 불편하지 않게 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는,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유압펌프; 및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양자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장착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상승 및 하강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된다.
Accordingly, in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seat frame moves along the axis of the linear bushing when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s adjusted, thereby reducing friction with the seat frame, so that the user is not inconvenient when using the wheelchair.
An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8, The inventor's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5, comprising: a handle; A hydraulic pump attached to the handle; And a hydraulic cylinder mounted vertically between the seat frame and the main frame,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is raised and lowered by a piston provided therein by the hydraulic pump, whereby the seat The height of the frame is adjusted.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휠체어에서는,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트 본체(8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wheelchair of the inventor of Claim 8, by operating a hydraulic cylinder using a hydraulic pump, the height of the seat main body 800 can be adjusted and used as needed by a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의 축에 연결된 바퀴 연결 십자축과 함께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바퀴 사이의 폭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휠체어가 폭이 좁은 통로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n a manner to rotate the wheel with the wheel connecting cross-axis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wheel, the wheelchair can easily pass through the narrow pass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필요로 하는 높이로 시트 프레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using a hydraulic pump, it is convenient to be able to adjust the seat frame to the height required for the user to see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 사이의 폭 조절기능을 통하여 일반 공공 화장실의 문의 폭에 관계없이 통과할 수 있으며, 시트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여 변기의 바로 위로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 및 환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일반 화장실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동작하므로 전동식에 비해 저렴한 가격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width adjustment function between the wheels can pass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door of the general public toilet, the height of the seat frame is adjustable so that the wheelchair can directly enter the toilet. Through this, the disabled and the patient can easily use the common toilet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can be expected to be cheaper than the electric motor because it is operated manu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퀴 사이의 폭 조절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니어 부쉬 및 시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퀴 연결 십자축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바퀴 축 고정걸쇠가 바퀴 연결 십자축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트 고정걸쇠가 시트 프레임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시트 프레임의 상하이동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width adjustment between wheel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ear bush and seat frame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axis connecting portion of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of FIG. 1 is caught by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fixing latch of FIG. 1 is caught by the seat fram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shangdong of the seat fram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는 시트 본체(800), 바퀴(400a, 400b), 시트 프레임(200a, 200b), 프레임 보강대(300a, 300b, 300c, 300d), 및 바퀴 연결 십자축(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휠체어에는 앞바퀴와 뒷바퀴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뒷바퀴를 바퀴(400a, 400b)라고 하기로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wheelchair includes a seat body 800, wheels 400a and 400b, seat frames 200a and 200b, frame reinforcements 300a, 300b, 300c and 300d, and wheel connecting cross axes (not shown). ). The wheelchair has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will be referred to as wheels 400a and 400b.

시트 본체(800)는 휠체어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휠체어 시트는 시트 본체(800)와 시트 분리대(810)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에는 시트 분리대(810)를 당겨 시트 본체(800)로부터 시트 분리부(810)를 분리시켜 시트 본체(800)에 앉은 채로 용변을 보고 용변을 마친 경우에는 시트 분리대(810)를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eat main body 8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heelchai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sit and view a toilet. The wheelchair seat is composed of a seat body 800 and a seat separator 810. When the user sees the toilet, the seat separator 810 is pulled to separate the seat separator 810 from the seat body 800 to separate the seat body. When sitting on the (800) and looking at the toilet to finish the toilet has a structure that can close the sheet separator 810.

바퀴(400a, 400b)는 시트 본체(80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The wheels 400a and 400b are dispos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800.

