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00B1 - 담배연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담배연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00B1
KR101215400B1 KR1020110001468A KR20110001468A KR101215400B1 KR 101215400 B1 KR101215400 B1 KR 101215400B1 KR 1020110001468 A KR1020110001468 A KR 1020110001468A KR 20110001468 A KR20110001468 A KR 20110001468A KR 101215400 B1 KR101215400 B1 KR 10121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moke
filter
main body
tobacco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040A (ko
Inventor
최두수
Original Assignee
최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수 filed Critical 최두수
Priority to KR102011000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8Cigars; Cigarettes with 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2Cigars; Cigarettes with ash-retaining attachments, holders, or othe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6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electrical or magnetical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에 복수의 유입공과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개구되어 담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삽입공 및 지지부에 끼워지되 담배가 연소할 때 연소열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삽입부;와,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담배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흡입부;와,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담배삽입부와 연기흡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화필터; 및 본체에 내장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수용공간에 점화된 담배가 삽입된 상태에서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관통공으로 빠져나가고, 흡연하여 내뿜는 담배연기는 흡입팬에 의해 유입공으로 유입되며, 담배연기가 정화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흡입팬에 의해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되는 담배연기와 흡연자가 흡연에 의해서 내뿜는 담배연기를 모두 흡입하여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필터에서 걸러서 정화된 깨끗한 연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접흡연으로 인해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담뱃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서 담뱃재가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외부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담배연기 정화장치{Cigarette smoke cleansing device}
본 발명은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와, 흡연에 따른 담배연기 모두를 흡입하고, 흡입된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깨끗한 연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담배연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흡연장치 또는 흡연기구는 담배에 불을 붙이거나, 담배필터에 여과된 담배연기를 한번 더 여과시키는 장치이다. 즉, 별도의 필터를 달아서 담배필터를 통과한 담배연기를 한번 더 여과시키는 기능을 할 뿐, 담배연기는 대기에 그대로 노출된다. 따라서,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을뿐더러 주위사람들에게 간접흡연에 대한 피해가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와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 모두를 흡입하여 담배연기를 정화필터로 정화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간접흡연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담뱃재가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외부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담배연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에 복수의 유입공과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개구되어 담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삽입공 및 지지부에 끼워지되 담배가 연소할 때 연소열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삽입부;와,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담배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흡입부;와,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담배삽입부와 연기흡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화필터; 및 본체에 내장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수용공간에 점화된 담배가 삽입된 상태에서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관통공으로 빠져나가고, 흡연하여 내뿜는 담배연기는 흡입팬에 의해 유입공으로 유입되며, 담배연기가 정화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흡입팬에 의해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담배삽입부는, 담배가 담배삽입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고, 연소열이 담배필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공간의 내경이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담배가 끼워지되 담배삽입부의 전방에 삽입되어 탈착되는 탈착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배가 담배삽입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담배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담배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정화필터는 담배가 점화된 상태에서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1필터와, 흡연에 의해서 생성되는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2필터를 구비하고, 본체는,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된 담배연기가 제1필터로 이동하는 제1유로와, 흡연에 의해 생성된 담배연기가 제2필터로 이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격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되는 담배연기와 흡연자가 흡연에 의해서 내뿜는 담배연기를 모두 흡입하여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필터에서 걸러서 정화된 깨끗한 연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접흡연으로 