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96B1 -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96B1
KR101215496B1 KR1020100118729A KR20100118729A KR101215496B1 KR 101215496 B1 KR101215496 B1 KR 101215496B1 KR 1020100118729 A KR1020100118729 A KR 1020100118729A KR 20100118729 A KR20100118729 A KR 20100118729A KR 101215496 B1 KR101215496 B1 KR 10121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rain
ship
drain hole
refrige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132A (ko
Inventor
강민환
조원득
김판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Abstract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가 개시된다.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는, 선박의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에 형성된 드레인 홀과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 트랩과, 드레인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와, 실링부에 압입되어 상기 드레인 홀을 밀폐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DRAIN STRUCTURE FOR COOLING CHAMBER OF SHIP}
본 발명은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냉동 챔버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활용 가능한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바, 냉동실 등이 챔버(chamber) 형태의 컴팩트한 공간으로 설치된다.
선박에 설치되는 냉동 챔버의 내부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응축수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냉동 챔버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냉동 챔버의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 트랩에 의해 냉동 챔버의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 트랩은 냉동 챔버의 바닥면에 리벳 결합으로 설치된다. 즉, 배수 트랩을 냉동 챔버의 바닥면 내부에 위치시키고,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리벳으로 배수 트랩을 바닥면에 고정한다.
그러나, 배수 트랩을 리벳을 이용해 설치할 경우 리벳 체결 공구와 설비간의 간섭으로 설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배수 트랩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 트랩을 개폐하는 마개부에 의해 리벳 결합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냉동 챔버 유닛의 내부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 트랩을 냉동 챔버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에 형성된 드레인 홀과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 트랩과, 드레인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와, 실링부에 압입되어 상기 드레인 홀을 밀폐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바닥면은, 스틸 소재의 제1 플로어와, 제1 플로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플로어와, 제1 플로어와 제2 플로어 사이에 설치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배수 트랩은 제1 플로어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제1 플로어에 용접되며, 배수 트랩의 돌출된 선단은 제2 플로어 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실링부는 배수 트랩의 선단과 제2 플로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실링부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제1 플로어와 제2 플로어에서, 제1 플로어는 제2 플로어 보다 드레인 홀 중심부 방향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충진재는, 제2 플로어의 가장자리에서 제1 플로어 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을 이루도록 제1 플로어와 제2 플로어 사이에서 충진되는 제1 충진물과, 제1 충진물과 접한 상태에서 제2 플로어 보다 더 돌출된 부분의 제1 플로어의 상측으로 충진되며, 제1 충진물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충진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에 배수 트랩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냉동 챔버 유닛으로부터 유체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설치된 상태를 냉동 챔버의 바닥면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일부분을 잘라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이 제1 플로어 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수 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설치된 상태를 냉동 챔버의 바닥면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의 일부분을 잘라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100)는, 선박의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11)에 형성된 드레인 홀(13)과 연통되어 유체(15)를 배출하는 배수 트랩(110)과, 드레인 홀(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120)와, 실링부(120)에 압입되어 드레인 홀(13)을 밀폐하는 마개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냉동 챔버 유닛은 선박에 설치되는 냉동고 등에 예시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선박에 사용되는 냉동 챔버 유닛에만 한정되지 않고 밀폐된 공간에서 특정의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하는 임의의 챔버 유닛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11)은 스틸 소재의 제1 플로어(11a)와, 제1 플로어(11a)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플로어(11b)와,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 사이에 설치되는 충진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드레인 홀(13)은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 및 충진재(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드레인 홀(13)에는 배수 트랩(110)이 설치되어 냉동 챔버 유닛에서 발생하는 유체(15)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이 제1 플로어 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배수 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트랩(110)은 드레인 홀(13)에 삽입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113)와, 필터부(113)에 결합되어 하우징(111)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부(115)와, 하우징(111)에 내재된 유체(15)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117)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제1 플로어(11a)에 용접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11)은 제1 플로어(11a)의 상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1)이 제1 플로어(11a)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은, 제2 플로어(11b)와 제1 플로어(11a)의 사이에 하우징(111)의 선단(111a)이 위치하고, 이 하우징(111)의 선단과 제2 플로어(11b)를 실링부(120)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실링부(12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하우징(111)은 원형의 드레인 홀(13)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 내부에는 필터부(113)가 설치된다. 참조번호 111b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돌출되어 필터부(113)가 안착되는 걸림부이다.
