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162B1 -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 Google Patents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162B1
KR101216162B1 KR1020100059642A KR20100059642A KR101216162B1 KR 101216162 B1 KR101216162 B1 KR 101216162B1 KR 1020100059642 A KR1020100059642 A KR 1020100059642A KR 20100059642 A KR20100059642 A KR 20100059642A KR 101216162 B1 KR101216162 B1 KR 10121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oupled
plate
plate member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513A (ko
Inventor
이후승
Original Assignee
이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승 filed Critical 이후승
Priority to KR102010005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16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건조기를 각각의 판재로 압출성형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 사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손 건조시 알콜액을 사용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유동이 많은 건물의 화장실이나 공공장소의 화장실에는 손을 씻고 건조시기 위하여 종이타월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이타월은 유해물질로 인해서 인체에 해로우며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사용 후에 잔해로 인해 화장실이 지저분하여 요즘에는 센서에 의한 작동으로 바람을 발생하여 손을 건조하는 손건조기가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건조기는 보통 한 사람이 사용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어 유동이 많은 곳에서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였으며 손을 건조시키게 될 때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손건조기가 설치된 장소가 상당히 번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공간 및 주문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하면서 조립이 용이하고 손 건조시 알콜을 분사하여 송풍과 함께 손을 빨리 건조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키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A hand dryer}
본 발명은 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를 이루는 틀을 각각의 판재가 압출성형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손을 건조할 때 알콜을 사용함으로써 손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소독을 동시에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이나 백화점 등의 건물이나 고속도로 휴게소 등의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공공화장실에는 손을 씻기 위한 세면대와 젖은 손을 닦기 위한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이타월은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보급을 위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고 사용 후에 잔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을 경우 화장실이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이타월은 제조시 표백제 및 화학약품이 들어가기 때문에 인체에 매우 유해한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젖은 손을 건조하기 위하여 하나의 틀로 되어 내부에 센서와 송풍장치를 내장한 손건조기를 설치하여 손을 넣으면 센서가 작동하면서 송풍장치가 일정시간동안 작동되어 바람을 분사토록 하여 손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손 건조기는 보통 한 사람이 사용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고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공공화장실은 보통 손건조기가 한대에서 많게는 두 대 정도가 설치되어 있지만 볼일을 보거나 손을 씻은 후 젖은 손을 건조를 시키게 될 경우 사용을 위하여 한 사람씩 줄을 서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젖은 손을 건조시킬 때 작동구조가 손을 건조기에 넣으면 센서에 의해 송풍장치가 작동하여 바람을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때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이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한번에 손이 건조가 되지 않아 다시 손건조기에 손을 넣어 건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손건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이 사람들로 인해서 상당히 번잡하여 사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공간 및 주문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되면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손 건조시 센서에 의해 알콜을 분사하여 송풍과 함께 손이 빨리 건조되어 손 건조시간을 단축시키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손 건조기의 본체의 구조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앞판과 뒤판의 상측에 전면판재와 조작부가 설치되는 상부판재와 전면판재와 상부판재의 사이에 송풍장치를 장착하면서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프레임과 상기 노즐프레임의 하측으로 손이 일정깊이로 투입되는 세로판재와 그 하측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재를 압축성형으로 성형토록하여 원하는 길이로 제단하여 결합토록 한 후 좌,우측으로 측판을 결합하고 하측으로 바닥판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공간에는 알콜이 담겨진 수납통이 호스관을 통해 손투입부에 형성된 분사구와 연결되고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모터가 장착되어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송풍관을 통해 노즐프레임에 장착된 송풍장치로 전달되도록 형성되고 노즐프레임에는 조작부에 연결된 센서부가 장착되어 젖은 손을 넣으면 센서가 감지하여 알콜이 먼저 분사가 된 후 1~2초간 시간이 지나면 송풍장치가 작동되어 바람이 배출되어 알콜과 함께 물이 증발하여 손의 건조가 빨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 건조기를 다양한 크기로 한번에 제작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판재를 압출성형토록 하고 또한 조립이 용이토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좋으면서 저렴한 단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손 건조시 알콜을 분사토록 함으로써 손을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동시에 손의 소독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손건조기의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건조기의 내부에 알콜액분사수단과 송풍수단이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판재와 상부판재와 노즐프레임과 세로판재와 바닥판재가 결합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판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판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노즐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로판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닥판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노즐프레임에 