시트 프레임(200a, 200b)은 시트 본체(800)의 일측과 타측에 시트 본체(800)와의 연결부분이 삽입된다. 시트 프레임(200a, 200b)의 상부는 리니어 부쉬(100)의 일단과 타단에 삽입되고, 시트 프레임(200a, 200b)의 하부는 유압실린더(500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시트 프레임(200a, 200b) 좌우에는 시트 고정걸쇠(900a, 900b)가 연결되어 있다.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have insertion portions connected to the sheet main body 8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heet main body 800. Upper portions of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ear bush 100, and lower portions of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500a. In addition, seat fixing latches 900a and 900b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프레임 보강대(300a, 300b, 300c, 300d)는 연결부분의 끝단에서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시트 프레임(200a, 200b)을 관통한다. 프레임 보강대(300a, 300b, 300c, 300d)의 상부에는 손잡이(1100a, 1100b)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의 손잡이(1100b)에는 유압펌프(1000)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측의 손잡이(1100b)에 유압펌프(1000)를 부착하였으나, 유압 펌프(1000)는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측의 손잡이(1000a, 1000b)에 배치하여도 되고, 양측에 모두 배치하여도 된다.Frame reinforcing members (300a, 300b, 300c, 300d) penetrates the sheet frame (200a, 200b)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Handles 1100a and 1100b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rame reinforcement blocks 300a, 300b, 300c, and 300d, and a hydraulic pump 1000 is attached to the handle 1100b on the right si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pump 1000 is attached to the handle 1100b on the right side, but the hydraulic pump 1000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s 1000a and 1000b on either side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and on both sides. You may arrange.

바퀴 연결 십자축은 바퀴(400a, 400b)의 축에 연결되고, 프레임 보강대 (300a, 300b, 300c, 300d)가 삽입된다. 바퀴(400a, 400b)는 바퀴 연결 십자축과 함께 프레임 보강대(300a, 300b, 300c, 300d)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is connected to the axes of the wheels 400a and 400b, and the frame reinforcing rods 300a, 300b, 300c, and 300d are inserted. The wheels 400a and 400b are rotatable about the frame reinforcement 300a, 300b, 300c, and 300d together with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바퀴(400a, 400b)를 시트 본체(800)의 끝단 쪽에서 가까워지도록 각각 회전시키고, 가까워진 끝단 방향으로 바퀴(400a, 400b)를 굴리고, 바퀴(400a, 400b)를 회전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바퀴(400a, 400b)의 폭이 조절된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rotates the wheels 400a and 400b to be closer to the ends of the seat body 800, respectively, and rolls the wheels 400a and 400b toward the closer ends, and rotates the wheels 400a and 400b. The width of the wheels 400a and 400b is adjusted by rotating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ed direction.

일 예로,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시트 고정걸쇠(900a, 900b)를 제거한 후 바퀴(400a, 400b)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프레임 보강대(300a, 300b, 300c, 300d)의 축을 중심으로 바퀴 연결 십자축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바퀴(400a, 400b)의 각도가 변화된 상태로 휠체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바퀴(400a, 400b)와 지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수평성분이 휠체어 내부로 작용하게 되어 시트 프레임(200a, 200b)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어 바퀴(400a, 400b)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을 늘일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휠체어가 좁은 화장실 문과 같은 좁은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if the user changes the angle of the wheels 400a and 400b after removing the seat fixing latches 900a and 900b, the frame reinforcement members 300a, 300b, 300c, and 300d The wheel connecting crosshairs will rotate about the axis of). Then, by moving the wheelchair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angles of the wheels 400a and 400b changed,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and the ground acts inside the wheelchair, and thus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Since the width between the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wheel (400a, 400b).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400b), the reverse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is way, the wheelchair can pass through narrow passageways such as narrow toilet doors.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퀴 사이의 폭 조절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바퀴(400a, 400b)의 배치상태 또는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2A to 2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width adjustment between wheels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it can be seen tha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wheels 400a and 400b or the widths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2a에서는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이 출입문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시트 프레임(200a, 200b) 사이의 폭이 줄여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도 2b에서는 바퀴(400a, 400b)의 각도를 변화시키고 각도가 변화된 상태로 휠체어를 전진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c에서와 같이 바퀴를 도 2b에서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바퀴(400a, 400b)의 방향이 도 2a에서와 같이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 2a 및 도 2b에서는 시트 프레임(200a, 200b)의 폭이 a이나, 도 2c에서는 시트 프레임(200a, 200b)의 폭이 a보다 작은 b로 변화되어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이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바퀴(400a, 400b)의 폭보다 좁은 출입문을 바퀴(400a, 400b)의 폭을 줄여 통과할 수 있게 된다.In FIG. 2A, since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oor, the door cannot pass through the door. Therefore, the width between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is reduced to reduce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There is this. To this end, in FIG. 2B, the wheels 400a and 400b are changed in angle and the wheelchair is advanced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change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C, the wheels ar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rotated in FIG. 2B such that the directions of the wheels 400a and 400b are as shown in FIG. 2A. In other words, the widths of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a in FIGS. 2A and 2B, but the widths of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changed to b smaller than a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is reduced. In this way, the door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s 400a and 400b can be reduced by passing the width of the wheels 400a and 400b.

