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59B1 -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059B1
KR101216059B1 KR1020100082441A KR20100082441A KR101216059B1 KR 101216059 B1 KR101216059 B1 KR 101216059B1 KR 1020100082441 A KR1020100082441 A KR 1020100082441A KR 20100082441 A KR20100082441 A KR 20100082441A KR 101216059 B1 KR101216059 B1 KR 10121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corn
foamed
low
cor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192A (ko
Inventor
권찬태
Original Assignee
권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찬태 filed Critical 권찬태
Priority to KR102010008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0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 옥수수를 완전히 발포시키지 않고 건조된 옥수수의 치밀한 조직과 완전히 발포된 성근옥수수(종래의 발포옥수수)의 중간조직으로 저발포한 팝콘을 얻고 이 팝콘조직에 조직의 손상이나 와해 없이 가미물질(가미액)을 깊히 침투시키므로서 팝콘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The method of adding flavor into semi forming popcorn}
본 발명은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옥수수를 완전히 발포시키지 않고 치밀한 건조옥수수의 조직과 완전히 발포된 성근 옥수수조직의 중간조직으로 저발포한 팝콘을 얻고 이 저발포 팝콘의 조직에 조직의 손상이나 조직의 와해 없이 가미물질을 깊히 침투시키므로서 팝콘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포시킨 옥수수라 함은 옥수수 발포기(튀김기)를 사용해서 발포시키는데 옥수수의 수분함량, 열처리기간 압력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옥수수의 수분함량 12~14%이고 옥수수발포기의 내부압이 12~13기압 범위에서 발포시켜 겉보기 용량으로 옥수수의 14~16배로 팽창발포시킨 팝콘이 통례라 할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군것질로 취식하거나 맛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팝콘표면에 가미물질을 스프레이 코팅한 팝콘이 있다. 이와 같은 팝콘은 팝콘표면에만 가미물질이 도포되어 있어 진한 맛을 기대할 수 없다.
그밖에도 팝콘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미액에 건조 옥수수를 침지시킨 다음 건조하여 발포시킨 팝콘이 있으나 옥수수의 표면조직이 극히 치밀하여 수밀성이나 기밀성이 뛰어나 가미액의 침투율이 낮아 침지한 건조 옥수수를 발포시킨다 하더라도 팝콘에 부여되는 가미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옥수수를 완전히 발포시키지 않은 상태로 발포시킨 저발포 팝콘을 얻고 이 저발포 팝콘조직의 손상이나 와해 없이 저발포 팝콘 조직내에 액상의 가미물질을 깊히 침투시키므로서 팝콘에 다양한 맛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수분함량 8~10%의 옥수수를 발포기에 충전시키고 옥수수 발포기를 가열하고 회전시키면서 옥수수 발포기의 내부압을 상승시키고 내부압 7~10기압 범위에서 발포시켜 저발포 팝콘을 얻는 1단계 공정과,
밀폐된 원통형 용기내부에 저발포 팝콘 일정량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모우터를 작동시켜 감압시킨 후 밀폐용기 하단에 설치된 밸브를 통하여 가미액을 주입시키므로서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의 조직내에 깊히 침투되게 한 상태에서 잉여분의 가미액을 밸브를 통해 회수한 후 즉시 취출하여 고주파 건조기 또는 원적외선 건조기로 건조시키는 발포된 옥수수에 가미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된 가미 저발포 팝콘은 팝콘 본래의 구수한 맛과 가미물질의 맛과 어우러지므로서 식감이 향상된 새로운 맛을 갖는 팝콘을 얻을 수 있으며 가미물질에 따라 다양한 맛을 발현시킬 수 있어 선호될 수 있는 팝콘류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전히 발포되지 않은 팝콘(semi popcorn)조직에 가미액을 침투시켜서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분함량 8~10%의 옥수수를 발포기에 충전시키고 옥수수의 발포기를 가열하고 회전시키면서 옥수수 발포기 내부압을 상승시키고 내부압 7~10기압 범위에서 발포시켜 저발포 팝콘을 얻는 1단계 공정과,
밀폐된 원통형 용기내부에 저발포 팝콘 일정량을 충전시키고 용기내부압을 50~100Torr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밀폐용기의 밸브를 통하여 가미액을 주입시키므로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의 조직내로 깊히 침투되게 한 상태에서 잉여분의 가미액을 회수시키고 즉시 취출하여 고주파 건조기 또는 원적외선 건조기를 건조시키는 2단계 공정으로 구성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완전히 발포된 팝콘이라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옥수수의 수분함량이 12~14%이고 발포시점의 옥수수 발포기의 내부압이 12~13기압 범위에서 발포시켜 팽창률이 14~16배로 발포시킨 팝콘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상의 팝콘(통상의 튀김 강냉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저발포 팝콘이라 함은 본 발명 방법의 1단계의 방법에 의해서 발포된 팝콘을 말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저발포 팝콘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옥수수보다는 조직이 성글고 통상의 팝콘보다는 조직이 치밀하다. 조직의 상태를 겉보기 용량(부피)으로 나타내면, 건조된 옥수수 1ℓ라 하면 발포된 저발포 팝콘은 7~9ℓ로서 통상의 팝콘 14~16ℓ용량에 비해 대략 절반정도의 용량을 갖는다.
