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57B1 -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57B1
KR101215457B1 KR1020120050859A KR20120050859A KR101215457B1 KR 101215457 B1 KR101215457 B1 KR 101215457B1 KR 1020120050859 A KR1020120050859 A KR 1020120050859A KR 20120050859 A KR20120050859 A KR 20120050859A KR 101215457 B1 KR101215457 B1 KR 10121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 exchanger
tank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석
Original Assignee
공경석
주식회사 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경석, 주식회사 대일 filed Critical 공경석
Priority to KR102012005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와 냉매증발기로 구성된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양식수조로 공급되는 사육수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한편, 양식수조에서 버려지는 폐사육수의 폐열 또는 외부의 공기열원을 냉매의 증발 또는 응축열원으로 사용토록 한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배관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의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된 1차 응축열교환기와 열교환이 가능한 축열조를 추가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축열수를 부화조와 배양조 또는 공조기기 등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축열조와 연계된 보일러를 축열수의 보조가열수단으로 설치함으로서, 하나의 히트펌프장치만으로도 2~3가지 종류의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시켜 어류의 양식과 치어의 부화와 사료의 배양 및 양식장 실내의 냉,난방과 결로 제거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부화조나 배양조와 같은 지수식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수온유지와 양어장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별도의 보일러나 냉난방기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양어장의 운용이 가능토록 한 획기적이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방식의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Multipurpose heat-pump system for a fish farm}
본 발명은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배관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의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된 1차 응축열교환기와 열교환이 가능한 축열조를 양식수조와 별도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축열수를 부화조와 배양조 또는 공조기기 등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축열조와 연계된 보일러를 축열수의 보조가열수단으로 설치함으로서, 하나의 히트펌프장치만으로도 2~3가지 종류의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시켜 어류의 양식과 치어의 부화와 사료의 배양 및 양식장 실내의 냉,난방과 결로 제거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나 갑각류 등의 종묘배양장에서는 부화된 어린 치어들의 성장속도에 맞추어 수조와 주위환경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어류나 갑각류 등은 그 부화초기에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사육수를 교환하는 유수식(流水式) 양식수조에서는 어린 치어를 사육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사육수를 교환하는 유수식 양식수조에서는 물살에 의한 스트레스로 말미암아 어린 치어들이 병들거나 죽게 됨은 물론이고, 유영능력이 극히 미약한 어린 치어들이 물살의 흐름에 휩쓸려 수조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일정량의 사육수를 저장시킨 지수식(止水式) 수조로서의 부화조나 배양조에서 20~25℃의 온도조건으로 20~30일간 사육시켜 어느 정도의 크기로 성장시킨 다음, 유수식 으로 사육하게 된다.
또한, 산란을 위한 어류의 어미수조와 갑각류의 모패 관리수조는 어종에 따라 소용량이지만 고온수를 요구하며, 산란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 개월 이전부터 가온을 하여 산란시기를 조절해야 하므로, 이런 경우 별도의 사육수가 필요하지만 대용량의 히트펌프장치를 작동시켜 직수로 공급하기보다는 경제적인 축열조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측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수식 수조인 부화조나 배양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온도를 20~ 25℃의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해당 수조의 바닥에 XL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 또는 티타늄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열교환라인을 설치한 다음, 이 열교환라인을 온수보일러와 연결시킴으로서, 온수보일러에서 가열된 65~75℃ 정도의 온수를 열교환라인을 통하여 해당 수조로 유동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온수보일러에서 가열된 65~75℃의 고온수에 의한 직접적인 가온방식을 적용시키게 되면, 수조의 바닥부에 설치된 열교환라인용 파이프 주변의 온도가 50~60℃ 정도로 매우 높게 되고, 수조에서 사육되는 어린 치어는 수온과 주위환경에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열교환라인용 파이프 주변으로 근접한 어린 치어들이 파이프 주변의 50~60℃의 높은 온도로 인하여 화상을 입거나 기형이 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병들어 죽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외부온도가 +5℃에서 -20℃의 영하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육상수조의 보온을 위하여 양어장에 비닐하우스 등을 설치하게 되는 바, 비닐하우스의 실내온도가 사육수의 증발온도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실내온도의 상승에 빼앗긴 열량만큼 보일러에서 추가적인 가열이 이루어져야 되고, 수조로부터 증발된 사육수의 수분이 외부의 차가운 날씨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실내천정에 물방울 형태로 맺혀 있다가 5~8m 아래의 수조로 다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은 어린 치어들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이 됨은 물론이고, 물방울이 떨어진 주변에 있던 어린 치어가 충격으로 인하여 죽거나 기형으로 변하게 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온풍난방기를 비닐하우스에 비치하여 실내와 천정측으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서, 실내의 온도를 높여서 사육수조의 수온 하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의 결로(結露: 이슬맺힘)를 방지토록 하고 있다.