도 3은 도 1의 리니어 부쉬 및 시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니어 부쉬(100)는 일단과 타단에 시트 프레임(200a, 200b)이 삽입되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평소에는 양쪽의 두 시트 프레임(200a, 200b)이 중앙의 리니어 부쉬(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ear bush and seat frame of FIG. 1. 1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linear bushing 100 is formed such that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other end. Usually, both seat frames 200a and 200b are inserted into the central linear bush 100.

리니어 부쉬(100)는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로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을 조절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것인데, 시트 프레임(200a, 200b)은 리니어 부쉬(100)의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리니어 부쉬(100)는 바퀴(400a, 400b) 사이의 폭이 조절될 때 시트 프레임(200a, 200b)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Linear bushing 100 is to reduce the friction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400b) while the user is sitting, seat frame (200a, 200b) can move along the axis of the linear bushing (100) have. Due to this structure, the linear bushing 100 can reduce the friction with the seat frames 200a and 200b when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400a and 400b is adjusted.

도 4는 도 1의 바퀴 연결 십자축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바퀴(400a)의 축에는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이 연결되고,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는 프레임 보강대(300a)와 메인 프레임(600a)이 삽입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의 상부에는 프레임 보강대(300a)가 삽입되고,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600a)이 삽입된다. 즉, 메인 프레임(600a)에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구조인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의 하부가 끼워지고, 바퀴 연결 십자축(600a)의 상부에는 프레임 보강대(300a)가 끼워진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axis connecting portion of FIG. Referring to FIG. 4,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left wheel 400a, and the frame reinforcing rod 300a and the main frame 600a are inserted into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 Specifically, the frame reinforcing rod 300a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and the main frame 600a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having a hollow pipe structure is fitted to the main frame 600a, and the frame reinforcing rod 300a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600a.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프레임 보강대(300)와 메인 프레임(600a) 사이에 위치한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 연결된 바퀴(400a, 400b)의 각도가 변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reinforcement 300 and the main frame 600a can rotate freely, so that the wheels 400a and 400b connected to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can be freely rotated. The angle can change.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의 상부에 삽입되지 않는 프레임 보강대(300b)는, 메인 프레임(600a)의 부위 중에서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 삽입되지 않은 끝단에 연결된다.The frame reinforcement 300b which is not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is connected to an end which is not inserted into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among the portions of the main frame 600a.