분사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알콜액분사수단이 형성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송풍수단이 형성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인용으로 형성된 손건조기의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손건조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건조기의 조립구조와 알콜액분사수단과 송풍수단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손건조기 내부에 알콜액분사수단과 송풍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각 판재의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건조기(10)는 일정간격으로 위치되어 내공간(10a)을 갖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앞판(16)과 뒤판(17)의 상측으로 전면판재(11)와 센서(21)와 연결되는 조작부(20)가 장착되는 상부판재(12)를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사이에 송풍장치(43)가 장착되는 노즐프레임(13)이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프레임(13)의 하측으로 손이 일정 깊이로 투입되는 세로판재(14)가 결합되고 그 하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바닥판재(15)가 결합된 후 좌,우측으로 측판(18)을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판(19)을 결합하고 상기 내공간(10a)에는 센서(21)의 감지로 인해서 작동되는 알콜액이 분사되는 알콜액분사수단(30)과 손 건조를 위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장치(43)로 배출하는 모터(41)가 설치된 송풍수단(4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도 4내지 도 8은 각 판재(11,12,13,14,15)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손건조기(10)의 본체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1,12,13,14,15)들은 일정길이로 압출성형 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의 판재(11,12,13,14,15)들을 압출성형기에서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의 주문에 따라서 1인용이나 2인용 등의 다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압출성형되는 판재(11,12,13,14,15)를 절단하여 간단하게 여러가지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판재(11,12,13,14,15)들의 조립하는 방법은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일측에는 노즐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결합홈(11a,12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는 앞판(16)과 뒤판(17)의 결합을 위한 절곡편(11b)과 단턱편(12b)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앞판(11)의 상측에는 전면판재(11)의 절곡편(11b)과 맞물리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편(11b)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나사로 조임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12)의 단턱편(12b)에는 뒤판(17)의 상단부가 단턱편(12b)의 단턱진 부분으로 위치되어 얹혀진 상태로 맞물림 된 상태에서 나사로 조임결합하여 조립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1a,12a)에 대칭되게 결합되는 노즐프레임(13)은 상측으로 상기 결합홈(11a,12a)과 결합되는 결합구(13a)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손투입부를 형성하는 세로판재(14)가 결합되는 결합홈(13b)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송풍장치(43)가 장착되는 공간부(13c)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프레임(13)의 송풍장치(43)가 장착되는 공간부(13c)의 전방에는 송풍장치(43)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손투입부로 송풍되도록 토출홈(13d)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토출홈(13d)은 하나의 일정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거나 다수의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프레임(13)의 토출홈(13d)이 형성된 상측으로는 상부판재(12)의 장착부(12c)에 장착되는 조작부(20)와 연결되는 센서부(21)가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21)에 의해서 손투입부에 손을 넣게 되면 센서부(21)가 이를 감지하여 알콜액이 먼저 분사가 되고 1~2초간의 시간이 지나면 송풍장치(43)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프레임(13)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13b)에는 손투입부를 형성하는 세로판재(14)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세로판재(14)의 상측에 결합홈(13b)과 결합되는 결합구(14a)가 형성되고 하측에도 동일한 결합구(14a)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에 형성된 결합구(14a)에는 상측에 결합홈(15a)을 형성한 "U"자 형태의 바닥판재(15)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앞판(16)과 뒤판(17)의 양측면에는 절곡부(16b,17a)를 형성하여 상기 측판(18)을 나사로 고정토록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앞판(16)과 뒤판(17)에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를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하측으로 노즐프레임(13)이 결합하고 상기 노즐프레임(13)의 하측으로 세로판재(14)가 결합하고 상기 세로판재(14)의 하측으로 바닥판재(15)가 결합한 상태에서 앞판(16)과 뒤판(17)의 측면으로 측판(18)을 결합하고 바닥판(19)에 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결합구(13a,14a)와 결합홈(11a,12a,13b,15a)은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형태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세로판재(14)에는 알콜액이 분사되는 분사홈(14b)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14b)으로 알콜액이 담겨진 수납통(31)에서 분배구(32)를 통하여 알콜액을 분사관(33)으로 분배하여 대칭되게 형성된 분사홈(14b)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콜액이 담겨진 수납통(31)에는 알콜액이 떨어졌을 때 충전을 위한 충전관(34)이 상기 상부판재(12)와 연결되어 마개(35)로 잠금되어 쉽게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알콜액이 떨어지게 되면 센서부(21)에 의해서 충전메세지를 조작부(20)에서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울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손건조를 위하여 상기 알콜액을 사용하는 것은 알콜액은 물과 잘 섞이고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손에 묻은 일정량의 물과 섞이게 되면 알콜액과 물이 동시에 휘발되어져 손건조가 빨리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한 상기 알콜액은 단백질을 응고시키기 때문에 소독의 효과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건조기(10)에 형성된 손투입부에 손을 넣게 되면 센서부(21)가 손을 감지하여 알콜액이 분사되고 손에 분사된 알콜액을 손을 비벼 문지른 다음 송풍장치(43)의 작동으로 송풍하게 되면 손건조가 빨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재(15)에는 알콜액과 같이 휘발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는 배수홈(15b)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15b)에는 배수관(15c)이 결합되어 손건조기(10)의 외부로 물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20)에는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되어 있어 손건조를 위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와 시간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손건조기(10)의 본체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11,12,13,14,15)를 한번에 성형하여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써 제작이 쉬우면서도 용도에 맞게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건조를 위해 분사되는 알콜액과 송풍장치(43)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서 손의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공간에서 사용이 용이하여 번잡함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10: 손건조기 11: 전면판재