인해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연소에 따른 담배연기와 흡연에 따른 담배연기를 구분하여 여과함으로써,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줄여 작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면서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담뱃재를 본체의 내부에 모아서 버릴 수 있으므로 담뱃재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외부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체의 내부에 담배를 점화시킬 수 있는 점화부가 있어서, 담배를 점화시키기 위해서 성냥이나 라이터 등이 필요 없고, 담배에 불을 붙여서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정화필터를 흡입팬의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담배연기에 포함된 니코틴 및 타르 등의 유해물질이 구동모터에 흡착되어 구동모터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에서 필터고정부 및 정화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에 복수의 유입공(111)과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부(113)가 형성되며, 외면에 복수의 배출공(123)이 형성된 본체(1);와, 일단이 개구되어 담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23)이 형성되고, 외면에 수용공간(23)과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삽입공(112) 및 지지부(113)에 끼워지되 담배가 연소할 때 연소열이 본체(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삽입부(2);와,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31)과, 흡입팬(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를 구비하고, 담배삽입부(2)의 후방에 배치되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흡입부(3);와,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담배삽입부(2)와 연기흡입부(3)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화필터(4); 및 본체(1)에 내장되어 구동모터(3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와, 배터리(52)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본체(1)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스위치(51)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5);를 포함하되, 수용공간(23)에 점화된 담배가 삽입된 상태에서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관통공(22)으로 빠져나가고, 흡연하여 내뿜는 담배연기는 흡입팬(31)에 의해 유입공(111)으로 유입되며, 담배연기가 정화필터(4)를 거쳐 정화되어 흡입팬(31)에 의해서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담배삽입부(2)는, 담배가 담배삽입부(2)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고, 연소열이 담배필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공간(23)의 내경이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담배가 끼워지되 담배삽입부(2)의 전방에 삽입되어 탈착되는 탈착편(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담배가 담배삽입부(2)에 끼워진 상태에서 담배삽입부(2)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터리(52)의 전원을 공급받아 담배를 점화시키는 점화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정화필터(4)는 담배가 점화된 상태에서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1필터(41)와, 흡연에 의해서 생성되는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2필터(42)를 구비하고, 본체(1)는,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된 담배연기가 제1필터(41)로 이동하는 제1유로(115)와, 흡연에 의해 생성된 담배연기가 제2필터(42)로 이동하는 제2유로(116)가 형성되도록, 본체(1)의 내부에 격막(1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에서 필터고정부(13') 및 정화필터(4')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는, 본체(1), 담배삽입부(2), 탈착편(6), 연기흡입부(3), 정화필터(4) 및 전원공급부(5)를 포함한다.
본체(1)는, 대략 원통형으로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 및 필터고정부(13)를 포함한다.
전방케이스(11)는, 후방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전면 중앙에는 담배삽입부(2)가 삽입되는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가 흡입되도록 삽입공(112)의 주변으로 복수의 유입공(111)이 형성되며, 후방 개구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후방케이스(12)와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담배삽입부(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는 유입공(111)과 연결되는 지지부(113)가 전방케이스(11)의 내면으로부터 2열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지지부(113)는 담배삽입부(2)로부터 배출되는 담배연기가 빠져나가도록, 복수의 절개홈(113a)이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안쪽에는 담배삽입부(2)의 단차부(21)가 끼워지도록 단차홈(113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케이스(11)는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분리되어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하되, 기밀성을 높이도록 맞물리는 부분에 요철 및 요철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케이스(12)로부터 전방케이스(11)가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 담뱃재가 쌓이면 전방케이스(11)를 분리하여 담뱃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전방케이스(11)는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담배삽입부(2)의 내부에서 담배가 연소할 때, 담배삽입부(2)로 연소열이 전달되어 지지부(113)가 타거나 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후방케이스(12)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전방 내부에는 필터고정부(13)가 끼워지도록 삽입홈(121)이 형성되고, 구동모터(32)가 고정되도록 구동모터(32)의 외형에 대응하는 모터고정부(122)가 후방케이스(12)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전방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전방케이스(11)와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모터고정부(12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후방케이스(12)의 둘레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공(123)이 형성된다. 이때, 후방케이스(12)는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분리되어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하되, 기밀성을 높이도록 맞물리는 부분에 요철 및 요철홈이 형성된다.
