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837B1 -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837B1
KR101214837B1 KR1020110034111A KR20110034111A KR101214837B1 KR 101214837 B1 KR101214837 B1 KR 101214837B1 KR 1020110034111 A KR1020110034111 A KR 1020110034111A KR 20110034111 A KR20110034111 A KR 20110034111A KR 101214837 B1 KR101214837 B1 KR 10121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junction box
air
box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587A (ko
Inventor
이광호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03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8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6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47Means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부재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효율적으로 온도조절을 하면서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소자(12)들이 고정되는 부품소켓(11)이 구비되는 박스부재(10)와; 부품소자(12)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구되어 박스부재(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 일측에는 정션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21)이 형성되는 커버부재(20); 및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온도조절부재(30)를 포함하되,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은 커버부재(20)의 일측면에서 내측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되 박스부재(10)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Temperature control possibility junction box}
본 발명은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부재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효율적으로 온도조절을 하면서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정션박스에는 다양한 부품소자들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커버부재를 덮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부품소자들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열을 발생하게 되고 정션박스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특히, 반도체 소자들과 같은 부품소자들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시 급격히 수명이 저하되기 때문에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온도조절부재를 두어 내부의 가열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 시키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27610호 "팬이 구비된 정션박스"에 의하면,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재에 하나 이상의 쿨링팬이 장착되어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정션박스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쿨링팬과 같은 온도조절부재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면 쿨링팬의 개방된 공간으로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거나 쌓이게 되고,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부재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효율적으로 온도조절을 하면서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부품소자(12)들이 고정되는 부품소켓(11)이 구비되는 박스부재(10)와; 부품소자(12)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구되어 박스부재(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 일측에는 정션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21)이 형성되는 커버부재(20); 및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온도조절부재(30)를 포함하되,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은 커버부재(20)의 일측면에서 내측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되 박스부재(10)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커버부재(20)는 일측이 공기배출홈(21)의 외부와 접하는 끝단에 위치하고 타측이 온도조절부재(30)의 상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공기배출홈(21)에 체결되는 공기유도관(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온도조절부재(30)는 박스부재(10)에 형성된 부품소켓(11)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온도조절부재(30)는 내부 일측에 온도조절팬(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온도조절부재(30)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이 관통된 공기유입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온도조절부재(30)는 일측에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온도센서(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부재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커버부재에 구비된 공기배출홈을 통해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효율적으로 온도조절을 하면서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의 박스부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의 커버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의 체결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는 박스부재(10), 커버부재(20), 온도조절부재(30)로 이루어진다.
박스부재(10)는 전기 공급 시 작동되는 각종 부품소자(12)들이 고정되도록 부품소켓(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부품소자(12)에는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퓨즈,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제어되는 반도체소자 등을 포함하게 된다.
커버부재(20)는 박스부재(10)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구되며 박스부재(10)의 외측면과 커버부재(20)의 내측면이 맞닿도록 박스부재(10)의 상부에 덮어 체결된다. 이렇게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어 부품소자(12)를 보호하고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20)의 내부 일측에는 정션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21)이 형성된다. 공기배출홈(21)은 커버부재(20)의 일측면에서 내측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데 공기배출홈(21)이 박스부재(10)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배출홈(21)의 하부 끝단이 외부와 접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돌출되어 생기는 공간으로 정션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온도조절부재(30)는 박스부재(10)에 형성된 부품소켓(11)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체결된다. 이를테면, 릴레이와 같은 부품소자(12)를 꽂는 부품소켓(11)에 끼워지면 기존의 정션박스를 이용하여 온도조절부재(30)를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온도조절부재(30)의 내부 일측에는 온도조절팬(31)이 구비되고,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이 관통된 공기유입홀(32)이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온도조절부재(30)의 일측에는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온도센서(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33)가 감지한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게 될 때 온도조절팬(31)을 작동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온도센서(33)가 감지한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게 될 때 온도조절팬(31)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온도조절부재(30)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될 때 좀 더 효율적으로 공기배출홈(21)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일측이 공기배출홈(21)의 외부와 접하는 끝단에 위치하고 타측이 온도조절부재(30)의 상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공기배출홈(21)에 체결되는 공기유도관(22)이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박스부재(10)와 커버부재(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정션박스에 전원이 인가되면 정션박스 내부의 부품소자(12)들이 발열하게 되어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조절부재(30)의 온도센서(33)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온도조절팬(31)을 작동시키게 된다.
온도조절팬(31)이 작동되면 온도조절부재(3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홀(32)을 통해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공기는 커버부재(20)에 형성된 공기배출홈(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면 온도조절부재(30)의 온도센서(33)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온도조절팬(31)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는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부재(30)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커버부재(20)에 구비된 공기배출홈(21)을 통해 정션박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효율적으로 온도조절을 하면서 외부의 먼지나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0: 박스부재 11: 부품소켓
12: 부품소자 20: 커버부재
21: 공기배출홈 22: 공기유도관
30: 온도조절부재 31: 온도조절팬
32: 공기유입홀 33: 온도센서

