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51B1 -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 Google Patents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51B1
KR101212451B1 KR1020110048936A KR20110048936A KR101212451B1 KR 101212451 B1 KR101212451 B1 KR 101212451B1 KR 1020110048936 A KR1020110048936 A KR 1020110048936A KR 20110048936 A KR20110048936 A KR 20110048936A KR 101212451 B1 KR101212451 B1 KR 10121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platform
vehic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0885A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1004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51B1/en
Publication of KR2012013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탄 장애인을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도록 차량에 장착된 슬라이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리프트의 작동에 의해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추락하지 않도록 보다 안전하고 또한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슬라이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차량 밖으로 펼쳐지거나 차량 안쪽으로 접히는 링크부와, 링크부의 자유단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거나 고정플레이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플랫폼과,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링크부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플랫폼의 상면에 장착되는 안전 가이드는, 플랫폼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하며 양단이 좌측 프레임의 선단부와 우측 프레임의 선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전방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의 후단부와 우측 프레임의 후단부 중 어느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타단이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도록 장착된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lift mounted on a vehicle to allow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to ride or get off a vehicle. The sliding lift is configured to enable safer and more precise operation so that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does not fall by operating the sliding lift. The purpose is to provid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 link portion which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to extend out of the vehicle or folded into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link portion A platform mounted on a fixed frame, which slides inwardly or slides inwardly from a fixed plate, a first drive unit mounted on a fixed frame to move the platform, and a link unit that is extended or folded A safety guid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includes a second driving part, which is located on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platform, and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both ends are hing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end of the right frame, respectively. Combined with the front frame pivotable up and down, left One of the rear end of the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right frame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so that one end is pivo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rame includes a rear frame mounted to lock or unlock the other end.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do.

Description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본 발명은 휠체어에 탄 장애인을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도록 차량에 장착된 슬라이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리프트의 작동에 의해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추락하지 않도록 보다 안전하고 또한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lift mounted on a vehicle to allow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to ride or get off a vehic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safer and more precise operation so that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does not fall by operating the sliding lift. .

휠체어에 의존하는 장애인이 먼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 시에 가급적 신체 접촉없이 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리프트 또는 슬로프가 차량에 장착된다.In order to move a long distance, a disabled person who depends on a wheelchair needs to use a vehicle, and a lift or a slope is mounted on the vehicle so as to get on and off the vehicl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getting in touch with the vehicle.

슬로프의 경우, 탑승 또는 하차 시에 보조자가 차량에서 슬로프를 지면으로 펼친 후에 휠체어를 밀어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case of the slope, when the assistant or the passenger unfolds the slope from the vehicle to the grou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pushing or getting off the wheelchair.

리프트의 경우, 보조자가 제어패널의 조작만으로 리프트를 차량 내부로 진입 또는 진출하여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다. 하지만, 리프트의 작동방향이 차량의 측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리프트의 작동범위에 따른 차량의 내부 공간이 작아 리프트가 진입 또는 진출 시에 휠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a lift, the assistant may enter or exit the lift into or out of the vehicle only by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However, since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lift operat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nner spa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ng range of the lift is small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should be changed when the lift enters or exits.

이와 같이 리프트에 휠체어가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할 경우 장애인이 중심을 잃고 추락하거나 차량 내부 시설과 부딪힐 수 있다는 위험이 있으며, 리프트의 작동이 정밀하지 못하여 리프트에 탄 장애인이 추락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In this way, if the wheelchair is lifted on the lift, there is a risk that the handicapped person may lose its center and fall or collide with the in-vehicle facility.In addition, the lift may be inaccurate and the accident of the disabled on the lift often occurs. Doing.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리프트에 탑승한 장애인이 리프트에서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플랫폼에 안전 가이드가 구비된 슬라이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lift equipped with a safety guide on the platform to prevent a person with a disability in the lift from falling from the lift. .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작동이 보다 정밀하게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리프트에 탑승한 장애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슬라이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lift configured to prevent the fall of the disabled person aboard the lift by configur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to operate more precise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차량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차량 밖으로 펼쳐지거나 차량 안쪽으로 접히는 링크부와, 링크부의 자유단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거나 고정플레이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플랫폼과,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링크부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플랫폼의 상면에 장착되는 안전 가이드는, 플랫폼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과,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하며 양단이 좌측 프레임의 선단부와 우측 프레임의 선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전방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의 후단부와 우측 프레임의 후단부 중 어느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타단이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도록 장착된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 link portion which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to extend out of the vehicle or folded into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link portion A platform mounted on a fixed frame, which slides inwardly or slides inwardly from a fixed plate, a first drive unit mounted on a fixed frame to move the platform, and a link unit that is extended or folded A safety guid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the safety guide is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the front of the vehicle, both ends of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end of the right frame, respectively A front frame hinged and pivotable up and down, A rear frame is mounted to one of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right frame so that one end is pivo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rame is mounted so that the other end is locked or unlock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technical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프레임은 양단이 절곡된 관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 중 일단은 어느 한 쪽 프레임의 후단에 상향으로 고정관이 삽입되고, 후방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한 볼트가 나사체결되어 볼트를 조이면 볼트가 고정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며 볼트를 풀면 후방 프레임이 고정관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선회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rame is a pipe structure bent at both ends, one end of the bent both ends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one of the frame upwards, the bolt penetrating the one end of the rear frame Is screwed and tighten the bolt, the bolt presse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tube. When the bolt is released, the rear frame pivot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fixed tub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는 레버가 장착되어 후방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한 레버를 회전시켜 볼트를 조이거나 푼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is mounted to the lever to rotate the lever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frame to tighten or loosen the bol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프레임은 양단이 절곡된 관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 중 타단은 다른 한 쪽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 채널구조의 스토퍼 안쪽에 위치하며, 스토퍼에 장착된 잠금손잡이에 의해 스토퍼 안쪽에서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rame is a tube structure bent at both ends, the other end of the bent both ends is located inside the stopper of the channel structur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other frame, mounted on the stopper It is locked or unlocked inside the stopper by the lock knob.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의 안쪽에 위치한 후방 프레임의 타단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잠금손잡이에서 인출된 고정핀이 구멍에 삽입되어 잠금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frame located inside the stopper, and a fixing pin drawn out of the lock handle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lock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는 머리 받침대가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restraint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는 브라켓이 전방을 향해 고정되고, 머리 받침대에는 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장착되며, 슬라이더에 체결된 볼트는 슬라이더를 관통해 브라켓을 가압하여 머리 받침대를 고정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the bracket is fixed to the front, the head restraint is equipped with a slider moving along the bracket, bolts fastened to the slider penetrates the slider to the bracket Press to fix the head restrai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선단에는 각각 제1원판이 고정되고, 전방 프레임은 양단이 절곡된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에는 제2원판이 각각 고정되며, 제1원판과 제2원판은 상호 대응하여 힌지 결합되고, 제1원판과 제2원판 중 어느 한 원판에는 힌지 결합된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 상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다른 한 원판에는 고정핀이 인출된 잠금손잡이가 장착되고, 고정핀이 원판의 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전방 프레임의 상하방향 선회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respectively, the front frame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the second disc is fixed to each of the bent ends, respectively The first disc and the second disc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first disc and the second disc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n an arc having a hinged center point, and the other disc has a fixing pin withdrawn. The locking knob is mounted and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hole of the disc to lock or unlock the up and down pivot of the fron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프레임 또는 우측 프레임에는 컵홀더가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mounted on the left frame or the righ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컵홀더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컵홀더에는 브라켓이 고정되고, 좌측 프레임 또는 우측 프레임에는 브라켓과 힌지 결합된 지지대가 고정되며, 브라켓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지지대에는 고정핀이 인출된 잠금손잡이가 장착되어 고정핀이 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컵홀더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하거나 하향으로 선회하도록 잠금해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a plate formed with a hole, the bracket is fixed to the cup holder, the support frame hinged to the bracket is fixed to the left frame or the right frame, the 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The supporter is equipped with a locking knob with a fixed pin drawn out to lock the pin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or withdrawn to lock the cup holder upright or to turn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컵홀더가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지지대에는 브라켓을 받쳐주는 고무부재가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member for supporting the bracket is located on the support so that the cup holder is kept horizonta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핀이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을 받쳐주는 고무부재가 지지대에 고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member for supporting the bracket in the state that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is fixed to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전방 프레임에는 그립이 고정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is fixed to the left frame, the right frame and the fron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부는 피니언이 장착된 모터이며, 플랫폼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이 고정되고, 피니언과 랙이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모터가 회전하면 랙이 피니언의 회전동력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면서 플랫폼이 고정플레이트에서 진입 또는 진출하며, 제1구동부는 브라켓에 장착되고, 브라켓은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e unit is a motor with a pinion, the rack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ack is pinion when the motor rotates while the pinion and the rack is geared The platform moves in or out of the fixed plate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driving unit, the first driving unit is mounted on the bracket, and the bracke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은 편심축에 의해 선회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며, 브라켓의 바닥에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을 관통한 볼트가 고정프레임에 체결 고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so as to pivot by the eccentric shaft, the bottom of the bracket is formed with a long hole of the arc centered on the eccentric shaft, the bolt through the long hole is fixed Fastening to the frame is fix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의 양측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고정프레임의 양측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을 측방향에서 가압하는 볼베어링이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ail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the ball bearing for pressing the guide rail in the lateral direc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의 외측면에는 2개의 스토퍼가 고정되고, 플랫폼의 이동에 의해 각 스토퍼와 간섭되는 2개의 리미트스위치가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stoppers are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platform, and two limit switches which interfere with each stopper by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are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부는 고정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된 링크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에는 링크와 대응하여 2개의 리미트스위치가 장착되고, 링크에는 2개의 스토퍼가 장착되어 해당하는 리미트스위치와 각각 간섭됨에 있어, 한 개의 스토퍼는 링크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 해당 리미트스위치와 접하고 다른 한 개의 스토퍼는 링크가 수직상태를 넘어서면서 링크부가 접혔을 때에 해당 리미트스위치와 접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portion includes a link hinged to the fixed plate, the fixed plate is mounted with two limit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link, the link is mounted with two stoppers, the corresponding limit In each interference with the switch, on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limit switch when the link is upright, and the other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limit switch when the link is folded while the link is beyond the vertical st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의 후단에는 슬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장착되며, 슬로프에는 고정걸쇠가 고정되고, 플랫폼에는 회전걸쇠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장착되며, 슬로프가 세워졌을 때에 고정걸쇠가 회전걸쇠에 걸쳐지도록 회전걸쇠를 받쳐주는 받침편이 플랫폼에 장착되며, 회전걸쇠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platform is mounted so that the slope is tur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ed latch is fixed to the slope, the rotating latch is mounted to the platform to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ope A support piece is mounted on the platform to support the rotating latch so that the fixing latch is caught over the rotating latch, and the rotating latch includes a handle fix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편은 러그 형태로서, 코일스프링이 러그와 회전걸쇠에 연결되어 회전걸쇠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ece is in the form of a lug, the coil spring is connected to the lug and the rotary clasp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rotary clasp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손잡이는 스토퍼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와, 스토퍼와 실린더를 관통하는 고정핀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과 접하여 고정핀을 구멍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및 실린더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handle is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topper, a fixing pin penetrating the stopper and the cylinder, a locking jaw locat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in and the cylinder,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and the coil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fixing pin toward the hole and includes a handle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n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손잡이는 다른 한 원판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와, 다른 한 원판과 실린더를 관통하는 고정핀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과 접하여 고정핀을 구멍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및 실린더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handle is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ther disc, a fixing pin penetrating the other disc and the cylinder, and the hook i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and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in A jaw, a coil spring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and contacting the locking jaw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fixing pin toward the hole, and a handle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n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손잡이는 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와, 지지대와 실린더를 관통하는 고정핀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과,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과 접하여 고정핀을 브라켓의 구멍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및 실린더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handle is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a fixing pin penetrating the support and the cylinder, a locking jaw located in the cylinder and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the cylinder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to the elastic spring to move the fixing pin toward the hole of the bracket and includes a handle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n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안전 가이드가 장착되어 작동 시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 가이드는 탑승과 하차 시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 프레임을 구성하고, 전방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여 장애인의 체형에 맞춰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컵홀더가 장착되어 편의성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afety guide to prevent the fall during operation, the safety guide constitutes a rear frame so as not to interfere when riding and getting off, the front frame is up and down It can be adjusted to fit the disabled's body shape by turning it, and it is also equipped with a cup holder to provide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플랫폼을 장착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할 수 있게 제1구동부를 편심축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랙과 피니언이 안정적으로 기어물림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작 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조립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1구동부가 플랫폼의 양측에서 각각 구동함에 따라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rack and pinion can be stably crawled by mounting the first driving unit pivotally based on the eccentric shaft to compensate for errors that may occur in mounting the platform. Do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mpensated for errors that occur during manufacturing or may occur during assembly, the precise operation is possible as the first driving unit is driven on each side of the platform.

