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261B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261B1
KR101213261B1 KR1020120119941A KR20120119941A KR101213261B1 KR 101213261 B1 KR101213261 B1 KR 101213261B1 KR 1020120119941 A KR1020120119941 A KR 1020120119941A KR 20120119941 A KR20120119941 A KR 20120119941A KR 101213261 B1 KR101213261 B1 KR 10121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inlet
central axis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열
Original Assignee
윤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충열 filed Critical 윤충열
Priority to KR102012011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2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측보호프레임과 외측보호프레임 사이에서 모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팬에 의해 전면부로 바람을 제공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외경은 상기 팬이 회전하는 직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선풍기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모터의 중심축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모터 중심축을 기준하여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외경은 상기 유입부와 동일하고, 내경은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측면송풍장치 및,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팬이 상기 지지부에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입부와 지지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는 상기 내측보호프레임, 유입부, 지지부, 이격부재, 팬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팬의 전면부와 동시에 측면부에도 바람을 제공하고, 전면부에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풍기{Electric fan}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선풍기와 같이 전면으로 바람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 없이도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더 넓은 면적에 효율적으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중심축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된 팬을 모터와 연결된 축에 조립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이 회전하면서 전면으로 바람을 일으켜 시원함을 주는 것을 말한다.
선풍기는 보통 형태와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스탠드형, 벽걸이형, 천장형, 타워형, 소형, 차량용, 휴대용, 탁상용 등으로 구분되며, 공장 및 사업장에서는 팬의 크기와 모터 출력을 더 크게 하고, 가정 및 차량에서는 팬의 크기와 출력을 더 작게 사용하지만, 그 부품과 구조는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이처럼, 바람의 세기는 팬의 크기와 출력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바람의 방향은 팬의 전면부에만 한정되게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선풍기의 회전기능이다. 이 회전기능은 팬이 설치된 선풍기의 헤드 부분을 설정된 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면부에만 제공되는 바람을 주변에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선풍기의 헤드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점, 설정된 각도 이외에는 바람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 회전 각도가 클수록 바람을 제공하는 영역은 커지지만 바람을 제공받는 간격 또한 커져 효과적으로 시원함을 느낄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0603034호와 같이 좌대(20)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30)에 수직방향으로 날개(5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날개(50)의 하부에는 날개(5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경사진 형태로 하부의 바람을 날개(50)쪽으로 끌어올리는 경사송풍부(51)를 형성하여, 선풍기의 바람이 사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하되, 바람이 날개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공급되어 날개에 의해 송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바람이 사방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사방향 선풍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방향 선풍기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바람이 배출되는 면적이 넓어 그 세기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한 방향에 집중적으로 바람을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의 전면부와 동시에 측면부에도 바람을 제공하고, 전면부에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전면부에 바람을 제공하는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 이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어도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측보호프레임과 외측보호프레임 사이에서 모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팬에 의해 전면부로 바람을 제공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외경은 상기 팬이 회전하는 직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선풍기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모터의 중심축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모터 중심축을 기준하여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외경은 상기 유입부와 동일하고, 내경은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측면송풍장치 및,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팬이 상기 지지부에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입부와 지지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는 상기 내측보호프레임, 유입부, 지지부, 이격부재, 팬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모터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팬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내측은 함몰되고 외측은 돌출되는 에어포일(airfoil)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의 전면부와 동시에 측면부에도 바람을 제공하고, 전면부에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가 제공된다.
또한, 전면부에 바람을 제공하는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 이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어도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선풍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선풍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보호프레임(1)과 외측보호프레임(2) 사이에서 모터 중심축(C)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팬(10)에 의해 전면부로 바람을 제공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본 발명 선풍기는 크게 팬(10), 측면송풍장치(20), 이격부재(30)로 구성된다.
팬(10)은 중심축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3~5개의 날개가 형성되며, 팬(10)의 후면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팬의 전면부로 배출하여 시원함을 제공한다.
측면송풍장치(20)는 선풍기의 후면에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부(21)와 유입부(21)에 고정 설치되어 측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지지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부(21)의 외경 즉, 바깥지름은 팬(10)이 회전하는 직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선풍기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중심축(C)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유입부(21)의 중심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지지부(22)는 유입부(21)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외경은 유입부(21)와 동일하고, 내경은 모터 중심축(C)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유입부(21) 측으로 돌출되는 안내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부(23)는 지지부(22)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지부(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팬(1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내측은 함몰되고 외측은 돌출되는 에어포일(airfoil)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격부재(30)는 모터 중심축(C)에 삽입되고, 상기 팬(10)이 상기 지지부(22)에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입부(21)와 지지부(22)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팬(10)의 후면부로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팬(10)의 전면부에 시원한 바람이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측보호프레임(1)은 모터의 중심축(C)에 가장 먼저 설치되고, 이후 유입부(21), 지지부(22), 이격부재(30), 팬(10)이 순차적으로 모터의 중심축(C)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측 보호프레임은 팬(10)이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된 이후에 내측보호프레임(1)과 결합되는 것으로, 팬(10)이 회전하는 동안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하는 팬(10)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선풍기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측보호프레임(1)은 모터(M)에 밀착되도록 모터의 중심축(C)에 가장 먼저 설치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내측보호프레임(1)이 모터(M)로부터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조임레버 등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측면송풍장치(20)는 유입부(21)가 내측보호프레임(1)을 대향하는 상태로 모터의 중심축(C)에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의 중심축(C)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송풍장치(20)에는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모터(M)의 회전력이 측면송풍장치(20)에 보다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측면송풍장치(20) 이후에 설치되는 이격부재(30)는 측면송풍장치(20)가 모터(M)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팬(10)과 측면송풍장치(20)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격부재(30)는 모터(M)가 회전함에 따라 측면으로 바람이 제공되도록 측면송풍장치(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팬(10) 전면부에 시원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팬(10) 후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이격부재(30)가 설치된 이후에는 팬(10)을 모터의 중심축(C)에 삽입하고, 팬(1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40)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팬(10)을 삽입할 때는 모터(M)의 회전방향과 팬(10)의 날개 형태를 고려하여 전면부로 바람이 제공되도록 결합한다.
이처럼 팬(10)이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었으면 끝으로 외측보호프레임(2)을 내측보호프레임(1)과 결합하여 팬(10)이 외부로 부터 간섭 받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선풍기에서 바람이 제공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모터(M)가 회전함에 따라 선풍기의 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부(21)를 통해 들어오게 되고, 유입부(21) 내부의 공기는 안내부(23)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은 선풍기의 측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측면으로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입부(21) 내부의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안내부(23)가 에어포일 형태여야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다. 안내부(23)가 단순한 막대 형태라면, 바람을 측면으로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통과되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양이 극히 미약하게 되어 선풍기 측면부에 효과적으로 바람을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이격부재(30)가 측면송풍장치(20)로부터 팬(10)이 이격 설치되도록 하여 팬(10) 후면부로 충분히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팬(10) 전면부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측면송풍장치(20)가 회전하여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하게 되고, 동시에 팬(10)이 회전하여 전면부에 바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전면부에 바람을 제공하는 팬(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 이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어도 측면부에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내측보호프레임 2 : 외측보호프레임
10 : 팬 20 : 측면송풍장치
21 : 유입부 22 : 지지부
23 : 안내부 30 : 이격부재
40 : 고정수단
M : 모터 C : 모터의 중심축

