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97B1 -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97B1
KR101215497B1 KR1020100104826A KR20100104826A KR101215497B1 KR 101215497 B1 KR101215497 B1 KR 101215497B1 KR 1020100104826 A KR1020100104826 A KR 1020100104826A KR 20100104826 A KR20100104826 A KR 20100104826A KR 101215497 B1 KR101215497 B1 KR 10121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d
connecting rod
rotating
movable plat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496A (ko
Inventor
구성우
홍윤균
권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97B1/ko
Priority to PCT/KR2011/008029 priority patent/WO2012057520A2/ko
Publication of KR2012004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는, 공기 순환 덕트에 설치되는 가동판, 가동판에 밀착하여 있는 제1 회전 막대, 그리고 가동판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막대의 반대 쪽에 위치하며 제1 회전 막대와 평행하게 가동판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2 회전 막대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막대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2 회전 막대의 중심축은 제1 회전 막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가동판은 제1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고 제2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공기 순환 덕트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한다.

Description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APPRATUS OF CONTROLLING AIR FLOW IN AIR CIRCULATION DUCT AND AIR CIRCULATION SYSTEM INCLDU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방에는 공기조화기 등을 사용하여 차가워지거나 깨끗해진 공기가 공급되며, 이러한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가 덕트(duct)이다.
이러한 덕트는 주 통로로부터 갈라져 방과 연결되는 분지(branch)가 있다. 이 분지에는 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판(damper)이 설치되어 있으며, 분기점에는 공기를 주 통로로부터 분지 쪽으로 유도하는 안내 날개(guide vane)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조절판은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조절판을 일일이 여닫는 일을 맡아야 하므로 번거로운 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조절판을 열거나 닫는 두 가지 기능밖에 없어서 공기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기 어렵다.
분기점에 설치된 종래의 안내 날개는 통상 용접으로 덕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선박의 경우 설계 시의 공기량과 다른 환경에 노출되기 쉬워서 공기량을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쉽게 덕트의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는, 공기 순환 덕트에 설치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에 밀착하여 있는 제1 회전 막대, 그리고 상기 가동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반대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평행하게 상기 가동판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2 회전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 막대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회전 막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동판은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공기 순환 덕트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한다.
상기 공기 흐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연결 막대, 상기 제2 회전 막대와 결합되어 있는 제2 연결 막대,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제2 연결 막대 중 하나를 택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제1 회전 막대는 동일한 축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막대는 상기 제2 회전 막대와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과 상기 제1 연결 막대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그리고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자, 상기 코일,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회전자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회전자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는 각각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상기 제2 회전 막대의 표면은 고무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앞에서 설명한 공기 흐름 장치, 그리고 주 통로와 분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공기 흐름 장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덕트의 분지에 설치되어 상기 분지의 기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압력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가동판과 한 쌍의 회전 막대를 채용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덕트의 주 통로와 분지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덕트 및 공기 흐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회전 막대 및 연결 막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회전자 및 그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연결 막대와 도 4에 도시한 회전자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연결 막대와 회전자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체결 상태에서 제1 회전 막대 및 가동판의 이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연결 막대와 회전자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체결 상태에서 제2 회전 막대 및 가동판의 회전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조절 장치를 공기의 흐름 방향과 양을 연속으로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덕트(200)와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 및 수용칸(400)을 포함한다.
덕트(200)는 주 통로(220) 및 이로부터 갈라진 분지(240)를 포함한다. 주 통로(220)의 벽면과 분지(240)의 벽면이 만나서 이루는 두 개의 모서리 중 한 곳에는 모서리를 따라 긴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칸(400)은 덕트(200)의 바깥, 홈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의 일부를 수용한다. 수용칸(400)은 생략될 수 있다.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는 공기 순환 덕트(200)의 주 통로(220)로부터 분지(240)가 갈라지는 분기점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의 일부는 덕트(200) 모서리의 홈을 통해서 수용칸(400)으로 들어갈 수 있다. 공기는 송풍기 등에 의하여 덕트(200) 내부를 유동하며 분기점에 이르면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에 의하여 분지(240)로 일부 흐르고 분지(240)와 연결된 방으로 유입된다. 덕트(200)의 횡단면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도 1에 도시한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덕트용 공기 흐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회전 막대 및 연결 막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회전자 및 그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연결 막대와 도 4에 도시한 회전자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는 가동판(可動板)(movable plate)(10)과 그 양쪽에 서로 평행하게 밀착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 막대(rolling bar)(20, 30), 그리고 회전 막대(20, 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부재(22, 32, 40, 50, 60)를 포함한다. 가동판(10)은 덕트(200) 모서리의 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덕트(200) 내부와 수용칸(400)을 왕복한다.