한편, 양어장에서는 부화조나 배양조와 같은 지수식 수조와 함께 어류의 사육을 위한 유수식, 또는 지수식과 유수식 겸용의 양식수조가 설비되어 있고, 유수식 양식수조로 공급되는 사육수의 온도 역시 겨울철에는 가열을 통하여, 여름철에는 냉각을 통하여 20~25℃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사육수의 온도조절을 위하여 히트펌프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해수가열기)와 팽창밸브와 증발열교환기(해수냉각기)를 냉매배관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해수열원이나 공기열원을 냉매의 증발 또는 응축열원으로 사용토록 한 공지의 장치이며, 유류비용의 10% 수준에 해당하는 적은 비용만으로도 20~25℃의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치가 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응축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사육수를 양식수조로 공급시키고, 여름철에는 증발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사육수를 양식수조로 공급시키는 배관 및 유로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대신에, 삼방밸브나 사방밸브를 이용하여 응축열교환기와 증발열교환기로의 냉매유동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도록 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장치 역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어장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히트펌프장치는 우수한 경제적,환경적 잇점에도 불구하고, 양어장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20~25℃의 사육수로 조성하여 양식수조로 공급시키는 데에만 국한되어 사용되었고, 산란을 위한 어류의 어미사육수조나 갑각류의 모패수조 또는 부화조나 배양조 등의 열교환 파이프로 온수를 공급하여 해당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를 가온시키거나, 양어장의 실내온도를 높이는 등의 용도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여름철 냉방의 차원에서도 이와 동일한 상황이 유발되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히트펌프장치와 함께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온수보일러나 난방온풍기 또는 냉방기 등을 양어장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양어장의 설비에 따른 전체적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은 물론이고, 양어장의 운영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유발시키는 한편, 사육수의 온도유지와 양어장의 냉,난방에 투입되는 비용에도 불구하고 어린 치어가 수조내의 급격한 온도변화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기형이 되거나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8558호(공고일자: 2011년 06월 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17941호(공개일자: 2011년 02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배관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의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된 1차 응축열교환기와 열교환이 가능한 축열조를 양식수조와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축열수를 부화조와 배양조 또는 공조기기 등으로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축열조와 연계된 보일러를 축열수의 보조가열수단으로 설치함으로서, 하나의 히트펌프장치만으로도 2~3가지 종류의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시켜 어류의 양식과 치어의 부화와 사료의 배양 및 양식장 실내의 냉,난방과 결로(結露: 이슬맺힘)제거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이 가능한 획기적이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방식의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냉매증발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히트펌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장치의 응축열교환기에는 원수공급관과 사육수공급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매증발기는 열원수를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증발열교환기 또는 공기열원을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대기열교환기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는 양어장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와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상에 1차 응축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1차 응축열교환기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순환배관에 의하여 축열조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컴프레셔와 1차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으로부터 바이패스관이 연장되는 한편, 상기 바이패스관이 1차 응축열교환기와 응축열교환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 및 1차 응축열교환기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냉매배관에는 밸브기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축열조는 분배펌프가 구비된 공급관과 회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순환배관에 의하여 양어장의 축열사용처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축열조가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순환배관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의 응축열교환기 및 1차 응축열교환기와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편, 원수공급관과 사육수공급관과 순환배관에 유로조정용 밸브기구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히트펌프장치로서 유로전환밸브를 이용하여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의 유동경로를 응축열교환기 또는 증발열교환기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삼방이나 사방밸브의 전환없는 냉각이나 가온에도 가능하다.
