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280B1 -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 Google Patents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280B1
KR101214280B1 KR1020100136012A KR20100136012A KR101214280B1 KR 101214280 B1 KR101214280 B1 KR 101214280B1 KR 1020100136012 A KR1020100136012 A KR 1020100136012A KR 20100136012 A KR20100136012 A KR 20100136012A KR 101214280 B1 KR101214280 B1 KR 10121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lc
automation facility
stat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931A (ko
Inventor
박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13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2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37Peer to peer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2Plc mp multi processor system
    • G05B2219/1214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plc, Ethernet for configuration, monitor

Abstract

PLC와 하드웨어 적으로 분리되어 PLC간의 통신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Automatic System Comprising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terlock}
본 발명은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화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가 이용되고 있고, 특히 상호 연동이 요구되는 자동화 설비들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서는 각 자동화 설비들을 제어하는 PLC들이 상호 연동을 위한 제어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동화 설비(100, 110, 120)들은 각 자동화 설비(100, 110, 120)의 제어를 위한 각 PLC(102, 11, 122)에 통신 장치(104, 114, 124)를 장착하고, 이러한 통신 장치(104, 114, 124)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106, 116, 126)를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함으로 제어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장치(104, 114, 124)를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게 되는 경우, 통신 장치(104, 114, 124) 또는 네트워크 장치(102, 114, 12)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PLC(102, 112, 122)간에 제어 정보를 공유할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각 PLC(102, 112, 122)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화 설비들(100, 110, 120)이 연동하여 동작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PLC간의 제어 정보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여 오류를 예방하는 통신 인터락(Communication Interlock) 기능의 수행을 위해, 각 PLC들(102, 112, 122)은 논리 정보를 생성하여 각 PLC(102, 112, 122)의 통신 장치(104, 114, 124)를 통해 주기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PLC(102, 112, 122)에 내장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일정 시간 이상으로 논리 정보의 송수신이 발생되지 않으면 통신 상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안전성과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고, 작성된 프로그램 자체의 논리적인 결함이나 불합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PLC 내부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통신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지연으로 인해 고속의 제어 설비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법은, 서로 다른 타입의 PLC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화 설비 간의 연동이 요구되는 경우 각 PLC 별로 프로그램 작성 환경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 PLC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LC와 하드웨어 적으로 분리되어 PLC간의 통신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타입의 PLC간에도 통신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LC와 하드웨어 적으로 분리된 통신 인터락 장치가 PLC간의 통신 상태를 검증하기 때문에,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LC간의 통신 인터락 수행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고속의 제어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LC와는 분리된 별도의 통신 인터락 장치를 통해 PLC간 통신 상태를 검증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타입의 PLC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화 설비들 간의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들 간의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인터락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조회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들 간의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자동화 설비들(200, 210, 220)은 각각 제1 내지 제3 PLC(202, 212, 222), 제1 내지 제3 통신 인터락 장치(204, 214, 224), 및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장치(206, 216, 226)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3개의 자동화 설비(200, 210, 22)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자동화 설비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자동화 설비(200)가 제2 자동화 설비(210)와 연동되는 원리와, 제1 자동화 설비(200)가 제3 자동화 설비(220)와 연동되는 원리, 제2 자동화 설비(210)가 제3 자동화 설비(220)와 연동되는 원리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자동화 설비(200)가 제2 자동화 설비(210)와 연동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PLC(202)는 제1 자동화 설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PLC(202)는 제1 자동화 설비(200)를 제2 자동화 설비(210)와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자동화 설비(210)로 전송한다.
또한, 제1 PLC(202)는, 제2 자동화 설비(210)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1 자동화 설비(200)가 제2 자동화 설비(210)와 연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PLC(202)에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06, 216)를 통해 제2 PLC(212)와 제1 및 제2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장치(208)가 장착된다. 이러한 제1 통신 장치(208)는 제2 자동화 설비(210)에 포함된 제2 통신 인터락 장치(214) 또는 제3 자동화 설비(220)에 포함된 제3 통신 인터락 장치(224)에 의해 통신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 제2 또는 제3 통신 인터락 장치(214. 224)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시험을 위한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제2 또는 제3 통신 인터락 장치(214, 224)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통신 시험은 핑 테스트(Ping Test)일 수 있고, 통신 시험을 위한 명령어는 핑 명령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시험을 핑 테스트로 기재하고, 통신 시험을 위한 명령어를 핑 명령어로 기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테스트 기법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LC(202)는 제1 PLC(202)의 접점 입력 장치(209)에 연결되는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로부터 오프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2 PLC(212)와의 연동을 위한 통신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PLC(212)와의 연동을 중단시켜 제1 자동화 설비(200)가 제2 자동화 설비(210)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인터락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PLC(202)에는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로부터 접점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접점 입력 장치(209)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는, 제1 PLC(202)와 제2 PLC(212) 간의 연동을 위해 제1 PLC(202)와 제2 PLC(212)간의 통신 상태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는 제2 PLC(212)에 장착된 제2 통신 장치(218)에 대해 핑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제1 PLC(202)와 제2 PLC(212)간의 통신 상태를 검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제1 통신 인터락 장치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락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는, 제어 모듈(300),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10),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32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 모듈(300)은, 제1 PLC(202)와 제2 PLC(212)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핑 테스트의 수행 주기 및 핑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제2 PLC(212)에 장착된 제2 통신 장치(218)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제2 통신 장치(218)에 대해 핑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00)은 초기정보 설정부(400), 동작정보 설정부(410), 및 통신 시험 수행부(420)를 포함한다.
