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351B1 - 미세파지용 장갑 - Google Patents
미세파지용 장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3351B1 KR101213351B1 KR1020100135219A KR20100135219A KR101213351B1 KR 101213351 B1 KR101213351 B1 KR 101213351B1 KR 1020100135219 A KR1020100135219 A KR 1020100135219A KR 20100135219 A KR20100135219 A KR 20100135219A KR 101213351 B1 KR101213351 B1 KR 101213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mble
- finger
- layer
- glove
- glov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파지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고,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미세파지용 장갑을 제공한다.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고,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미세파지용 장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파지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미세파지에 용이한 엄지부와 검지부 구조를 가진 미세파지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갑은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외부온도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착용되었으나, 최근 장갑의 기능도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는 기능에서 확대되어, 절단방지장갑, 미끄럼방지장갑, 내열장갑, 방한장갑, 내산장갑, 내염장갑, 진동흡수장갑, 오일 및 오물처리장갑 등의 여러종류의 장갑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천등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작업을 할 때에는 바늘, 핀, 못, 나사 등의 작은 도구를 파지하기 어려워 장갑을 벗은 후 맨손으로 미세 물체를 파지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우기 맨손으로도 파지하기 어려운 미세물체는 별도의 도구를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갑은 단부가 예리하지 못하고 대부분 절연소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정압식 및 정전식 터치패널등에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여 장갑을 착용한 채로 터치패널등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의 연구결과로, 장갑을 착용하고 미세물체를 붙잡지 못하는 원인은 4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통상 미세물체는 엄지와 검지 손끝으로 파지하는데, 장갑을 구성하는 장갑재질의 두께로 인하여 미세물체 파지를 위하여 엄지와 검지가 만나게 되는 지점에 뭉툭해 지므로 파지 사각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둘째, 장갑 손가락 부위의 공간에 손가락이 삽입되는데, 손가락 크기보다 장갑 내부에 여유공간이 있어서 장갑손가락 끝부분이 물체에 닿을 때, 여유공간 만큼 접혀져 주름이 발생하는 이유로 미세물건의 파지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의 손에는 손톱형상이 존재함으로 한정된 크기의 미세물건 즉, 반도체칩, 샤프심, 애벌레, 곤충의 알 등의 미세물건의 파지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의 손톱부분이 대칭되게 하고 안정적인 파지위치 확보 및 파지물건의 균형이 확보된 상태로 적당한 파지힘을 줌으로 파지가 이루어지는데, 장갑에 손톱형상의 부재하기 때문이다.
네번째, 물체의 외형이 원형구이거나 원형환봉일 경우처럼 파지접점유지 확보가 불가할 때는 파지물의 중심하단부를 손톱등으로 파지함으로 미세물체가 역학적으로 상부로 부상시켜 손톱과 지문부 사이로 안착시켜 파지하는 데, 장갑 착용시에는 미세물체를 부상시키거나 안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맨손보다 미세물체의 파지가 용이한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갑을 착용한 채로 터치패널에 정전식 및 정압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무부는 상기 좌우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층의 두께는 상기 제1층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엣지라인은 두께가 0.001mm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는 미세파지용 장갑으로서,
상기 미세파지용 장갑은 스타일러스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검지 골무부 제2층이 장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골무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골무부는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 손가락의 전류가 골무부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골무부의 제1층 내부에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를 전달받는 팁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골무부의 제1층 외면에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를 전달받는 팁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의 전단부는 대응하는 골무부의 전단부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무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사출성형되어 구비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무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사출성형되어 구비되는 미세파지용 장갑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골무부의 상기 제1층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코어, 상기 골무부의 상기 제2층의 외면을 형성하는 하코어,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가 끼워지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에 상기 장갑본체를 장착하고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와 상기 코어들이 형성하는 사출공간에 사출물을 분사하여 상기 골무부를 형성하는 미세파지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사용자가 미세파지용 장갑을 착용한 경우 맨손으로 파지하는 것보다 더 미세한 크기의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터치패널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서, 번거롭게 장갑을 벗지 않고도 휴대폰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킨 경우 제1층의 방향의 시선에서 본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측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 제조용 금형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을 제조하는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킨 경우 제1층의 방향의 시선에서 본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측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 제조용 금형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을 제조하는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명칭으로 설명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20)와, 골무부(10)를 포함한다.
