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756B1 -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756B1
KR101213756B1 KR1020100082411A KR20100082411A KR101213756B1 KR 101213756 B1 KR101213756 B1 KR 101213756B1 KR 1020100082411 A KR1020100082411 A KR 1020100082411A KR 20100082411 A KR20100082411 A KR 20100082411A KR 101213756 B1 KR101213756 B1 KR 10121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tower
tower
flare
marine
bo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175A (ko
Inventor
정재호
조동현
한일국
정이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7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3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on a pre-installed foundation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은 제 1 해상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이 운반선에 눕혀진 플레어 타워의 상측에 나란하도록 위치하되, 붐 사이에 플레어 타워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단계와, 붐 각각의 후크를 플레어 타워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 2 해상크레인의 후크를 플레어 타워에 연결하는 연결단계와,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에 의해 플레어 타워를 운반선으로부터 인양하여 붐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단계와, 직립단계에 의해 세워진 플레어 타워를 해상 구조물에 탑재하는 탑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레어 타워의 직립과 탑재를 단일화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 운용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해상크레인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육상 작업자 회전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 프레임의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METHOD FOR INSTALLING FLARE TOWER}
본 발명은 플레어 타워의 직립과 탑재를 단일화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 운용과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나 LNG(Liquefied Natural Gas) 등을 저장하는 선박에는 원유나 가스를 소각시키기 위한 플레어 타워(flare tower)가 마련된다.
이러한 플레어 타워는 크게 직립형과 경사형으로 구분되는데, 직립형의 플레어 타워는 육상에서 대형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을 이용하여 직립시킨 다음, 고정 작업을 거친 후,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시 본 탑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레어 타워 설치 방법은 플레어 타워의 직립을 위한 육상 작업장의 확보 및 고정 작업이 필요하고, 큰 중량을 가진 리프팅 프레임(lifting frame)과 리깅(rigging) 등을 필요로 하며, 크레인의 사용 횟수 및 작업 일수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종래의 플레어 타워 설치 방법은 제작 작업과 설치 작업이 별개의 프로세스로 이원화되어 시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 예를 들면 전용 작업장 및 직립을 위한 크레인을 필요로 하고, 육상 직립 후 고정 작업 등의 추가 작업이 발생하게 되어 설비 운용비용 및 기간, 그리고 추가적인 작업 시수의 투입이 불가피하며, 육상에서의 작업시 고소 작업이 동반됨으로써 작업성 및 안전성 확보가 어렵고, 작업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레어 타워 설치에 사용되는 리프팅 프레임은 사용을 마치면 플레어 타워로부터 해체됨으로써 이로 인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고중량화로 인해 비용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어 타워의 직립과 탑재를 위한 설치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단일화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설비 운용 및 비용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플레어 타워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프레임의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비용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은, 플레어 타워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해상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이 운반선에 눕혀진 플레어 타워의 상측에 나란하도록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붐 사이에 상기 플레어 타워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단계; 상기 한 쌍의 붐 각각의 후크를 상기 플레어 타워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 2 해상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플레어 타워에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에 의해 상기 플레어 타워를 상기 운반선으로부터 인양하여 상기 한 쌍의 붐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단계; 및 상기 직립단계에 의해 세워진 상기 플레어 타워를 해상 구조물에 탑재하는 탑재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한 쌍의 붐 각각의 후크를 누워있는 상기 플레어 타워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플레이 타워가 세워졌을 때 상단쪽 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해상크레인의 후크를 누워있는 상기 플레어 타워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플레어 타워가 세워졌을 때 하단쪽 부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플레어 타워에 수평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를 가지고, 상기 지지바 각각의 끝단에 상기 붐의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되는 리프팅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플레어 타워가 상기 제 1 해상크레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지지바가 상기 플레어 타워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에 다수의 보강바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플레어 타워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립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이 상기 플레어 타워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해진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해상크레인이 상기 플레어 타워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 1 해상크레인이 상기 붐 사이에 상기 플레어 타워를 인양하여 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어 타워의 제작과 직립 및 탑재를 단일화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 운용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해상크레인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육상 