먼저, 초기정보 설정부(400)는, 핑 테스트를 수행하는 주체인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2)의 IP 주소 또는 서브넷 마스크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초기정보 설정부(400)는, 이러한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2)의 IP 주소 또는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메모리(340)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동작정보 설정부(410)는,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IP 주소, 핑 테스트의 수행 주기, 및 핑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들의 식별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제2 및 제3 PLC(212, 222)와 제1 PLC(202)간의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는 2개의 제2 통신 장치(218) 및 2개의 제3 통신 장치(228)이므로, 동작정보 설정부(410)는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는 4로 설정하고, 제2 및 제3 통신 장치(218, 228)의 IP 주소를 설정하며, 제2 및 제3 통신 장치(218, 228)의 식별 명칭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핑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들의 식별 명칭은 통신 장치들의 IP 주소 대신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정보 설정부(4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IP 주소, 핑 테스트의 수행 주기, 및 핑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들의 식별 명칭을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동작정보 설정부(410)는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IP 주소, 핑 테스트의 수행 주기, 및 핑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들의 식별 명칭을 메모리(340)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동작정보 설정부(410)에 의해 설정된 핑 테스트 수행 주기마다 제2 통신 장치(218)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핑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핑 명령어를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2 통신 장치(218)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제2 통신 장치(218)로부터 상기 핑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이 수신되면 응답이 수신된 시간을 기록하고,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에는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 가능을 나타내는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응답이 유지되지 않는 시간 동안에는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 불가능을 나타내는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즉, 응답이 유지된다는 것은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이 정상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제2 통신 장치(218)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온(ON)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응답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제2 통신 장치(218)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오프(OFF)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제2 통신 장치(218)로부터 응답이 수신된 시간을 메모리(340)에 기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험 수행부(420)는 응답이 수신된 시간을 기록함에 있어서, 각 통신 장치 별로 핑 테스트 수행 주기, 응답이 수신되는 평균 시간, 응답이 수신되는 최장 시간,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접점 출력 신호의 상태 등을 각 통신 장치의 IP 주소 또는 각 통신 장치의 식별 명칭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1 네트워크 장치(206)와 연결되어, 통신 시험 수행부(420)로부터 전달되는 핑 명령어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06, 216)를 통해 제2 통신 장치(218)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06, 216)를 통해 제2 통신 장치(218)로부터 상기 핑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핑 명령에 대한 응답을 통신 시험 수행부(42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상기 핑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핑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320)은, 제1 PLC(202)에 장착된 제1 접점 입력 장치(209)에 연결되고, 통신 시험 수행부(420)로부터 수신되는 접점 출력 신호를 제1 접점 입력 장치(209)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험 수행부(420)에 의해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320)은 온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통신 시험 수행부(420)로부터 수신하여 제1 접점 입력 장치(209)로 제공한다.
또한, 통신 시험 수행부(420)에 의해 제2 통신 장치(218)와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320)은 오프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통신 시험 수행부(420)로부터 수신하여 제1 접점 입력 장치(209)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320)은 핑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들의 개수만큼의 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은,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의 운용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가공한 조회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은 각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별로 각 통신 장치의 IP 주소 또는 각 통신 장치의 식별 명칭과 함께 저장되어 있는 핑 테스트 수행 주기, 응답이 수신되는 평균 시간, 응답이 수신되는 최장 시간,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접점 출력 신호의 상태 등을 테이블 형태로 가공하여 조회 결과를 생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테이블 형태의 조회 결과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 결과를 제1 내지 제3 통신 인터락 장치(204, 214, 224) 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30)은 RS??232와 같은 직렬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340)는 초기정보 및 동작 정보가 저장되거나 핑 테스트 수행 주기, 각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수신되는 평균 시간, 각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수신되는 최장 시간, 각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접점 출력 신호의 상태가 각 통신 장치의 IP 주소 또는 각 통신 장치의 식별 명칭 별로 저장되는 제1 메모리(342)와, 제어 모듈(300)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변수 값 등이 저장되는 제2 메모리(344)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메모리(342)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메모리(342)는 S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는, 핑 테스트의 수행 결과 및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의 동작 수행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모듈(350)과,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40)에 포함된 각 모듈(300~3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모듈(350)은, LED 또는 LCD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 장치(206)는 제1 통신 장치(208) 및 제2 통신 장치(218)에 연결되어 제1 통신 장치(208)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제2 통신 장치(218)로 전송하고, 제2 통신 장치(218)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제1 통신 장치(208)로 전송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장치(206)는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에도 연결되어,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로부터 제공되는 핑 명령어를 제2 통신 장치(218)로 전송하고, 제2 통신 장치(218)로부터 핑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제1 통신 인터락 장치(204)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PLC와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통신 인터락 장치가 PLC간 통신 상태를 검증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타입의 PLC간에도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인터락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210, 220: 제1 내지 제3 자동화 설비
202, 212, 222: 제1 내지 제3 PLC
204, 214, 224: 제1 내지 제3 통신 인터락 장치
206, 216, 226: 네트워크 장치
208, 218, 228: 제1 내지 제3 통신 장치
209, 219, 229: 제1 내지 제3 접점 입력 장치

