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897B1 -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0897B1 KR101210897B1 KR1020100026205A KR20100026205A KR101210897B1 KR 101210897 B1 KR101210897 B1 KR 101210897B1 KR 1020100026205 A KR1020100026205 A KR 1020100026205A KR 20100026205 A KR20100026205 A KR 20100026205A KR 101210897 B1 KR101210897 B1 KR 101210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guide block
- sub
- spring
- switch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자석체를 갖는 누름 스위치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의 유동에 따라 상기 자석체가 근접되면, 엔진 스타트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름 동작시의 유동되는 누름 스위치 부재의 가이드 블럭과 케이스의 내벽사이에서 구를 수 있는 구름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가이드 블럭의 상하로의 유동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케이스의 일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리드 스위치 부를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 시에 리드 스위치 부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 동작에 의하여 탄성 유동됨과 아울러, 누름 동작시의 유동을 구름 안내하여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자석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엔진 스타트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리드 스위치를 갖는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키박스를 이용하지 않고 버튼타입으로 전원을 공급제어하는 버튼 시동 시스템인 버튼식 시동 장치를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버튼 시동 시스템은 운전석 근방에 버튼 스위치 모듈로 설치된다.
대한 민국 등록 특허 10-0836694호에는 푸시 리턴(push return) 타입의 접점을 갖는 시동버튼(20)을 누르는 경우에 버튼시동 제어모듈(10)에 의해 전원 이동하거나 엔진 시동하는 시동 로직을 갖는 버튼 시동 시스템의 버튼에 있어서,
운전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20) 외부로 각각 나란하게 돌출된 스타트/스톱 버튼(22a) 및 ACC/IGN 버튼(22b)과; 상기 버튼시동 제어모듈(10)에 각각 연결되는 스타트/스톱 접점(26a) 및 ACC/IGN 접점(26b)과; 상기 시동버튼(20)의 내부에 상기 스타트/스톱 버튼(22a)과 ACC/IGN 버튼(22b)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버튼시동 제어모듈(10)에 연결된 B+ 접점(26c)과 공통으로 연결되어, 스타트/스톱 버튼(22a)과 ACC/IGN 버튼(22b)의 누름 작동에 따라 스타트/스톱 접점(26a)과 ACC/IGN 접점(26b)에 붙거나 떨어져 ON/OFF되는 스타트/스톱 스위치(24a) 및 ACC/IGN 스위치(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시동 시스템의 버튼 구조가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접점들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구조적 시스템은 다수의 시동 동작으로 인하여 물리적으로 스위치가 변형되어 정상적으로 접점이 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엔진 스타트 동작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누름 버튼 스위치를 유지 보수하고자하는 경우에, 물리적 접점들로 인한 다수의 구성품들간의 복잡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조립 및 분해가 상당히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동작에 의하여 탄성 유동됨과 아울러, 누름 동작시의 유동을 구름 안내하여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자석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엔진 스타트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리드 스위치를 갖는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일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리드 스위치 부를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 시에 리드 스위치 부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자석체를 갖는 누름 스위치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의 유동에 따라 상기 자석체가 근접되면, 엔진 스타트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는, 저면에 원판을 갖고 외주가 원의 테두리를 이루는 누름부 몸체와, 일정 폭과 길이를 이루고 상기 원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자석체가 설치되는 가이드 블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누름부 몸체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이 위치되는 서브 케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럭의 하단에는 제 1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 1스프링 고정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서브 케이스의 단부 내측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의 탄성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럭의 일측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의 내벽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프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스프링 설치홈에는 보조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의 내벽에 접촉되어 구를 수 있는 구름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드 스위치 부는, 상기 가이드 블럭에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체의 근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엔진 스타트 신호로서 발생하는 기판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케이스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서로 후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 몸체의 상단에는 돔 형상의 버튼체가 더 설치되며, 상기 버튼체의 외주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기 끼움홀이 형성되는 결합 리브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커버링이 설치되되, 상기 메인 케이스의 상단에는 외주에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결합 링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의 내주에는 상기 스크류 나사산과 결합되는 다른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링은 상기 결합 링과 스크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누름 동작에 의하여 탄성 유동되도록 하여 원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고, 누름 동작시의 유동되는 누름 스위치 부재의 가이드 블럭과 케이스의 내벽사이에서 구를 수 있는 구름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가이드 블럭의 상하로의 유동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리드 스위치 부를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 시에 리드 스위치 부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누름 스위치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누름 스위치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은 크게,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하로 유동되며 자석체(230)를 갖는 누름 스위치 부재(200)와,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자석체(230)가 근접되면 외부로 엔진 스타트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 부(400)로 구성된다.
