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20B1 -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 Google Patents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20B1
KR101212320B1 KR1020120038561A KR20120038561A KR101212320B1 KR 101212320 B1 KR101212320 B1 KR 101212320B1 KR 1020120038561 A KR1020120038561 A KR 1020120038561A KR 20120038561 A KR20120038561 A KR 20120038561A KR 101212320 B1 KR101212320 B1 KR 10121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soft capsule
weight
parts
capsul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조
Original Assignee
김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조 filed Critical 김규조
Priority to KR102012003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91Coated capsules; Multilayered drug free capsul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 2~50중량부, 카라기난 10~350중량부 및 가소제 10~4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VEGETABLE SOFT CAPSULE SHELL INCLUDING MODIFIED STARCH AND SOFT CAPS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변성전분, 전분분해물, 카라기난, 가소제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약, 식품용 캡슐은 피막의 조성에 따라 경질 캡슐과연질 캡슐로 나뉜다. 일반적인 경질 캡슐의 경우 전체 조성 중 약 95 ~ 99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젤라틴에 의해 캡슐의 물성이 좌우된다. 그에 반하여 연질캡슐의 경우에는 젤라틴이 약 30 ~ 70중량%로 포함되며, 나머지는 물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가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캡슐 피막을 생산하기 위한 선택물질로서 포유류 젤라틴을 이용하여 연질 및 경질-피막 캡슐을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포유류 유래인 젤라틴의 사용에 대하여 알레르기나 혐오감이 증가하고 있는바, 어류에서 유래된 젤라틴이나 식물성 유래 소재를 사용한 소프트 캡슐 외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7034호에서는 식물성유 및 향유오일 유지에 호박젤라틴을 포함하는 저작성 연질캡슐의 피막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31274호에서는 일정함량의 전분류, 젤라틴, 가소제 및 정제수로 구성된 저작 가능한 연집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기는 하나, 전분류만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관련사항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자적으로 노력하여 일정량의 변성전분 및 전분분해물을 포함하고, 카라기난, 가소제 및 일정종류의 완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를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변성전분을 사용하여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를 제조하면, 종래의 외피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성 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은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 2~50중량부, 카라기난 10~350중량부 및 가소제 10~4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캡슐은 상기 외피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지 않은 변성전분을 사용하고, 그 함유량을 한정하여 포함함으로써, 붕해시간 및 접착력이 우수하고, 우수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탁월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는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변성전분의 용해도와 외피의 접착력 및 결착력에서 탁월한 성능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의 절단면을 현미경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2>의 최대압축하중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 2~50중량부, 카라기난 10~350중량부 및 가소제 10~4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변성 전분은 전분의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조제된 산물, 예를 들어 산 처리 전분, 효소 처리 전분, 산화 전분, 교차 결합(cross-bonding) 전분, 및 기타 전분 유도체이다. 바람직한 변성 전분은 그 측쇄가 친수성기 또는 소수성기로 변형되도록 유도하여, 그 결과 측쇄 사이에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 더욱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중, 본 발명에서 포함하는 변성전분은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 산화변성 전분 및 산화 α화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변성전분을 기초로 다른 구성요소들의 함량을 조절하기는 하나, 변성전분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외피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해서 5~4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변성전분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경도 저하 우려가 있고, 4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경도 상승으로 인한 캡슐의 결착력 저하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 산화변성 전분 및 산화 α화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분을 포함하는 변성 전분의 수화온도는 30~95℃일 수 있다. 상기 수화온도는 변성전분입자를 물에 침지시켰을 때, 변성전분이 모두 용해되는 온도를 일컫는바, 수화온도가 30℃미만인 경우 변성전분의 용해를 저해할 염려가 있고, 95℃를 초과하는 경우 변성전분의 경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대부분의 전분의 수화온도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전분의 생산 데이터와 같은 문헌에서 입수가능하다. 문헌을 통하여 입수할 수 없다면, 이러한 수화온도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변성전분 종류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은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화 찰옥수수전분일 수 있고, 상기 산화변성 전분은 감자산화변성전분, 타피오카 산화변성전분, 옥수수산화변성전분 및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α화 전분은 감자산화알파전분,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옥수수산화알파전분 및 찰옥수수산화알파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분분해물은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2~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전분분해물을 2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외피 조성물의 경도저하의 우려가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외피 조성물의 경도 저해의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분분해물은 감자덱스트린, 타피오카덱스트린, 옥수수덱스트린, 찰옥수수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자덱스트린, 타피오카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바, 이는 외피조성물의 투명도를 