저발포 팝콘의 발포배율은 옥수수의 수분함량과 발포시점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옥수수의 수분함량이 지나게 적고 내부압이 낮으면 발포된 팝콘의 발포비율이 낮아지고 조직의 강도가 완전 발포된 팝콘에 비해 강하다.
또한 옥수수의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높고 내부압이 커지면 발포비율이 높아지고 조직이 부드럽긴 하나 조직 강도가 낮아 발포시 팝콘의 파단 및 조각들이 심하게 발생한다.
또 2단계 공정에 있어서, 내부용기를 50~100Torr로 감압시키면 저발포 팝콘 조직내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오면서 저발포 팝콘조직내에 압력도 용기내의 압과 동일하게 감압상태로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밸브를 통해 가미액을 침투시키면 순간적으로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 조직속으로 침투되게 된다. 밸브로 들어오는 가미액은 짧은 시간에 많은량이 들어오는 것이 유리하고 가미액은 저발포 팝콘이 적재된 높이 수준으로 주입되는 것이 유리하며 가미액이 주입되어 침투가 끝나면 측시 취출하여 건조기를 이송하여 건조시켜야된다. 건조의 정도는 전체 수분함량이 5~6%범위로 건조시킨다.
저발포 팝콘에 가미액을 침투시킨 상태에서 건조시키지 않고 오래 방치하면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의 망상과 같은 조직을 와해시키므로서 조직의 뭉침 현상이 일어나고 건조하면 조직이 딱딱해진다 하므로서 가능한한 짧은 시간내에 많은량의 가미액을 주입시켜야하고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조직에 침투되면 즉시 가미액을 회수시키고 가미액이 회수된 팝콘을 즉시 건조공정으로 도입해야한다. 이와 같이 짧은시간에 처리하는 조작과 옥수수를 완전하게 발포시키지 않고 발포율을 낮게 발포하여 발포조직을 보강한 저발포 팝콘을 사용하는 이유도 가미액의 침투시에 저발포 팝콘의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가미액이라 함은 연유, 치즈유화액, 과일쨈의 희석액, 물엿, 설탕액, 염액, 육류의 추출액, 해조류의 추출액, 방향성 식물의 추출액, 약재식물 추출액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가미액으로 사용한다. 가미액의 점도는 0.5~2poise범위의 점도로서 가미액을 사용하고 가미액의 점도가 너무 낮고 침투공정의 시간이 길어지면 저발포 팝콘의 조직을 와해시킬 수 있고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저발포 팝콘의 조직에 가미액의 침투가 쉽지 않다.
또한 1단계 공정을 거친 저발포 팝콘을 가미액에 2분 이내로 침지교반한 후 원심분리기에서 가미액을 탈수하고 건조시킨 팝콘 또한 본 발명에서 얻고져하는 팝콘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침지시간을 오래하거나 탈수처리를 즉시 하지않으면 가미액에 의하여 저발포 팝콘조직이 와해되어 조직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건조하면 조직이 딱딱해진다. 상기 저발포 팝콘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팝콘크기보다 메쉬가 적은 망상의 원통형용기에 저발포 팝콘을 충진하여 침지, 교반, 탈수 및 건조를 행하면 처리작업이 수월해진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명확하게 하고 최종제품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기로 한다.
수분함량 10%의 옥수수 1ℓ(0.76kg)을 옥수수 발포기에 충전시키고 발포기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발포압 10기압에서 발포하여 7.5ℓ의 저발포 팝콘을 얻었다.
7.5ℓ의 저발포 팝콘을 용량 50ℓ의 원통형 밀폐용기에 충전시킨 다음 100Torr로 감압시킨상태에서 밸브를 통해 점도 0.5포이즈인 유자추출액 8ℓ를 주입시켜 저발포 팝콘 조직내에 가미액을 침투시킨 즉시 잔여유자추출액을 회수한다음 저발포 팝콘을 즉시 취출하여 원적외선 건조기로서 수분함량 6%까지 건조시킨 가미된 저발포 팝콘 1.37kg을 얻었다.
실시예(2)과 동일방법으로 실시하되 발포압(발포기 내부압)을 7기압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발포 팝콘 5.5ℓ를 얻을 수 있었고 가미된 저발포 팝콘 1.12kg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1) 및 (2)를 비교하면 실시예(1)의 발포압이 10기압일때 발포된 저발포 팝콘의 용량은 7.5ℓ이고, 실시예(2)의 발포압이 7기압일때 발포된 저발포 팝콘의 용량은 5.5ℓ으로서 발포압이 커지면 발포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1)에서 얻어진 가미된 저발포 팝콘중량이 1.12kg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실시예(1)의 저발포 팝콘의 용량 7.5ℓ가 실시예(2)의 저발포 팝콘의 용량 5.5ℓ보다 많기 때문에 가미액의 포용능력이 커짐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원통 밀폐용기내의 압을 50Torr로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미된 저발포 팝콘 1.44k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저발포 팝콘조직내의 감압상태가 더욱 커지므로서 강한 흡인력에 의해 실시예(1)에서 침투된 가미액보다 많은량의 가미액을 흡인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미액(유자 추출액)의 점도를 1.5poise로 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미된 저발포 팝콘 1.48kg을 얻었다.
