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204B1 -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204B1
KR101212204B1 KR1020100082516A KR20100082516A KR101212204B1 KR 101212204 B1 KR101212204 B1 KR 101212204B1 KR 1020100082516 A KR1020100082516 A KR 1020100082516A KR 20100082516 A KR20100082516 A KR 20100082516A KR 101212204 B1 KR101212204 B1 KR 10121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ubstituted
substituted
positive electrode
borate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229A (ko
Inventor
노세원
박용철
김성수
허소현
조인행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04B1/ko
Priority to US13/177,469 priority patent/US20120052384A1/en
Publication of KR2012001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Abstract

양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극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 OF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본 기재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내부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의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시 발생하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지 내부의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면 폐기하여야 하는 일차 전지와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는 이차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이차 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하여 여러 번 충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을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과 리튬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전지 셀에 전해질을 주입하여 사용된다.
이 중, 양극 활물질은 리튬(Li)과 다양한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을 이루는 전이 금속은 고온에서 전해질에 용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차 전지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양극으로부터 전이 금속의 용출을 줄일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은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bis(oxalato)borate, BOB), 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difluorooxalatoborate, FOB), 비스(말로나토)보레이트(bis(malonato)borate, BMB),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bis(perfluoropinacolato)borate, BPFPB), 트리보레이트(triborate, B3O7 5-), 테트라보레이트(tetraborate, B4O9 6-), 메타보레이트(metaborate, [BO2 -]n)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리튬 양이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륨(imid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늄(piperid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늄(pyrolid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륨(pyr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륨(tr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트리아졸륨(isotr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륨(th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륨(ox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륨(isoox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다지늄(pyrid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늄(pyrimid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늄(pyr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늄(pyrid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티아졸륨(isoth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티아졸륨(azath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소티아졸륨(oxoth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보로륨(oxabor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티아졸륨(dith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셀레노졸륨(seleno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포스포륨(oxaphosph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륨(pyrol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보로륨(bor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푸라늄(fura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늄(thiophe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타졸륨(pent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륨(ind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리늄(ind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졸륨(tetr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푸라늄(benzofura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푸라늄(dibenzofura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늄(benzothiophe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늄(dibenzothiophe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륨(thiadiazol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늄(piper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폴리늄(morph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늄(pyra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놀리늄(ann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탈라지늄(phthal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늄(quinaz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잘리늄(quinaza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늄(quin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늄(isoquinol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타지늄(th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지늄(oxazi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아눌레늄(azaannule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포늄(phosphonium),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암모늄 양이온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양이온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상기 바인더 및 상기 이온성 액체는 상기 양극용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각각 약 75 내지 95 중량%, 약 1 내지 20 중량% 및 약 0.1 내지 1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극용 조성물은 도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전재는 상기 양극용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을 둘러싸며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산화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온에서 양극 활물질을 이루는 전이 금속 이온이 전해액으로 용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망간과 같이 전해액으로의 용출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던 전이 금속의 사용을 확대할 수 있어서 양극 활물질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충전시 양극에서 화합물의 구조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전지가 손상되는 열폭주(thermal runaway)를 방지하여 전지의 열안정성을 높이고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탄소 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 수 2 내지 16의 알케닐기, 탄소 수 2 내지 16의 알키닐기, 아릴기, 탄소 수 7 내지 13의 아릴알킬기, 탄소 수 1 내지 4의 옥시알킬기, 탄소 수 1 내지 20의 헤테로알킬기, 탄소 수 3 내지 2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탄소 수 3 내지 15의 사이클로알케닐기, 탄소 수 6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키닐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양극용 조성물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이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리튬(Li)과 코발트(Co), 망간(Mn), 니켈(Ni)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복합 산화물일 수 있다.
이들 화합물로는 예컨대 LiaA1 - bDbE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이다); LiaG1 - bDbO2 - cJc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이다); LiG2 - bDbO4 - cJc (상기 식에서, 0 ≤ b ≤ 0.5, 0 ≤ c ≤ 0.05이다); LiaNi1-b-cCobDcEα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 -b- cCobDcO2 Jα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 -b- cCobDcO2 J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 -b- cMnbDcE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MnbDcO2-αJα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 -b- cMnbDcO2 J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bGcLdO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0.001 ≤ d ≤ 0.1이다.); LiaNibCocMndLeO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0 ≤ d ≤0.5, 0.001 ≤ e ≤ 0.1이다.); LiaNiLbO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001 ≤ b ≤ 0.1이다.); LiaCoLbO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001 ≤ b ≤ 0.1이다.); LiaMnLbO2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001 ≤ b ≤ 0.1이다.); LiaMn2LbO4 (상기 식에서, 0.90 ≤ a ≤ 1.8, 0.001 ≤ b ≤ 0.1이다.); QO2; QS2; LiQS2; V2O5; LiV2O5; LiRO2; LiNiVO4; Li(3-f)Z2(PO4)3(0 ≤ f ≤ 2); Li(3-f)Fe2(PO4)3(0 ≤ f ≤ 2); 및 LiFePO4 을 들 수 있다.
