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40B1 -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40B1
KR100877140B1 KR1020070124578A KR20070124578A KR100877140B1 KR 100877140 B1 KR100877140 B1 KR 100877140B1 KR 1020070124578 A KR1020070124578 A KR 1020070124578A KR 20070124578 A KR20070124578 A KR 20070124578A KR 100877140 B1 KR100877140 B1 KR 10087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ho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규
Original Assignee
김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규 filed Critical 김만규
Priority to KR102007012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공급되는 냉온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으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를 형성하고, 냉온수조의 하부 타측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형성하며, 냉온수조의 일측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을 형성한 냉온수공급부와, 상기 냉온수공급부의 냉온수공급관을 교환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굴곡된 교환배관의 일측의 냉온수공급구에 연결하고, 교환배관의 외측으로 교환몸체에 고정되어 냉온기를 방사하는 냉온기방사판을 형성한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교환몸체를 복수로 삽입 설치하도록 교환공간을 구비한 교환몸체의 일측으로 흡기팬이 구비된 공기공급구를 형성하고, 교환몸체의 타측으로 냉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를 형성한 냉온교환부와, 상기 냉온교환부의 냉온기공급구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풍공급관를 형성하고, 냉온풍공급관에 복수의 통공으로 냉온풍공급공을 형성하여 냉온풍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냉온풍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24578
냉온수공급부, 냉온수조, 열교환부, 냉온풍공급부

Description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hot and cool 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화훼,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이나 가금류, 소 및 돼지 등의 사육시설에 청정한 온풍 및 냉풍을 공급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면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훼,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이나 가금류, 소 및 돼지 등의 사육시설에서 재배되거나 사육되는 동식물은 그 조건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생장 속도가 빨라지고, 병충해나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과 같은 혹한이나 여름의 폭염으로 외부에서 재배하거나 사육할 수 있는 조건의 동 식물이 작아 일정한 비닐하우스나 사육장과 같은 시설물을 건립한 상태로 재배 및 사육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시설물은 냉방과 난방을 실시하여 기후 변화에 따른 생장조건의 악화를 막아 동물이 폐사하거나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향상하고, 우리나라에 기후조건에서 생장 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재배 및 사육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동식물을 재배 또는 사육하는 시설물의 난방과 냉방은 분리되어 난방기와 냉방기를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함에 따라 시설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시설물의 냉풍을 공급하는 냉방기는 필터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고 외기로 뜨거운 바람을 보내면서 내부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에어컨 형태를 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필터에 이물질이 발생하면 냉각되는 공기가 오염되어 동 식물의 생장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필터에 유해균이 증식하게 되면 동식물이 폐사함에 따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필터의 청소 및 소독을 실시하고 장시간이 지나면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시설물의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와 같은 가열수단으로 공기를 가열한 상태로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데, 지속적으로 가열된 공기의 공급으로 인해 공기가 탁해져서 폐사율과 고사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설물의 온풍을 공급 시에 가열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혼입하게 되면 온풍에 혼합된 유해가스가 동식물을 폐사 및 