우수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카라기난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카라기난은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10~3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라기난을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외피 조성물의 경도 저하의 염려가 있고, 35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외피 조성물의 경도 저해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카라기난은 아이오타 카라기난, 람다 카라기난 및 카파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한 종류의 카라기난을 포함할 수 있으나, 두 종류의 이상의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것이 이수 방지 및 경도 유지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는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는바, 가소제는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 10~4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가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외피조성물의 혼합 및 용해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고, 45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목적하는 경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롤, 솔비톨, 올리고당 및 결정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는 변성전분, 전분분해물, 카라기난 가소제 이외에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완충제를 포함함으로써 변성전분의 용해도가 좋아지고, 외피 조성물의 접착력 및 부착력에서 탁월한 성능을 가지는 바, 상기 완충제는 젖산칼슘, 메타인산칼륨 및 칼슘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젖산칼슘(칼슘락테이트) 및 칼슘옥사이드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접착력 강화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메타인산칼륨은 변성전분 및 전분분해물의 용해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용해액이 알카리성을 띄게 되므로 접착력을 높이는 메카니즘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제는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30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3~30중량부의 범위로 추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피 조성물로 하여금 목적하는 경도에 도달하지 못하게 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공할 수 있는바, 상기 외피 조성물이 적당한 점성 (접착성)과 탄성력을 갖는 용융 상태에서, 호화된 전분이 전분호 작용에 의한 시일성을 갖기 때문에, (i)금형 (후술하는 다이 롤) 에 의한 압착, (ii)전분호에 의한 용착에 의해 소프트 캡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소프트 캡슐은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외피 조성물은 30~ 300psi(207~2070kPa)의 압력 하에 가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바, 상기 압력이 30psi미만인 경우 외피 조성물의 용해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300psi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의 과다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조성물을 20~95℃의 온도하에서 접합하여 소프트 캡슐을 형성할 수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30~90℃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합 온도를 25℃미만으로 하는 경우 캡슐 형성시 접착력 저하의 염려가 있고, 95℃를 초과하는 경우 결착력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의 실시예는 하기 표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는바, 이때의 외피 조성물은 변성전분(삼양제넥스, ㈜내쇼날스타치) (감자산화변성전분, 옥수수산화알파전분,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 타피오카산화변성 전분, 타피오카산화 알파전분,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히드록시프로필화 찰옥수수전분, 삼양제넥스, ㈜내쇼날스타치), 전분분해물(삼양제넥스, ㈜내쇼날스타치) (감자덱스트린, 찰옥수수덱스트린), 카라기난(아이오타, 카파, 람다) 및 가소제(솔비톨, 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일정량 함유하였다. 상기 변성전분의 수화온도는 실시예에 따라 65℃ 온도의 범위로 하였고, 실시예 중엔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한 조성물도 포함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변성전분 감자산화변성전분 6 0 0 0 6 0
옥수수산화알파전분 5 10 0 0 5 10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 0 5 0 0 0 5
타피오카산화변성전분 0 0 7 0 0 0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0 0 4 10 0 0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0 0 0 0 0 0
히드록시프로필화찰옥수수전분 0 0 0 10 0 0
전분분해물 감자덱스트린 1 1 1 1 1 1
찰옥수수덱스트린 1 1 1 1 1 1
카라기난 ι 카라기난 20 16 0 0 0 0
κ 카라기난 0 0 19 4 0 0
λ 카라기난 0 0 0 0 18 8
가소제 솔비톨 3.0 4.8 5.0 4.2 5.0 4.2
글리세린 25 22 25 29 25 33
정제수 38 37 38 34 38 34
완충제 젖산칼슘 0 2.0 0 4.5 0 3.0
메타인산칼륨 0.1 0.2 0 0.8 0.1 0.5
칼슘옥사이드 0.9 1.0 0 1.5 0.9 0.3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변성전분 감자산화변성전분 7 0 0 0 0 0
옥수수산화알파전분 4 10 0 0 0 0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 0 5 7 0 0 0
타피오카산화변성전분 0 0 4 10 0 0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0 0 0 10 7 0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0 0 0 0 4 10
히드록시프로필화찰옥수수전분 0 0 0 0 0 10
전분분해물 감자덱스트린 1 1 1 1 1 1
찰옥수수덱스트린 1 1 1 1 1 1
카라기난 ι 카라기난 0 7 5 2 2 1
κ 카라기난 2 4 8 8 8 10
λ 카라기난 9 0 0 0 0 0
가소제 솔비톨 5.0 4.8 4.6 4.4 4.4 3.5
글리세린 25 26 27 28 28 29
정제수 38 37 36 30 35 32
완충제 젖산칼슘 5.7 3.0 6.0 5.0 7.0 2.0
메타인산칼륨 0.3 0.2 0.3 0.2 0.3 0.2
칼슘옥사이드 2.0 1.0 0.1 0.4 2.3 0.3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변성전분 감자산화변성전분 6 0 0 0
옥수수산화알파전분 5 8 0 0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 0 5 7 0
타피오카산화변성전분 0 0 4 9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0 0 0 9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0 0 0 0
히드록시프로필화찰옥수수전분 0 0 0 0
전분분해물 감자덱스트린 2 2 2 2
찰옥수수덱스트린 0 0 0 0
카라기난 ι 카라기난 0 0 2 8
κ 카라기난 9 1 0 0
λ 카라기난 7 4 9 4
가소제 솔비톨 4.0 4.2 5.0 4.2
글리세린 25 33 25 26
정제수 38 34 38 32
완충제 젖산칼슘 2.0 6.4 6.0 4.0
메타인산칼륨 0 0.3 0.5 0
칼슘옥사이드 2.0 2.0 1.5 1.7
비교예
하기 실험예에 사용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의 비교예 1은 변성전분(감자알파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덱스트린) 30중량부, 람다 카라기난 50중량부, 글리세린 20중량부, 정제수로써 물 80중량부를 포함하였다.