여기서, A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D는 Al, Ni, Co, Mn, Cr, Fe, Mg, Sr, V,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E는 O, F, S, 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G는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J는 F, S, 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는 Al, Cr, Mn, Fe, Mg, La, Ce, Sr, V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Q는 Ti, M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는 Cr, V, Fe, Sc, Y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Z는 V, Cr, Mn, Co, Ni, C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75 내지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 사이의 응집력을 높이는 동시에 양극 활물질이 집전체 위에 잘 접착되도록 한다.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바인더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렌셀룰로즈, 디아세틸렌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및 나일론 따위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이 바람직하며, 이 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은 약 4 내지 20몰%로 함유되는 경우 양극 활물질의 접착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바인더는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도전재는 양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양극 활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폴리페닐렌 유도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 섬유,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금속 섬유 따위를 들 수 있다.
도전재는 경우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며 상온에서 액체 특성을 나타내는 염(salt)이다.
이온성 액체는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포함한다. 보레이트계 음이온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보레이트 이온을 포함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중에서 산소와 결합되어 있는 보레이트계 음이온일 수 있다. 이러한 보레이트계 음이온으로는예컨대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bis(oxalate)borate, BOB), 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difluorooxalatoborate, FOB), 비스(말로나토)보레이트(bis(malonato)borate, BMB),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bis(perfluoropinacolato)borate, BPFPB), 트리보레이트(triborate, B3O7 5-), 테트라보레이트(tetraborate, B4O9 6-), 메타보레이트(metaborate, [BO2 -]n)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리튬 양이온 또는 비리튬 양이온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리튬 양이온은 리튬 양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양이온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다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셀레노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포스포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타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폴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탈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잘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타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아눌레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암모늄 양이온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은 초기 충전 후 보레이트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레이트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산화막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결합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보레이트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들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레이트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을 둘러싸거나 그들 주위에 존재함으로써 고온에서 양극 활물질을 이루는 전이 금속 이온이 전해액으로 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으로부터 전이 금속 이온이 용출되어 전지 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전지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망간과 같이 전해액으로의 용출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던 전이 금속의 사용을 확대할 수 있어서 양극 활물질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는 충전시 양극에서 화합물의 구조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열을 방출하고 이 때 발생한 열에 의해 전지가 손상되는 열폭주(thermal runaway)를 방지하여 전지의 열안정성을 높이고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100)는 양극(114), 양극(114)과 대향하는 음극(112), 양극(114)과 음극(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세퍼레이터(113) 및 양극(114), 음극(112) 및 세퍼레이터(113)을 함침하는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전지 셀과, 상기 전지 셀을 담고 있는 전지 용기(120) 및 상기 전지 용기(120)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140)를 포함한다.
양극(114)은 집전체 및 상기 접전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 활물질 층을 포함한다.
집전체는 알루미늄 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 활물질 층은 상술한 양극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슬러리 형태일 수 있다.
음극(112)은 집전체 및 상기 접전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음극 활물질 층을 포함한다.
집전체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전도성 금속이 도포된 고분자 기재 및 상기 금속으로 만들어진 메쉬와 같은 그물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 활물질 층은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탄소계 음극 활물질, 리튬과 합금화할 수 있는 화합물,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화합물,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탄소계 음극 활물질에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린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과 같은 흑연을 들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및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과 합금화할 수 있는 화합물에는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Ti, Ag, Zn, Cd, Al, Ga, In, Si, Ge, Sn, Pb, Sb, B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는 예컨대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Si, SiOx(0<x<2), Sn, SnO2,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전재 및 바인더는 전술한 바와 같다.
세퍼레이터(113)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 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및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로는 예컨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ethylpropyl carbonate, 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thylpropyl carbonate, 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thylethyl carbonate, M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thylmethyl carbonate, 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B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사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 및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전율을 높이는 동시에 점성이 작은 용매로 제조될 수 있어서 좋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 및 사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약 1:1 내지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로는 예컨대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테르 용매로는 예컨대 디부틸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단독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전해질은 에틸렌카보네이트, 피로카보네이트 등의 과충전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양극의 제조
실시예 1
LiMn2O4 85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5 중량%, 아세틸렌블랙 5 중량% 및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5 중량%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LiMn2O4 85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7 중량%, 아세틸렌블랙 7 중량% 및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1 중량%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LiMn2O4 85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6 중량%, 아세틸렌블랙 6 중량% 및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3 중량%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LiMn2O4 85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4중량%, 아세틸렌블랙 4중량% 및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7 중량%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LiMn2O4 85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7.5 중량%, 아세틸렌블랙 7.5 중량% 및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LiBOB) 0 중량%를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양극을 준비하고, 음극 활물질로 인조 흑연을 사용하고, 세퍼레이터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여 전지 셀을 제조하고, 여기에 1.15M LiPF6을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를 약 1:1:1의 비율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첨가하여 제조한 전해질을 각각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성능 테스트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를 2회 충방전 셀을 만충전후 60도에서 5일 방치 후 전해액에 망간 이온(Mn2 +)이 용출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Mn2 + 용출량(ppm)
실시예 1 ND
실시예 2 1500ppm
실시예 3 800ppm
실시예 4 ND
비교예 1 3000ppm
* ND: Not Detectable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양극 슬러리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1에 따른 양극 슬러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해액에 용출되는 망간 이온의 함량이 현저하게 줄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 경우 망간 이온이 전해액으로 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온성 액체의 함량에 따라 망간 용출량이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이차 전지 112: 음극
113: 세퍼레이터 114: 양극
120: 전지 용기 140: 밀봉 부재