골무부(10)는 장갑의 손가락부 단부에 형성되며, 사람의 손등방향을 향하는 제1층(101)과, 제1층(101)의 반대면인 제2층(102)으로 구성되며, 제1층(101)과 제2층(102)은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 때, 골무부(10)는 손가락부에 끼워지거나, 접착되거나, 사출성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골무부(10)를 손가락 길이방향의 수직절단한 단면에서, 제1층(101)은 상기 골무부 내부에서 골무부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곡률이 변하는 곡면이고, 제2층(10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골무부 외부에서 골무부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에서 골무부 내부에서 골무부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변곡되는 곡면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제1층(101)과 제2층(102)이 만나는 선을 따라서 엣지라인(103)을 형성한다.
각 손가락에 해당하는 골무부(1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이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골무부(10)는 좌우대칭 구조인 것이 제조에 용이하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층(101)과 제2층(102)이 만나는 접합점에서 각각의 접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θ)는 18° 내지 68°가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 내에서 미세하고 가벼운 중량을 가진 물건보다 크고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물건을 파지할수록 각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골무부(10)의 재료는 파지율에 중요한 요소로서 적어도 제1층(101)는 쇼아A경도(Shore A hardness)는 20 내지 70 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 내에서 미세하고 가벼운 중량을 가진 물건보다 크고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물건을 파지할수록 경도가 높은 것이 유리하다. 상기 범위 외에서는 파지성공률이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준에 미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재료는 고무, 합성수지, 섬유, 금속, 비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이 선택되어 질 수 있으나, 사용 후 신속하게 원형이 복원되도록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열거로서 니트릴고무, 천연고무, 아크릴고무, 우레탄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및 이들의 합성고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고무를 이러한 경도 조건을 만족시키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골무부(10)의 재료와 아울러 두께도 중요한 요소인데, 제1층(101)의 두께는 0.03mm내지 3mm가 바람직하다. 3mm를 초과하는 경우 물건을 파지할 때 손가락의 자연적인 굽혀짐과 펴기의 반복적인 운동을 두께로 인하여 저해하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고, 0.03mm 미만인 경우 제품을 생산할 때 재료가 너무 얇아 구조를 형성하는데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층(102)의 두께도 0.03mm내지 3mm가 바람직한데, 3mm를 초과하는 경우 3mm를 초과하는 경우 물건을 파지할 때 손가락의 자연적인 굽혀짐과 펴기의 반복적인 운동을 두께로 인하여 저해하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고, 0.03mm 미만인 경우 제품을 생산할 때 재료가 너무 얇아 구조를 형성하는데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2층(102)의 두께는 제1층의 두께보다 얇게 하여 장갑착용시 실제 손과 같은 자연스러움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골무부(10)는 전체적으로 전단부의 엣지라인은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져 전체적으로 유선형을 유지하는 데 최전단인 엣지라인은 두께가 0.001mm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톱두께가 0.65mm인 사람손보다 미세한 물건을 집을 수 있게 된다.
골무부(10)의 길이는 손가락의 바깥마디와 상응하거나 바깥 마디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킨 경우 제1층의 방향의 시선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파지시의 사람의 엄지와 검지의 동작을 살펴보면, 엄지손톱의 좌우중심선과 검지손톱의 좌우중심선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대략 140 ˚정도의 각도를 이루며, 파지점에서 엄지손톱의 좌우중심선과 검지손톱의 좌우중심선은 일치하지 않고, 2.2 ~2.9mm정도 벌어지게 되며, 엄지손톱면과 검지손톱면이 서로 어긋나있다. 이로 인해 사람의 손은 보다 미세한 물체를 파지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좌우중심선은 손톱의 좌우길이의 중심선을 말한다.