필터부(113)는 하우징(111)의 선단(111a)에서 그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마개부(140)의 삽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필터부(113)는 다수의 통공(113a)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13)는 드레인 홀(13)을 통해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15)의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격부(115)는 필터부(113)에 상측이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1)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부(115)는 드레인 파이프(117) 방향으로 개구된 반원형 또는 대접(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격부(115)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레인 파이프(117) 방향으로 개구된 원기둥 형상도 가능하다. 격부(115)와 필터부(113)의 고정은, 격부(115)에서 돌출된 부분(115a)이 필터부(113)에 압입 결합되거나, 돌출된 부분(115a)이 필터부(113)에 용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격부(115)는 복수의 구획 공간의 형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내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격부(115)의 중앙 부분에는 드레인 파이프(117)의 단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걸림부(111b)에 의해 드레인 파이프(117)이 단부와 격부(115)가 이격된다. 따라서, 격부(115)는 하우징(111) 내부를 복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에 유체(15)의 일부가 잔존하게 하여 악취가 냉동 챔버 유닛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11)의 선단과 제2 플로어(11b) 사이에는 실링부(120)가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20)는 하우징(111)의 선단(111a)과, 제2 플로어(11b)와, 충진재(130) 사이를 경사면(121)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연결한다.
실링부(120)의 경사면(121)의 형성을 위해,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는 드레인 홀(13)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로어(11a) 및 제2 플로어(11b)의 돌출된 길이를 다르게 하는 것을 설명하면, 제1 플로어(11a)의 가장자리는 드레인 홀(13) 위치에서 제2 플로어(11b)의 가장자리 보다 드레인 홀(13) 중심부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제1 플로어(11a)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되게 돌출된 하우징(111)의 선단(111a)과 제2 플로어(11b)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실링부(120)가 경사지게 도포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우징(111)의 돌출된 선단(111a)의 높이는 제2 플로어(11b)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링부(120)는 하우징(111)의 돌출된 선단(111a)과 제2 플로어(11b)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120)는 실리콘 소재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는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 사이 공간에는 충진재(130)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rm)이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130)는 냉동 챔버 유닛의 내부 단열의 목적으로 충진될 수 있으며, 제1 플로어(11a)와 제2 플로어(11b) 사이에서 제1 충진물(131)과 제2 충진물(133)로 충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충진물(131)은 제2 플로어(11b)의 가장자리에서 제1 플로어(11a) 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을 이루도록 충진된다. 그리고 제2 충진물(133)은 제1 충진물(131)에 접한 상태에서 제1 플로어(11a)의 돌출된 부분의 상측으로 형성된다. 제2 충진물(133)의 충진된 높이는 제1 충진물(131)의 높이보다 낮게 도포된다. 이와 같이, 제1 충진물(131)과 제2 충진물(133)의 충진된 높이를 다르게 하는 것은 실링부(120)의 도포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실링부(120)는 제1 충진물(131)과 제2 충진물(133)의 높이가 다른 단차 부분에서 경사면(121)을 형성하도록 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충진물(131)과 제2 충진물(133)이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충진물(133)은 실링부(1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제1 충진물(131)에 비교하여 더욱 강성(强性)을 가지는 소재로 충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링부(120)에는 마개부(140)가 결합된다.