필터고정부(13)는, 대략 부시 형태로 후단에는 십자형태의 프레임이 형성된다. 이는, 정화필터(4)가 필터고정부(13)에 삽입되는데 정화필터(4)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정화필터(4)를 통과한 담배연기가 후방케이스(12)의 배출공(123)으로 배출되도록 십자형태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터고정부(13)는 후방케이스(12)의 리브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담배삽입부(2)는, 담배가 삽입되도록 대략 양단이 개구된 수용공간(23)을 갖는 원통형으로, 전방 외면에는 단차홈(113b)에 끼워지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단차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담배삽입부(2)의 외면에는 수용공간(23)과 연결된 관통공(2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담배삽입부(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이때, 담배삽입부(2)는 내열온도가 높고 단열성이 우수한 비금속 또는 단열재 등으로 제작한다. 이는, 담배삽입부(2)의 수용공간(23)에서 담배가 연소할 때, 연소열이 전방케이스(11) 및 담배삽입부(2)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즉, 연소열로 인해서 전방케이스(11)의 지지부(113)가 타거나 녹는 것을 방지하고, 흡연자가 흡연할 때 입술이 담배삽입부(2)의 전방에 닿아서 입술이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담배삽입부(2)는, 담배삽입부(2)의 전방에 끼워져 탈착되는 탈착편(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담배삽입부(2)의 내경은 탈착편(6)이 담배삽입부(2)에 끼워지도록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탈착편(6)은, 대략 원통형으로, 내열온도가 높고 단열성이 우수한 비금속 또는 단열재 등으로 제작하며, 내경은 담배가 탈착편(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담배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경은 담배삽입부(2)의 내경에 억지 끼워 맞춤 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탈착편(6)을 담배필터 부분에 끼워서 고정한 후 담배와 함께 담배삽입부(2)에 끼워 고정한다. 예를 들면, 담배삽입부(2)에 담배를 직접 꽂아서 고정할 수도 있지만, 담배 특성상 들어가는 입구가 좁으면 담배가 구겨지거나 손상되어 잘 들어가지 않는다. 만약, 탈착편(6)을 생략하고 담배삽입부(2)의 내경을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담배가 담배삽입부(2)에 고정되지 않아서 흡연하는 과정에서 담배가 빠질 수 있다. 따라서, 담배삽입부(2)의 내경은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담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담배를 담배삽입부(2)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며 담배가 담배삽입부(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탈착편(6)을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탈착편(6)은, 일반 담배의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탈착편(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외경이 작은 담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담배에 맞는 탈착편(6)에 끼워도 담배가 고정되지 않아서 외경이 작은 담배를 고정할 수 있는 탈착편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담배의 외경에 대응하는 탈착편(6)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외경이 다른 담배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탈착편(6)은, 외경이 담배삽입부(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외면에 복수의 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담배가 점점 타들어가 연소열이 담배삽입부(2)의 전방에 점점 가까워지면 연소열이 탈착편(6)에 전달될 수 있는데, 탈착편(6)의 돌기(61)에 의해서 탈착편(6)의 외면은 담배삽입부(2)의 내면과 소정 정도 떨어져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연소열이 담배삽입부(2)를 타고 탈착편(6)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다.
연기흡입부(3)는, 후방케이스(12)의 내부에 내장되며, 흡입팬(31) 및 구동모터(32)를 포함한다.
흡입팬(31)은, 축류형, 다익형 및 후곡형 등의 팬이 사용되고, 필터고정부(13)의 후방에 배치되며, 구동모터(32)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2)에 의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흡입팬(31)이 회전하면, 담배가 자연연소하여 생성되는 담배연기는 관통공(22) 및 절개홈(113a)을 통해 정화필터(4)를 거쳐 흡입팬(31)으로 흡입되고,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유입공(111)을 통해 정화필터(4)를 거쳐 흡입팬(31)으로 흡입되며, 흡입된 담배연기는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구동모터(32)는, 흡입팬(31)의 후방에 배치되어 흡입팬(31)과 연결되고, 후방케이스(12)의 모터고정부(122)에 끼워져 고정되며, 배터리(52)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정화필터(4)는, 대략 원판형으로, 담배연기에 포함된 니코틴 및 타르 등의 유해물질을 걸러 내도록 미세한 필터가 사용되고, 필터고정부(13)에 끼워진다. 이때, 정화필터(4)는 담배연기에 포함된 미세한 유해물질을 걸러 내도록 여러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는, 배터리(52) 및 스위치(51)를 포함한다.