삭제
이와 더불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축열조에 저장된 축열수를 가열시키는 보일러가 추가로 포함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보일러는 보일러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에 의하여 축열조와 직접 연결 설치되거나, 또는 밸브기구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에 의하여 축열조의 순환배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축열조와 축열사용처를 연결하는 순환배관의 회수관은 순환펌프와 축열조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축열조용 순환배관의 공급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축열사용처는 지수식 수조인 부화조 및 배양조와 송풍팬이 장착된 공조기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이에 추가적으로 먹이배양조와 어류의 어미사육수조와 갑각류의 모패수조가 포함되며, 상기 부화조와 배양조와 공조기기 및 어미사육수조와 모패수조의 내부에는 축열공급용 배관라인이 열교환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바, 보다 더 세부적으로는, 상기 축열조와 축열사용처를 연결하는 순환배관의 공급관에 분배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밸브기구를 구비하는 다수 개의 공급라인이 연장되어 부화조와 배양조와 공조기기 및 어미사육수조와 모패수조측으로 분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공급라인이 부화조와 배양조와 공조기기 및 어미사육수조와 모패수조의 내부에서 열교환라인과 공조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라인과 공조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수라인이 회수기 및 회수관을 거쳐 축열조용 순환배관의 공급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히트펌프장치만으로도 2~3가지 종류의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시켜 어류의 양식과 치어의 부화와 사료의 배양 및 양식장 실내의 냉,난방과 결로(結露: 이슬맺힘)제거 뿐만 아니라, 어류의 어미사육수조나 갑각류의 모패수조 가온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부화조나 배양조와 같은 지수식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수온유지와 양어장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별도의 보일러나 냉난방기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양어장의 운용이 가능한 획기적이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유수식 수조인 양식수조로 20~25℃의 사육수를 공급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던 기존의 히트펌프장치를, 어류의 어미사육수조 또는 갑각류의 모패수조에서 산란유도를 위한 90~120일 간의 가온 및 지수식 수조에서 어린 치어를 부화 및 생장시키는 20~30일 정도의 기간에도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를 가온시킬 수 있고, 어린 치어의 생장과정에 맞추어 지수식이 끝난 이후에 유수식으로 사육환경이 바뀌거나, 다른 수조에서 또 다른 부화를 시작하여 20~25℃의 사육수와 고온의 난방용 온수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지수식 수조의 가온을 위한 45~55℃의 가온용 온수와 유수식 수조에 공급할 20~25℃의 사육수를 동시에 생산할수 있는 한편,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기구를 조작하여 또 다른 부화조와 냉,난방용 공조기기 등으로 축열수를 공급시키는 방식으로, 양어장의 전반적인 운용을 하나의 히트펌프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응축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가 완충보온탱크로서의 축열조를 거쳐 지수식 수조에 설치된 열교환라인으로 공급됨으로서, 어린 치어의 생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간접적인 저온가열방식을 적용하여 어린 치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원활한 생장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지수식 수조에서의 사육수 증발 및 결로에 따른 악영향 역시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치어단계로부터 성체단계에 이르기까지 각종 어류를 질병이나 기형없이 최고의 상품으로 사육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고온수용 열교환기로서의 1차 응축열교환기를 축열조와 연계시켜 설치함에 따라, 최적의 사료로서 새우의 일종인 알테미아(Artemia)나 식물성,동물성 플랑크톤의 배양에 사용되는 먹이배양조용 온수 또한 충분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양식에 필요한 각종 사료 또한 유류보일러 등과 같은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 절감장치인 히트펌프로 배양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어장의 운용에 따른 비용을 한층 더 절감시키고 양식어류를 보다 더 건강하게 사육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요부 발췌 배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의 요부 발췌 배관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와 팽창밸브(5)와 증발열교환기(3)가 냉매배관(4)으로 연결된 히트펌프장치(10)를 기초로 하여 구축되는 것이며, 상기 응축열교환기(2)에서는 사육수를 가열시키고, 증발열교환기(3)에서는 양식수조(7)로부터 버려지는 폐수(사육수)의 폐열을 냉매의 증발열원으로 회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이 양어장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증발열교환기(3)에 사용되는 열원수(熱源水)를 폐사육수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지하수나 자연해수와 같이 냉매의 증발열원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열원수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도 2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열원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열원을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대기열교환기(3a)를 냉매증발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응축열교환기(2)에는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육수공급관(12)이 양식수조(7)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양식수조(7)에서 사용된 후 드레인배관(7a)을 통하여 배출된 사육수는 집수조(8)에 저장되고, 상기 집수조(8)로부터 배출펌프(13a)를 거쳐 연장되는 열원수공급관(13)이 증발열교환기(3)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증발열교환기(3)로부터는 열원수배출관(14)이 연장된다.
또한, 취수원으로부터 양어장으로 펌핑되는 원수(原水)를 열원수(폐사육수)와 1차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열회수기(9)가 히트펌프장치(10)의 이전 위치에서 원수공급관(11) 및 열원수공급관(13)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수공급관(11)으로부터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분기관(11a)이 연장되어 폐열회수기(9)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열원수공급관(13)과 연결 설치됨으로서, 종묘배양장에서 어린 치어의 부화나 생육을 목적으로 사육수의 수량이 적게 사용되어 폐수의 배출량이 부족한 경우, 냉매의 증발열원을 원수로서 보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구성은 각종 양어장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열원을 회수하는 대기열교환기(3a)를 설치하는 한편, 폐열회수기(9)나 분기관(11a) 및 열원수공급관(13)을 설치하지 않고 집수조(8)에 드레인배관(8a)을 설치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방식으로 양식수조(7)와 집수조(8) 및 배관구조가 히트펌프장치(10)와 함께 설비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는 히트펌프장치(10)와 연계되는 축열조(15)를 양식수조(7)와 별도로 설치하여,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히트펌프장치(10)로 순환시켜 축열수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한편,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양어장에 사용되는 각종 축열사용처(20)로 분배 및 회수토록 한 것이며, 그 이외에 양식수조(7)와 집수조(8) 및 폐열회수기(9)가 히트펌프장치(10)와 함께 설비되는 나머지 구성은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을 의미한다.
