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990B1 -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990B1
KR101210990B1 KR1020100107562A KR20100107562A KR101210990B1 KR 101210990 B1 KR101210990 B1 KR 101210990B1 KR 1020100107562 A KR1020100107562 A KR 1020100107562A KR 20100107562 A KR20100107562 A KR 20100107562A KR 101210990 B1 KR101210990 B1 KR 10121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d
detected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776A (ko
Inventor
오일선
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102010010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9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에 설치되는 만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2개의 수위 감지봉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발광 표시하는 LED와,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설정된 위치에서 물을 감지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LED가 표면에 돌출되도록 설치가능한 몸체로 구성된 수위 감지기와;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 감지되면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서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위감지봉에 전압을 가하는 전압공급부와, 상기 통전여부에 따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수위판단부와, 상기 수위판단부에서 물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동작신호를 전송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정지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LED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모터동작신호 또는 모터정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라인가압펌프로 연결되는 송신부로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Water Level Detector using a LED for protecting a pump}
본 발명은 만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에 설치되는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송수관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송수관 내로 유입되는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만수 감지장치는, 인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2개의 수위 감지봉(12)과,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2개의 수위 감지봉(12)을 고정시키는 몸체(16)가 구비된 수위 감지기(10); 및, 2개의 수위 감지봉(12)에 연결되어 물이 감지되면 2개의 수위 감지봉(12)이 서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위 감지봉에 전압을 가하는 전압공급부(22)와, 상기 통전 여부에 따라 물의 감지를 판단하는 수위판단부(24)가 구비된 컨트롤러(20)로 구성되었다. 이 때, 수위 감지기(10)와 컨트롤러(20)는 전선 케이블(30)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종래에는 물이 흐르는 상수도, 하수도관 등에 공기가 유입되면, 송수관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여 그 공기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에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한 송수관에서 자주 일어난다. 그런데, 공기가 유입되면 라인가압펌프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공기유입을 판단하기 위해 만수 감지장치를 통하여 만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공기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인입관 상부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 밸브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만수 감지장치의 수위감지기를 보고 만수상태 및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없어, 직접 인입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송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메인밸브의 핸들을 제어하여 물의 유출입을 통해서 만수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만수 감지장치의 수위감지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송수관의 만수상태 및 만수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위상태 즉, 만수여부를 통해 라인가압펌프의 동작을 제어가능한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에 설치되는 만수 감지장치로서,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2개의 수위 감지봉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발광 표시하는 LED와,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설정된 위치에서 물을 감지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LED가 표면에 돌출되도록 설치가능한 몸체로 구성된 수위 감지기와;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 감지되면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서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위감지봉에 전압을 가하는 전압공급부와, 상기 통전여부에 따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수위판단부와, 상기 수위판단부에서 물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동작신호를 전송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정지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LED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모터동작신호 또는 모터정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라인가압펌프로 연결되는 송신부로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제어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LED는 2색 LED로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제어에 따라 물이 감지되면 제1 발광색으로 표시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발광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만수 감지장치의 수위감지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송수관의 만수상태 및 만수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위상태 즉, 만수여부를 통해 라인가압펌프의 동작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만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만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라인가압펌프(110)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120)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130)에 설치되는 만수 감지장치로서, 크게 수위 감지기(50)와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 감지기(50)는, 인입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120)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130)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2개의 수위 감지봉(52)과, 물의 감지여부를 발광 표시하는 LED(54)와, 인입관(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6a)를 구비하되 2개의 수위 감지봉(52)이 설정된 위치에서 물을 감지하도록 고정시키고 LED(54)가 표면에 돌출되도록 설치가능한 몸체(5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80)는, 수위 감지기(50)의 2개의 수위 감지봉(52)에 연결되어 물이 감지되면 2개의 수위 감지봉(52)이 서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위 감지봉에 전압을 가하는 전압공급부(82)와, 상기 통전 여부에 따라 물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수위판단부(84)와, 수위판단부(84)에서 물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수도 라인가압펌프(110)로 모터동작신호를 전송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수도 라인가압펌프(110)로 모터정지신호를 전송하되,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LED(54)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86)와, 제어부(86)의 모터동작신호 또는 모터정지신호를 송신하도록 라인가압펌프(110)로 연결되는 송신부(88)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80)는 제어부(86)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물의 감지여부를 표시하는 제2 LED(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54)는 제어부(86)의 동작제어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단색의 LED 일 수 있다. 즉, 물이 감지되면 LED(54)가 온 제어되어 발광표시되고,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LED(54)가 오프 제어되어 발광하지 않게 된다.
또는, 상기 LED(54)는 2색 LED로서 제어부(86)의 동작제어에 따라 물이 감지되면 제1 발광색으로 표시되고,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발광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위 감지기(50)와 컨트롤러(80)는 전선 케이블(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로써, 3선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선은 2개의 수위 감지봉에 연결되고, 남은 한 선은 LED(54)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관(130)은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고정된 수평관(132)과, 수평관(132)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배출이 가능한 자동밸브(134)와, 컨트롤러(80)로부터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동밸브(13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변(136)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만수 감지장치의 컨트롤러(80)의 제어부(86)는 수위판단부(84)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변(136)으로 밸브열림 신호를 전송하고, 물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변(136)으로 밸브닫힘 신호를 전송하되,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LED(54)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송신부(88)는 제어부(86)의 개폐제어신호인 밸브열림신호 또는 밸브닫힘신호를 전자변(136)으로 송신가능하도록 전자변(13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수위감지기(50) 및 전압공급부(82)와 수위판단부(84)의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인입관(130)은 수평관(132)의 타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배출이 가능한 수동밸브(1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평관(132) 양측의 자동밸브(134)와 수동밸브(138) 사이에서 수평관(132)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입관(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송수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밸브(145)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만수 감지장치의 수위감지기(50)의 LED(54)를 통해서 송수관의 만수상태 및 만수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위상태 즉, 만수여부를 통해 라인가압펌프의 동작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 내지 도 4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징을 부각시켜 도시한 것으로 비율이나 크기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10, 50 : 수위 감지기 12 : 수위 감지봉
16, 56 : 몸체 20, 80 : 컨트롤러
22, 82 : 전압공급부 24, 84 : 수위판단부
30, 70 : 전선 케이블 54 : LED
56a : 결합부 86 : 제어부
88 : 송신부 110 : 상수도 라인가압펌프
120 : 송수관 130 : 인입관
132 : 수평관 134 : 자동밸브
136 : 전자변 138 : 수동밸브
142 : 압력계 145 : 메인 밸브