또한, 본 발명의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리프트의 작동이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 내로 진입하거나 밖으로 진출하며, 또한 리프트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휠체어를 차량에 진입 또는 진출 시에 방향 전환을 하지 않아도 되어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lift enters into or out of the vehicl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lso because the lift is sliding, the wheelchair does not need to change direction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The advantage i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safer.

또한, 본 발명의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는 플랫폼에 올려진 휠체어를 리프트할 시에 플랫폼 후단의 슬로프가 닫혀져 추락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 the slope of the platform rear when lifting the wheelchair mounted on the platform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in advance.

도 1a 및 도 1b는 차량의 후방 도어가 개방되고 슬라이딩 리프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원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머리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후방 프레임의 일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컵홀더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컵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고정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프레임과 플랫폼 사이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볼베어링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리미트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슬로프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링크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 스토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A and 1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ar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a sliding lift is unfolded;
2a to 2e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liding lift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fety guide shown in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disc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ing knob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 restraint shown i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nd of the rear frame illustrated in FIG. 3.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up holder shown in FIG. 3,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p holder shown in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driving unit mounted to the fixed frame shown in FIG. 1;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platform shown in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ll bearing and the roller shown in FIG. 12;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mit switch shown in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slope shown in FIG.
FIG.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mit switch and a stoppe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illustrated in FIG. 1.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차량의 후방 도어가 개방되고 슬라이딩 리프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원판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머리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후방 프레임의 일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컵홀더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컵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고정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프레임과 플랫폼 사이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볼베어링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리미트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슬로프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링크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 스토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A and 1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ar door of an vehicle is opened and a sliding lift is unfolded, and FIGS. 2A to 2E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liding lift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afety guide shown in FIG. 1,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first disc illustrated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locking knob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6 is illustrated in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 restraint shown in FIG. 3,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nd of the rear frame shown in FIG. 3, and FIG. 9 is a cup holder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up holder shown in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driving unit mounted to the fixed frame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12 is a fixed frame illustrated in FIG. 1. And flat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bearing and a roller shown in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mit switch shown in FIG. 12, and FIG. 15 is a lock of a slope shown in FIG. 1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and FIG. 1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limit switch and a stoppe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리프트(110)는 장애인용 차량(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후방 도어(103)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리프트(110)가 작동한다. 통상적으로 후방 도어(103)가 개방되며, 개방된 후방 도어(103)를 통해 슬라이딩 리프트(110)가 지면으로 펼쳐지고,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슬라이딩 리프트(110)의 플랫폼(130)에 탑승하거나 플랫폼(130)에서 지면으로 내려간다.1A and 1B, the sliding lift 110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100 for the disabled, and the sliding lift 110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door 103 is opened. Typically, the rear door 103 is opened, the sliding lift 110 is extended to the ground through the open rear door 103, and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rides on the platform 130 of the sliding lift 110 or the platform ( 130) to the ground.