또한,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와 팽창밸브(5)와 증발열교환기(3)가 냉매배관(4)으로 연결된 일반적인 히트펌프장치(10)가 적용될 수도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등의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여 컴프레셔(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의 유동경로를 응축열교환기(2) 또는 증발열교환기(3)로 조정시키도록 하거나, 동절기시 증발열교환기(3) 또는 대기열교환기(3a)로 핫가스를 공급시켜 제상(除霜: 서리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장치(1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응축열교환기(2)에서 사육수와 축열수를 가열하는 방식이 되고, 후자의 경우는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열교환기(2)를 필요시 증발열교환기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응축열교환기(2)에서 사육수와 축열수의 가열과 냉각이 모두 가능한 방식이 되며, 이러한 히트펌프장치(10)의 종류 역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순환펌프(16)가 구비된 순환배관(17)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와 연계되는 축열조(15)가 적용된 것이며, 상기 순환배관(17)은 축열조(15)로부터 연장되어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공급관(17a)과 회수관(17b)이 된다.
상기 순환펌프(16)는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순환배관(17)용 공급관(17a)을 원수공급관(11)에 연결시키고, 순환배관(17)용 회수관(17b)을 사육수공급관(12)에 연결시키는 것이 사육수와 축열수의 원활한 유동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방식이 된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17)을 이루는 공급관(17a)과 회수관(17b) 및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에는 유로조정용 밸브기구(V)가 설치되는 바, 원수 및 사육수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원수공급관(11)에 설치되는 밸브기구(V)의 위치는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이 연결되기 이전 위치가 되고, 사육수공급관(12)에 설치되는 밸브기구(V)의 위치는 순환배관(17)의 회수관(17b)이 연결된 부분을 지난 위치가 된다.
상기 축열조(15)는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수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외부와의 단열처리가 이루어진 밀폐형 보온탱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축열수는 담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열조(15)의 상단에는 축열수의 보충을 위하여 밸브기구(V)가 구비된 보충수공급관(15a)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축열조(15)는 분배펌프(18)가 구비된 공급관(19a)과 회수관(19b)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순환배관(19)에 의하여 양어장의 축열사용처(20)와 연결 설치되는 바, 상기 축열사용처(20)의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지수식 수조인 부화조(21) 및 배양조(22)와, 송풍팬(24)이 장착된 공조기기(23)가 되며, 상기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의 내부에는 축열공급용 배관라인이 열교환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축열사용처(20) 이외에도 양어장의 기능이나 목적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의 축열사용처(20)가 존재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모든 축열사용처(20)에서 활용한 다음 이를 축열조(15)로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축열수의 분배와 열교환 및 회수에 적합한 배관라인을 추가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열조(15)와 축열사용처(20)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9)의 공급관(19a)에는 축열수의 분배기(25)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기(25)로부터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다수 개의 공급라인(27)이 축열사용처(20)의 개수에 맞추어 분기된 다음,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 등의 해당 축열사용처(20)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공급라인(27)이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 등의 내부에서 열교환라인(21a)(22a)과 공조라인(23a)을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라인(21a)(22a)과 공조라인(23a)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수라인(28)이 축열수의 통합식 회수기(26)를 거쳐 순환배관(19)의 회수관(19b)과 다시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공급라인(27)과 회수라인(28) 및 각각의 열교환라인(21a)(22a)과 공조라인(23a)은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XL파이프나 스테인레스 파이프 또는 티타늄 파이프 등을 이용한 배관라인으로 구축되며, 상기 공조기기(23)는 공조라인(23a)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냉기를 송풍팬(24)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장소,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의 실내나 천정으로 송풍시킬 수 있는 팬코일형 냉온풍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25)는 각각의 축열 사용처(20)로 축열수가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회수기(26)는 축열조(15)로 일괄 회수되는 축열수의 완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중앙집중식 냉난방설비에 널리 적용되는 공지의 부품이며, 각각의 축열사용처(20)로 축열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축열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은 공급라인(27)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급라인(27)에 설치된 밸브기구(V)의 조작은 수동으로도 수행이 가능하고, 축열조(15)와 부화조(21)와 배양조(22) 및 실내에 온도센서 등을 설치하여,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된 값을 CPU에서 연산처리토록 한 다음, 이와 같이 처리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밸브기구(V)의 개폐작동 및 개방조작(유량조절)을 자동제어방식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상에 고온수의 조성을 위한 1차 응축열교환기(2a)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축열조(15)는 순환펌프(16)가 구비된 순환배관(17)에 의하여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연결 설치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을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에서는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에서의 