Claims (3)

  1. 상수도 라인가압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송수관의 상부에 형성된 인입관에 설치되는 만수 감지장치로서,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 내의 자연압에 의해 인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2개의 수위 감지봉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발광 표시하는 LED와, 상기 인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설정된 위치에서 물을 감지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LED가 표면에 돌출되도록 설치가능한 몸체로 구성된 수위 감지기와;
    상기 2개의 수위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 감지되면 2개의 수위 감지봉이 서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위감지봉에 전압을 가하는 전압공급부와, 상기 통전여부에 따라 상기 물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수위판단부와, 상기 수위판단부에서 물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동작신호를 전송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수도 라인가압펌프로 모터정지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LED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모터동작신호 또는 모터정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라인가압펌프로 연결되는 송신부로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LED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제어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며,
    상기 LED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제어에 따라 물이 감지되면 제1 발광색으로 표시하고,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발광색으로 표시하는 2색 LED이고,
    상기 인입관은 상기 인입관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고정된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배출이 가능한 자동밸브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변과, 상기 수평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배출이 가능한 수동밸브와, 상기 자동밸브와 상기 수동밸브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관은 상기 송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107562A 2010-11-01 2010-11-01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KR10121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62A KR101210990B1 (ko) 2010-11-01 2010-11-01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62A KR101210990B1 (ko) 2010-11-01 2010-11-01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76A KR20120045776A (ko) 2012-05-09
KR101210990B1 true KR101210990B1 (ko) 2012-12-11

Family

ID=4626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562A KR101210990B1 (ko) 2010-11-01 2010-11-01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44Y1 (ko) 2014-06-11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거주구의 엘리베이터 배수관의 물 마름 방지를 위한 자동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44Y1 (ko) 2014-06-11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거주구의 엘리베이터 배수관의 물 마름 방지를 위한 자동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76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75B1 (ko) 상하수도 관로의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KR200462991Y1 (ko)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US7921732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valve associated to a gas meter
JP2009529700A5 (ko)
KR101210990B1 (ko)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KR100740274B1 (ko) 만수감지기
KR10147295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200453850Y1 (ko) 수질 관리 센서 내장형 수도미터기
KR101389357B1 (ko) 차량의 브레이크액 측정 및 교환장치
KR20170117251A (ko) 이동식 수도미터 성능 검사장치
KR20110038862A (ko)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JP5475076B2 (ja) 水位変化検出機能付残留塩素計
KR100774500B1 (ko) 가정용 누수감지기
KR102325841B1 (ko)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KR101391131B1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KR101680741B1 (ko) 온수 공급 제어장치
US9410865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eak tightness of a tank
CN205373979U (zh) 一种水气切换检测的测漏工装及设备
RU26768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работы дозатора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й добавки в главную жидкость и дозатор,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0918799B1 (ko) 수밀시험장치
KR20130091859A (ko) 동파방지 수도계량기
RU2439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екущего контроля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и/или аэрации
KR101438180B1 (ko) 공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 부스터 펌프장치
JP3548950B2 (ja) 燃料漏れ検出機能を有する燃料供給システム
KR101643311B1 (ko) 상수도 누수 탐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