도 5는 도 1의 바퀴 축 고정걸쇠가 바퀴 연결 십자축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퀴(400a)의 축에는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이 연결되고,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는 바퀴 축 고정걸쇠(450a)가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다.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of FIG. 1 is caught by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400a, and the wheel shaft fixing clasp 450a is locked to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바퀴 축 고정걸쇠(450a)는 그 일측은 메인 프레임(600a)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은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바퀴 축 고정걸쇠(450a)의 구조로 인하여, 바퀴 축 고정걸쇠(450a)는 바퀴(400a)가 회전하려하는 경우에도 바퀴(400a)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즉, 평상시와 같이 휠체어를 움직이게 않게 하려는 경우 바퀴(400a)가 회전해서는 안 되므로, 바퀴 축 고정걸쇠(450a)가 바퀴(400a)가 부착된 바퀴 연결 십자축(700a)에 걸려 바퀴 축의 회전을 구속한다.The wheel shaft fixing clasp 450a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600a, and the other side of the wheel shaft fixing clasp 450a being caught by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heel shaft fixing clasp 450a, the wheel shaft fixing clasp 450a may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wheel 400a even when the wheel 400a tries to rotate. In other words, if you do not want to move the wheelchair as usual, the wheel (400a) should not be rotated,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450a) is caught on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to which the wheel 400a is attached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wheel shaft do.

도 6은 도 1의 시트 고정걸쇠가 시트 프레임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200a)은 시트 본체(800)에 시트 본체(800)와의 연결부분이 삽입되고, 시트 고정걸쇠(900a)는 시트 프레임(200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fixing latch of FIG. 1 is caught by the seat frame.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seat frame 200a is inserted into the seat body 8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at body 800 is inserted, and the seat fixing latch 900a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seat frame 200a. have.

바퀴의 축이 고정된 평상시에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바퀴 사이의 폭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 고정걸쇠(900a)를 설치하는데, 시트 고정걸쇠(900a)는 그 일측은 시트 본체(800)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시트 프레임(200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시트 고정걸쇠(900a)의 축은 시트 본체(8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의 시트 프레임(200a, 200b)에 각각 걸리게 되어 있다. 시트 고정걸쇠(900a)의 타측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ㄷ자의 일단과 타단은 시트 프레임(200a)의 일측과 타측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시트 프레임(200a)에 걸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시트 고정걸쇠(900a)는 시트 프레임(200a)의 시트 본체(800)와의 연결부분이 시트 본체(800)에 삽입되는 것을 구속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width of the wheels from changing due to external impact even when the axis of the wheel is fixed, the seat fixing latch 900a is installed. The seat fixing latch 900a has one side of the seat main body 800.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at frame 200a. That is, the shaft of the sheet fixing clasp 900a is connected to the sheet main body 800, and is caught by the left and right seat frames 200a and 200b, respectively. The other side of the seat fixing clasp 900a is formed in a U-shap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shape is fastened from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frame 200a to the bottom of the seat frame 200a. Due to this structure, the seat fixing clasp 900a restrain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frame 200a from the seat body 800 to be inserted into the seat body 80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휠체어의 폭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먼저 시트 고정걸쇠(900a)와 바퀴 축 고정걸쇠(450a)를 제거한다. 그 다음에, 바퀴(450a)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프레임 보강대(300a)의 축을 중심으로 바퀴 연결 십자축(700a)이 회전하게 된다. 바퀴(450a)의 각도가 변화된 상태로 휠체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바퀴(450a)와 지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수평성분이 휠체어 내부로 작용하므로 휠체어의 폭을 줄일 수 있다. 휠체어의 폭을 늘릴 경우 반대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휠체어의 폭을 줄여 좁은 화장실의 문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5 and Figure 6 how to reduce the width of the wheelchair, the user first removes the seat fixing latch 900a and the wheel shaft fixing latch 450a. Next, when the angle of the wheel 450a is changed,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700a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frame reinforcement 300a. When the wheelchair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angle of the wheel 450a changed,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wheel 450a and the ground acts inside the wheelchair, thereby reducing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f you increase the width of the wheelchair, do the opposite. This reduces the width of the wheelchair and allows it to pass between the doors of narrow toilets.

도 7은 도 1의 시트 프레임의 상하이동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200a)은 유압실린더(500b)에 의해 프레임 보강대(300c, 300d)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shangdong of the seat frame of FIG. 1. Referring to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seat frame 200a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rame reinforcement (300c, 300d) by the hydraulic cylinder (500b).