사육수 가열과 1차 응축열교환기(2a)에서의 축열수 가열이 서로 분리되어 수행되므로 축열조(15)와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7)과 원수공급관(11) 및 사육수공급관(12)에 유로조정을 위한 밸브기구는 설치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1차 응축열교환기(2a)는 컴프레셔(1)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에 설치되어 축열수의 고온 가열에만 주로 사용되므로, 도 3에서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장치를 도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히트펌프장치(10)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1차 응축열교환기(2a)는 고온냉매가스와 축열수의 열교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열교환기를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하지만, 판형열교환기 또는 쉘엔튜브(Shell & Tube)형 열교환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제 3실시예의 경우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로전환밸브(6)를 적용시킴으로서, 유로전환밸브(6)의 조작에 의하여 1차 응축열교환기(2a)에서는 온수를 생산하고, 응축열교환기(2)에서는 냉수를 생산토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1차 응축열교환기(2a)는 유로전환밸브(6)의 이전에 설치되어 가열전용으로 사용되고, 응축열교환기(2)는 유로전환밸브(6)의 이후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컴프레셔(1)와 1차 응축열교환기(2a)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으로부터 바이패스관(4a)이 연장되고, 상기 바이패스관(4a)이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응축열교환기(2)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관(4a) 및 1차 응축열교환기(2a)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에는 밸브기구(V)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바이패스관(4a)을 적용시키게 되면,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컴프레셔(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핫가스)를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거치지 않고 응축열교환기(2)로 직접 유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밸브기구(V)는 자동제어식 전동밸브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축열조(15)가 순환펌프(16)를 구비하는 순환배관(17)에 의하여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 및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편,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과 순환배관(17)에 유로조정용 밸브기구(V)가 설치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4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도 3에 도시된 제 3실시예의 구성을 합리적으로 병용하여 각 실시예가 가지는 장점 즉, 냉,온수 겸용과 고온수 활용을 동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제 4실시예 에서도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는 히트펌프장치(10)가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응축열교환기(2a)는 유로전환밸브(6)에 의한 냉매유동경로의 전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온수의 가열에 이용되며, 상기 바이패스관(4a)은 컴프레셔(1)와 1차 응축열교환기(2a)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으로부터 연장된 다음,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유로전환밸브(6)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과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유로조정용 밸브기구(V)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순환배관(17)을 이루는 공급관(17a)과 회수관(17b)마다 밸브기구(V)가 설치되는 한편, 원수 및 사육수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원수공급관(11)에 설치되는 밸브기구(V)의 위치는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이 연결되기 이전 위치가 되고, 사육수공급관(12)에 설치되는 밸브기구(V)의 위치는 순환배관(17)의 회수관(17b)이 연결된 부분을 지난 위치가 된다.
도 5 및 도 6은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가열시키는 보일러(30)가 추가로 포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에서는 상기 보일러(30)가 보일러 순환펌프(31)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32)에 의하여 축열조(15)와 직접 연결 설치되어 있고, 도 6에서는 상기 보일러(30)가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32)에 의하여 축열조(15)의 순환배관(17)과 연결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하면, 축열조(15)용 순환배관(17)의 회수관(17b)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밸브기구(V)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보일러 순환배관(32)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편, 해당 밸브기구(V)의 입구측과 연결된 보일러 순환배관(32)에 보일러(30)를 통한 축열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밸브기구(V)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보일러(30)에 의하여 가열시키도록 축열조(15)용 순환배관(17)과 연계되는 보일러 순환배관(32)은 도 6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도 각 실시예별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배관라인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상기 보일러(30)를 축열사용처(20)용 순환배관(19)과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일러(30)는 히트펌프장치(10)의 고장이나 오작동시 또는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2a)에서의 가열량이 부족할 경우,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가열시키거나 부족한 열량만큼을 추가로 보충하는 축열수의 보조가열수단이 되며, 축열조(15)에 설치된 상기 보충수공급관(15a)에는 플로팅스위치(Floating switch)를 구비하는 수위밸브(15b)가 적용되어 있고, 축열조(15)의 하단에는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29)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열조(15)와 축열사용처(20)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9)의 회수관(19b)이 순환펌프(16)와 축열조(15)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축열조(15)용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적용례로 하였다.