작업장의 회전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 프레임의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작업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을 순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에서 제 1 해상크레인이 플레어 타워를 연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에 이용되는 리프팅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을 순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은 제 1 해상크레인(10)과 플레어 타워(flare tower; 1)를 정렬시키는 정렬단계와, 제 1 해상크레인(10)과 제 2 해상크레인(20)을 플레어 타워(1)에 연결시키는 연결단계와,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20)에 의해 플레어 타워(1)를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단계와, 직립된 플레어 타워(1)를 해상 구조물(50)에 탑재하는 탑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단계에 의하면, 제 1 해상크레인(10)에 마련된 한 쌍의 붐(11)이 운반선(30)에 눕혀진 플레어 타워(1)의 상측에 나란하도록 위치하되, 붐(11) 사이에 플레어 타워(1)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붐(11)과 플레어 타워(1)를 서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운반선(30)을 접안시킨 상태에서 제 1 해상크레인(10)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데, 운반선(30)은 안벽(2)에 접안된 상태에서 계류라인(31)으로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20)도 작업을 위하여 계류라인(13,23)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계에 의하면, 제 1 해상크레인(10)에 마련된 붐(11) 각각의 후크(미도시)를 플레어 타워(1)의 양측에 각각 연결(도 7 참조)하고, 제 2 해상크레인(20)의 후크(미도시)를 플레어 타워(1)에 연결한다. 이때, 연결단계는 제 1 해상크레인(10)에 마련된 붐(11) 각각의 후크를 플레어 타워(1)에서 무게 중심의 상측에 연결함으로써, 제 1 해상크레인(10)이 플레어 타워(1)를 인양시 플레어 타워(1)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인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이란 도 2에서 볼 때 플레어 타워(1)의 좌측, 즉 플레어 타워(1)가 세워졌을 때 상단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해상크레인(20)의 후크를 플레어 타워(1)에서 무게 중심의 하측에 연결함으로써, 제 2 해상크레인(20)이 플레어 타워(1)가 수직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이란 도 2에서 볼 때 플레어 타워(1)의 우측, 즉 플레어 타워(1)가 세워졌을 때 하단 방향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20)에서 각각의 후크는 케이블(12,22)의 끝단에 위치하며, 이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하겠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해상크레인(10; 도 2에 도시)의 붐(11)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12)이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대략 나란하게 플레어 타워(1)의 양측에 연결되며, 이를 위해 리프팅 프레임(lifting frame; 40)을 이용하여 제 1 해상크레인(10)이 플레어 타워(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프레임(40)은 플레어 타워(1)에 수평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41)를 가지고, 지지바(41)의 끝단에 붐(11;도 7에 도시)으로부터의 후크(혹은 와이어)가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42)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지지바(41)가 플레어 타워(1)의 세로부재(1a)와 가로부재(1b)에 다수의 보강바(4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플레어 타워(1)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플레어 타워(1)는 통상 3개의 세로부재(1a)를 가지는데, 리프팅 프레임(40)이 설치된 하나의 세로부재(1a)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세로부재에는 체결부(42)와 마찬가지로 제 1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의 후크(혹은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또 다른 체결부(4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단계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20)에 의해 플레어 타워(1)를 운반선(30)으로부터 인양하여 제 1 크레인(10)의 붐(11)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도록 한다.
직립단계는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20)이 플레어 타워(1)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해진 높이, 예컨대, 플레어 타워(1)를 세울 때 플레어 타워(1)의 하부가 운반선(30)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해상크레인(20)이 플레어 타워(1)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제 1 해상크레인(10)이 플레어 타워(1)의 중량을 대부분 부담하도록 인양하여 붐(11) 사이에 플레어 타워(1)가 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단계에 의하면, 직립단계에 의해 세워진 플레어 타워(1)를 탑재를 필요로 하는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 등과 같은 해상 구조물(50)에 탑재한다. 여기서, 플레어 타워(1)의 탑재를 위하여 제 1 해상크레인(10)과 제 2 해상크레인(20; 도 5에 도시)이 해상 구조물(50)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플레어 타워(1)의 안정적인 탑재와 작업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 1 해상크레인(10)과 제 2 해상크레인(20; 도 5에 도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레어 타워(1)가 해상 구조물(50)에 탑재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해상크레인(10)과 제 2 해상크레인(20)이 해상 구조물(50)로 이동하지 않는 대신에 제 1 해상크레인(10)과 제 2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레어 타워(1)가 해상 구조물(50)에 탑재되려면, 플레어 타워(1)를 운반해 온 운반선(30)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선(30)이 고정되어 있던 장소에 해상 구조물(50)을 위치시킬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탑재단계는 해상 구조물(50)에 직립되도록 탑재된 플레어 타워(1)를 해상 구조물(5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연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은 플레어 타워의 제작과 직립 및 탑재를 단일화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설비 운용과 비용을 최소화한다. 또한, 해상크레인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육상 작업장의 회전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리프팅 프레임이 플레어 타워에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높인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플레어 타워 1a : 세로부재
1b : 가로부재 2 : 안벽