가미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저발포 팝콘의 중량이 늘어남을 알 수 있으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저발포 팝콘의 조직속에 가미액이 침투되기 어렵고 더욱 점도가 높으면 저발포 팝콘의 표면에 가미액의 막이 형성되므로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저발포 팝콘을 얻을 수 없다.
상기 실시예를 종합하여 보건데 저발포 팝콘은 발포압력이 높을수록 저발포 팝콘의 발포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고 밀폐용기내에 감압(진공)이 커질수록 저발포 팝콘 조직내에 많은량의 가미액이 침투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점도 0.5~2poise범위 내에서는 점도가 높을수록 침투되는 고형분의 량이 많아져 건조된 가미 저발포 팝콘의 중량이 늘어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가미 저발포 팝콘을 본래 팝콘의 구수한 맛과 가미물질의 맛과 어우러지므로서 식감이 향상된 새로운 맛을 갖는 팝콘을 얻을 수 있으며 가미물질에 따라 다양한 맛을 발현시킬 수 있어 선호될 수 있는 팝콘류의 하나라 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조된 옥수수를 옥수수 발포기에 충전시켜 가열하면서 회전시켜 옥수수 발포기 내부압을 상승시켜 내부압 7~10기압 범위에서 발포시켜 저발포 팝콘을 얻는 1단계 공정과,
    밀폐된 원통형 밀폐용기 내부에 저발포 팝콘 일정량을 충전시키고 용기 내부압을 50~100Torr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밀폐용기의 밸브를 통하여 가미액을 주입시키므로서 가미액이 저발포 팝콘의 조직내로 깊이 침투되게 한 상태에서 잉여분의 가미액을 회수시킨 다음 즉시 취출하여 고주파 건조기 또는 원적외선 건조기를 건조시키는 2단계 공정으로 구성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가미액은 연유, 치즈유화액, 과일쨈의 희석액, 물엿, 설탕, 염액, 육류의 추출액, 해조류 추출액, 방향성식물의 추출액, 식물생약재 추출액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가미액은 점도가 0.5~2poise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옥수수는 수분함량 8~10%인 건조 옥수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KR1020100082441A 2010-08-25 2010-08-25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KR10121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41A KR101216059B1 (ko) 2010-08-25 2010-08-25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41A KR101216059B1 (ko) 2010-08-25 2010-08-25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92A KR20120019192A (ko) 2012-03-06
KR101216059B1 true KR101216059B1 (ko) 2012-12-27

Family

ID=4612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41A KR101216059B1 (ko) 2010-08-25 2010-08-25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586B1 (ko) * 2014-04-10 2014-11-04 농업회사법인 (주) 청성 유자피 가루로 가미된 팝콘 제조방법 및 팝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656A (ja) * 2008-12-10 2010-06-24 Ooki:Kk 低発泡穀物類及び低発泡雑穀類製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656A (ja) * 2008-12-10 2010-06-24 Ooki:Kk 低発泡穀物類及び低発泡雑穀類製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586B1 (ko) * 2014-04-10 2014-11-04 농업회사법인 (주) 청성 유자피 가루로 가미된 팝콘 제조방법 및 팝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92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40189A1 (en) Products with improved foaming properties
CN107637768A (zh) 一种红豆薏米粉的加工方法
JP3766661B2 (ja) チョコレート含有食品の製造方法
KR101216059B1 (ko) 저발포 팝콘에 가미하는 방법
JPS62134048A (ja) 乾燥米の製造方法
CN108323573A (zh) 一种豆浆粉及其制备方法、咸豆浆粉和咸豆浆
RU235326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CN109042883A (zh) 一种果蔬酸奶棒加工方法及果蔬酸奶棒
KR102155505B1 (ko) 동결건조 된장찌개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07558B1 (ko) 바삭한 식감을 갖는 동결건조 홍삼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JP4179480B2 (ja) 飲料の調味料用又はパン若しくは製菓品のデコレーション用味付乾燥果実片の製造方法
RU235322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RU236335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RU235761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JP4090338B2 (ja) 味付乾燥果実片を用いた、飲料の調味料
RU219923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укатов из ягод
RU235758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RU2356478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JPS58216678A (ja) 殻付ピ−ナツの味付方法
RU219922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укатов из ягод
RU21978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укатов из ягод
RU219986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цукатов из ягод
RU2353245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го табака
RU219922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укатов из ягод
JPS63415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