즉, 축열조(15)에 저장된 45~55℃의 고온수가 축열사용처(20)를 거쳐 약 30℃ 정도의 저온수로 회수되는 것을 히트펌프장치(10)로 직접 보냄으로서, 응축열교환기(2)(2a)에서의 냉매응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컴프레셔(1)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히트펌프장치(10)의 가동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사육의 초기단계, 즉 어린 치어의 부화 및 생장단계에서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 순환배관(17)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개방시키는 한편, 원수공급관(11) 및 사육수공급관(12)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잠근 상태에서 컴프레셔(1)와 순환펌프(16)를 가동시키고, 도 3에서는 별도의 밸브조작없이 컴프레셔(1)와 순환펌프(16)만을 가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축열조(15)로부터 공급관(17a)을 거쳐 배출된 축열수가 응축열교환기(2) 및/또는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거쳐 가열된 다음 회수관(17b)을 통하여 축열조(15)에 다시 저장되며,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는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여 응축열교환기(2)에서 축열수의 냉각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축열교환기(2) 및/또는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거쳐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분배펌프(18)와 공급라인(27)을 이용하여 축열사용처(20)로 공급시키게 되면, 유수식 수조인 양식수조(7)에서 어류를 사육하지 않는 기간, 즉 어류의 어미사육수조 또는 갑각류의 모패수조에서 산란유도를 위한 90~120일 간의 가온 및 지수식 수조인 부화조(21)나 배양조(22)에서 어린 치어를 부화 및 생장시키는 20~30일 정도의 기간에도 히트펌프장치(10)를 이용하여 해당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를 20~25℃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송풍팬(24)이 장착된 공조기기(23)를 사용하여 겨울철 난방과 여름철 냉방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린 치어의 생장과정에 맞추어 지수식 수조와 유수식 수조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 원수공급관(11) 및 사육수공급관(12)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미도시된 원수펌프를 가동시키고, 도 3에서는 별도의 밸브조작없이 원수펌프만을 추가로 가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응축열교환기(2)(2a)를 이용하여 사육수와 축열수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는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여 응축열교환기(2)에서 사육수와 축열수의 냉각 또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사육기간이 경과하여 모든 어류를 유수식 양식수조(7)에서 사육시키는 경우에는, 순환배관(17)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잠그고 순환펌프(16) 및 분배펌프(18)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고, 축열조(15)로부터 치어의 부화조(21)와 배양조(22)로 축열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27)의 밸브기구(V)만을 잠금으로서, 나머지 축열사용처(20), 즉 사료의 배양조나 공조기기(23) 등은 가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수식이 끝난 이후에 유수식으로 사육환경이 바뀌거나, 다른 수조에서 또 다른 부화를 시작하여 20~25℃의 사육수와 45~55℃의 난방용 온수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지수식 수조와 유수식 수조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한편,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기구(V)를 조작하여 또 다른 부화조와 냉,난방용 공조기기 등으로 축열수를 공급시키는 것과 같이, 양어장의 전반적인 운용을 하나의 히트펌프장치(10)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응축열교환기(2) 및/또는 1차 응축열교환기(2a)에서 가열된 온수가 완충보온탱크로서의 축열조(15)를 거쳐 부화조(21)와 배양조(22)에 설치된 열교환라인(21a)(22a)으로 공급됨으로서, 어린 치어의 생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간접적인 저온가열방식을 적용하여 어린 치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원활한 생장을 도모할 수 있고, 사육수의 과도한 증발 및 대량 결로에 따른 악영향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치어단계로부터 성체단계에 이르기까지 각종 어류를 질병이나 기형없이 최고의 상품으로 사육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고온수용 열교환기로서의 1차 응축열교환기(2a)를 축열조(15)와 연계시켜 설치한 경우에는, 최적의 사료로서 새우의 일종인 알테미아(Artemia)나 식물성,동물성 플랑크톤의 배양에 사용되는 먹이배양조용 온수 또한 충분하게 공급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식에 필요한 각종 사료 또한 유류보일러 등과 같은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 절감장치인 히트펌프로 양어장내에서 자체적으로 배양하여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어장의 운용에 따른 비용을 한층 더 절감시키고 양식어류를 보다 더 건강하게 사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히트펌프장치(10)만으로도 2~3가지 종류의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시켜 어류의 양식과 치어의 부화와 사료의 배양 및 양식장 실내의 냉,난방과 결로 제거 뿐만 아니라, 어류의 어미사육수조나 갑각류의 모패수조 가온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화조(21)나 배양조(22)와 같은 지수식 수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수온유지와 양어장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별도의 보일러나 냉난방기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양어장의 운용이 가능한 획기적이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방식의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어류의 어미사육수조와 갑각류의 모패수조 및 먹이배양조를 별도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각각의 수조는 부화조(21)나 배양조(22)로 대별될 수 있고, 어류의 어미사육수조와 갑각류의 모패수조 및 먹이배양조에 저장된 사육수의 가온방식 또한 부화조(21)나 배양조(22)의 열교환라인(21a)(22a)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면 무방하며, 이러한 축열사용처(20)의 적용방식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축열사용처(20)별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히트펌프장치(10)를 이루는 냉동싸이클의 필수요소로서 컴프레셔(1)와, 냉매배관(4)이 형성하는 응축기 및 증발기 부분과, 팽창밸브(5)만을 도시하였으나, 냉동싸이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2단 압축기(컴프레셔)의 적용을 포함하여, 컴프레셔(1)용 진동감쇄기, 리시버탱크(Receiver tank: 수액기), 드라이필터(Dry filter), 유수분리기,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축압기)와 같이 냉동싸이클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부품이 히트펌프장치(10)에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컴프레셔 2 : 응축열교환기 2a : 1차 응축열교환기