배터리(52)는, 후방케이스(12)의 내부에 삽입되고, 구동모터(32) 및 스위치(5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52)는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5)는 충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단자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단자부(7)는 후방케이스(12)의 후방에 설치되어 배터리(52)와 연결된다. 이때, 충전단자부(7)는 컴퓨터를 통해 배터리(52)를 충전할 수 있도록 USB충전 포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위치(51)는 배터리(52) 및 구동모터(32)와 연결되어 후방케이스(12)의 한 부분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배터리(52)의 전원을 구동모터(32)에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담배연기 정화장치는,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 제1유로(115)와 제2유로(116)가 형성되도록,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 격막(1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막(117)은 전방케이스(11')의 외벽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113)의 전방에서부터 정화필터(4')의 전면까지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서 돌출형성되며, 격막(117)을 기준으로 격막(117)과 지지부(113) 사이에는 제1유로(115)가 형성되고, 격막(117)과 전방케이스(11') 사이에는 제2유로(116)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1')는 전방케이스(11')의 후방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후방케이스(12')의 전방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필터고정부(13')가 삽입되는 삽입홈(121')은 전방케이스(11')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다. 즉,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의 결합구조가 상술한 전방케이스(11) 및 후방케이스(12)와 반대로 형성되고, 상술한 후방케이스(12)에 형성된 삽입홈(121)이 전방케이스(11')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화필터(4')는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와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를 따로 여과하기 위해서,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115)와 제2유로(116)에 대응하도록, 하나의 제1필터(41)와 2개의 제2필터(42)로 나눠져 구비되며, 제1필터(41)는 격막(117)과 격막(117)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로(115)의 후방에 밀착되고, 제2필터(42)는 격막(117)과 전방케이스(11')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2유로(116)의 후방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1유로(115)의 공기가 제2유로(116) 쪽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막(117)의 끝단과 필터고정부(13')가 맞물리는 곳은 요철 및 요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팬(31)에 의해서 제1유로(115)를 통해 유입되는 담배연기는 제1필터(41)에 여과되어 후방케이스(12')의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되고, 제2유로(116)를 통해 유입되는 담배연기는 제2필터(42)에 여과되어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2필터(42)는 제1필터(41)보다 덜 조밀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흡입팬(31)의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제2유로(116)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서인데, 만약 제2필터(42)를 조밀한 필터로 사용하게 되면 흡입팬(31)의 회전속도가 높아야 한다. 왜냐하면, 흡입력이 낮으면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가 유입공(111)으로 다 흘러들어가지 않고 일부가 외부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공(111)의 흡입력이 높아야 하는데, 제2필터(42)가 조밀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낮아지고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서 흡입팬(31)의 회전속도를 높여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게다가,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담배필터를 통해서 나오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1차로 걸러진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제2필터(42)가 제1필터(41)에 비해서 조밀하지 않아도 되지만,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많은 양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필터(41)는 조밀한 필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제1필터(41)와 제2필터(42)가 일체로 형성되면,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서 조밀한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유로(116)의 흡입력을 높일 수밖에 없으며, 흡입력을 높이려면 흡입팬(3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만약,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서 조밀하지 않은 필터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고 필터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으며, 니코틴이나 타르 등이 구동모터(32)에 흡착되어 구동모터(32)가 고장이 나서 담배연기를 정화할 수 없다.