고사시키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가스발생이 많은 석탄이나 목재보다 가스발생이 적지만 고가인 석유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을 냉온수조에 구비하여 냉각수와 온수를 열교환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기에 공기를 흡기팬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및 가열시키면서 냉온풍공급공을 복수로 구비한 냉온풍공급관에 공급시켜 외부공기를 가열 냉각하여 공급함으로써, 외기의 공기를 이용함에 따라 내부 공기가 순환되어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고, 냉각과 가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냉온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으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를 형성하고, 냉온수조의 하부 타측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형성하며, 냉온수조의 일측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을 형성한 냉온수공급부와, 상기 냉온수공급부의 냉온수공급관을 교환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굴곡된 교환배관의 일측의 냉온수공급구에 연결하고, 교환배관의 외측으로 교환몸체에 고정되어 냉온기를 방사하는 냉온기방사판을 형성한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교환몸체를 복수로 삽입 설치하도록 교환공간을 구비한 교환몸체의 일측으로 흡기팬이 구비된 공기공급구를 형성하고, 교환몸체의 타측으로 냉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를 형성한 냉온교환부와, 상기 냉온교환부의 냉온기공급구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풍공급관를 형성하고, 냉온풍공급관에 복수의 통공으로 냉온풍공급공을 형성하여 냉온풍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냉온풍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온수공급부의 냉온수조 타측으로 형성한 순환유입관을 열교환 부의 교환배관의 타측으로 열교환된 냉온수를 배출하는 순환배출구에 연결하여 열교환된 냉온수를 순환하도록 순환배출구를 통해서 순환유입관으로 냉온수조에 회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온교환부는 교환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가압하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가압공간을 구비하고, 가압공간의 가압 공급 측으로 공급팬을 형성하여 흡기팬으로 공급된 공기가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가압되면서 공급팬의 공급압력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을 냉온수조에 구비하여 냉각수와 온수를 열교환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기에 공기를 흡기팬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및 가열시키면서 냉온풍공급공을 복수로 구비한 냉온풍공급관에 공급시켜 외부공기를 가열 냉각하여 공급함으로써, 외기의 공기를 이용함에 따라 내부 공기가 순환되어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고, 냉각와 가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온수공급부에 냉온수조에 수납한 물을 난방이 필요할 경우에는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로 냉방이 필요할 경우에는 냉각수단으로 가열 및 냉각하여 열교환부로 온수와 냉각수를 공급하고 , 열교환부가 복수로 구비된 교환몸체의 흡기팬으로 공급된 외기를 간접적으로 가열 및 냉각한 상태로 냉온풍공급공이 구비된 냉온풍공급관으로 공급시켜 시설물에 간접으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가열 및 냉각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최소화하여 신선한 공기를 난방 및 냉방에 공급시킴에 따라 공기정화에 따른 필터교환의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조의 하부에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냉각수단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물을 냉각 및 가열을 일체로 실시함에 따라 가열과 냉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장치의 크기를 축소하며, 사계절로 기온의 변화가 많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용이하게 온도를 조절하여 동식물의 생장이 유익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온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냉온수를 교환배관에 연결하여 순환하면서 외측에 구비된 냉온기방사판으로 냉기와 온기를 방사하고, 냉온교환부의 일측에 구비된 흡기팬으로 흡기된 외기를 방사되는 냉기와 온기로 냉각 및 가열한 상태로 공급함에 따라 열교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온수공급부에서 가열 및 냉각된 온수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부를 복수로 교환몸체에 구비하고 교환몸체의 일측으로 흡기팬을 구비하며, 교환몸체의 타측으로 면적이 축소되어 흡기팬으로 흡기된 외기를 열교환부를 거쳐서 가열 및 냉각된 공기를 가압시키는 가압공간을 통해서 냉온풍공급부로 공급시킴에 따라 온풍 및 냉풍의 공급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냉온수조의 물을 가열 및 냉각하여 열교환부에서 