Claims (11)

  1. 양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은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비스(말로나토)보레이트,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리튬 양이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다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셀레노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포스포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타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폴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탈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잘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타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아눌레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암모늄 양이온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 상기 바인더 및 상기 이온성 액체는 상기 양극용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각각 75 내지 95 중량%, 1 내지 20 중량% 및 0.1 내지 15 중량%으로 포함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5. 제1항에서,
    도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재는 상기 양극용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6.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보레이트계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은 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비스(말로나토)보레이트,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 비스(퍼플루오로피나콜라토)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리튬 이차 전지.


  7. 삭제
  8. 제6항에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리튬 양이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트리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옥사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다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소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티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셀레노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포스포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보로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타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푸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륨,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폴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탈라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잘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타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지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자아눌레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스포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암모늄 양이온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리튬 이차 전지.
  9. 제6항에서,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 상기 바인더 및 상기 이온성 액체가 각각 75 내지 95중량%, 1 내지 20중량% 및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리튬 이차 전지.
  10. 제6항에서,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며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산화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11. 제6항에서,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보레이트계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00082516A 2010-08-25 2010-08-25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21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16A KR101212204B1 (ko) 2010-08-25 2010-08-25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3/177,469 US20120052384A1 (en) 2010-08-25 2011-07-06 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 of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positive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16A KR101212204B1 (ko) 2010-08-25 2010-08-25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29A KR20120019229A (ko) 2012-03-06
KR101212204B1 true KR101212204B1 (ko) 2012-12-13

Family

ID=4569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16A KR101212204B1 (ko) 2010-08-25 2010-08-25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52384A1 (ko)
KR (1) KR101212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883A (ko)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2774B2 (en) 2015-02-02 2018-01-30 Ee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uitive home networking
US9736019B2 (en) 2015-05-14 2017-08-15 Eero Inc. Methods for dynamic router configuration in a mesh network
WO2017141975A1 (ja) * 2016-02-15 2017-08-24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sp2型炭素含有組成物、グラフェン量子ドット含有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グラファイトの剥離方法
US9955406B2 (en) 2016-09-27 2018-04-24 Eero Inc. Methods for network configuration sharing
CN106252649A (zh) * 2016-10-11 2016-12-2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正极极片及含有该极片的锂离子电池
CN110828897B (zh) * 2019-11-25 2023-02-28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热应激型防热失控电解液及其在二次电池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9372A1 (en) * 2001-02-28 2002-08-29 Meijie Zhang Use of lithium borate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2002270152A (ja) * 2001-03-09 2002-09-20 Yuasa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2614B (en) * 2003-12-30 2006-09-21 Lg Chemical Ltd Ionic liquid-modified cath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002566B1 (ko) * 2008-07-29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9372A1 (en) * 2001-02-28 2002-08-29 Meijie Zhang Use of lithium borate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2002270152A (ja) * 2001-03-09 2002-09-20 Yuasa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883A (ko)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2384A1 (en) 2012-03-01
KR20120019229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3359B2 (en) Solid electrolyte material including sulfide layer and oxide layer, and battery incorporating the solid electrolyte material
KR101147239B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보호막용 조성물, 상기 양극 보호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4826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23382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난연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2367230B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081482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716951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KR101223628B1 (ko) 리튬 이차 전지
JP6015653B2 (ja) 非水電解液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1212204B1 (ko)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용 조성물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4423277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EP2840639B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0985404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lyte
KR2012010940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EP3346539A1 (en) Electrolyte solution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60032632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20091628A (ko) 리튬 이차 전지
Tang et al. Double-protected layers with solid–liquid hybrid electrolytes for long-cycle-life lithium batteries
KR10100265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22002919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6000466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123137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47947A (ko) 리튬 이차 전지
JP2011034698A (ja) 非水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225893B1 (ko) 높은 안전성을 가진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