따라서, 제1필터(41)는 조밀한 필터를 사용하고, 제2필터(42)는 제1필터(41)에 비해 조밀하지 않은 필터를 사용하여,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의 유해물질을 더욱 잘 걸러내고, 제2유로(116)의 흡입력은 상승하면서 흡입팬(31)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작동시간을 연장하며, 구동모터(32)가 고장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담배가 연소하여 남아있는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방케이스(11')의 일면에 투명창(11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자가 투명창(114)을 통해서 담배가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담배필터가 탈 때까지 흡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구동모터(32)가 작동하는 것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배터리(52)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 등의 램프(8)가 본체(1')의 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51)를 온 시켜 구동모터(32)가 작동하면 동시에 램프(8)가 켜져서 사용자는 램프(8)를 보고 본 발명이 켜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를 확인하여 스위치(51)를 꺼서 배터리(52)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를 점화하는 점화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화부(9)는, 대략 니크롬선 등의 발열부(91)가 사용되고 배터리(52)와 연결되며, 담배삽입부(2)에 담배가 삽입된 상태에서, 담배에 점화를 하기 위해 담배삽입부(2)의 후방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91)를 켜거나 끄기 위해서 후방케이스(12')의 한 부분에 점화버튼(9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화버튼(92)을 누르고 있으면 발열부(91)에 배터리(52)의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부(91)에서 열이 발생하고, 담배삽입부(2)에 삽입된 담배의 끝단이 점화되어 담배에 불이 붙으며, 불이 붙은 후에는 점화버튼(92)을 떼면 발열부(91)에 전원이 차단되어 발열부(91)가 꺼진다. 여기서, 점화부(9)는 스위치(51)가 켜진 상태에서만 작동할 수 있으며, 발열부(91)는 설정시간이 지나면 점화버튼(92)을 누르고 있어도 꺼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가방 또는 수납함 등에 보관할 때 점화버튼(92)이 눌려서 점화부(9)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위치(51)가 켜진 상태에서만 작동하며, 또한 점화부(9)는 설정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꺼지도록 하여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한편, 담배필터가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담배삽입부(2)의 외면에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담배가 타들어갈 때 담배필터 근처까지 타들어가면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술한 램프(8)가 깜박이면서 이를 알려준다. 따라서, 흡연자는 램프(8)가 깜박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흡연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의 정보에 의해서 램프(8)가 깜박이는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담배연기 정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위치(51)를 켜고 구동모터(32)를 작동시켜 흡입팬(31)을 회전시킨다.
흡입팬(31)이 회전하면 담배필터 부분이 소정 정도 돌출되도록 탈착편(6)을 담배필터 부분에 끼운 후, 담배필터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담배를 담배삽입부(2)에 넣고 탈착편(6)을 담배삽입부(2)에 끼워넣는다.
이때, 점화버튼(92)이 없는 경우에는 담배에 불을 붙인 후에 담배를 담배삽입부(2)에 넣고, 점화버튼(92)이 있는 경우에는 점화버튼(92)을 눌러 발열부(91)를 작동시켜서 담배에 불을 붙인다.
담배에 불이 붙으면,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관통공(22)으로 배출되고, 흡입팬(31)에 의해서 담배연기가 정화필터(4)로 빨려들어가며, 이에 따라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정화필터(4)에 걸러진 후 정화된 담배연기가 배출공(123)을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흡입팬(31)에 의해서 유입공(111)을 통해 빨려들어가고, 정화필터(4)를 거쳐 배출공(123)을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제1유로(115)를 타고 제1필터(41)를 통과한 후 배출공(123)을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는 유입공(111)으로 빨려들어가 제2유로(116)를 타고 제2필터(42)를 통과한 후 배출공(123)을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담뱃재는 관통공(22)을 거쳐 절개홈(113a)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고, 전방케이스(11, 11')의 내부에 싸이게 된다.
여기서, 흡연자가 흡연을 중지하면, 흡입팬(31)이 담배가 타들어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담배는 저절로 꺼지게 된다.