3 : 증발열교환기 3a : 대기열교환기 4 : 냉매배관
4a : 바이패스관 5 : 팽창밸브 6 : 유로전환밸브
7 : 양식수조 7a,8a,29 : 드레인배관 8 : 집수조
9 : 폐열회수기 10 : 히트펌프장치 11 : 원수공급관
11a : 분기관 12 : 사육수공급관 13 : 열원수공급관
13a : 배출펌프 14 : 열원수배출관 15 : 축열조
15a : 보충수공급관 15b : 수위밸브 16 : 순환펌프
17,19 : 순환배관 17a,19a : 공급관 17b,19b : 회수관
18 : 분배펌프 20 : 축열사용처 21 : 부화조
21a,22a : 열교환라인 22 : 배양조 23 : 공조기기
23a : 공조라인 24 : 송풍팬 25 : 분배기
26 : 회수기 27 : 공급라인 28 : 회수라인
30 : 보일러 31 : 보일러 순환펌프 32 : 보일러 순환배관
100 :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V : 밸브기구

Claims (9)

  1. 삭제
  2.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와 팽창밸브(5)와 냉매증발기가 냉매배관(4)으로 연결된 히트펌프장치(10)가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에는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매증발기는 열원수를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증발열교환기(3) 또는 공기열원을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대기열교환기(3a)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는 양어장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상에 설치되는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순환펌프(16)가 구비된 순환배관(17)에 의하여 상기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연결 설치되는 축열조(15)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컴프레셔(1)와 1차 응축열교환기(2a)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으로부터 바이패스관(4a)이 연장되는 한편, 상기 바이패스관(4a)이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응축열교환기(2)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4a) 및 1차 응축열교환기(2a)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에는 밸브기구(V)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축열조(15)는 분배펌프(18)가 구비된 공급관(19a)과 회수관(19b)으로 이루어지는 순환배관(19)에 의하여 양어장의 축열사용처(2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3.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와 팽창밸브(5)와 냉매증발기가 냉매배관(4)으로 연결된 히트펌프장치(10)가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장치(10)의 응축열교환기(2)에는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매증발기는 열원수를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증발열교환기(3) 또는 공기열원을 냉매증발에 이용하는 대기열교환기(3a)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는 양어장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컴프레셔(1)와 응축열교환기(2)의 사이에 해당하는 냉매배관(4)상에 설치되는 1차 응축열교환기(2a)와, 순환펌프(16)가 구비된 순환배관(17)에 의하여 각각의 응축열교환기(2)(2a)와 연계되는 축열조(15)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순환배관(17)은, 축열조(15)로부터 연장되어 원수공급관(11)과 1차 응축열교환기(2a)에 연결 설치되는 공급관(17a)과, 축열조(15)로부터 연장되어 사육수공급관(12)과 1차 응축열교환기(2a)에 연결 설치되는 회수관(17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수공급관(11)과 사육수공급관(12)과 순환배관(17)에는 유로조정용 밸브기구(V)가 설치되며,
    상기 축열조(15)는 분배펌프(18)가 구비된 공급관(19a)과 회수관(19b)으로 이루어지는 순환배관(19)에 의하여 양어장의 축열사용처(2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장치(10)는 유로전환밸브(6)를 이용하여 컴프레셔(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의 유동경로를 응축열교환기(2) 또는 냉매증발기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한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장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축열조(15)에 저장된 축열수를 가열시키는 보일러(30)가 추가로 포함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보일러(30)는 보일러 순환펌프(31)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32)에 의하여 축열조(15)와 직접 연결 설치되거나, 또는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보일러 순환배관(32)에 의하여 축열조(15)의 순환배관(17)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5)와 축열사용처(20)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9)의 회수관(19b)은 순환펌프(16)와 축열조(15)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축열조(15)용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사용처(20)는 지수식(止水式) 수조인 부화조(21) 및 배양조(22)와, 송풍팬(24)이 장착된 공조기기(2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의 내부에는 축열공급용 배관라인이 열교환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5)와 축열사용처(20)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9)의 공급관(19a)에는 분배기(25)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기(25)로부터 밸브기구(V)를 구비하는 다수 개의 공급라인(27)이 연장되어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측으로 