마개부(140)는 실링부(120)에 압입되어, 드레인 홀(13)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마개부(140)는 하우징(1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실링부(120)에 압입되는 방향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140)는 실링부(120)에 압입 결합을 위해 탄성소재, 이를 테면 고무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홀(13)을 통해 유체(15)를 배출할 경우에는 마개부(140)를 드레인 홀(13)로부터 제거하고, 드레인 홀(13)을 통해 유체(15)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개부(140)를 드레인 홀(13)에 압입하여 이물질이 드레인 홀(13)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1...바닥면 11a..제1 플로어
11b..제2 플로어 13...드레인 홀
110...배수 트랩 111...하우징
113...필터부 115...격부
117...드레인 파이프 120...실링부
121...경사면 130...충진재
131...제1 충진물 133...제2 충진물
140...마개부

Claims (6)

  1. 선박의 냉동 챔버 유닛의 바닥면에 형성된 드레인 홀과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 트랩;
    상기 드레인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압입되어 상기 드레인 홀을 밀폐하는 마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스틸 소재의 제1 플로어와,
    상기 제1 플로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플로어와,
    상기 제2 플로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플로어 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 플로어와 상기 제2 플로어 사이에서 충진되는 제1 충진물과, 상기 제1 충진물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로어 보다 더 돌출된 부분의 상기 제1 플로어의 상측으로 충진되며, 상기 제1 충진물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충진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플로어와 상기 제2 플로어 사이에 설치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트랩은 상기 제1 플로어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로어에 용접되며, 상기 배수 트랩의 돌출된 선단은 상기 제2 플로어 보다 낮은 높이인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배수 트랩의 선단과 상기 제2 플로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1 플로어와 상기 제2 플로어에서,
    상기 제1 플로어는 상기 제2 플로어 보다 상기 드레인 홀 중심부 방향으로 더 돌출하는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6. 삭제
KR1020100118729A 2010-11-26 2010-11-26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KR10121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29A KR101215496B1 (ko) 2010-11-26 2010-11-26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29A KR101215496B1 (ko) 2010-11-26 2010-11-26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32A KR20120057132A (ko) 2012-06-05
KR101215496B1 true KR101215496B1 (ko) 2012-12-26

Family

ID=4660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29A KR101215496B1 (ko) 2010-11-26 2010-11-26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95B1 (ko) * 2018-08-17 2020-10-30 주식회사 피앤비 도어외측 배수차단벽과 배수부를 갖는 배수처리장치용 연장수트형 덤프트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465Y2 (ja) * 1992-07-03 1998-02-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排水口トラ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465Y2 (ja) * 1992-07-03 1998-02-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排水口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32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830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нтажа на стенке, задняя сторона которой покрыта пеноматериалом, и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таким элементом
US20090229297A1 (en) Plenum on front of refrigerator/freezer door
TWI449874B (zh) refrigerator
EP1731860A2 (en) Refrigerator
RU2374574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устройством слива воды
KR101461964B1 (ko) 냉장고용 드레인 파이프
KR101215496B1 (ko) 선박 냉동 챔버의 배수 구조체
US20180172339A1 (en) Domestic appliance apparatus, domestic appli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omestic appliance apparatus
KR20080103279A (ko) 포집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3042338A2 (en) Refrigerator
US10495372B2 (en) Refrigerator
CN103080673B (zh) 制冷器具、尤其是家用制冷器具
WO2018066101A1 (ja) 冷蔵庫
CN102483284B (zh) 包括由通道封闭装置封闭的除霜水通道的致冷装置
JP3389077B2 (ja) 冷蔵庫
RU2006106207A (ru) Ледогенератор
KR102095234B1 (ko) 배수 트랩
CN110940141B (zh) 具有内嵌部件的制冷器具
CN106196821B (zh) 制冷器具
JP3783725B1 (ja) 冷蔵庫
JP4893318B2 (ja) 冷蔵庫
JP2008151389A (ja) 冷蔵庫
KR100299369B1 (ko) 냉장고
JP2006250488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2006250487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