투명창(114) 또는 온도센서를 통해 담배가 꺼진 것을 확인한 후 담배를 담배삽입부(2)로부터 빼내고, 전방케이스(11, 11')를 후방케이스(12, 12')로부터 분리시킨 후 전방케이스(11, 11')의 내부에 쌓여있는 담뱃재를 털어서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연을 하더라도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와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연기 모두를 흡입팬(31)으로 흡입하여 정화필터(4, 4')를 통해서 유해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담배연기를 배출공(123)을 통해 본체(1, 1')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담뱃재 또한 전방케이스(11, 11')의 내부에 수용되어 담뱃재가 외부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접흡연으로 인해 주위사람들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화필터(4')를 조밀한 제1필터(41)와 덜 조밀한 제2필터(42)를 사용하고, 전방케이스(11')의 내부에 격막(117)을 형성하여 흡입팬(31)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을 더욱 정숙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점화부(9)를 설치함으로써, 담배에 불을 붙여 삽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 본체
11, 11'; 전방케이스
111; 유입공
112; 삽입공
113; 지지부
113a; 절개홈
113b; 단차홈
114; 투명창
115; 제1유로
116; 제2유로
117; 격막
12, 12'; 후방케이스
121, 121'; 삽입홈
122; 모터고정부
123; 배출공
13, 13'; 필터고정부
2; 담배삽입부
21; 단차부
22; 관통공
23; 수용공간
3; 연기흡입부
31; 흡입팬
32; 구동모터
4, 4'; 정화필터
41; 제1필터
42; 제2필터
5; 전원공급부
51; 스위치
52; 배터리
6; 탈착편
61; 돌기
7; 충전단자부
8; 램프
9; 점화부
91; 발열부
92; 점화버튼

Claims (4)

  1. 일단에 복수의 유입공과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일단이 개구되어 담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지지부에 끼워지되 상기 담배가 연소할 때 연소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배삽입부;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담배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흡입부;
    담배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담배삽입부와 상기 연기흡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화필터;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담배가 상기 담배삽입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담배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담배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점화된 담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담배가 자연연소되어 생성된 담배연기는 관통공으로 빠져나가고, 흡연하여 내뿜는 담배연기는 흡입팬에 의해 유입공으로 유입되며, 상기 담배연기가 상기 정화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삽입부는,
    상기 담배가 상기 담배삽입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고, 상기 연소열이 담배필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내경이 상기 담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담배가 끼워지되 상기 담배삽입부의 전방에 삽입되어 탈착되는 탈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담배가 점화된 상태에서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된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1필터와, 흡연에 의해서 생성된 담배연기를 여과하는 제2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자연연소에 의해서 생성된 담배연기가 상기 제1필터로 이동하는 제1유로와, 흡연에 의해 생성된 담배연기가 상기 제2필터로 이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격막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 정화장치.
KR1020110001468A 2011-01-06 2011-01-06 담배연기 정화장치 KR10121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68A KR101215400B1 (ko) 2011-01-06 2011-01-06 담배연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68A KR101215400B1 (ko) 2011-01-06 2011-01-06 담배연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40A KR20120080040A (ko) 2012-07-16
KR101215400B1 true KR101215400B1 (ko) 2012-12-26

Family

ID=4671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468A KR101215400B1 (ko) 2011-01-06 2011-01-06 담배연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0152A (zh) * 2017-12-18 2018-05-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双过滤腔降焦电子烟
CN111296901B (zh) * 2018-12-12 2021-05-28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清洁工具
ES2859163B2 (es) * 2021-02-18 2022-08-08 Maneru Jaime Vergara Dispositivo de filtrado de hum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40A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4896B2 (ja) 喫煙者手持ち式の側流煙制御装置
EA012883B1 (ru) Бездымная сигаретная система
RU2114539C1 (ru) Кури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арианты)
US7861726B1 (en) Filtration device for tobacco products
WO2014020539A1 (en) Combustion free and tobacco free smoking device
NL1031051C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filteren van tabaksrook.
US20190307165A1 (en) Hand-held smoke containment and filter device
WO2016197776A1 (zh) 自动点烟香烟净化器
JP2009261319A (ja) 携帯用タバコ煙清浄器
KR101215400B1 (ko) 담배연기 정화장치
CN216533803U (zh) 烟斗式香烟净化器
KR101938741B1 (ko) 라이터 겸용 휴대용 재떨이
CN210158004U (zh) 卷烟净烟器
CN109998168B (zh) 卷烟净烟器
CN111920093A (zh) 一种便携式环保吸烟器
KR20220118601A (ko) 휴대용 담배연기 저감장치
KR20180060760A (ko) 간접 흡연 방지 장치
KR101344958B1 (ko) 무연 흡연장치
JPH07274926A (ja) ニコチンとタールの除去排気式喫煙パイプ
KR20240011667A (ko) 간접 흡연 연기 필터 장치
KR100592546B1 (ko) 휴대용 담배연기 정화기
US20240016206A1 (en) Reduced odor smoking system and method
WO2023092843A1 (zh) 烟斗式香烟净化器
CN116195769A (zh) 一种自过滤吸烟器
CN112914154A (zh) 香烟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