프레임 보강대(300c, 300d)는 시트 프레임(200b)과 시트 본체(800)와의 연결부분의 끝단에서 시트 프레임(200b)의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시트 프레임(200b)을 관통한다. 또한, 프레임 보강대(300c, 300d)의 상부에는 손잡이(1100b)가 배치되어 있고, 손잡이(1100b)에는 유압펌프(1000)가 부착되어 있다.The frame reinforcing members 300c and 300d penetrate the sheet frame 200b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frame 200b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at frame 200b and the seat body 800. In addition, a handle 1100b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rame reinforcement members 300c and 300d, and a hydraulic pump 1000 is attached to the handle 1100b.

유압 실린더(500b)는 시트 프레임(200b)과 메인 프레임(600b) 사이에서 양자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장착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500b)는 유압펌프(1000)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상승 및 하강하고, 이에 의하여 시트 프레임(200b)의 높이가 조절된다.The hydraulic cylinder 500b is mounted by vertically connecting both of the seat frame 200b and the main frame 600b. In addition, the hydraulic cylinder 500b is raised and lowered by a piston provided therein by the hydraulic pump 1000, whereby the height of the seat frame 200b is adjust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손잡이(1100b)에 부착된 유압펌프(1000)를 동작시켜 유압 실린더(500b) 내부의 피스톤을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의 높이와 변기의 높이가 맞도록 휠체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operates the hydraulic pump 1000 attached to the handle 1100b to raise and lower the piston inside the hydraulic cylinder 500b,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form the height of the wheelchair to the height of the toilet bowl. The height of the can be adjusted.

다시말하여, 도 7은 휠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시트 프레임(200b)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손잡이(1100b)에 부착된 유압펌프(1000)를 사용하여 유압실린더(500b)의 끝에 부착된 시트 프레임(200b)이 프레임 보강대(300c, 300d)를 따라 위로 움직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트 본체(8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Figure 7 shows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heelchair, which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seat frame 200b.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height, the seat frame 200b attached to th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500b using the hydraulic pump 1000 attached to the handle 1100b will move up along the frame reinforcements 300c and 300d. Can be.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sheet body 800 can be adjus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0 : 리니어 부쉬
200a, 200b : 시트 프레임
300a, 300b, 300c, 300d : 프레임 보강대
400a, 400b : 바퀴
450a : 바퀴 축 고정걸쇠
500a, 500b : 유압실린더
600a, 600b : 메인 프레임
700a : 바퀴 연결 십자축
800 : 시트 본체
810 : 시트 분리대
900a, 900b : 시트 고정걸쇠
1000 : 손잡이
1100a, 1100b : 유압펌프
100: linear bush
200a, 200b: seat frame
300a, 300b, 300c, 300d: frame reinforcement
400a, 400b: wheels
450a: Wheel Shaft Stabilizer
500a, 500b: Hydraulic cylinder
600a, 600b: main frame
700a: Wheel Link Cross Shaft
800: seat body
810: Sheet Separator
900a, 900b: Seat Latches
1000: Handle
1100a, 1100b: Hydraulic Pump

Claims (8)