12: 상부판재 13: 노즐프레임
14: 세로판재 15: 바닥판재
16: 앞판 17: 뒤판
18: 측판 19: 바닥판
20: 조작부
30: 알콜액분사수단
40: 송풍수단

Claims (7)

  1. 삭제
  2. 일정간격으로 위치되어 내공간(10a)을 갖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앞판(16)과 뒤판(17)의 상측에 전면판재(11)와 센서부(21)가 연결되고 충전 및 경고 등의 알림표시 및 손건조를 위한 작동상태 단계와 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되는 조작부(20)가 장착되는 상부판재(12)를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사이에 송풍장치(43)를 공간부(13c)에 장착하여 송풍장치(43)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분사하는 토출홈(13d)이 형성된 노즐프레임(13)을 대칭되게 각각 결합하고 상기 각각으로 결합되어진 노즐프레임(13)의 하측으로 손이 일정한 깊이로 투입되는 손투입부를 형성하도록 일정 길이의 세로판재(14)를 결합하고 그 하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바닥판재(15)를 결합하고 좌,우측으로 측판(18)을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판(19)을 결합하고 상기 내공간(10a)에 알콜액이 담겨진 수납통(31)이 장착되어 알콜액이 분배구(32)를 통하여 알콜액을 분사관(33)으로 분해하여 대칭되게 형성된 분사홈(14b)으로 분사되는 알콜액분사수단(30)과 손 건조를 위하여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수단(40)이 설치된 센서부(21)의 감지로 인해서 알콜액분사수단(30)에서 알콜액이 분사된 후 송풍수단(40)에서 바람이 송풍되어 손의 빠른 건조가 이루어지는 손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는 일측에 노즐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홈(11a,12a)과 타측에 앞판(16)과 뒤판(17)이 맞물려 결합되는 절곡편(11b)과 단턱편(12b)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프레임(13)은 내측에 송풍장치가 장착되는 공간부(13c)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전면판재(11)와 상부판재(12)의 결합홈(11a,12a)과 결합되는 결합구(13a)를 형성하고 하측으로 세로판재(14)가 결합되는 결합홈(13b)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판재(14)는 일정한 수직으로 되어 상,하측에 결합구(14a)가 형성되고 중앙일측에는 알콜액이 분사되는 분사구(14b)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재(15)는 세로판재(14)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구(14a)와 결합되도록 상측 양끝단에 결합홈(15a)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결합되고,
    상기 앞판(16)과 뒤판(17)의 양측면에 절곡부(16b,17a)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6b,17a)로 측판(18)을 위치시켜 나사로 결합하고 바닥판(19)을 결합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3a,14a)와 결합홈(11a,12a,13b,15a)은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형태로 끼워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59642A 2010-06-23 2010-06-23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KR10121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42A KR101216162B1 (ko) 2010-06-23 2010-06-23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42A KR101216162B1 (ko) 2010-06-23 2010-06-23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13A KR20110139513A (ko) 2011-12-29
KR101216162B1 true KR101216162B1 (ko) 2013-01-09

Family

ID=4550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42A KR101216162B1 (ko) 2010-06-23 2010-06-23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3084B (zh) * 2018-05-15 2020-08-18 李励 一种手术刀消毒装置
CN110025805A (zh) * 2019-05-18 2019-07-19 朱长利 一种消化内科临床用的内窥镜消毒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837A (ja) 2000-07-31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乾燥装置
JP2002136449A (ja) 2000-10-31 2002-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手乾燥装置及び手乾燥装置用消毒装置
WO2009130769A1 (ja) 2008-04-23 2009-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837A (ja) 2000-07-31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乾燥装置
JP2002136449A (ja) 2000-10-31 2002-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手乾燥装置及び手乾燥装置用消毒装置
WO2009130769A1 (ja) 2008-04-23 2009-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13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368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KR101730597B1 (ko) 손 세정 장치
KR101216162B1 (ko) 손건조가 빨리 되면서 다양한 크기로 조립되는 손건조기
KR101282610B1 (ko) 휴대폰 살균 및 광고기능이 구비되고 설치가 간편한 세정대
US20090064401A1 (en) Toilet Device With Improved Fragrance Delivery
US20090049587A1 (en) Toilet Device With Cleanser and Fragrance
CN204849964U (zh) 一种便捷式坐便器
US11377833B1 (en) Water conserving toilet disinfectant dispenser
US8079094B2 (en) Public restroom toilet seat sanitizing apparatus
ITMI20100237U1 (it) Dispositivo igienico profumante per apparecchi sanitari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JP4457719B2 (ja) 薬液吐出容器
EP2354332A1 (en) Combination of urinal and hand washing facility
KR100798427B1 (ko) 손 소독기
KR101815319B1 (ko)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KR101228550B1 (ko) 다용도 복합건조기
KR20110095846A (ko) 공기주입식 리필팩
CN111759202A (zh) 一种洗手液机器
KR200328192Y1 (ko) 핸드 드라이어
JP3005932U (ja) 仕切り形小便器
CN205577057U (zh) 带清香剂的挂壁型洁厕块
JPH0749956Y2 (ja) 浴 室
JPH1033405A (ja) 簡易洗浄装置
CN204252233U (zh) 便于盥洗的坐便器
JP3066969U (ja) 洗浄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