한편, 플랫폼(130)에 탑승한 장애인이 슬라이딩 리프트(110)의 작동 중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장착된다. 안전장치들로서는, 플랫폼(130)에 장착된 안전 가이드(200), 플랫폼(130)이 미끄러져 이동할 때에 플랫폼(130)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랫폼(130)의 양측을 지지하여 구동시키는 한 쌍의 제1구동부(160), 플랫폼(130)의 유동을 제한하는 볼베어링(123) 및 주행 중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 플랫폼(130)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부(190) 등이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a variety of safety devices are mounted so that the disabled person on the platform 130 to prevent the fal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lift (110). As safety devices, a pair of safety guides 200 mounted on the platform 130 and a pair of supporting and driving both sides of the platform 130 to minimize flow of the platform 130 when the platform 130 slides and moves. The first driving unit 160, the ball bearing 123 for limiting the flow of the platform 130, and the locking unit 190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platform 130 by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during driving.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작동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that operates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b에 보이듯이, 슬라이딩 리프트(110)는 크게 차량(100)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20)와, 휠체어가 올려지며 고정플레이트(12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플랫폼(13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되며 말단에 위치한 플랫폼(130)을 리프트 하여 차량(100) 밖으로 또는 차량(100) 내부로 이동시키는 링크부(140)와, 플랫폼(130)이 장착된 링크부(140)의 말단에 장착되어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 또는 바깥쪽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60)와,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플랫폼(130)이 리프트하도록 링크부(140)를 작동하는 제2구동부(170)와, 후방 범퍼(105)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개방하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원위치하도록 구동시키는 제3구동부(1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b, the sliding lift 110 is largely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vehicle 100, the fixed platform 120, the wheelchair is raised and the platform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xed plate 120 ( 130 and the link unit 140 mounted on the fixed plate 120 to move the platform 130 positioned at the distal end to move out of the vehicle 100 or into the vehicle 100, and the platform 130 is mounted. Mounted at the end of the link unit 140, the platform 130 is moved to the inner or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120 and the first drive unit 160, and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120 platform 130 The second drive unit 170 to operate the link unit 140 so that the lift), and the third drive unit 180 to drive the rear bumper 105 is rotated downward to open or rotated up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리프트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liding lif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a 내지 도 2e에 보이듯이, 플랫폼(130)이 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플랫폼(130)에 탑승한 장애인은 휠체어를 딴 상태로 지면으로 내리거나 또는 지면에 위치한 장애인은 휠체어를 딴 상태로 플랫폼(130)에 탑승한다.2A to 2E, the disabled person who rides on the platform 130 while the platform 130 is located on the ground is lowered to the ground with the wheelchair removed or the disabled person who is located on the ground is pulled off the platform (with the wheelchair Board 130).

다음으로, 플랫폼(130)의 입구에 장착된 슬로프(131)를 닫고, 제2구동부(170)를 작동시키면, 링크부(140)가 접혀지면서 링크부(140)의 고정프레임(141) 상면에 장착된 플랫폼(130)은 들어 올려진 상태로 고정플레이트(120)의 입구에 위치하며, 제1구동부(160)의 작동에 의해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한다. Next, when the slope 131 mounted at the inlet of the platform 130 is closed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70 is operated, the link unit 140 is fold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41 of the link unit 140 is closed. The mounted platform 130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fixed plate 120 in a lifted state, and the platform 130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1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60. Move.

이와 같이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에 위치하면 플랫폼(130)은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잠금부(190)에 체결되어 잠금되고, 제3구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 선회해 있던 후방 범퍼(105)가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원위치로 복원된다.As such, when the platform 130 is positioned inside the fixed plate 120, the platform 130 is fastened and locked to the locking unit 190 mount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180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rear bumper 105, which has been turned downwar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urning upward.

아래에서는 플랫폼(130)에 장착된 안전 가이드(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fety guide 200 mounted on the platform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 보이듯이, 안전 가이드(200)는 플랫폼(130)의 좌측에 상향으로 고정된 좌측 프레임(210)과, 플랫폼(130)의 우측에 상향으로 고정된 우측 프레임(220)과, 휠체어가 플랫폼(130)으로 진입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전방 프레임(230) 및, 휠체어가 플랫폼(130)으로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탈장착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프레임(240)을 포함하며, 후방 프레임(240)에는 머리 받침대(256)가 장착되어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의 머리 뒤를 받쳐줄 수 있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afety guide 200 includes a left frame 210 fixed upward on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130, a right frame 220 fixed upward on the right side of the platform 130, and a wheelchair. Located in front of the platform 130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the front frame 230 and both wheelchairs rotatably mounted on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the wheelchair to enter or exit the platform 130 It includes a rear frame 240 that is open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detachably mounted as necessary, and the rear frame 240 is equipped with a head restraint 256 so as to support the back of a disabled person sitting in a wheelchair.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은 길이 중간이 절곡된 절곡관(213)과, 상기 절곡관(213)을 받쳐주는 지지관(2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절곡관(213)의 수직부(213V) 하단은 플랫폼(130)의 바닥에 고정되고 수평부(213H)의 선단은 전방을 향해 위치하며, 지지관(215)은 전방을 향한 절곡관(213)의 수평부(213H)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플랫폼(130)의 바닥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의 사이에 위치한 장애인은 절곡관(213)의 수평부(213H)를 파지할 수 있고, 장애인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수평부(213H)의 길이 중간을 부드러운 촉감의 그립(214)으로 감싼다.As shown in FIG. 3,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include a bending tube 213 having a middle length thereof, and a support tube 215 supporting the bending tube 213.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13V of the bending tube 213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130, and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is located toward the front, and the support tube 215 is the bending tube 213 facing forward.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130 in a st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Here, the handicapped person located between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may grip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bending tube 213,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disabled. The middle is wrapped with a soft hand grip 214.

한편, 좌측 프레임(210) 및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 선단 각각에는 전방 프레임(230)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좌측 프레임(210) 및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 선단은 상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휘어진 구조이며, 전방 프레임(230)은 길이의 양단이 절곡된 상태로, 전방 프레임(230)의 양단이 좌측 프레임(210)의 선단과 우측 프레임(220)의 선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전방 프레임(230)은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전방 프레임(2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잠금손잡이(250a)가 전방 프레임(230)의 양단에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230 is hinged to each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3 and 4,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is curved to be gently curved upward, the front frame 230 is bent at both ends of the length In the state,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230 are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front end of the right frame 220, respectively. Therefore, the front frame 230 can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hinged to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the first locking handle (250a) to fix the position of the front frame 230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230.

구체적으로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의 선단은 제1원판(211) 구조이고, 제1원판(211)의 안쪽에는 복수 개의 구멍(212)이 제1원판(211)의 중심점(힌지결합된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230)의 양단 또한 제2원판(231) 구조로서 제1원판(211)과 힌지 결합되며, 제2원판(231)에 장착된 제1잠금손잡이(250a)는 제1원판(211)의 복수 구멍(212)들 중에서 어느 한 구멍에 삽입되어 전방 프레임(230)의 각도를 조정한다.In detail, the front ends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have a first disc 211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holes 212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isc 211 inside the first disc 211. Hinge center point).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230 are also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disc 211 as a second disc 231, and the first locking knob 250a mounted on the second disc 231 is the first disc 211.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212 of the) to adjust the angle of the front frame 230.

제1잠금손잡이(250a)는 도 3 및 도 5에 보이듯이 제2원판(231)에 고정되는 실린더(251)와, 상기 실린더(251)를 관통하는 고정핀(252)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252)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253)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253)과 접하여 고정핀(252)을 제1원판(211)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255) 및 실린더(251)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252)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254)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손잡이(254)를 당기면 고정핀(252)을 후방 즉 실린더(2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핀(252)은 제1원판(211)의 구멍(212)에서 완전 이탈하게 되어 전방 프레임(230)이 자유롭게 상하로 선회한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locking handle 250a includes a cylinder 251 fixed to the second disc 231, a fixing pin 252 passing through the cylinder 251, and a cylinder 251.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xing jaw 253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pin 252 and the cylinder 251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locking jaw 253 in contact with the fixing pin 252 toward the first disc 211 Coil spring 255 to apply an elastic force and a handle 254 is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n 252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251,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254 is fixed pin 252 The fixing pin 252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hole 212 of the first disc 211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251, so that the front frame 230 freely swings up and down.

따라서 전방 프레임(230)을 원하는 위치로 각도로 조절하여 제1원판(211)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212) 중 어느 한 구멍과 고정핀(252)이 상호 대응하면, 고정핀(252)은 코일스프링(25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원판(211)의 구멍에 삽입되면서 전방 프레임(230)을 잠금한다.Therefore,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212 formed in the first disc 211 and the fixing pin 252 correspond to each other by adjusting the front frame 230 to a desired position, the fixing pin 252 is a coil The front frame 230 is lock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irst disc 21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55.