분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공급라인(27)이 부화조(21)와 배양조(22)와 공조기기(23)의 내부에서 열교환라인(21a)(22a)과 공조라인(23a)을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라인(21a) (22a)과 공조라인(23a)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수라인(28)이 회수기(26)를 거쳐 순환배관(19)의 회수관(19b)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19)의 회수관(19b)은 순환펌프(16)와 축열조(15)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축열조(15)용 순환배관(17)의 공급관(17a)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120050859A 2012-05-14 2012-05-14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KR10121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59A KR101215457B1 (ko) 2012-05-14 2012-05-14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59A KR101215457B1 (ko) 2012-05-14 2012-05-14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57B1 true KR101215457B1 (ko) 2013-01-09

Family

ID=4784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59A KR101215457B1 (ko) 2012-05-14 2012-05-14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687B1 (ko) 2015-03-03 2015-08-11 주식회사 금성 열교환수조를 이용한 활 갑각류 보관용 수조설비 시스템
CN108812282A (zh) * 2018-07-05 2018-11-16 曹伯良 鱼菜共生系统的恒温系统
CN110583560A (zh) * 2019-09-18 2019-12-20 上海海事大学 一种调节水体温度的太阳能无人船及其调节方法
KR20200067268A (ko) * 2018-12-03 2020-06-12 지두환 냉,온수성 어종양식 동시사육용 자연순환식 냉,온수 열교환시스템
KR20210012688A (ko) * 2019-07-26 2021-02-03 서석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양식장
KR200495679Y1 (ko) * 2021-09-13 2022-07-21 최광연 실지렁이 축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747A (ja) 2002-04-02 2003-10-14 Marino Forum 21 養殖水槽の水温調整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養殖水槽システム
KR100653238B1 (ko) 2006-04-28 2006-12-04 (주)일진기건 히트펌프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양어장용 열회수 가온 장치
JP2010041979A (ja) 2008-08-18 2010-02-25 Hachiyo Engneering Kk 養鰻池保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747A (ja) 2002-04-02 2003-10-14 Marino Forum 21 養殖水槽の水温調整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養殖水槽システム
KR100653238B1 (ko) 2006-04-28 2006-12-04 (주)일진기건 히트펌프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양어장용 열회수 가온 장치
JP2010041979A (ja) 2008-08-18 2010-02-25 Hachiyo Engneering Kk 養鰻池保温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687B1 (ko) 2015-03-03 2015-08-11 주식회사 금성 열교환수조를 이용한 활 갑각류 보관용 수조설비 시스템
WO2016140517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금성 열교환수조를 이용한 활 갑각류 보관용 수조설비 시스템
CN108812282A (zh) * 2018-07-05 2018-11-16 曹伯良 鱼菜共生系统的恒温系统
KR20200067268A (ko) * 2018-12-03 2020-06-12 지두환 냉,온수성 어종양식 동시사육용 자연순환식 냉,온수 열교환시스템
KR102146834B1 (ko) 2018-12-03 2020-08-31 지두환 냉,온수성 어종양식 동시사육용 자연순환식 냉,온수 열교환시스템
KR20210012688A (ko) * 2019-07-26 2021-02-03 서석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양식장
KR102283880B1 (ko) * 2019-07-26 2021-07-29 서석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양식장
CN110583560A (zh) * 2019-09-18 2019-12-20 上海海事大学 一种调节水体温度的太阳能无人船及其调节方法
KR200495679Y1 (ko) * 2021-09-13 2022-07-21 최광연 실지렁이 축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57B1 (ko)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NL2000253C2 (nl) Samenstel van tuinbouwinrichting en veeteeltinrichting.
KR20090021213A (ko) 바이오-재생가능한 열에너지 가열 및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790015B1 (ko) 축사 냉난방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시스템
CN203563558U (zh) 恒温水族箱及恒温系统
JP2011147384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システム
KR101348922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시설하우스 냉난방 재배 시스템
CN103931442A (zh) 太阳能耦合空气能温室苗床水循环智能控温系统
KR20120137743A (ko) 냉난방시스템에서의 잉여열 활용장치
CN201135060Y (zh) 利用太阳能控温的蔬菜大棚
US5967085A (en) Sea water well-driven heat exchange system coupled to an agricultural system and aquaculture preserve
KR101203104B1 (ko)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KR101073362B1 (ko) 느타리버섯 재배사용 냉,난방장치
KR20070008194A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CN201263354Y (zh) 生态循环养殖系统
KR101543687B1 (ko) 열교환수조를 이용한 활 갑각류 보관용 수조설비 시스템
KR101870286B1 (ko) 어류 및 식물의 고효율 재배 장치
JP6547199B1 (ja) 栽培施設用冷暖房装置
CN203985463U (zh) 一种产房母猪分娩舍降温及加热系统
KR101996274B1 (ko) 창고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KR101551650B1 (ko) 저수열을 이용한 냉각장치와 열 공급 장치의 동시 열교환 시스템
KR20060092448A (ko)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양장의 냉난방시스템
CN204065865U (zh) 一机多温多控海鲜恒温机
CN112088780A (zh) 一种应用地源热泵技术的养猪场温湿度自动调节系统
KR20130058820A (ko) 하우스의 잉여열 및 히트펌프를 이용한 지중가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