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048B1 -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048B1
KR101211048B1 KR1020050088031A KR20050088031A KR101211048B1 KR 101211048 B1 KR101211048 B1 KR 101211048B1 KR 1020050088031 A KR1020050088031 A KR 1020050088031A KR 20050088031 A KR20050088031 A KR 20050088031A KR 101211048 B1 KR101211048 B1 KR 10121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ffusion
diffusion layer
polymer film
fuel cell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518A (ko
Inventor
요시히로 쿠라노
히로키 무레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4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고분자막(2)과 그 양면에 배치되는 다공질의 가스확산층(3)을 갖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1)에 있어서, 가스확산층(3)과 고분자막(2)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몰드분리(離型)시의 응력으로 인한 틈새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기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1)을 제공한다.
수지에 대한 가류(加硫)접착성을 갖는 액상고무를, 고분자막(2)을 끼워 접착시킨 가스확산층(3)에 함침시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액상고무로서는, 예컨대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구성부품{CONSTITUENT PART FOR FUEL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A)는 그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A)는 그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2 : 고분자막
3 : 가스확산층(시일 대상물) 3a : 개스킷 형성부위
4 : 액상고무 경화물 5 : 개스킷
6 : 관통구멍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막과 그 양면에 배치되는 가스확산층 등의 시일 대상물 을 갖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출원인들은 본 출원에 앞서, 고분자막을 끼워 접착시킨 공극부를 갖는 시일 대상물의 공극 부분에 액상고무 시일재료를 사출성형하여 함침시키고, 시일재료를 일체로 성형시킨 적층형 연료전지의 구성부품을 제안한 바 있는데(특허문헌 1 참조), 본 선행기술에 의하면, 성형시의 열에 의해 공극을 갖는 시일 대상물과 고분자막간의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몰드분리(離型)시에 이러한 응력으로 인해 시일 대상물과 고분자막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생김으로써, 기체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허문헌 1] PCT 국제공개공보 WO 02/089240A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행 기술을 개량하여, 시일 대상물과 고분자막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몰드분리시의 응력으로 인한 틈새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기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은,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고분자막과, 상기 고분자막에 겹쳐진 다공질체(多孔質體)로 이루어지는 가스확산층과, 상기 가스확산층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에 함침되어 성형된 액상고무 경화물과, 상기 개스킷 형성부위의 표면상에 접합 또는 성형의 수단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을 구비하며, 상기 액상고무 경화물은,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고분자막에 가류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고분자막에 다공질체(多孔質體)로 이루어지는 가스확산층을 겹치는 공정과, 상기 가스확산층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에 액상고무를 함침시켜 이것을 성형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액상고무의 경화후, 상기 개스킷 형성부위의 표면상에 소정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을 접합 또는 성형의 수단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 실시하며, 상기 액상고무로서,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를 이용함으로써 이것을 상기 고분자막에 가류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액상고무로서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는, (a) 알케닐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및 (b) Si 원자에 직결된 H 원자를 1분자중에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 상기 (a) 성분의 알케닐기에 대해 H 원자(즉, SiH기)가 0.4~5.0이 되는 양으로 이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실제로는 시판되고 있는 제품, 예컨대 신에츠카가쿠의 제품 X-34-1277, X-34-1547, X-34-1427, X-34-1464, X-34-1535 또는 X-34-1534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이것을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취한다면,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액상고무(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를, 고분자막을 끼워 접착시킨 공극을 갖는 시일 대상물(가스확산층)에 함침시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연료전지용 구성부품(1)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용 구성부품(1)은, 고분자막(2), 그 양면에 배치된 가스확산층(GDL; 3,3), 각 가스확산층(3)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고무함침부; 3a)에 함침되어 성형된 액상고무 경화물(4), 및 각 개스킷 형성부위(3a)의 표면상에 배치된 개스킷(5)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적어도 표면에 수지층을 갖는 고분자막(2)의 양면에 각각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가스확산층(3)을 중첩시켜 일체화하고, 그런 다음 각 가스확산층(3)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3a)의 기공률을 저하시켜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스킷 형성부위(3a)에 액상고무를 함침시켜 이것을 성형경화시키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액상고무로서 수지와 가류접착되는 타입을 이용하여 이것을 고분자막(2)에 가류접착시키고, 이로써 가스확산층(3)과 고분자막(2)의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고무로서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가스확산층(3)은, 구체적으로는 카본섬유(纖維), 금속섬유 혹은 무기섬유 등과 같은 섬유형상 물질의 소결체나, 직포(織布) 또는 부직포(不織布) 등으로 이루어진다. 액상고무의 함침 및 성형은 금형으로 수행하며, 액상고무가 신에츠 실리콘제 수지접착성 액상 실리콘 고무일 경우, 그 사출압은 3MPa 정도이고, 성형온도는 120℃ 정도이다. 다음으로, 액상고무의 경화후, 각 개스킷 형성부위(3a)의 표면상에 소정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개스킷(5)을 접합 또는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한다. 개스킷(5)은 연료전지 셀에서 세퍼레이터 등과 밀착접촉되어, 연료 유체(流體) 등을 시일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확산층(3)에 함침되는 액상고무가 고분자막(2)에 가류접착되기 때문에, 가스확산층(3)과 고분자막(2)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몰드분리시에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스확산층(3)과 고분자막(2)의 사이에 틈새가 쉽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라, 염려되는 기체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분자막(2) 및 가스확산층(3)으로 이루어진 일체품에는, 개스킷 형성부위(3a)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6;관통홀부)을 미리 형성해도 좋은데, 이렇게 하면 일체품의 양면이 연통되기 때문에, 양면의 개스킷(5, 5)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를,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가스확산층에 함침시킨 후에 표면에 수지층을 갖는 고분자막에 가류접착하도록 하였으므로, 가스확산층과 고분자막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몰드분리시에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틈새가 쉽게 형성되지 않게 되어, 이에 따라 기체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Claims (2)