한편, 전방 프레임(230)의 길이 중간에는 그립(214)이 감싸여져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전방으로 손을 뻗어 그립(214)을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 214 is wrapp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ront frame 230 is configured so that the handicapped person sitting in a wheelchair can reach the front to grip the grip 214.

그리고 안전 가이드(200)에는 플랫폼(130)에 위치한 장애인이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 받침대(256)가 장착된다.And the safety guide 200 is equipped with a head restraint 256 so that the disabled person located on the platform 130 can support the head.

좌측 프레임(210)의 수평부(213H) 후단과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의 후단에는 전방 프레임(230)과 평행한 후방 프레임(240)이 장착된다. 후방 프레임(240) 또한 길이 양단부가 절곡된 구조로서 후방 프레임(240)의 양단은 좌측 프레임(210)의 수평부(213H) 후단과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 후단에 각각 장착된다. 특히 후방 프레임(240)의 일단은 휠체어가 플랫폼(130)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좌측 프레임(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프레임(220)의 후단에 잠금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방 프레임(240)의 길이 중간에 머리 받침대(256)가 장착되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머리 뒤를 받쳐준다.The rear frame 240 parallel to the front frame 230 is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right frame 220. The rear frame 240 is also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length are bent, and both ends of the rear frame 240 are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 213H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 213H of the right frame 220, respectively. .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rear frame 240 is coupled to the left frame 210 to pivo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chair enters or exits the platform 130,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lock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frame 220. And the head restraint 256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240 to support the back of the head of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여기에서 도 3 및 도 6에 보이듯이,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 후단에는 회전하는 후방 프레임(240)의 타단이 진입해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게 채널구조의 스토퍼(221)가 세워져 위치하며, 스토퍼(221)의 측벽에는 앞서 설명한 제1잠금손잡이(250a)와 동일한 제2잠금손잡이(250b)가 장착된다. 따라서 스토퍼(221)의 내부로 후방 프레임(240)의 타단이 진입한 상태에서 제2잠금손잡이(250b)의 고정핀(252)은 후방 프레임(240)의 타단에 형성된 구멍(241)에 삽입되어 후방 프레임(240)을 잠금한다.3 and 6, the stopper 221 of the channel structure is erect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right frame 22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rear frame 240 may enter or exit. The second locking knob 250b identical to the first locking knob 250a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sidewall of the stopper 221.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other end of the rear frame 240 enters the stopper 221, the fixing pin 252 of the second locking handle 250b is inserted into the hole 24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frame 240. Lock the rear frame 240.

그리고 도 3 및 도 7에 보이듯이, 후방 프레임(240)의 길이 중간에는 브라켓(242)이 고정되고, 머리 받침대(256)는 브라켓(242)에 장착된 상태로 브라켓(24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머리 받침대(256)는 슬라이더(257)에 장착되고 슬라이더(257)는 브라켓(242)을 감싼 상태로 브라켓(24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257)에는 볼트(258)가 체결되어 머리 받침대(256)의 위치가 설정되면 볼트(258)를 조여 볼트(258)가 슬라이더(257)를 관통해 안쪽의 브라켓(242)을 가압함으로써, 머리 받침대(256)가 고정된다.3 and 7, the bracket 242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240, and the head restraint 256 is mounted to the bracket 24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bracket 242. It is mobile. Specifically, the head restraint 256 is mounted on the slider 257 and the slider 257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bracket 242 while the bracket 242 is wrapped. In addition, when the bolt 258 is fastened to the slider 257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restraint 256 is set, tighten the bolt 258 to press the bolt 258 through the slider 257 to press the inner bracket 242. , The head restraint 256 is fixed.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 가이드(200)는 장애인이 플랫폼(130)에 승차 또는 하차하고자 할 경우, 제2잠금손잡이(250b)를 당겨 스토퍼(221)에서 후방 프레임(240)의 타단을 잠금해체한다. 그리고 후방 프레임(240)을 선회하여 장애인이 플랫폼(130)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게 플랫폼(130)을 개방한다.Safety guid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abled person wants to get on or off the platform 130, pull the second locking knob 250b to unlock the other end of the rear frame 240 in the stopper 221. The rear frame 240 is pivoted to open the platform 130 so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get on or off the platform 130.

한편 플랫폼(130)에 장애인이 탑승하였을 때에, 머리 받침대(256)가 장애인의 머리 뒤를 받쳐줄 수 있도록 슬라이더(257)에 장착된 볼트(258)를 풀어 머리받침대를 장애인의 머리 뒤로 이동시켜 받쳐주고, 볼트(258)를 조여 머리 받침대(256)의 위치를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icapped on the platform 130, the head restraint (256) to release the bolt 258 mounted on the slider 257 to suppor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disabled to move the headrest behind the head of the disabled, Tighten the bolts 258 to fix the position of the head restraint 256.

또한, 후방 프레임(240)은 안전 가이드(200)에서 해체 가능하다. 도 8에 보이듯이, 좌측 프레임(210)의 수평부(213H)의 후단부에는 상향으로 고정관(216)이 고정되고, 고정관(216)이 후방 프레임(240)의 일단에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관(216)이 후방 프레임(240)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로, 후방 프레임(240)은 선회 가능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랫폼(13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프레임(240)을 상향으로 들어 올리면 후방 프레임(240)을 안전 가이드(200)에서 해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ear frame 240 may be disassembled from the safety guide 200. As shown in FIG. 8, the fixed tube 216 is fixed upwar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fixed tube 216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ear frame 240. Therefore, with the fixed tube 216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ear frame 240, the rear frame 240 is pivotable to open or close the platform 130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rear frame 240 Raising upward), the rear frame 240 can be disassembled from the safety guide 200.

그리고 후방 프레임(240)의 일단에는 레버(217)가 달린 볼트(218)가 후방 프레임(240)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후방 프레임(240)에는 볼트(218)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후방 프레임(240)의 외주면에는 구멍에 대응하여 너트(219)가 용접 고정된다. 레버(217)가 달린 볼트(218)는 너트(219)에 체결되며 레버(217)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218)가 후방 프레임(240)의 내부로 진입하면서 고정관(216)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며, 레버(217)를 회전하여 볼트(218)를 풀면 후방 프레임(240)이 선회 및 해체 가능하게 된다.One end of the rear frame 240 is fastened so that the bolt 218 with the lever 217 penetrates the rear frame 240. Specifically, a hole is formed in the rear frame 240 to penetrate the bolt 218, and the nut 219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frame 2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le. The bolt 218 with the lever 217 is fastened to the nut 219 and rotates the lever 217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tube 216 as the bolt 218 enters the inside of the rear frame 240. And the rear frame 240 is pivotable and disassembled by rotating the lever 217 to release the bolt 218.

따라서 안전 가이드(200)는 플랫폼(130)에 탑승 시에 후방 프레임(240)을 개방 가능하여 탑승 가능하도록 하고, 플랫폼(130)에 탑승한 후에는 후방 프레임(240)을 우측 프레임(220)의 스토퍼(221)에 장착하여 장애인이 머리 받침대(256)에 머리를 기댈 수 있게 하며, 장애인은 좌측 프레임(210)의 그립(214), 우측 프레임(220)의 그립(214) 또는 전방 프레임(230)의 그립(214)을 파지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잠금손잡이(250a)를 통해 전방 프레임(230)의 각도를 조절하며, 머리 받침대(256)를 이동시켜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조절한다.Accordingly, the safety guide 200 is capable of opening the rear frame 240 when boarding the platform 130, and after boarding the platform 130, the rear frame 240 of the right frame 220. Mounted on the stopper 221 to allow a disabled person to lean on the head restraint 256, and the disabled person may have a grip 214 of the left frame 210, a grip 214 of the right frame 220, or a front frame 230. Grip 214)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Then, the angle of the front frame 230 is adjusted through the first locking knob 250a, and the head restraint 256 is moved to adjust the head.