도면에서 가동판(10)은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덕트(200) 단면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전 막대(20, 30)는 제1 회전 막대(20) 및 제2 회전 막대(30)를 포함하며, 원 기둥 모양이다. 회전 막대(20, 30)와 가동판(10)의 밀착력을 높여 이들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막대(20, 30)의 표면은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동판(10)은 회전 막대(20, 30)에 밀착되어 회전 막대(20, 3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 또는 회전한다.
회전 막대(20, 30)의 끝에는 연결 막대(22, 32)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 막대(22, 32)의 단면은 대략 원형일 수 있으며, 끝 부분 표면에는 수나사(23, 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 막대(2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연결 막대(22)는 거의 일직선으로 뻗어 있다.
제2 회전 막대(30)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연결 막대(32)는 ㄷ자 모양으로 두 번 꺾여 세 개의 직선 부분, 즉 제1 내지 제3 부분(321, 322, 3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연결 막대(32)의 제1 부분(321)은 제2 회전 막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제2 회전 막대(30)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한다. 제2 부분(322)은 제1 부분(3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제1 연결 막대(22)와 떨어져서 같은 축 상에 놓여 있다. 제3 부분(323)은 제1 부분(321)과 제2 부분(322)을 연결하며, 제1 부분(321) 및 제2 부분(322) 대략 직각을 이룬다. 그러나 제3 부분(323)은 꼭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곡선형일 수도 있다.
제2 연결 막대(32)의 제2 부분(322)과 제1 연결 막대(22)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중심축은 직선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덕트(200)에 고정된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의 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막대(32)의 제1 및 제3 부분(321, 323)은 제2 부분(322)의 회전에 따라 제2 부분(322)의 중심축, 즉 제1 연결 막대(2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가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두 막대(30, 32)가 하나의 강체처럼 일체로 제1 회전 막대(20)의 둘레를 회전하지만, 두 막대(30, 32)가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제2 회전 막대(30)만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뿐 제2 연결 막대(32)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는 제2 연결 막대(32)와 제2 회전 막대(30)를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는 제2 연결 막대(32) 또는 제2 회전 막대(30) 자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연결 막대(32)의 수나사(33)는 제2 부분(32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막대(22)와 제2 연결 막대(32)는 서로 배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막대(22)가 회전하는 동안 제2 연결 막대(32)는 회전하지 않으며, 반대로 제2 연결 막대(32)가 회전하는 동안은 제1 연결 막대(22)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연결 막대(22)와 제2 연결 막대(32) 중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시키는 부재가 바로 회전자(50) 및 그 덮개(40)와 코일(60)이다.
회전자(50)는 영구 자석으로 만들어지며 연결 막대(22, 32)와 결합하는데, 회전자(5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53)와 연결 막대(22, 32)의 수나사(23, 33)가 나사 체결된다. 회전자(50)는 원통 모양의 내부 공간을 가진 회전자 덮개(40) 내에 위치하여 덮개(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연결 막대(22, 32)의 수나사(23, 33) 역시 이 덮개(40) 내부에 위치한다.
이와는 달리 회전자(50)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연결 막대(22, 32)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40) 내에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코일(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6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덮개(40)의 내부 공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자기장은 영구 자석인 회전자(5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덮개(40) 내에서 덮개(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회전자(50)의 이동 방향과 속도는 코일(6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는 회전자(50)와 연결 막대(22, 32)의 체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잠금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막대(20, 30)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연결 막대(22, 32)와 회전자(50) 등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회전 막대(20, 3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제1 연결 막대(22)와 회전자(5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체결 상태에서 제1 회전 막대(20) 및 가동판(10)의 이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연결 막대(32)와 회전자(5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체결 상태에서 제2 회전 막대(30) 및 가동판(10)의 회전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회전자(50)가 제1 연결 막대(22) 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제1 연결 막대(22)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자(50)의 이동 방향은 코일(6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코일(6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는 제어부(70)에서 제어한다.