  1.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고분자막(2)과, 상기 고분자막(2)에 겹쳐진 다공질체(多孔質體)로 이루어지는 가스확산층(3)과, 상기 가스확산층(3)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3a)에 함침되어 성형된 액상고무 경화물(4)과, 상기 개스킷 형성부위(3a)의 표면상에 접합 또는 성형의 수단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5)을 구비하며,
    상기 액상고무 경화물(4)은,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고분자막(2)에 가류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2. 제 1항에 기재된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고분자막(2)에 다공질체(多孔質體)로 이루어지는 가스확산층(3)을 겹치는 공정과, 상기 가스확산층(3)에서의 개스킷 형성부위(3a)에 액상고무를 함침시켜 이것을 성형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액상고무의 경화후, 상기 개스킷 형성부위(3a)의 표면상에 소정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스킷(5)을 접합 또는 성형의 수단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 실시하며,
    상기 액상고무로서, 수지에 대한 가류접착성을 갖는 부가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를 이용함으로써 이것을 상기 고분자막(2)에 가류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구성부품의 제조방법.
KR1020050088031A 2004-09-28 2005-09-22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KR101211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1266A JP4826702B2 (ja) 2004-09-28 2004-09-28 燃料電池用構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4-00281266 200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518A KR20060051518A (ko) 2006-05-19
KR101211048B1 true KR101211048B1 (ko) 2012-12-12

Family

ID=362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031A KR101211048B1 (ko) 2004-09-28 2005-09-22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26702B2 (ko)
KR (1) KR101211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898B2 (ja) * 2005-03-08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装置
JP5133006B2 (ja) * 2007-08-03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09272168A (ja) * 2008-05-08 2009-11-19 Nok Corp 色素増感型太陽電池
WO2013184122A1 (en) * 2012-06-08 2013-12-1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with molded on se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240A1 (fr) 2001-04-23 2002-11-07 Nok Corporation Pile a combusti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ile a combustib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2448B2 (ja) * 2001-06-20 2010-02-10 Nok株式会社 燃料電池用構成部品
JP2004095565A (ja) * 2003-12-25 2004-03-25 Nok Corp 積層型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240A1 (fr) 2001-04-23 2002-11-07 Nok Corporation Pile a combusti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ile a combust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518A (ko) 2006-05-19
JP4826702B2 (ja) 2011-11-30
JP2006099982A (ja)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5754B2 (ja) シール部品の製造方法及び金型
KR100830272B1 (ko)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EP1223629B1 (en) Gasket for fuel cell and method of forming it
CN102186655B (zh) 一种制作复合材料件的方法及相关装置
KR101558398B1 (ko) 시일부품의 제조방법
KR101211048B1 (ko) 연료전지용 구성부품
JP5533743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US20090008836A1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plastic components
US10115977B2 (en) Method for making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with peripheral seal, and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JP6768822B2 (ja) 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67528B2 (ja) 燃料電池用シール構造体の製造方法
CN106663821B (zh) 板材一体衬垫的制造方法
JP5224035B2 (ja) シール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00042653A (ko) 씰의 제조방법
KR101795898B1 (ko)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시일의 보호
JP5120529B2 (ja) 燃料電池セルシール
CN110573313A (zh) 复合材料的成形方法和复合材料的成形装置
JP2020535989A (ja) コンポジット製造用のフッ素エラストマーに覆われたエラストマー工具
JP2019190604A (ja) Gdl一体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4491B2 (ja) 環状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64147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일체형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가스켓 일체형 막-전극 집합체
JP2002160257A (ja) ガスケットの成形方法
JP4967787B2 (ja) 金属と合成樹脂と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EP2686902B1 (en) Fuel cell plate bonding method and arrangement
JP2001032940A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