이에 사람의 손보다 미세물체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작하기 위해서 미세파지용 장갑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고, 또한,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엄지골무부(10-1)는 엄지골무부의 제1층(101)이 대응하는 엄지손톱의 방향보다 오른쪽으로 회전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하며, 검지골무부(101-2)는 검지골무부(10-2)의 제1층(101)이 대응하는 검지손톱의 방향보다 왼쪽으로 회전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스타일러스펜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세파지용 장갑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장갑의 검지골무부(10-2) 제2층(102)이 장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멍(20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검지골무부(10-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골무부는 도전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전류가 골무부를 통하여 전달되어 터치스크린의 커패시티의 용량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도전성수지는 공지의 성형가능한 도전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도전성 금속과 수지를 혼합한 재료가 사용된다.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철, 구리, 니켈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수지로는 PPE, PC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미세파지용 장갑은 제1층(101)에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된다. 즉, 제1층사이에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는 구조로서, 골무부 사출성형시에 같이 포함되거나 착탈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펜은 배터리(302), 배터리의 전류를 전달하는 도전성팁(301)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302)와 도전성팁(301)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302)는 제1층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소형 배터리를 사용한다. 도전성팁(301)은 손가락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전단부는 골무부의 전단부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는 스타일러스펜이 제1층(101)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골무부 외면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골무부 외면에 장착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나,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도전성팁(401), 배터리(402), 및 장착수단(403)을 포함한다.
장착수단(403)은 탄성변형을 하면서 골무부(10)에 끼워질 수 있게 하며, 도전성팁(401)은 긴 막대형상으로 단부는 골무부(10)의 단부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402)는 도전성팁(401)에 전류를 공급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미세파지용 장갑이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는 골무부(10)가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골무부(10)와 대응하는 장갑영역의 적어도 일영역이 도전성 섬유(501)로 구성되어, 스타일러스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골무부를 장갑본체에 부착하는 방법은 골무부를 제작한 후 골무부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부착시킬 수 있으나, 최근 환경문제를 감안할 때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한 공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골무부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골무부를 손가락부에 사출성형하는 방법을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금형을 상코어(601), 하코어(602), 및 슬라이드코어(603)로 나누어 제작한다. 상코어(601)는 골무부(10)의 제1층(101)의 외면을 형성하고, 하코어(602)는 골무부의 제2층(102)의 외면을 형성하며, 슬라이드코어(603)는 장갑본체(20)의 손가락부가 끼워져 골무부의 내면형상을 형성한다.
즉, 상코어(601)와 하코어(602)를 개방할 때 중간에 슬라이드 코어(603)를 설치하는데, 슬라이드 코어(603)에 형성하고자 하는 장갑본체(20)의 손가락부을 장착시킨 상태로 상코어(601)와 하코어(602)를 닫아 밀폐시키면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와 코어사이에 사출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고압의 사출물이 채워져 골무부가 성형되고, 사출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코어(603)를 이탈시켜 사출물을 빼낸다.