또한, 비교예2는 변성전분(감자산화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덱스트린) 5중량부, 람다카라기난 10중량부, 글리세린 45중량부를 포함하고, 정제수로써 물 80중량부, 완충제로써 금속염(숙신산 2Na) 1.5중량부 및 염화칼륨 0.0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다.
비교예 3 내지 5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는바, 조성물 각 성분의 함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였다.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변성전분 감자산화변성전분 0 0 0
옥수수산화알파전분 0 0 0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 0 0 0
타피오카산화변성전분 10 0 0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10 7 0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0 4 10
히드록시프로필화찰옥수수전분 0 0 10
전분분해물 감자덱스트린 8 5 6
찰옥수수덱스트린 7 5 9
카라기난 ι 카라기난 0 2 10
κ 카라기난 0 4 10
λ 카라기난 1 0 10
가소제 솔비톨 1.5 5.0 4.5
글리세린 20 22 5.5
정제수 33.5 40 10
완충제 젖산칼슘 3 2 5
메타인산칼륨 3 2 5
칼슘옥사이드 3 2 5
< 실험예1 >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의 물리적 성질
상기 표1 내지 표 3의 실시예 성분을 혼합한 후, 90℃ water bath에서 30분간 용해하였고 2시간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해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조성물을 충전기의 양측에 있는 냉각드럼에 절연함으로써 시트형상으로 제조하였고, 다이롤을 통하여 제조된 식물성 소프트 캡슐을 약 5시간 건조한 후, 붕해개구시간, 붕해붕괴시간, 강도, 경도 및 접착력을 측정하여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하였다.
붕해개구시간 및 붕해붕괴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의 건조된 소프트 캡슐 외피시트를 Dissolution Tester DR-8 type에 투입하고, 37℃에서 중탕가열하여 붕해개구시간과 붕해붕괴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20℃ 항온수조에서 12시간 방치 후 상기 실시예 외피시트의 강도를 측정(20℃ FUDOH Rheometer 1.0㎠ Plunger 사용)하였고,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비이커에 담아 20℃ 항온수조에 12시간 방치 후 레오메타 1.0cm2 plunger 를 사용하여 실시예 시트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의 외피시트를 충전기에 유도하여 통상의 소프트 캡슐과 마찬가지로 MCT 또는 렉시틴을 충전시킨 직후에 금형에 의해 압착하여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된 소프트 캡슐을 절단하고, 절단된 면에 대해서 현미경을 100 배로 하여 확대 관찰하여 조성물의 접착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 때, 측정한 붕해개구시간, 붕해붕괴시간, 강도, 경도 및 접착력의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붕해개구
시간(min)
6 7 5 6 6 6 4 5 3 4
붕해붕괴
시간(min)
16 15 16 16 17 14 12 13 12 11
강도 ( N ) 100 87 120 45 75 67 132 157 140 155
시트경도 ( g/㎠ ) 3760 3650 3750 3630 3450 3580 3820 3930 3800 3850
접착력 O Δ O Δ Δ Δ O O
◎ : 아주우수함, ○ : 우수함, △ : 보통, X : 나쁨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붕해개구
시간(min)
5 4 4 5 3 5 10 8 9 8 11
붕해붕괴
시간(min)
11 13 12 13 13 15 20 22 23 21 24
강도 ( N ) 165 180 68 78 102 95 - - - - -
시트경도 ( g/㎠ ) 3870 3950 3520 3330 3540 3460 - - - - -
접착력 Δ Δ O O X X Δ Δ X
◎ : 아주우수함, ○ : 우수함, △ : 보통, X : 나쁨
붕해개구시간은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가 물에 녹기 시작하는 시간, 붕해붕괴시간은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가 녹기를 종료하는 시간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의 캡슐제조에 적합한 시간은 붕해개구시간 10분 이내, 붕해붕괴시간 20분 이내이다.