Claims (7)

  1. 부품소자(12)들이 고정되는 부품소켓(11)이 구비되는 박스부재(10)와; 부품소자(12)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구되어 박스부재(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 일측에는 정션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21)이 형성되는 커버부재(20); 및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온도조절부재(30)를 포함하되,
    커버부재(20)의 공기배출홈(21)은 커버부재(20)의 일측면에서 내측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되 박스부재(10)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부재(20)는 일측이 공기배출홈(21)의 외부와 접하는 끝단에 위치하고 타측이 온도조절부재(30)의 상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공기배출홈(21)에 체결되는 공기유도관(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부재(30)는 박스부재(10)에 형성된 부품소켓(11)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부재(30)는 내부 일측에 온도조절팬(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부재(30)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이 관통된 공기유입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부재(30)는 일측에 정션박스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온도센서(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KR1020110034111A 2011-04-13 2011-04-13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KR10121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11A KR101214837B1 (ko) 2011-04-13 2011-04-13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11A KR101214837B1 (ko) 2011-04-13 2011-04-13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587A KR20120116587A (ko) 2012-10-23
KR101214837B1 true KR101214837B1 (ko) 2012-12-24

Family

ID=4728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11A KR101214837B1 (ko) 2011-04-13 2011-04-13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8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610Y1 (ko) * 2006-07-11 2006-09-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팬이 구비된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610Y1 (ko) * 2006-07-11 2006-09-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팬이 구비된 정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587A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14052B (zh) 除湿系统
CN109312945A (zh) 吊扇系统和电子壳体
CN205694028U (zh) 一种变频启动柜的风道散热装置及集装式冷冻站
KR101214837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션박스
CN105747984A (zh) 擦窗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1142681B1 (ko) 환기 난방기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2082981B1 (ko) 방열과 방수 기능을 갖는 케이스
KR101442590B1 (ko)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CN105790107A (zh) 一种自动调控式散热防尘配电柜
KR20190027030A (ko) 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CN210985334U (zh) 建筑施工用配电箱
KR101604847B1 (ko) 제어반용 제습장치
KR101735839B1 (ko) 모터레지스터의 방수구조
KR20140017411A (ko) 집진장치
KR102043300B1 (ko) 급수부 제어 응축기 타입 백연 방지 냉각탑
CN216835435U (zh) 具有除湿功能的地埋箱系统
US20170234575A1 (en) In-line duct filter
JP2005348863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CN216872492U (zh) 一种可移动防潮电气柜
CN107426947A (zh) 一种充电桩的散热结构
CN207475131U (zh) 一种自动控温的电缆分接箱
CN206442031U (zh) 一种能够自动降温的配电柜
KR101231348B1 (ko) 차량 배터리모듈의 냉각장치
CN104039106A (zh) 一种电气控制柜的防尘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