이 때, 사출물이 골무부(10)가 형성되어야 하는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코어(601), 하코어(602), 및 슬라이드 코어(603)에는 각각 사출물 방지돌기(611, 613, 615, 61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금형의 각 코어들은 복수로 제작하여 사출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다른 코어들에 장갑을 끼우는 작업을 진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무부 20 : 장갑본체
101 : 제1층 102 : 제2층
201 : 구멍
301 : 도전성 팁 302 : 배터리
401 : 도전성 팁 402 : 배터리 403 : 장착수단
501 : 도전성 섬유
601 : 상코어 602 : 하코어 603 : 슬라이딩 코어
10 : 골무부 20 : 장갑본체
101 : 제1층 102 : 제2층
201 : 구멍
301 : 도전성 팁 302 : 배터리
401 : 도전성 팁 402 : 배터리 403 : 장착수단
501 : 도전성 섬유
601 : 상코어 602 : 하코어 603 : 슬라이딩 코어
Claims (13)
-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부는 상기 좌우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인 미세파지용 장갑.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는 상기 제1층의 두께보다 얇은 미세파지용 장갑.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라인은 두께가 0.001mm 내지 0.5mm인 미세파지용 장갑. -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는 미세파지용 장갑으로서,
상기 미세파지용 장갑은 스타일러스펜 기능을 가지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6항에 있어서,
검지 골무부 제2층이 장착되는 상기 장갑본체 검지손가락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골무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골무부는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 손가락의 전류가 골무부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부의 제1층 내부에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를 전달받는 팁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되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부의 제1층 외면에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를 전달받는 팁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되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전단부는 대응하는 골무부의 전단부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는 미세파지용 장갑. -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무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사출성형되어 구비되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의 골무부의 각 전단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엄지 골무부의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과 검지 골무부 제1층 외면의 좌우중심선은 서로 0~0.5mm 오차 이내로 일치될 수 있는 미세파지용 장갑.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부의 제1층을 향하는 방향의 시선에서 양 좌우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170˚ 내지 190˚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좌우중심선의 일치점에서 엄지 및 검지 골무부의 공통의 접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미세파지용 장갑. -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 및
손등방향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반대면인 제2층이 전방에서 서로 접합되어 엣지라인을 형성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상기 손가락부에 장착된 골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골무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에 사출성형되어 구비되는 미세파지용 장갑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골무부의 상기 제1층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코어, 상기 골무부의 상기 제2층의 외면을 형성하는 하코어, 상기 장갑본체의 손가락부가 끼워지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에 상기 장갑본체를 장착하고 장갑본체의 손가락부와 상기 코어들이 형성하는 사출공간에 사출물을 분사하여 상기 골무부를 형성하는 미세파지용 장갑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219A KR101213351B1 (ko) | 2010-12-27 | 2010-12-27 | 미세파지용 장갑 |
JP2013547300A JP2014501340A (ja) | 2010-12-27 | 2011-12-08 | 小物摘取用手袋 |
CN2011800632152A CN103347410A (zh) | 2010-12-27 | 2011-12-08 | 抓握细小物体用的手套 |
PCT/KR2011/009460 WO2012091317A2 (ko) | 2010-12-27 | 2011-12-08 | 미세파지용 장갑 |
US13/927,770 US20130291281A1 (en) | 2010-12-27 | 2013-06-26 | Glove for gripping small obj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219A KR101213351B1 (ko) | 2010-12-27 | 2010-12-27 | 미세파지용 장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447A KR20120073447A (ko) | 2012-07-05 |
KR101213351B1 true KR101213351B1 (ko) | 2013-01-09 |