또한 장애인의 편리성을 위해 안전 가이드(200)의 우측 프레임(220)에는 컵홀더(26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260 is mounted on the right frame 220 of the safety guide 200 for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20)의 수평부(213H) 선단부(제1원판(211)의 후방 쪽)에는 채널구조의 지지대(223)가 세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대(223)의 안쪽에는 컵홀더(260)에 고정된 브라켓(261)이 지지대(223) 내에서 힌지 결합되며, 지지대(223)의 측면에는 제1잠금손잡이(250a)와 동일한 제3잠금손잡이(250c)가 장착된다. 따라서 컵홀더(260)의 브라켓(261)은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컵홀더(260)가 수평하게 위치하거나 세워져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선회한다. 컵홀더(260)가 세워져 위치할 때에는 브라켓(261)에 형성된 구멍(262)에 제3잠금손잡이(250c)의 고정핀(252)이 삽입되어 컵홀더(260)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3잠금손잡이(250c)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컵홀더(260)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여 브라켓(261)의 안쪽에 고정된 고무부재(263)에 받쳐진다. 또한 컵홀더(260)가 수직하게 세워져 잠금된 상태에서도 지지대(223)에 고정된 고무부재(263)와 접하여 진동을 방지한다.9 and 10, the support 223 of the channel structure is erected and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disc 211) of the horizontal portion 213H of the right frame 220. In addition, a bracket 261 fixed to the cup holder 260 is hinged in the support 223 inside the support 223, and a third lock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locking knob 250a on the side of the support 223. The handle 250c is mounted. Therefore, the bracket 261 of the cup holder 260 pivots vertically so that the cup holder 260 is positio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inge-coupled portion. When the cup holder 260 is upright, the fixing pin 252 of the third locking handle 250c is inserted into the hole 262 formed in the bracket 261 to fix the cup holder 260. The cup holder 260 pivot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supported by the rubber member 263 fixed to the inside of the bracket 261 in the unlocked state of the third locking handle 250c. In addition, the cup holder 260 stands vertically in contact with the rubber member 263 fixed to the support 223 even in a locked state to prevent vibration.

이와 같이 안전 가이드(200)는 플랫폼(130)에 휠체어가 위치한 상태에서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좌측 프레임(210)의 그립(214), 우측 프레임(220)의 그립(214) 또는 전방 프레임(230)의 그립(214)을 파지하여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추돌에 의한 충격으로 목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머리 받침대(256)에 머리를 기댐으로써,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장애인 자신이 컵홀더(260)를 펼쳐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guide 200 has a handicapped person sitting in a wheelchair while the wheelchair is positioned on the platform 130, the grip 214 of the left frame 210, the grip 214 of the right frame 220, or the front frame 230. The grip 214 may be gripped to prevent the fall. In addition, by inclining the head to the head restraint 256 to prevent neck injury by the impact of the rear colli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neck injury. And if necessary, the disabled person can use the cup holder 260 unfolds.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리프트는 안전 가이드(200) 외에도 장애인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리프트의 정밀한 작동을 위한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safety guide 200, the sliding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precise operation of the sliding lift to prevent the fall of the disabl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된 한 쌍의 링크부(140)의 끝단에는 고정프레임(141)이 장착되며, 고정프레임(141)에 위치한 플랫폼(130)은 고정프레임(141) 상면에 장착된 제1구동부(160)에 위해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1, a fixed frame 141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pair of link units 140 mounted on the fixed plate 120, and the platform 130 positioned on the fixed frame 141 is fixed frame. The vehicle 141 slides forward and backward for the first driving unit 16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고정프레임(141)에는 플랫폼(130)이 슬라이딩하도록 고정프레임(141)의 양측에 각각 제1구동부(160)가 장착된다. 제1구동부(160)는 피니언(162)이 장착된 모터(164)이며, 플랫폼(1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163)이 고정된다. 따라서 피니언(162)이 랙(163)에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모터(164)가 회전하면 랙(163)이 피니언(162)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면서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에서 진입 또는 진출하게 된다.The first frame 16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141 so that the platform 130 slides on the fixed frame 141. The first driving unit 160 is a motor 164 to which the pinion 162 is mounted, and the rack 163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motor 164 rotates while the pinion 162 is geared to the rack 163, the platform 130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162. In or out of.

이와 같은 모터(164)에 있어서, 모터(164)는 브라켓(165)에 고정되며, 브라켓(165)의 편심된 부분에는 편심축(168)이 고정프레임(141)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11에 보이듯이, 브라켓(165)은 편심축(168)을 중심으로 선회하는데, 이는 모터(164)에 장착된 피니언(162)이 랙(163)에 완전하게 기어물림되도록 미세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In such a motor 164, the motor 164 is fixed to the bracket 165, the eccentric shaft 168 is fastened to the fixed frame 141 to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bracket 165. Thus, as shown in FIG. 11, the bracket 165 pivots about the eccentric shaft 168, which allows fine adjustment so that the pinion 162 mounted on the motor 164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rack 163. It is made up.

브라켓(165)의 바닥에는 상기 편심축(16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장공(166)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66)을 관통한 볼트(167)가 고정프레임(141)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167)를 풀면 장공(166)을 따라 브라켓(165)이 편심축(168)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165)이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162)이 랙(163)에 완전하게 기어물림되도록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미세조정은 설계의 오차 및 제작 과정 중에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어물림이 완벽하게 이루어져야만 플랫폼(130)이 왕복 이동할 때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장애인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정프레임(141)의 양측에 장착된 2개의 제1구동부(160)에 위해 플랫폼(130)이 이동함으로써, 안전하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다.The bottom of the bracket 165 is formed with an arc-shaped long hole 166 around the eccentric shaft 168, the bolt 167 penetrating through the long hole 166 is fastened to the fixed frame 141. Accordingly, when the bolt 167 is released, the bracket 165 pivots about the eccentric shaft 168 along the long hole 166. As the bracket 165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pinion 162 may be finely adjusted so as to be completely engaged with the rack 163. Such fine adjustment is to compensate for errors i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gear bite must be perfectly made so that no flow occurs when the platform 130 reciprocates, thus preventing the fall of the disabled. have. In particular, the platform 130 is moved to the two first driving unit 16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141, it is possible to move safely and precisely.

또한,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 즉 플랫폼(13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플랫폼(130)의 선단이 고정플레이트(120)의 선단에 위치하였을 때에 플랫폼(130)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부(190)가 고정플레이트(120)의 선단 양측에 장착되고, 플랫폼(130)의 선단 양측에는 각각 고리(도 1b의 191)가 고정된다. 따라서 플랫폼(130)이 제1구동부(160)들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플랫폼(130)의 고리(191)가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잠금부(190)에 잠금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리프트(110)를 펼치기 위해서는 제2구동부(170)의 작동 이전에 잠금부(190)의 잠금해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잠금부(190)는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는 잠금부와 같은 구조로서, 잠금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90 which can fix the platform 130 when the inside of the fixing plate 120, that is, the platform 130 is moved forward and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13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120 )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120, and the ring (191 of Figure 1b)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130. Therefore, when the platform 130 is moved forward by the first driving unit 160, the ring 191 of the platform 130 is locked to the locking unit 190 mounted to the fixing plate 120. In order to unfold the sliding lift 110 in this state,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190 must be performed befo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70. The locking unit 19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ock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ocking unit will be omitted.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30)의 양측 외측면에는 C채널 구조의 가이드레일(1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41)의 양측 내측면에는 롤러(121)가 장착되며, 롤러(121)는 가이드레일(133)의 안쪽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133)을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레일(133)의 이동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41)의 양측 내면에는 볼베어링(123)이 장착되어 가이드레일(133)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133)은 롤러(121)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가이드레일(133)의 측면은 볼베어링(123)에 의해 가압 지지됨으로써, 플랫폼(130)이 제1구동부(16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좌우방향으로의 유동 및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한다.12 and 13, guide rails 133 having a C-channel structure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platform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llers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frame 141. 121 is mounted, the roller 121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rail 133 in the state supporting the guide rail 133 is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133. And ball bearings 123 are mount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frame 141 to press and support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rails 133.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ail 133 is supported by the roller 12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133 is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ball bearing 123 so that the platform 13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driving unit 160. It prevents th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hen moving to the.