외기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풍과 온풍을 공급시킴에 따라 간접적으로 가열 및 냉각함에 있어, 냉각과 가열 시에 발생되는 가스와 이물질이 냉풍과 온풍에 직접적으로 혼입되지 않음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여 시설물의 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외기를 기온에 따라 냉각, 가열 또는 현상을 유지하면서 공급함에 따라 시설물의 환기와 동시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동식물이 생장하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의 주요부분인 공기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물을 공급하여 냉온수조(11) 내부에서 냉각과 가열을 실시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부(10)와, 상기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조(11)에 연결되어 공급된 냉온수가 교환몸체(21) 내부에 교환배관(22)을 순환하면 열과 냉기를 교환하도록 형 성한 열교환부(20)와, 상기 열교환부(20)가 복수로 삽입되어 발산되는 냉기와 온기를 일측에서 흡기팬(34)으로 흡입된 공기로 냉각 및 가열하여 공급하는 냉온교환부 (30)와, 상기 냉온교환부(30)에서 발생된 냉온기를 냉온풍 공급장소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냉온풍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냉온수공급부(10)는 물이 공급되는 냉온수조(11)의 하부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13)으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12)를 형성하고, 냉온수조(11)의 하부 타측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4)을 형성하며, 냉온수조(11)의 일측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열교환부(20)는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공급관(15)을 교환몸체(21)의 내부에 복수로 굴곡된 교환배관(22)의 일측의 냉온수공급구(24)에 연결하고, 교환배관(22)의 외측으로 교환몸체(21)에 고정되어 냉온기를 방사하는 냉온기방사판 (2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런,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조(11) 타측으로 형성한 순환유입관(16)을 열교환부(20)의 교환배관(22)의 타측으로 열교환된 냉온수를 배출하는 순환배출구 (25)에 연결하여 열교환된 냉온수를 순환하도록 순환배출구(25)를 통해서 순환유입관(16)으로 냉온수조(11)에 회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교환부(30)는 열교환부(20)의 교환몸체(21)를 복수로 삽입 설치하도록 교환공간(32)을 구비한 교환몸체(21)의 일측으로 흡기팬(34)이 구비된 공기공급구(33)를 형성하고, 교환몸체(21)의 타측으로 냉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 (3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런, 냉온교환부(30)는 교환공간(32)을 통과한 냉온기를 가압하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가압공간(35)을 구비하고, 가압공간(35)의 가압 공급 측으로 공급팬(37)을 형성하여 흡기팬(34)으로 공급된 공기가 열교환부(20)를 통과하여 가압되면서 공급팬(37)의 공급압력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풍공급부(40)는 냉온교환부(30)의 냉온기공급구(36)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풍공급관(41)를 형성하고, 냉온풍공급관(41)에 복수의 통공으로 냉온풍공급공(42)을 형성하여 냉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겨울철에 하훼, 가금류, 돼지 및 소를 재배 또는 사육하는 시설물의 난방을 실시할 때에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1)의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조 (11) 하부 일측으로 구비된 온수가열수단(13)을 작동하여 가열하는 온수보일러(12)로 냉온수조(11)에 공급된 물을 가열한다.
상기 온수가열수단(13)은 온풍을 직접적으로 공급하지 않고 냉온수조(11)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가열수단(13)에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온풍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고연비의 값이 비싼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경제적인 효과를 증대한다.
상기와 같은, 냉온수조(11)의 온수를 냉온수공급관(15)을 통해서 열교환부 (20)의 교환몸체(21) 내부에 형성된 교환배관(22)의 냉온수공급관(15)으로 공급시키면 교환몸체(21)의 외측에 형성된 냉온기방사판(23)으로 온수의 온기가 방사되도 록 한다.
이런, 교환배관(22)의 타측으로 순환배출구(25)를 통해서 열교환된 온수를 배출하면 냉온수조(11)에 설치된 순환유입관(16)으로 회수하여 순환하면서 가열 순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온기가 방사되는 열교환부(20)를 교환몸체(21)의 교환공간(32)에 복수로 설치한 상태에서 교환몸체(21)의 일측으로 형성된 흡기팬(34)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교환배관(22)의 온수에서 발생되어 냉온기방사판(23)으로 방사되는 온기로 흡입된 외기를 가열한 상태로 타측에 면적이 축소되는 가압공간(35)에서 가압되면서 공급팬(37)의 공급압력으로 냉온기공급구(36)로 연결된 냉온풍공급부 (40)로 가열된 온풍을 공급시킨다.