Family
ID=4638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5219A KR101213351B1 (ko) | 2010-12-27 | 2010-12-27 | 미세파지용 장갑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91281A1 (ko) |
JP (1) | JP2014501340A (ko) |
KR (1) | KR101213351B1 (ko) |
CN (1) | CN103347410A (ko) |
WO (1) | WO2012091317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2199A (ko) | 2015-01-27 | 2016-08-04 | 차승욱 | 슈퍼페브릭 산업용장갑보호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98921A1 (en) * | 2012-02-03 | 2013-08-08 | Mark Plumer | Adjustable Garment |
US9345278B2 (en) * | 2012-10-26 | 2016-05-24 | Zachary Ryan Crear | Glove for meat preparation |
USD731712S1 (en) * | 2013-02-26 | 2015-06-09 | Talon Athletics Inc. | Talon glove |
EP2874051A1 (en) * | 2013-11-14 | 2015-05-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160007663A1 (en) * | 2014-07-10 | 2016-01-14 | Debra S. Price | Gardening Glove |
US11627770B2 (en) * | 2017-07-05 | 2023-04-18 | Alan McAllister | Hand worn debris removal device |
US11033061B2 (en) * | 2017-10-31 | 2021-06-15 | D4 Dab, Llc | Scraper glove |
US11678704B2 (en) * | 2017-10-31 | 2023-06-20 | D4 Dab Llc | Scraper glove |
JP7356671B2 (ja) * | 2017-12-22 | 2023-10-05 | 国立大学法人浜松医科大学 | 患者用手袋、患者用指サック |
US10583950B1 (en) * | 2019-01-03 | 2020-03-10 | Lawrence Courtney | Finger protection device from tagging gun needles |
KR102431946B1 (ko) * | 2020-07-02 | 2022-08-16 | 한국전력공사 |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
US11500479B2 (en) | 2021-01-08 | 2022-11-15 | Kenton Gregory Hines | Finger-mounted stylus for touchscreen devic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7424A (en) * | 1996-06-10 | 1997-11-18 | W. L. Gore & Associates, Inc. | Hand covering having anatomically shaped finger tip |
JP2004353137A (ja) * | 2003-05-30 | 2004-12-16 | Sunstar Inc | 皮膚炎用手袋 |
KR20090083018A (ko) * | 2008-01-29 | 2009-08-03 | 이영태 | 작업용 장갑 |
KR20100058414A (ko) * | 2008-11-24 | 2010-06-03 | 이영태 | 파지용 골무 및 장갑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940A (en) * | 1863-12-15 | Improvement in stump-extractors | ||
US40087A (en) * | 1863-09-22 | Improvement in pelting-machines | ||
US1066480A (en) * | 1911-08-24 | 1913-07-08 | Herbert Cecil Finlay | Artisan's india-rubber glove. |
US1160522A (en) * | 1915-04-24 | 1915-11-16 | Homer B Morris | Finger-shield. |
US2409101A (en) * | 1943-11-23 | 1946-10-08 | Vertner D Brittingham | Finger or hand attachment |
US2467613A (en) * | 1946-04-29 | 1949-04-19 | Ira D Davis | Finger shield |
JPS52137689U (ko) * | 1976-04-14 | 1977-10-19 | ||
JPS5317432U (ko) * | 1976-07-23 | 1978-02-14 | ||
US4127222A (en) * | 1976-11-26 | 1978-11-28 | Adams Roberta V | Sewing thimble |
US4149601A (en) * | 1977-08-29 | 1979-04-17 | Taylor Paul B | Cultivator glove |
US4694843A (en) * | 1986-10-07 | 1987-09-22 | Casenhiser Elaine J | Fingertip cover |
US4926718A (en) * | 1989-03-08 | 1990-05-22 | Clifford Lawrence Goodman | Nail holding tool |
US5405206A (en) * | 1990-07-13 | 1995-04-11 | Bedol; Mark A. | Finger-mounted writing apparatus |
JPH0731816U (ja) * | 1993-11-16 | 1995-06-16 | 伸 鈴木 | 作業用手袋 |
US5706520A (en) * | 1995-08-15 | 1998-01-13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Hand puncture protector |
US5673436A (en) * | 1996-01-11 | 1997-10-07 | Piper; Stan | Defense glove |
JP3029620U (ja) * | 1996-03-29 | 1996-10-01 | 真弓 菅野 | ビーズ挟み取り用ピンセット |
US5848928A (en) * | 1996-12-30 | 1998-12-15 | Wong; Ken E. | Finger puppet eating utensil |
US6145128A (en) * | 1998-09-17 | 2000-11-14 | Suzuki; Eriko | Finger protector apparatus |
US6519207B1 (en) * | 1998-10-05 | 2003-02-11 | Jason B. Lukacsko | Outdoor glove watch |
US6726068B2 (en) * | 2001-04-09 | 2004-04-27 | Dennis J. Miller | Elastomeric thimble |