본 실험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변성전분의 종류가 상이한 비교예1 및 완충제의 종류가 상이한 비교예2, 구성성분은 일치하나 함유성분이 상이한 비교예3 내지 비교예5의 붕해개구시간은 10분 이상, 붕해붕괴시간은 20분 이상이 걸리는 것에 비해, 상기 실시예들의 붕해개구시간은 3~5분, 붕해붕괴시간은 12~15분 이내로 측정되었는바, 본 실시예의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 조성물의 용해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아이오타 카라기난 및 람다 카라기난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8 내지 12의 경우가 다른 실시예들보다 더 짧은 붕해개구시간 및 붕해붕괴시간을 나타내었는바, 이는 아이오타 카라기난 및 람다 카라기난의 합성 및 모든 종류의 완충제의 포함으로 인하여 변성전분 및 전분분해물의 용해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강도 및 경도에 있어서, 강도는 수치가 높을수록 가압에 대한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경도는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가 굳었을 때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바, 본 실시예 조성물이 일정수준 이상의 강도 및 경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외피재로써의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8 내지 12의 조성물이 강도 및 시트경도에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는바, 이는 탁월한 붕해개구시간 및 붕해붕괴시간과 이 이유를 같이 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강도 및 경도 측정이 어려웠는바, 비교예와 같은 구성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외피재로써 통용될 수 있는 물리적 성질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접착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소프트 캡슐로 제작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하였다. 이때,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접착력이 나쁨 또는 보통을 나타내었고, 상기 실시예의 경우 접착력 평가에 있어서, 보통인 것과 우수한 것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로 인하여, 실시예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의 경우 캡슐화 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적으로, 도 1 및 도 2는 실시예 8의 조성물로 제조한 소프트 캡슐을 한면으로 절단 한 후 현미경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인바, 절단한 면이 공기의 기포에 의한 미접착 부분이 없고, 접착면 불량에 의한 터짐 현상이 없이 우수하며, 외피재의 구성 모양이 절단부위를 경계로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2 > 식물성 소프트 외피재의 압축강도
상기 실시예 중에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의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혼합하여 150psi의 압력하에서 가열, 95℃의 온도에서 약 30분간 용해시킨 후, SLOT DIE를 통해 냉각 드럼에 상기 용해된 외피조성물을 도포시켜 얻어진 시트에 DIE ROLL을 회전, 압착시켜 하기 표 7에 표시된 크기(mm)의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21~23℃, 50% R.H 이하의 조건에서, 한국산업 기술시험원의 시험기(DUT-3000CM, ㈜대경엔지니어링)에 상기 캡슐화된 실시예 8 내지 12의 소프트 캡슐을 장착시킨 후 10mm/min의 속도로 수직압축하중을 가하여 최대 압축하중을 측정하였다.