이런, 냉온교환부(30)는 내부에 공급되는 압력에 따라 냉온풍공급부(40)에 복수로 설치되어 내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전체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에 냉온풍공급부(40)로 공급되는 온풍은 시설물의 내측으로 설치된 냉온풍공급관(41)의 온풍을 공급하면 냉온풍공급관(41)에 복수로 형성된 냉온풍공급공 (42)을 통해서 온풍을 공급시켜 청정한 외기를 가열하여 공급시킴에 따라 시설물 내의 동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장치(1)를 여름철에 냉풍을 공급 시에는 냉온수조(11)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 냉각수단(14)으로 물을 냉각시켜 형성한 냉각수를 열교환부(20)에 공급하면서 흡기팬(34)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가압공간(35)을 통해서 냉온풍공급부(40)로 공급하여 시설물 내에 냉풍을 공급시킴에 따라 시설물 내의 동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장치(1)를 봄, 가을과 같이 냉온풍 공급 없이 적정온도의 외기가 형성되면, 시설물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청정화하기 위해서 냉온수공급부(10)와 열교환부(20)의 작동없이 냉온교환부(30)의 흡기팬(34)을 작동시켜 발생한 흡입력을 가압공간(35)에서 가압하여 냉온풍공급부(40)를 통하여 공급시킴에 따라 환기장치가 필요없이 시설물의 내부의 환기를 실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는 온수와 냉수를 열교환부(20)에 공급시켜 흡기팬(34)으로 흡기되는 외기를 가열 및 냉각한 상태로 공급함에 따라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 공기오염을 최소화하고, 냉각와 가열을 냉온수공급부 (10)에서 일체로 실시하여 시설에 확대에 따른 비용을 축소하며 환기장치 역할을 제공함에 따라 환기장치 없이도 내부 환기를 실시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의 주요부분인 공기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장치 10 : 냉온수공급부
11 : 냉온수조 12 : 온수보일러
13 : 온수가열수단 14 : 냉각수단
15 : 냉온수공급관 16 : 순환유입관
20 : 열교환부 21 : 교환몸체
22 : 교환배관 23 : 냉온기방사판
24 : 냉온수공급구 25 : 순환배출구
30 : 냉온교환부 31 : 교환몸체
32 : 교환공간 33 : 공기공급구
34 : 흡기팬 35 : 가압공간
36 : 냉온기공급구 37 : 공급팬
40 : 냉온풍공급부 41 : 냉온풍공급관
42 : 냉온풍공급공

Claims (3)

  1. 물이 공급되는 냉온수조(11)의 하부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13)으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12)를 형성하고, 냉온수조(11)의 하부 타측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4)을 형성하며, 냉온수조(11)의 일측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15)을 형성한 냉온수공급부(10)와,
    상기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공급관(15)을 교환몸체(21)의 내부에 복수로 굴곡된 교환배관(22)의 일측의 냉온수공급구(24)에 연결하고, 교환배관(22)의 외측으로 교환몸체(21)에 고정되어 냉온기를 방사하는 냉온기방사판(23)을 형성한 열교환부(20)와,
    상기 열교환부(20)의 교환몸체(21)를 복수로 삽입 설치하도록 교환공간(32)을 구비한 교환몸체(21)의 일측으로 흡기팬(34)이 구비된 공기공급구(33)를 형성하고, 교환몸체(21)의 타측으로 냉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36)를 형성한 냉온교환부(30)와,
    상기 냉온교환부(30)의 냉온기공급구(36)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풍공급관(41)를 형성하고, 냉온풍공급관(41)에 복수의 통공으로 냉온풍공급공 (42)을 형성하여 냉온풍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냉온풍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조(11) 타측으로 형성한 순환유입관(16)을 열교환부(20)의 교환배관(22)의 타측으로 열교환된 냉온수를 배출하는 순환배출구 (25)에 연결하여 열교환된 냉온수를 순환하도록 순환배출구(25)를 통해서 순환유입관(16)으로 냉온수조(11)에 회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교환부(30)는 교환공간(32)을 통과한 냉온기를 가압하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가압공간(35)을 구비하고, 가압공간(35)의 가압 공급 측으로 공급팬(37)을 형성하여 흡기팬(34)으로 공급된 공기가 열교환부(20)를 통과하여 가압되면서 공급팬(37)의 공급압력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KR1020070124578A 2007-12-03 2007-12-03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KR10087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78A KR100877140B1 (ko) 2007-12-03 2007-12-03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78A KR100877140B1 (ko) 2007-12-03 2007-12-03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140B1 true KR100877140B1 (ko) 2009-01-07