회전자(50)와 제1 연결 막대(22)의 체결이 완료되면 잠금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이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잠금과 동시에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 사이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렇게 체결된 상태에서 코일(60)에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자(5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연결 막대(22) 및 이에 연결된 제1 회전 막대(20)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자(50)와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어 회전 막대(20, 30)가 가로로 정렬해 있고 가동판(10)이 세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자(50), 제1 연결 막대(22) 및 제1 회전 막대(20)를 반시계 방향(1)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 막대(20)와 가동판(10)의 마찰에 의하여 가동판(10)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고자 한다. 그러면 가동판(10)과 제2 회전 막대(30) 사이의 마찰에 따라 제2 회전 막대(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이때,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회전 막대(30)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자전(自轉)한다. 만일,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2 회전 막대(30)와 제2 연결 막대(32)가 일체로 회전해야 하며 이는 제1 회전 막대(20)의 둘레를 도는 공전(公轉) 운동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되면 결국 가동판(10)도 직선 이동 대신 회전 운동을 하며 이는 의도하는 바가 아니다.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자(50), 제1 연결 막대(22) 및 제1 회전 막대(20)를 시계 방향(2)으로 회전시키면 가동판(10)이 위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회전 막대(30)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동판(10)의 직선 이동을 마치고 나면, 회전자(50)와 제1 연결 막대(22)의 체결을 풀기 위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한 다음, 제어부(70)를 통하여 코일(6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하여 제2 연결 막대(32) 쪽으로 회전자(50)를 이동시켜 제1 연결 막대(22)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코일(60)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은 회전자(50)가 제1 연결 막대(22) 쪽으로 접근할 때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과는 반대이다.
도 9는 회전자(50)가 제2 연결 막대(32) 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제2 연결 막대(32)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2 연결 막대(32)와 제2 회전 막대(30)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코일(60)에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자(5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연결 막대(32)의 제2 부분(322)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연결 막대(32)의 제1 및 제3 부분(321, 323)은 제2 부분(322)의 축, 즉 제1 연결 막대(22) 및 제1 회전 막대(2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연결 막대(32)와 제2 회전 막대(3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 막대(32)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 막대(30)도 제1 회전 막대(2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회전 막대(20, 30)가 세로로 정렬해 있고 가동판(10)이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고 하자.
이 상태에서 회전자(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 막대(30)는 제1 회전 막대(20)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5)으로 회전하며, 이때 제2 회전 막대(30)의 축이 그리는 궤적은 제1 회전 막대(2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된다. 이러한 제2 회전 막대(30)의 회전에 따라 가동판(1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반대로 회전자(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회전 막대(30)는 제1 회전 막대(20)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동판(10)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덕트(200)의 주 통로(220)와 분지(240)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과 양을 연속으로 제어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가동판(10)의 축 방향과 덕트(200)의 주 통로(220) 및 분지(240)의 축 방향이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 막대(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동판(10)을 직선 이동시켜 덕트(200)의 바깥으로 완전히 뺄 수 있으며, 이 경우 덕트(200) 내부에 위치한 가동판(10)의 길이, 즉 가동판(10)의 유효 길이는 0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덕트(200)에 유입된 공기가 분기점에서 주 통로(220)와 분지(240)로 나뉘어 흐르는데 관성으로 인하여 주 통로(220)에 흐르는 양이 분지(240)에 흐르는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고하면, 제1 회전 막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판(10)을 덕트(200)의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동판(10)의 유효 길이는 가동판(10)의 길이 전체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분지(240)에 유입되는 공기량이 주 통로(220)에 흐르는 공기량에 비하여 매우 크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고하면, 제2 회전 막대(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기점에서 가동판(10)이 주 통로(220)를 완전히 막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공기가 분지(240)로만 향하게 된다.
그런 후에, 도 14를 참고하면, 제1 회전 막대(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판(10)의 유효 길이를 줄임으로써 주 통로(220)의 일부만 막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3에서 분지(240)로만 유입되던 공기의 일부가 주 통로(220)로 흐르게 된다.
이후, 도 15를 참고하면, 제2 회전 막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직각만큼 회전시켜 도 14와는 반대로 분기점에서 가동판(10)이 분지(240)의 일부만 막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4와는 반대로 대부분의 공기가 주 통로(220)를 흐르며 일부만 분지(240)로 유입된다.
마지막으로, 도 16을 참고하면, 제1 회전 막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판(10)이 분지(240)를 완전히 막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분지(24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지(240)의 기압을 측정하여 이에 따라 가동판(10)의 각도와 유효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앞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덕트(200),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 및 제어부(70) 외에 압력 감지기(80)를 더 포함한다.