Claims (10)

  1. 삭제
  2.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로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핑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핑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에는 통신 가능을 나타내는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이 유지되지 않는 시간 동안에는 통신 불능을 나타내는 상태의 접점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시험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3.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초기정보 설정부; 및 상기 통신 시험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 상기 통신 장치의 IP 주소, 상기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통신 장치들의 식별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동작정보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4. 삭제
  5. 삭제
  6.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통신 시험을 위한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이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평균 시간, 최장 시간, 상기 응답이 유지되는 시간, 및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 출력 신호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7.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비는, 상기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자동화 설비와 연동되는 다른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제2 PLC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상태를 검증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와 상기 제2 PLC간의 통신 상태 검증을 위한 통신 시험의 수행 주기 및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행 주기마다 상기 설정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에 대해 통신 시험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통신 시험의 수행 결과 및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의 동작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8.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통신 시험 수행을 위해 생성된 명령어를 상기 제2 PLC에 장착된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9.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설비는,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불능상태를 나타내는 접점 출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PLC와의 연동 기능을 중단시키는 제1 PL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10.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락 장치는, 상기 제1 PLC의 접점 입력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가능 상태 또는 통신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PLC의 접점 입력 장치로 제공하는 접점 출력 신호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KR1020100136012A 2010-12-27 2010-12-27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KR10121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12A KR101214280B1 (ko) 2010-12-27 2010-12-27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12A KR101214280B1 (ko) 2010-12-27 2010-12-27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931A KR20120089931A (ko) 2012-08-16
KR101214280B1 true KR101214280B1 (ko) 2012-12-24

Family

ID=468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12A KR101214280B1 (ko) 2010-12-27 2010-12-27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3121B (zh) * 2012-11-30 2016-08-17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基于plc的可控数据流多点数据采集装置和方法
CN110083141B (zh) * 2019-04-17 2021-06-08 湖南优利泰克自动化系统有限公司 Plc主控模块测试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088A (ja) 1997-09-17 1999-04-09 Nec Eng Ltd デュープレックス二重化構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088A (ja) 1997-09-17 1999-04-09 Nec Eng Ltd デュープレックス二重化構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931A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4058B2 (ja) Plc通信システム
CN105607590A (zh) 用于在过程控制系统中提供冗余性的方法和装置
US20130132059A1 (en) Multiple plc simulation system
US10466670B2 (en) Field bus module, machine controller, and method for parameterizing a field bus module, in particular a safety-oriented field bus module
JP5876240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信号を操作する装置及び制御装置
US20180373213A1 (en) Fieldbus coupler and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a failsafe module
JP2012076626A (ja) 電子連動装置の試験用シミュレータ及び電子連動装置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CN106227032B (zh) 控制逆变器的方法
JP6606293B2 (ja) 安全システムの安全チェーン内でデータ処理およびデータ送信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1214280B1 (ko) 통신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JP2019179361A (ja) セーフティ制御システムおよびセーフティ制御ユニット
JP201916138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222871A (ja) プロフィバスdpのマスタ装置
JP7063976B2 (ja) 少なくとも1つの安全なプロデューサーと少なくとも1つの安全なコンシューマーとの間のデータ伝送
JP6281175B2 (ja) Plc通信システム
KR101212781B1 (ko) 로봇 통합용접제어 시스템
JP2008181572A (ja) Plcシステム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JP4992573B2 (ja) レイヤ2スイッチ、通信機器及びそれらに用いるデータ部エラー検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20190149510A1 (en) Method, Addressing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Industrial System and Facility for Safely Issuing Addresses to Modules in a Network
WO2022190506A1 (ja) 管理装置、センサ、通信端末、および管理装置の制御方法
KR101268677B1 (ko) 복수의 ecu에 대한 리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방법
Thompson Application of controller area network bus and CANopen protocol in Industrial Automation
JP2006209646A (ja) 分散制御システム
CN104937881A (zh) 将数据传送到控制设备和/或从控制设备接收数据的输入/输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