Family

ID=4048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578A KR100877140B1 (ko) 2007-12-03 2007-12-03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839A (ko) 2014-04-22 2015-10-30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CN108684533A (zh) * 2018-03-29 2018-10-23 冯忠 一种升温炉
KR102513141B1 (ko) 2022-06-22 2023-03-2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바우어에너지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7036U (ko) * 1975-01-04 1976-07-13
KR200207892Y1 (ko) * 2000-07-22 2000-12-15 김용원 비닐하우스의 냉,온방장치
KR20010040228A (ko) * 2000-12-21 2001-05-15 장윤섭 시설하우스의 냉난방 장치
KR200231809Y1 (ko) * 2001-01-18 2001-07-19 최춘식 농업용 냉 온풍 공급 시스템
KR200404661Y1 (ko) * 2005-09-26 2005-12-27 조규만 시설하우스 난방장치
KR20070008194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20070065276A (ko) * 2007-05-10 2007-06-22 김승용 듀얼 타입 산업용 폐열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7036U (ko) * 1975-01-04 1976-07-13
KR200207892Y1 (ko) * 2000-07-22 2000-12-15 김용원 비닐하우스의 냉,온방장치
KR20010040228A (ko) * 2000-12-21 2001-05-15 장윤섭 시설하우스의 냉난방 장치
KR200231809Y1 (ko) * 2001-01-18 2001-07-19 최춘식 농업용 냉 온풍 공급 시스템
KR20070008194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200404661Y1 (ko) * 2005-09-26 2005-12-27 조규만 시설하우스 난방장치
KR20070065276A (ko) * 2007-05-10 2007-06-22 김승용 듀얼 타입 산업용 폐열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839A (ko) 2014-04-22 2015-10-30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CN108684533A (zh) * 2018-03-29 2018-10-23 冯忠 一种升温炉
CN108684533B (zh) * 2018-03-29 2021-12-10 冯忠 一种升温炉
KR102513141B1 (ko) 2022-06-22 2023-03-2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바우어에너지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3952A1 (en) Thermal conductive cooling method and system for livestock farm operations
KR101876955B1 (ko) 가금류용 공조시스템
KR100877140B1 (ko)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KR20220020797A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스마트팜의 냉난방 시스템
KR101215457B1 (ko) 양어장용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KR20190050403A (ko) 축사용 가축 더위 스트레스 경감 시스템
KR20100067156A (ko) 온실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열교환 시스템
CN211153198U (zh) 一种用于禽类养殖环境的自动控温装置
KR100934094B1 (ko) 온실용 공기온도 조절장치
JP6548338B2 (ja) 家畜舎システム
KR100753200B1 (ko) 농축산용 냉난방 장치
KR20100112885A (ko) 축사용 냉난방장치
KR101012675B1 (ko) 양만장 내부의 용존산소량 및 실온 보정장치
KR101096672B1 (ko) 냉/난방장치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KR102002703B1 (ko) 수냉식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축사 환기 시스템
CN211983169U (zh) 一种具有温度控制装置的猪舍
KR200278789Y1 (ko) 축사용 난방 및 공조시스템
KR101203104B1 (ko) 다목적 히트펌프 시스템
KR101522548B1 (ko) 온실 히트펌프시스템용으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팬코일 유니트장치
KR102087400B1 (ko) 축사용 환기 냉/난방 제어시스템
KR101032369B1 (ko) 폐열을 이용한 농축산용 냉난방 장치
KR20000007550A (ko) 양식용 사육수 자동 공급장치
RU2768969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отоп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м тепловым насосом
KR200275991Y1 (ko) 농.축산용 간접방식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