또한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30)의 측면 길이방향 양단에는 다른 높이로 제1, 제2스토퍼(134, 135)가 각각 고정되며, 고정프레임(141)의 내측면에는 다른 높이로 제1, 제2리미트스위치(151, 152)가 제1, 제2스토퍼(134, 135)와 대응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130)이 제1구동부(16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전후방향 이동함에 있어서, 제1스토퍼(134)가 해당하는 제1리미트스위치(151)와 접하거나 제2스토퍼(135)가 해당하는 제2리미트스위치(152)에 접함으로써,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됨을 인식하고 제1구동부(160)의 작동을 제어한다.12 and 14,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34 and 135 are respectively fixed to different heights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41 is fixed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151 and 152 are fix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34 and 135. In detail, when the platform 13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fixed plate 120 by the first driving unit 160, the first stopper 134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limit switch 151. When the second stopper 135 contacts the corresponding second limit switch 152, the platform 130 recognizes that the platform 130 is drawn into or pulled out of the fixed plate 12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60. .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30)에는 휠체어가 플랫폼(130)의 상면으로 오르거나 내리기 쉽도록 슬로프(131)가 플랫폼(130)의 입구에 힌지 결합된다. 탑승하거나 하차할 시에 슬로프(131)는 경사지게 위치하여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게 구성되며, 탑승 후에는 슬로프(131)를 수직하게 잠금하여 휠체어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추락하는 것을 막는다.As shown in FIG. 15, the platform 130 is hinged to the inlet of the platform 130 such that the slope 131 is easily lifted or low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130. When boarding or getting off, the slope 131 is inclined so that the wheelchair can move up and down, and after boarding, the slope 131 is vertically locked to prevent the wheelchair from moving backward.

슬로프(131)는 플랫폼(13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고, 슬로프(131)의 양측에는 고정걸쇠(132)가 고정된다. 또한 플랫폼(130)에는 고정걸쇠(132)를 잠금하는 회전걸쇠(136)가 힌지 결합되며, 코일스프링(137)이 회전걸쇠(136)와 플랫폼(130)을 연결한다. 코일스프링(137)은 회전걸쇠(136)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플랫폼(130)에 형성된 러그(138)에는 코일스프링(137)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러그(138)는 회전걸쇠(136)와 간섭되어 회전걸쇠(136)가 슬로프(131)에 고정된 고정걸쇠(132)와 잠금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걸쇠(136)를 받쳐주는 받침편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회전걸쇠(136)에는 손잡이(139)가 상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슬로프(131)를 상향으로 선회하면 고정걸쇠(132)는 회전걸쇠(136)에 걸려 잠금되고, 코일스프링(137)은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슬로프(131)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손잡이(139)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회전걸쇠(136) 또한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잠금해제되어 슬로프(131)는 하향으로 선회하여 플랫폼(130)을 개방한다.The slope 131 i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platform 130 is pivo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latch 132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lope 131. In addition, the platform 130, the locking latch 136 for locking the fixing latch 132 is hinged, the coil spring 137 connects the rotating latch 136 and the platform 130. The coil spring 137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otation latch 136 moves downward, and one end of the coil spring 137 is fixed to the lug 138 formed on the platform 130. The lug 138 interferes with the rotary clasp 136 and supports the rotary clasp 136 so that the rotary clasp 136 is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 rotary clasp 136 can be locked with the fixed clasp 132 fixed to the slope 131. Perform convenience functions. And the handle 139 is fixed to the rotary latch 136 upwards. Accordingly, when the slope 131 is turned upward, the fixing latch 132 is locked to the rotating latch 136 and the coil spring 137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slope 131 is to be opened, when the handle 139 is lifted upward, the rotation latch 136 is also unlocked while turning upward, and the slope 131 pivots downward to open the platform 130. .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링크부(140)에는 제3, 제4스토퍼(143, 144)가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120)에는 제3, 제4스토퍼(143, 144)와 각각 간섭되는 제3, 제4리미트스위치(153, 154)가 장착된다. 제3스토퍼(143)는 링크부(140)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 해당하는 제3리미트스위치(153)에 간섭되고, 제4스토퍼(144)는 링크부(140)가 상기 수직상태를 지나 고정플레이트(120) 쪽으로 넘어간 상태에서 제4리미트스위치(154)와 간섭되고, 제4스토퍼(144)와 제4리미트스위치(154)가 간섭되면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에 안착된 것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third and fourth stoppers 143 and 144 are fixed to the link unit 140 that is folded or unfolded, and the third and fourth stoppers 143 and 144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120. ) Are mounted to third and fourth limit switches 153 and 154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third stopper 143 interferes with the third limit switch 153 corresponding to the link portion 140 when the link portion 140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fourth stopper 144 fixes the link portion 140 through the vertical state. If the fourth limit switch 154 interferes with the plate 120 and the fourth stopper 144 and the fourth limit switch 154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platform 130 is seated on the fixed plate 120. .

링크부(140)를 작동시키는 제2구동부(170)는 스트로크가 신축하는 공압시스템으로서, 제2구동부(170)의 스트로크 신축에 의해 링크부(140)가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펼쳐졌던 링크부(140)가 접혀지도록 작동함에 있어서, 링크부(140)의 링크(140a)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접혀질 때까지는 제2구동부(170)의 스트로크 수축에 의해 작동하지만, 링크(140a)가 수직상태를 넘어서면 링크(140a)의 자중에 의해 접혀지는 속도가 가속됨으로써, 링크부(140)의 선회가 가속되어 원만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부(140)의 링크(140a)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 제3리미트스위치(153)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제2구동부(170)에서는 링크부(140)의 가속을 억제할 수 있게 스트로크의 수축 속도를 늦추게 되고, 이후 제4리미트스위치(154)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2구동부(17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제2구동부(170)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플랫폼(130)에 위치한 장애인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링크부(140)의 작동은 링크부(140)가 접히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며, 반대로 링크부(140)가 펼쳐질 때에도 역으로 제4, 제3리미트스위치(154, 153)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제2구동부(170)가 작동한다.The second driving unit 170 for operating the link unit 140 is a pneumatic system in which the stroke is stretched, and the link unit 140 is folded or unfolded by the stretching of the stroke of the second driving unit 170. In operating the folded link unit 140 to be folded, the link 140a is operated by the contraction of the stroke of the second driving unit 170 until the link 140a of the link unit 140 is folded vertically, but the link 140a is operated. When the c) exceeds the vertical state, the speed of folding by the weight of the link 140a is accelerat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ink unit 140 is accelerated so that a smooth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an impact occu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third limit switch 153 when the link 140a of the link unit 140 is standing vertically, the second driving unit 170 accelerates the link unit 140. The contraction speed of the stroke is slowed to suppress the pressure, and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fourth limit switch 154,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70 is stopp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70 in such a man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on the disabled person located on the platform 130.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140 described above is a description of a process of folding the link unit 140.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link unit 140 is unfolded, the link unit 140 is reversely applied to signals generated by the fourth and third limit switches 154 and 153. By this, the second driving unit 170 is operated.

한편, 슬라이딩 리프트(110)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후방 도어(103)가 개방된 상태로 후방 범퍼(105)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플랫폼(13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데, 후방 범퍼(105)는 차량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제3구동부(180)가 차량에 장착되어 후방 범퍼(105)에 연결된다. 제3구동부(180) 또한 스트로크가 신축하는 공압시스템으로서, 제3구동부(180)의 스트로크가 수축됨에 따라 후방 범퍼(105)는 하향으로 선회하고 제3구동부(180)의 스트로크가 신장됨에 따라 후방 범퍼(105)는 상향으로 선회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sliding lift 110 to operate, the rear bumper 105 pivots downward with the rear door 103 of the vehicle open so that the sliding lift 1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latform 130. The third driving unit 180 is hingedly coupled to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bumper 105. The third driving unit 180 is also a pneumatic system in which the stroke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s the stroke of the third driving unit 180 is contracted, the rear bumper 105 pivots downward and the rear of the third driving unit 180 is extended as the stroke is extended. The bumper 105 pivots up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100 : 차량
110 : 슬라이딩 리프트
120 : 고정플레이트
130 : 플랫폼
140 : 링크부
151 ~ 154 : 리미트스위치
160 : 제1구동부
170 : 제2구동부
180 : 제3구동부
190 : 잠금부
200 : 안전 가이드
210 : 좌측 프레임
220 : 우측 프레임
230 : 전방 프레임
240 : 후방 프레임
250a, 250b, 250c : 잠금손잡이
256 : 머리 받침대
260 : 컵홀더
100: vehicle
110: sliding lift
120: fixed plate
130: platform
140: link unit
151 ~ 154: limit switch
160: first driving unit
170: second drive unit
180: third drive unit
190: locking part
200: safety guide
210: left frame
220: right frame
230: front frame
240: rear frame
250a, 250b, 250c: Lock Handle
256: head restraint
260: cup holder