Claims (2)

  1. 내측보호프레임과 외측보호프레임 사이에서 모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팬에 의해 전면부로 바람을 제공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외경은 상기 팬이 회전하는 직경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선풍기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모터의 중심축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모터 중심축을 기준하여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외경은 상기 유입부와 동일하고, 내경은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측면송풍장치,
    상기 모터 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팬이 상기 지지부에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입부와 지지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중심축에는 상기 내측보호프레임, 유입부, 지지부, 이격부재, 팬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모터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팬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내측은 함몰되고 외측은 돌출되는 에어포일(airfoil)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20120119941A 2012-10-26 2012-10-26 선풍기 KR10121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41A KR101213261B1 (ko) 2012-10-26 2012-10-26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41A KR101213261B1 (ko) 2012-10-26 2012-10-26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261B1 true KR101213261B1 (ko) 2012-12-18

Family

ID=4790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41A KR101213261B1 (ko) 2012-10-26 2012-10-26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2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965A (ja) 2001-08-03 2003-02-26 Lg Electronics Inc 冷蔵庫用冷気送風装置
JP2003206899A (ja)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送風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又は投射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965A (ja) 2001-08-03 2003-02-26 Lg Electronics Inc 冷蔵庫用冷気送風装置
JP2003206899A (ja)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送風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又は投射型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965Y1 (ko) 선풍기
CN103542468B (zh) 一种空调、室外机及其风扇防护格栅
KR20180065357A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160003066U (ko) 목걸이형 선풍기
KR101767054B1 (ko) 코안다 선풍기
US20130189082A1 (en) Diffusion Type Combination Fan
JP3178828U (ja) 気体導流構造を備えた扇風機
KR101213261B1 (ko) 선풍기
WO2010107265A2 (ko) 중심회전날개부가 구성된 상하 대향의 팬을 구비하는 사방향 선풍기 및 사방향 선풍기의 풍량측면 유도 방법
KR101396137B1 (ko) 환기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JP5927485B2 (ja) 扇風機
US11156225B2 (en) Flow generating device
KR101469375B1 (ko) 개량 선풍기
JP5909628B2 (ja) 扇風機
CN111219775B (zh) 取暖器
KR20150135829A (ko) 선풍기
KR20160136644A (ko) 송풍기
JP3189194U (ja) ルーバー装置と、該ルーバー装置を用いる送風アセンブリ
TWM529071U (zh) 循環扇的導風盤
KR200469780Y1 (ko) 선풍기용 회전 날개 어셈블리
JP201418167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216111374U (zh) 挂脖风扇
KR102351963B1 (ko) 미세먼지 흡착 구조의 선풍기
KR20180057018A (ko) 전방향 선풍기
JP6007400B2 (ja) 扇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