압력 감지기(80)는 분지(2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지(240)의 기압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70)에 제공한다. 제어부(70)는 측정된 압력 값을 속도 값으로 환산한 다음, 이에 따른 공기 흐름 조절 장치(100)의 가동판(10)의 유효 길이와 각도를 계산한다. 이어 제어부(70)는 가동판(10)의 유효 길이와 각도가 계산 값이 될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과 세기를 결정하여 코일(60)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동판(10)과 한 쌍의 회전 막대(20, 30)를 채용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덕트(200)의 주 통로(220)와 분지(240)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가동판
20, 30: 회전 막대
22, 32: 연결 막대
23, 33: 수나사
40: 회전자 덮개
50: 회전자
53: 암나사
60: 코일
70: 제어부
80: 압력 감지기
100: 공기 흐름 조절 장치
200: 덕트
220: 덕트의 주 통로
240: 덕트의 분지

Claims (11)

  1. 공기 순환 덕트에 설치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에 밀착하여 있는 제1 회전 막대, 그리고
    상기 가동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반대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평행하게 상기 가동판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2 회전 막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막대는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회전 막대는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동판은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 회전 막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공기 순환 덕트에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하는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연결 막대,
    상기 제2 회전 막대와 결합되어 있는 제2 연결 막대,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제2 연결 막대 중 하나를 택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제1 회전 막대는 동일한 축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막대는,
    상기 제2 회전 막대와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1 부분,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
    을 포함하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과 상기 제1 연결 막대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 막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그리고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류 코일
    을 포함하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자, 상기 전류 코일,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회전자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와 상기 회전자는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막대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막대는 각각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회전 막대와 상기 제2 회전 막대의 표면은 고무로 덮여 있는 공기 흐름 조절 장치.
  9. 주 통로와 분지를 포함하는 덕트, 그리고
    상기 주 통로와 분지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
    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공기 흐름 장치의 전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분지의 기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압력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0100104826A 2010-10-26 2010-10-26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21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26A KR101215497B1 (ko) 2010-10-26 2010-10-26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PCT/KR2011/008029 WO2012057520A2 (ko) 2010-10-26 2011-10-26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826A KR101215497B1 (ko) 2010-10-26 2010-10-26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96A KR20120043496A (ko) 2012-05-04
KR101215497B1 true KR101215497B1 (ko) 2012-12-26

Family

ID=4599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826A KR101215497B1 (ko) 2010-10-26 2010-10-26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5497B1 (ko)
WO (1) WO20120575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77715B1 (es) * 2014-02-14 2015-01-27 José SERVER PASTOR Dispositivo para ventilación de fachadas de dos hojas con cámara interna de a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5683U (ja) 1981-09-24 1983-03-28 株式会社 寺田製作所 製茶粗揉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45A (ja) * 1993-06-24 1995-01-13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KR960029731A (ko) * 1995-01-28 1996-08-17 김태구 3웨이(Way) 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5683U (ja) 1981-09-24 1983-03-28 株式会社 寺田製作所 製茶粗揉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520A2 (ko) 2012-05-03
KR20120043496A (ko) 2012-05-04
WO2012057520A3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97B1 (ko) 공기 순환 덕트의 공기 흐름 조절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
CN110056956B (zh) 一种送风机构及空调器
KR20180065398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580468B1 (ko) 공동주택 벽체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JP2014234936A (ja) 送風装置
JP6321159B2 (ja) 撓み動作伝動装置、内視鏡曲げコントローラ、及び内視鏡
CN107489777B (zh) 用于风道的风量调节阀、变风量末端以及空调系统
CN108317611B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220049863A (ko)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WO2016136168A1 (ja) 駆動装置
JP2009257604A (ja) 空気調和機
CN108361854A (zh) 叶片调节机构和空气循环器
JP20131707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7235792U (zh) 室内机及空调器
KR20150004617U (ko)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CN110375428A (zh) 一种风道节流装置及空调系统
KR101790279B1 (ko) 동력장치
KR200480856Y1 (ko) 저소음 댐퍼
JPH08282244A (ja) 空気通路切換装置
CN117083491A (zh) 用于定位调节膜的组件、空气管道构件和空气管道
JP6375848B2 (ja) 駆動装置
EP3517852B1 (en)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s
CN207741212U (zh) 一种导风门结构以及空调器
CN110878963B (zh) 多层导风结构、空调器及其出风控制方法
CN108050684A (zh) 一种空调导风装置以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