Claims (23)

차량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20)와, 고정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차량 밖으로 펼쳐지거나 차량 안쪽으로 접히는 링크부(140)와, 링크부(140)의 자유단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41)에 장착되어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거나 고정플레이트(12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플랫폼(130)과, 고정프레임(141)에 장착되어 플랫폼(130)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60)와, 링크부(140)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부(17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리프트로서,
플랫폼(130)의 상면에 장착되는 안전 가이드(200)는,
플랫폼(130)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과,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하며 양단이 좌측 프레임(210)의 선단부와 우측 프레임(220)의 선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전방 프레임(230)과,
좌측 프레임(210)의 후단부와 우측 프레임(220)의 후단부 중 어느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한 쪽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타단이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도록 장착된 후방 프레임(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A fixed plate 120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 link unit 140 mounted on the fixed plate 120 to extend out of the vehicle or folded into the vehicle, and a fixed frame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link unit 140 ( 141 is mounted to the platform 130 and the sliding plate to move inwardly of the fixed plate 120 or sliding from the inside of the fixed plate 120 and the fixed frame 141 is mounted to the platform 130 As a sliding lift comprising a first driving unit 160 for moving and a second driving unit 170 for driving the link unit 140 to expand or collapse,
Safety guide 2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130,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130,
A front frame 230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both ends of which are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front end of the right frame 220, respectively, to pivo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ear end of the right frame 220 is mounted so that one end is pivo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locked or unlocked at the rear end of the other fram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r frame 240 mounted to be.
제1항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240)은 양단이 절곡된 관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 중 일단은 어느 한 쪽 프레임의 후단에 상향으로 고정관(216)이 삽입되고, 후방 프레임(240)의 일단을 관통한 볼트(218)가 나사체결되어 볼트(218)를 조이면 볼트(218)가 고정관(216)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며 볼트(218)를 풀면 후방 프레임(240)이 고정관(216)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frame 240 is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and one end of the bent both ends is inserted with the fixing tube 216 upwardly into the rear end of one of the frames, and the bolt 218 penetrating one end of the rear frame 240. ) Is screwed in and tightens the bolt 218, and the bolt 218 presse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tube 216. When the bolt 218 is released, the rear frame 240 pivot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fixed tube 216. Sliding lift for disabled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볼트(218)는 레버(217)가 장착되어 후방 프레임(240)의 외측에 위치한 레버(217)를 회전시켜 볼트(218)를 조이거나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2,
Bolt 218 is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217 is mounted to rotate the lever 217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frame 240 to tighten or loosen the bolt 218.
제2항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240)은 양단이 절곡된 관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 중 타단은 다른 한 쪽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 채널구조의 스토퍼(221) 안쪽에 위치하며, 스토퍼(221)에 장착된 잠금손잡이(250b)에 의해 스토퍼(221) 안쪽에서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frame 240 is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and the other end of the bent ends is located inside the stopper 221 of the channel structur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other frame, and the locking handle mounted on the stopper 221. Sliding lift for disabled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or unlocking in the stopper (221) by the 250b.
제4항에 있어서,
스토퍼(221)의 안쪽에 위치한 후방 프레임(240)의 타단에는 구멍(241)이 형성되고, 잠금손잡이(250b)에서 인출된 고정핀(216)이 구멍(241)에 삽입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5. The method of claim 4,
A hole 24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frame 240 located inside the stopper 221, and the fixing pin 216 drawn out from the lock handle 250b is inserted into the hole 241 to be locked. Lift for disabled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240)의 길이 중간에는 머리 받침대(25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240 is a head lift (256) is equipped with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후방 프레임(240)의 길이 중간에는 브라켓(242)이 전방을 향해 고정되고, 머리 받침대(256)에는 브라켓(242)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257)가 장착되며, 슬라이더(257)에 체결된 볼트(258)는 슬라이더(257)를 관통해 브라켓(242)을 가압하여 머리 받침대(256)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rear frame 240, the bracket 242 is fixed to the front, the head restraint 256 is equipped with a slider 257 moving along the bracket 242, bolts fastened to the slider 257 258 is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slider 257 to press the bracket 242 to fix the head restraint (256).
제1항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10)과 우측 프레임(220)의 선단에는 각각 제1원판(211)이 고정되고,
전방 프레임(230)은 양단이 절곡된 구조로서, 절곡된 양단에는 제2원판(231)이 각각 고정되며, 제1원판(211)과 제2원판(231)은 상호 대응하여 힌지 결합되고, 제1원판(211)과 제2원판(231) 중 어느 한 원판에는 힌지 결합된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 상에 복수의 구멍(212)이 형성되며, 다른 한 원판에는 고정핀(252)이 인출된 잠금손잡이(250a)가 장착되고, 고정핀(252)이 원판의 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전방 프레임(230)의 상하방향 선회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isc 211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frame 210 and the right frame 220, respectively,
The front frame 230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and the second disc 231 is fixed to each of the bent ends, and the first disc 211 and the second disc 231 are hi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e of the first disc 211 and the second disc 231 has a plurality of holes 212 is formed on an arc that is a hinged center point, the other disc is a locking handle with a fixing pin 252 is drawn out 250a is mounted, and the fixed pin 252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hole of the disc to lock or unlock the vertical swing of the front frame 230,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lift for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10) 또는 우측 프레임(220)에는 컵홀더(2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frame 210 or the right frame 220, the lift holder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holder 260 is mounted.
제9항에 있어서,
컵홀더(260)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컵홀더(260)에는 브라켓(261)이 고정되고, 좌측 프레임(210) 또는 우측 프레임(220)에는 브라켓(261)과 힌지 결합된 지지대(223)가 고정되며, 브라켓(261)에는 구멍(262)이 형성되고, 지지대(223)에는 고정핀(252)이 인출된 잠금손잡이(250b)가 장착되어 고정핀(252)이 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컵홀더(26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하거나 하향으로 선회하도록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up holder 260 is a plate in which holes are formed, and a bracket 261 is fixed to the cup holder 260, and a support 223 hinged to the bracket 261 is hinged to the left frame 210 or the right frame 220. Is fixed, the bracket 261 is formed with a hole 262, the support 223 is equipped with a locking handle 250b is drawn with a fixing pin 252 is fixed pin 252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hole Sliding lift for disabled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holder 260 is locked to maintain the upright or unlocked to turn downward.
제10항에 있어서,
컵홀더(260)가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지지대(223)에는 브라켓(261)을 받쳐주는 고무부재(263)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0,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223, the rubber member 263 for supporting the bracket 261 is located on the support 223 so that the cup holder 260 is horizontal.
제11항에 있어서,
고정핀(252)이 구멍(262)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261)을 받쳐주는 고무부재(263)가 지지대(22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1,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member 263 supporting the bracket 261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252 is inserted into the hole 262 is fixed to the support 223.
제1항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10), 우측 프레임(220) 및 전방 프레임(230)에는 그립(214)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214 is fixed to the left frame 210, the right frame 220 and the front frame 230.
제1항에 있어서,
제1구동부(160)는 피니언(162)이 장착된 모터(164)이며, 플랫폼(1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163)이 고정되고, 피니언(162)과 랙(163)이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모터(164)가 회전하면 랙(163)이 피니언(162)의 회전동력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면서 플랫폼(130)이 고정플레이트(120)에서 진입 또는 진출하며,
제1구동부(160)는 브라켓(165)에 장착되고, 브라켓(165)은 고정프레임(14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160 is a motor 164 to which the pinion 162 is mounted, and the rack 163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inion 162 and the rack 163 are geared. When the motor 164 is rotated in the pre-set state, the rack 130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pinion 162 while the platform 130 enters or exits from the fixed plate 120.
The first driving unit 160 is mounted to the bracket 165, the bracket 165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141,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제14항에 있어서,
브라켓(165)은 편심축(168)에 의해 선회하도록 고정프레임(141)의 상면에 장착되며,
브라켓(165)의 바닥에는 편심축(16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장공(166)이 형성되고, 장공(166)을 관통한 볼트(167)가 고정프레임(141)에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racket 16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141 to pivot by the eccentric shaft 168,
The bottom of the bracket 16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hole 166 is formed around the eccentric shaft 168, the bolt 167 penetrating through the long hole 166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ed frame 141 Lift for disabled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130)의 양측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133)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가이드레일(133)과 대응하는 고정프레임(141)의 양측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133)을 측방향에서 가압하는 볼베어링(12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rails 133 ar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130, and the guide rails 133 are urg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s of the fixing frame 141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s 133 in the lateral direction.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 bearing 123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130)의 측면 길이방향 양단에는 2개의 스토퍼(134, 135)가 고정되고, 플랫폼(130)의 이동에 의해 각 스토퍼(134, 135)와 간섭되는 2개의 리미트스위치(151, 152)가 고정프레임(141)의 내측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wo stoppers 134 and 135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atform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limit switches 151 and 152 that interfere with the stoppers 134 and 135 by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130 are provided.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frame (141).
제1항에 있어서,
링크부(140)는 고정플레이트(120)에 힌지 결합된 링크(140a)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120)에는 링크(140a)와 대응하여 2개의 리미트스위치(153, 154)가 장착되고, 링크(140a)에는 2개의 스토퍼(143, 144)가 장착되어 해당하는 리미트스위치(153, 154)와 각각 간섭됨에 있어, 한 개의 스토퍼는 링크(140a)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 해당 리미트스위치와 접하고 다른 한 개의 스토퍼는 링크(140a)가 수직상태를 넘어서면서 링크부(140)가 접혔을 때에 해당 리미트스위치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k unit 140 includes a link 140a hing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the fixed plate 120 is equipped with two limit switches 153 and 154 corresponding to the link 140a, and the link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120. Two stoppers 143 and 144 are mounted at 140a to interfere with the corresponding limit switches 153 and 154, respectively, so that on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limit switch when the link 140a is erected vertically. One stopper is a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140a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limit switch when the link portion 140 is folded over the vertical state.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130)의 후단에는 슬로프(131)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장착되며, 슬로프(131)에는 고정걸쇠(132)가 고정되고, 플랫폼(130)에는 회전걸쇠(136)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장착되며, 슬로프(131)가 세워졌을 때에 고정걸쇠(132)가 회전걸쇠(136)에 걸쳐지도록 회전걸쇠(136)를 받쳐주는 받침편이 플랫폼(130)에 장착되며, 회전걸쇠(136)에는 손잡이(139)가 고정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end of the platform 130 is mounted so that the slope 131 is pivo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latch 132 is fixed to the slope 131, the rotating latch 136 is pivo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latform 130 When the slope 131 is erected, a support piece supporting the rotary clasp 136 so that the fixing clasp 132 spans the rotary clasp 136 is mounted on the platform 130, and the handle has a handle on the rotary clasp 136.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139).
제19항에 있어서,
받침편은 러그(138) 형태로서, 코일스프링(137)이 러그(138)와 회전걸쇠(136)에 연결되어 회전걸쇠(136)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upporting piece is in the form of a lug 138, the coil spring 137 is connected to the lug 138 and the rotary clasp 136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rotary clasp 136 downward, sliding for disabled vehicles. lift.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잠금손잡이(250b)는 스토퍼(221)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251)와, 스토퍼(221)와 실린더(251)를 관통하는 고정핀(252)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252)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253)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253)과 접하여 고정핀(252)을 구멍(241)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255) 및 실린더(251)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252)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lock handle 250b is fixed to the cylinder 25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topper 221, a fixing pin 252 penetrating through the stopper 221 and the cylinder 251, and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51. A locking jaw 253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pin 252 and a coil spring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51 and contacting the locking jaw 253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fixing pin 252 toward the hole 241. 255) and a handle 254 fixed to the end of the fixed pin 252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251,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lift for a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잠금손잡이(250a)는 다른 한 원판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251)와, 다른 한 원판과 실린더(251)를 관통하는 고정핀(252)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252)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253)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253)과 접하여 고정핀(252)을 구멍(212)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255) 및 실린더(251)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252)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ing handle 250a is a cylinder 25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ther disc, a fixing pin 252 penetrating the other disc and the cylinder 251, and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51. A locking jaw 253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252 and a coil spring 255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51 and contacting the locking jaw 253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fixing pin 252 toward the hole 212. And a handle 254 fixed to an end of the fixing pin 252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251.
제10항에 있어서,
잠금손잡이(250b)는 지지대(223)에 일단이 고정된 실린더(251)와, 지지대(223)와 실린더(251)를 관통하는 고정핀(252)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핀(252)의 원주에 형성된 걸림턱(253)과, 실린더(251)의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253)과 접하여 고정핀(252)을 브라켓(261)의 구멍(262)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255) 및 실린더(251)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핀(252)의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슬라이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k handle 250b has a cylinder 25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223, a fixing pin 252 penetrating the support 223 and the cylinder 251, and is positioned and fixed inside the cylinder 251.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fixing pin 252 toward the hole 262 of the bracket 261 in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253 and the locking jaw 253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pin 252 and the cylinder 251. Sliding lift for a disab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 spring 255 to apply a handle 254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n 252 protruding out of the cylinder 251.
KR1020110048936A 2011-05-24 2011-05-24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KR101212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36A KR101212451B1 (en) 2011-05-24 2011-05-24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36A KR101212451B1 (en) 2011-05-24 2011-05-24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885A KR20120130885A (en) 2012-12-04
KR101212451B1 true KR101212451B1 (en) 2012-12-13