캡슐장경(mm) 캡슐단경(mm) 최대압축하중(N) 최대압축하중(kg)
실시예8 11.5 7.2 132 13.5
실시예9 10.7 7.1 157 16.02
실시예10 14.8 8.3 176 17.96
실시예11 13.9 7.6 135 13.78
실시예12 22.5 10.1 300 30.61
그 결과, 상기 표 7과 같은 최대압축하중을 얻을 수 있었다. 보통 소프트 캡슐의 경우 5~10kg의 하중을 견디며, 5kg정도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는 불량한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이 보통인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8 내지 12의 경우 모두 10kg이상으로 최대압축하중이 측정되었는바, 외피재 조성물 및 캡슐제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캡슐의 사이즈가 다른 실시예에 비해 조금 더 큰 실시예 12의 경우 30kg이상의 압축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표 7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는바, 그래프의 최고 상승 지점에서 최대 압축하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변성전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분분해물 2~50중량부, 카라기난 10~350중량부, 가소제 10~450중량부 및 완충제 3~3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라기난은 아이오타 카라기난, 람다 카라기난 및 카파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완충제는 젖산칼슘, 메타인산칼륨 및 칼슘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전분은 수화온도가 3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전분은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 산화변성 전분 및 산화 α화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은 히드록시프로필화감자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화찰옥수수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변성 전분은 감자산화변성전분, 타피오카산화변성전분, 옥수수산화변성전분 및 찰옥수수산화변성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α화 전분은 감자산화알파전분, 타피오카산화알파전분, 옥수수산화알파전분 및 찰옥수수산화알파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분해물은 감자덱스트린, 타피오카덱스트린, 옥수수덱스트린 및 찰옥수수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솔비톨, 올리고당 및 결정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기재된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KR1020120038561A 2012-04-13 2012-04-13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KR10121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61A KR101212320B1 (ko) 2012-04-13 2012-04-13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61A KR101212320B1 (ko) 2012-04-13 2012-04-13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320B1 true KR101212320B1 (ko) 2012-12-13

Family

ID=479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61A KR101212320B1 (ko) 2012-04-13 2012-04-13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3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53B1 (ko) * 2014-04-01 2014-12-03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탄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얇은 피막으로 생산성과 붕해도가 향상되는 식물성 연질캡슐 및 그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RU2547580C1 (ru) * 2013-12-20 2015-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тлайф"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олочек мягких капсул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WO2016047825A1 (ko) * 2014-09-25 2016-03-3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화학적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식물성 연질캡슐조성물
KR101675438B1 (ko) * 2015-12-18 2016-11-11 김문구 연질 캡슐 외피 제조용 조성물
WO2019066239A1 (ko) * 2017-09-28 2019-04-04 (주)창성소프트젤 품질 편차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연질의 식물성 캡슐 조성물
KR102294072B1 (ko) * 2020-11-19 2021-08-26 (주)알피바이오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형성된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
CN115364068A (zh) * 2022-08-23 2022-11-22 青岛至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温敏性胶囊及其制备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7580C1 (ru) * 2013-12-20 2015-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тлайф"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олочек мягких капсул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101467853B1 (ko) * 2014-04-01 2014-12-03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탄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얇은 피막으로 생산성과 붕해도가 향상되는 식물성 연질캡슐 및 그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15152493A1 (ko) * 2014-04-01 2015-10-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탄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얇은 피막으로 생산성과 붕해도가 향상되는 식물성 연질캡슐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16047825A1 (ko) * 2014-09-25 2016-03-3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화학적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식물성 연질캡슐조성물
KR101675438B1 (ko) * 2015-12-18 2016-11-11 김문구 연질 캡슐 외피 제조용 조성물
US9968560B2 (en) 2015-12-18 2018-05-15 Mun Gu KIM Composition for preparing soft capsule shell
WO2019066239A1 (ko) * 2017-09-28 2019-04-04 (주)창성소프트젤 품질 편차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연질의 식물성 캡슐 조성물
KR102294072B1 (ko) * 2020-11-19 2021-08-26 (주)알피바이오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형성된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
CN115364068A (zh) * 2022-08-23 2022-11-22 青岛至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温敏性胶囊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320B1 (ko) 변성전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소프트 캡슐 외피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TWI472323B (zh) 用於腸溶性硬膠囊的水性組合物、腸溶性硬膠囊的製備方法以及以後者方法製備而得的硬膠囊
EP2600849B1 (en) Film-forming composition for soft capsules
JP5876875B2 (ja) 腸溶性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AU2020419402B2 (en) Film-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gellan gum and starch, and application in soft capsule
JPH08208458A (ja) カプセル用皮膜組成物
KR101787481B1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장용성 경질 캡슐
KR101675438B1 (ko) 연질 캡슐 외피 제조용 조성물
KR101411364B1 (ko) 전분을 주기재로 사용한 연질 캡슐 피막 조성물
JP5334727B2 (ja) 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WO2006132398A1 (ja) カプセル皮膜用組成物
JP4242266B2 (ja) カプセル剤皮組成物
JP5054306B2 (ja) フィルム状組成物
EP2832372A1 (en) Composition for enteric hard capsule and enteric hard capsule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KR101747211B1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장용성 경질 캡슐
KR102199595B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101294614B1 (ko) 타피오카 변성전분을 주기재로 사용한 연질 캡슐 피막 조성물
KR20120100305A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장용성 경질 캡슐
TWI554290B (zh) 用於腸溶硬膠囊的組成物、使用該組成物製備的腸溶硬膠囊
JP2016037471A (ja) カプセル皮膜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プセル
US20200405647A1 (en) Shell composition and capsule using the shell composition
KR102036214B1 (ko)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