10 : 제 1 해상크레인 11 : 붐
12 : 케이블 13 : 계류라인
20 : 제 2 해상크레인 21 : 붐
22 : 케이블 23 : 계류라인
30 : 운반선 31 : 계류라인
40 : 리프팅 프레임 41 : 지지바
42, 44 : 체결부 43 : 보강바
50 : 해상 구조물

Claims (5)

  1. 플레어 타워(1)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해상크레인(10)에 마련된 한 쌍의 붐(11, 11)이 운반선(30)에 눕혀진 플레어 타워(1)의 상측에 나란하도록 위치하되, 상기 한 쌍의 붐(11, 11) 사이에 상기 플레어 타워(1)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단계;
    상기 한 쌍의 붐(11, 11) 각각의 후크를 상기 플레어 타워(1)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 2 해상크레인(20)의 후크를 상기 플레어 타워(1)에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 20)에 의해 상기 플레어 타워(1)를 상기 운반선(30)으로부터 인양하여 상기 한 쌍의 붐(11, 11)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단계; 및
    상기 직립단계에 의해 세워진 상기 플레어 타워(1)를 해상 구조물(50)에 탑재하는 탑재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한 쌍의 붐(11, 11) 각각의 후크를 누워있는 상기 플레어 타워(1)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플레이 타워가 세워졌을 때 상단쪽 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해상크레인(20)의 후크를 누워있는 상기 플레어 타워(1)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플레어 타워가 세워졌을 때 하단쪽 부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플레어 타워(1)에 수평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41)를 가지고, 상기 지지바(41) 각각의 끝단에 상기 붐의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부(42)가 마련되는 리프팅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상기 플레어 타워(1)가 상기 제 1 해상크레인(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40)은 상기 지지바(41)가 상기 플레어 타워(1)의 세로부재(1a)와 가로부재(1b)에 다수의 보강바(4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플레어 타워(1)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립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해상크레인(10, 20)이 상기 플레어 타워(1)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해진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해상크레인(20)이 상기 플레어 타워(1)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 1 해상크레인(10)이 상기 한 쌍의 붐(11, 11) 사이에 상기 플레어 타워(1)를 인양하여 직립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KR1020100082411A 2010-08-25 2010-08-25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KR10121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11A KR101213756B1 (ko) 2010-08-25 2010-08-25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11A KR101213756B1 (ko) 2010-08-25 2010-08-25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75A KR20120019175A (ko) 2012-03-06
KR101213756B1 true KR101213756B1 (ko) 2012-12-18

Family

ID=4612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11A KR101213756B1 (ko) 2010-08-25 2010-08-25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64B1 (ko) * 2011-03-25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KR101253411B1 (ko) * 2011-03-31 2013-04-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대형 데릭 탑재 공법
KR101280521B1 (ko) * 2011-06-02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및 플레어 타워의 탑재방법
KR101722595B1 (ko) * 2012-08-30 2017-04-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101695487B1 (ko) * 2015-02-24 2017-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조물의 탑재 방법 및 이를 위한 크레인 결속장치
WO2017092051A1 (zh) * 2015-12-04 2017-06-08 深圳智慧能源技术有限公司 引射式燃烧装置的撬装结构
WO2017092058A1 (zh) * 2015-12-04 2017-06-08 深圳智慧能源技术有限公司 具有活动支撑框架的引射式燃烧装置
CN107201846A (zh) * 2017-05-23 2017-09-26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火炬塔架及其模块化安装方法
CN109083489A (zh) * 2018-10-12 2018-12-25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自卸捆绑式高架火炬装拆装置、安装方法及拆卸方法
CN113128077B (zh) * 2021-05-25 2024-04-23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群塔竖向爬升策划数字仿真优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49A (ja) 2003-09-04 2005-03-31 Takenaka Doboku Co Ltd 外付けエレベータの建て方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49A (ja) 2003-09-04 2005-03-31 Takenaka Doboku Co Ltd 外付けエレベータの建て方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75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756B1 (ko)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US7112010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CN109689561B (zh) 起重机、包括这种起重机的船舶以及用于竖立纵向结构的方法
CN102071644B (zh) 一种桥梁拱肋整体提升安装方法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CN104284857A (zh) 重物提升设备和方法
KR20120047740A (ko)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KR102059105B1 (ko) 다단 적층형 마스트를 갖는 타워 크레인
CN113825878A (zh) 用于安装适合于支撑海上风力涡轮机的桩柱的船舶和方法
US10167852B2 (en) Saddle and hook system
CN201809032U (zh) 带可组合式吊架的自调整拉索装置
JP7475345B2 (ja) クレーン、クレーンの組立方法、及びクレーンの解体方法
KR20140098362A (ko) 윈치 가이드 장치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20130073117A (ko) 해상 타워구조물 설치방법
KR101280521B1 (ko) 플레어 타워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및 플레어 타워의 탑재방법
CN103058083B (zh) 螺栓球桁架提升机
CN203612810U (zh) 一种海洋平台撬块吊装结构
JP2018020902A (ja) 上部スプレッダ取付方法、およびクレーン
KR101446587B1 (ko) 선박용 케이블 권상기
JP2012076924A (ja) ジブクレーン
CN111894341A (zh) 退扭塔吊机扶正方法
CN205346605U (zh) 卡式梁柱起吊装置
US20140199154A1 (en) Lifting system for lifting an item
CN220312209U (zh) 一种框架式高桩施工作业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