Family

ID=475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936A KR101212451B1 (en) 2011-05-24 2011-05-24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8881B (en) * 2021-07-29 2024-03-22 黄思成 Emergency department transports bed and uses car mechanism
KR102554123B1 (en) * 2023-02-16 2023-07-10 유석환 Vehicle wheelchair lif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104A (en) 2004-03-31 2005-10-20 Toyota Auto Body Co Ltd Vehicular elevating device
WO2007113501A1 (en) 2006-03-31 2007-10-11 Elevated Designs Limited Improved lift
KR100963514B1 (en) 2009-11-19 2010-06-15 주식회사 오텍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KR100968741B1 (en) 2009-11-19 2010-07-08 주식회사 오텍 Disabilities vehicle with sliding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104A (en) 2004-03-31 2005-10-20 Toyota Auto Body Co Ltd Vehicular elevating device
WO2007113501A1 (en) 2006-03-31 2007-10-11 Elevated Designs Limited Improved lift
KR100963514B1 (en) 2009-11-19 2010-06-15 주식회사 오텍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KR100968741B1 (en) 2009-11-19 2010-07-08 주식회사 오텍 Disabilities vehicle with sliding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885A (en)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US9463121B1 (en) Wheelchair assembly and system for ingress/egress to a vehicle using a door of a vehicle as support
WO2011007625A1 (en) Vehicle seat
EP1786375A1 (en)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KR102235701B1 (en) Wheelchair with vehicle boarding function
KR101212451B1 (en)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KR102235699B1 (en) Boarding apparatus for wheelchair users
KR100968741B1 (en) Disabilities vehicle with sliding lift
JP7312090B2 (en) Boarding control device
US5110173A (en) Wheelchair for invalids
JP2003339773A (en) Lift-up seat for vehicle
KR101759173B1 (en) Guiding device of wheelchair for vehicle
JP3137172U (en) lift device
JP2005193775A (en) Movable seat device for vehicle
CN114901231B (en) Vehicle get-on/off auxiliary device
KR102536900B1 (en) Wheel chair system having boarding unit for disabled person
JP2005145281A (en) Get-on/get-off assist device for vehicle
JP7283424B2 (en) Vehicle door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wheelchair and vehicle
JP7392554B2 (en) Vehicle entry/exit assist device
KR102104278B1 (en) Bus equipped with convenience for the old and the infirm
JP2006006614A (en) Welfare vehicle
WO2006040886A1 (en) Seat for vehicle
KR20100125839A (en) Auxiliary scaffold driving device for van
GB2415130A (en) Car seat with sliding and swivelling means
JP3664329B2 (en) Vehicle entry / exi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