시트 본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바퀴;
상기 시트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시트 본체와의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연결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는 프레임 보강대; 및
상기 바퀴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가 삽입되는 바퀴 연결 십자축;
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과 함께 상기 프레임 보강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휠체어.
Seat body;
Wheel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seat frame into whic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at body is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body;
A frame reinforcing member penetrating the sheet fram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and into which the frame reinforcement is inserted;
Including,
The wheel is rotatable about the frame reinforcement shaft with the wheel connecting cross,
bath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상기 시트 본체의 끝단 쪽에서 가까워지도록 각각 회전시키고, 상기 가까워진 끝단 방향으로 상기 바퀴를 굴리고, 상기 바퀴를 상기 회전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상기 바퀴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Respectively rotating the wheels closer to the ends of the seat body, rolling the wheels toward the closer ends, and rotating the wheels agai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ed direction,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s adjusted;
bathchair.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시트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 프레임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구속하는 시트 고정걸쇠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at body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seat frame, further comprising a seat fixing latch for restraining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bathchai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걸쇠의 타측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ㄷ자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에 걸리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side of the seat fixing clasp is formed in a U-shap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shaped to the seat frame from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eel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의 하부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는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의 상부에 삽입되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ain frame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wherein the frame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nnecting cross shaft.
제5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 연결 십자축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바퀴 축 고정걸쇠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5,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wheel connecting cross, further comprising a wheel shaft fixing latch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제1항에 있어서,
리니어 부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부쉬는, 그 일단과 타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 사이의 폭이 조절될 때 상기 시트 프레임과의 마찰을 줄이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includes a linear bush,
And the linear bush is configured to insert the seat fram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to reduce friction with the seat frame when the width between the wheels is adjusted.
제5항에 있어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유압펌프; 및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양자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장착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상승 및 하강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5,
handle;
A hydraulic pump attached to the handle; And
Further comprising a hydraulic cylinder mounted between the seat frame and the main frame by vertically connecting both,
The hydraulic cylind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piston provided therein by the hydraulic pump, whereby the height of the seat frame is adjusted,
bathchair.
KR1020110015597A 2011-02-22 2011-02-22 Wheelchair KR101217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97A KR101217049B1 (en) 2011-02-22 2011-02-22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97A KR101217049B1 (en) 2011-02-22 2011-02-22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82A KR20120096282A (en) 2012-08-30
KR101217049B1 true KR101217049B1 (en) 2012-12-31

Family

ID=4688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97A KR101217049B1 (en) 2011-02-22 2011-02-22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0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84A (en) 2016-11-24 2018-06-01 (주)동명바이오 Wheelchair with managing sanit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696A (en) 1996-11-01 1998-05-19 Iura:Kk Wheelchair
JP2000102567A (en) 1998-09-30 2000-04-11 Handei Network International:Kk Wheelchair
KR100883421B1 (en)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Electromotive wheel chair
KR200448651Y1 (en) 2008-07-23 2010-05-03 미키코리아(주) A transformable wheel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696A (en) 1996-11-01 1998-05-19 Iura:Kk Wheelchair
JP2000102567A (en) 1998-09-30 2000-04-11 Handei Network International:Kk Wheelchair
KR200448651Y1 (en) 2008-07-23 2010-05-03 미키코리아(주) A transformable wheelchair
KR100883421B1 (en)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Electromotive wheel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84A (en) 2016-11-24 2018-06-01 (주)동명바이오 Wheelchair with managing sanit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82A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9454A1 (en) A wheeled walker
CH689177A5 (en) Wheelchair with closed three dimensional frame
KR102362427B1 (en) The transportable toilet bowl for patient
WO2001035893A1 (en) Walking assisting wheel
KR101217049B1 (en) Wheelchair
KR101598481B1 (en) 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Separable the Mounting Frame Unit
JP2013106649A (en) Walker combined movable chair
KR100904137B1 (en) Wheel chair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
CN210728050U (en) Safety seat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KR102443017B1 (en) Wheelchair with auxiliary transfer unit
JP4652266B2 (en) Walking assistance vehicle
KR101197738B1 (en) Seat apparatus for toilet bowl
JP6391450B2 (en) Walk assist device and walk assist robot
KR101598478B1 (en) 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Extra Mounting Frame
JP3762134B2 (en) Pedestrian wheelchair
JP5066418B2 (en) Bathing wheelchair and bathtub body
JP5277031B2 (en) wheelchair
JP2002085498A (en) Wheeled walking aid
KR100796781B1 (en) Walking supporter
JP3566382B2 (en) Wheelchair with reclining function
JP4976041B2 (en) Wheel mounting structure for walking assistance vehicles
JP4164739B2 (en) Six wheelchair wheelchair
JP6915420B2 (en) wheelchair
JP6822336B2 (en) wheelchair
JP2005124740A (en) Wal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