US6990985B1 (en) * | 2002-01-17 | 2006-01-31 | Nail Saver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fingernails |
US6592235B1 (en) * | 2002-02-22 | 2003-07-15 | Gary Mayo | Light emitting glove |
US20040260281A1 (en) * | 2002-09-19 | 2004-12-23 | Baxter Chester O. | Finger tip electrosurgical medical device |
JP2005054337A (ja) * | 2003-08-07 | 2005-03-03 | Yuukai Nakagawa | 手袋 |
US20070118947A1 (en) * | 2004-09-01 | 2007-05-31 | Lorenzo Philip C | Ventilated and swing away finger cot for handling paper documents |
US7347578B1 (en) * | 2005-12-14 | 2008-03-25 | Nourse Connie L | Apparel having selectively activated light source |
US8336119B2 (en) * | 2007-12-09 | 2012-12-25 | 180's. Inc. | Hand covering with conductive portion |
US7891831B2 (en) * | 2008-03-03 | 2011-02-22 | Hui Lin Chen | Self-illumination glove |
KR20100005761A (ko) * | 2008-07-08 | 2010-01-18 | 박찬문 | 인조손톱을 구비한 장갑 |
US20100090966A1 (en) * | 2008-10-14 | 2010-04-15 | Immersion Corporation | Capacitive Sensor Gloves |
CN101870100A (zh) * | 2010-03-26 | 2010-10-27 | 张玉才 | 带鹰爪(三种爪可更换)多用途手套式工具 |
JP3164392U (ja) * | 2010-09-14 | 2010-11-25 | ヨークス株式会社 | 手袋 |
-
2010
- 2010-12-27 KR KR1020100135219A patent/KR1012133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12-08 JP JP2013547300A patent/JP2014501340A/ja not_active Ceased
- 2011-12-08 CN CN2011800632152A patent/CN103347410A/zh active Pending
- 2011-12-08 WO PCT/KR2011/009460 patent/WO2012091317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
- 2013-06-26 US US13/927,770 patent/US2013029128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7424A (en) * | 1996-06-10 | 1997-11-18 | W. L. Gore & Associates, Inc. | Hand covering having anatomically shaped finger tip |
JP2004353137A (ja) * | 2003-05-30 | 2004-12-16 | Sunstar Inc | 皮膚炎用手袋 |
KR20090083018A (ko) * | 2008-01-29 | 2009-08-03 | 이영태 | 작업용 장갑 |
KR20100058414A (ko) * | 2008-11-24 | 2010-06-03 | 이영태 | 파지용 골무 및 장갑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2199A (ko) | 2015-01-27 | 2016-08-04 | 차승욱 | 슈퍼페브릭 산업용장갑보호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347410A (zh) | 2013-10-09 |
WO2012091317A3 (ko) | 2012-08-23 |
JP2014501340A (ja) | 2014-01-20 |
KR20120073447A (ko) | 2012-07-05 |
US20130291281A1 (en) | 2013-11-07 |
WO2012091317A2 (ko)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3351B1 (ko) | 미세파지용 장갑 | |
Low et al. | Hybrid tele-manipulation system using a sensorized 3-D-printed soft robotic gripper and a soft fabric-based haptic glove | |
US10894208B2 (en) | Hand-held controller using LED tracking ring | |
US10809804B2 (en) | Haptic feedback glove | |
JP6362766B2 (ja) | 孔部内に構成要素を備える剃刀の柄、及びそのような剃刀の柄を備える剃刀 | |
USD701350S1 (en) | Golf glove | |
US20150181955A1 (en) | Ambidextrous, anti-vibration glove with impact and pinch point protection | |
US20180035734A1 (en) | Protective glov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
KR100966278B1 (ko) | 파지용 골무 및 장갑 | |
CN204259895U (zh) | 手套结构 | |
EP2143349A2 (en) | Gloves having artificial nail | |
US9578907B2 (en) | Configurable passive-assist work gloves | |
US20120327043A1 (en) | Stylus capable of being applied in various touch panels | |
EP2850957B1 (en) | Element or addition for protecting the fingers of safety gloves | |
Battaglia et al. | ThimbleSense: an individual-digit wearable tactile sensor for experimental grasp studies | |
KR200455881Y1 (ko) | 단말기용 가죽스킨패드 | |
JP2015232585A (ja) | 保持部材及び撮像ユニット | |
KR101843851B1 (ko) | 핑거탭 | |
KR200492164Y1 (ko) | 지우개 달린 손가락 토시 | |
CN208724253U (zh) | 柔性印刷电路板及具有其的数据手套 | |
KR20090083018A (ko) | 작업용 장갑 | |
CN205728218U (zh) | 一种防撞安全手套 | |
CN105373239A (zh) | 触控笔 | |
CN108936897A (zh) | 掌握式的盲人用识别手套 | |
JPWO2012153710A1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用スタイラスペ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