이어, 상기의 구성들과 이들 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메인 케이스(110)와 메인 케이스(110)와 연결되는 서브 케이스(1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케이스(110)는 원통 또는 링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결합 링(1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111)의 외주에는 스크류 나사산(S1)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케이스(120)는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서브 케이스(120)는 일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케이스(120)는 정면 상에서 보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서브 케이스(120)는 상기 원판(21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누름 스위치 부재(200)는 상기 메인 케이스(110)에 배치되는 누름부 몸체(210)와,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가이드 블럭(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 몸체(210)는 그 저면에 원판(211)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들(210a)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럭(220)은 상기 원판(211)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바람직하게는 케이스(100)의 내측부)의 중앙부에는 자석체(230)가 설치된다. 상기 자석체(230)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에 접착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설치홈(미도시)을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에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에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타측부(바람직하게는 케이스(100)의 외측부)의 중앙부에는 제 2스프링 고정홈(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스프링 고정홈(222)의 형성 방향은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프링 고정홈(222)에는 보조 스프링(25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프링 고정홈(222)의 외측에서의 보조 스프링(250) 단부에는 구름 베어링(2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름 베어링(260)은 상기 보조 스프링(250)의 단부와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유동을 구르면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유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름 베어링(260)은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구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경우에, 가이드 블럭(220)은 상기 구름 베어링(260)의 구름 동작에 의하여 유동의 용이성 및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끝단에는 제 1스프링 고정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스프링 고정홈(221)에는 탄성 스프링(300)의 일단이 지지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300)의 타단은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타단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상기 가이드 블럭(220)이 유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 블럭(2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누름 스위치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유동됨과 아울러, 일측이 케이스(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눌려지는 누름부 몸체(210)를 제외한 가이드 블럭(220)은 서브 케이스(120)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서브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위치)에는 리드 스위치부(4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 부(400)는 케이스(100)와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에는 자석체(230)의 근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420)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4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단부에는 상기 리드 스위치(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드 스위치(42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외부로 엔진 스타트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기판(4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외측에는 커버 플레이트(440)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는 서브 케이스(120)의 단부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의 단부 양측에는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441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들(4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단부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리브(441)에 형성되는 끼움홈(441a)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는 상기 서브 케이스(1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상단에는 돔 형상의 버튼체(240)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체(240)의 외주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210a)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기 끼움홀(241a)이 형성되는 결합 리브들(2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커버링(5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외주에 스크류 나사산(S1)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결합 링(1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500)의 내주에는 상기 스크류 나사산(S1)과 결합되는 다른 스크류 나사산(S2)이 형성됨을 통하여, 상기 커버링(500)은 상기 결합 링(111)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버튼체(240)를 누르면, 누름에 의한 외력으로 인하여 누름부 몸체(210) 및 가이드 블럭(220)은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블럭(220)과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 베어링(260)은 상기 유동의 안정성 및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름 베어링(260)은 가이드 블럭(220)에 설치된 보조 스프링(25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가이드 블럭(220)은 유동된 이후에 원위치로 항상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블럭(220)이 유동되면, 탄성 스프링(300)은 그 단부와 서브 케이스(120)의 단부 내측벽을 서로 탄성 지지하면서 압축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복원 탄성력을 갖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가이드 블럭(220)에 설치된 자석체(230)는 고정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420)에 근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20)는 상기 저석체(230)의 근접에 따라 자장이 변화되고 이를 감지하여 기판(430)을 통하여 외부로 엔진 스타트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눌려진 가이드 블럭(220)은 압축된 탄성 스프링(300)의 복귀 탄성력으로 인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22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유동에 있어서 역시 구름 베어링(260)은 가이드 블럭(220)을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을 따라 구름 유동시킴으로서 안정적인 유동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메인 케이스
111 : 결합 링 120 : 서브 케이스
200 : 누름 스위치 부재 210 : 누름부 몸체
220 : 가이드 부재 230 : 자석체
240 : 버튼체 250 : 보조 스프링
260 : 구름 베어링 300 : 탄성 스프링
400 : 리드 스위치 부 410 : 고정 플레이트
420 : 리드 스위치 430 : 기판
440 : 커버 플레이트 500 : 커버링
111 : 결합 링 120 : 서브 케이스
200 : 누름 스위치 부재 210 : 누름부 몸체
220 : 가이드 부재 230 : 자석체
240 : 버튼체 250 : 보조 스프링
260 : 구름 베어링 300 : 탄성 스프링
400 : 리드 스위치 부 410 : 고정 플레이트
420 : 리드 스위치 430 : 기판
440 : 커버 플레이트 500 : 커버링
Claims (7)
-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자석체(230)를 갖는 누름 스위치 부재(2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자석체(230)가 근접되면, 엔진 스타트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는 저면에 원판(211)을 갖고 외주가 원의 테두리를 이루는 누름부 몸체(210)와, 일정 폭과 길이를 이루고 상기 원판(211)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자석체(230)가 설치되는 가이드 블럭(22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누름부 몸체(210)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메인 케이스(110)와, 상기 메인 케이스(110)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220)이 위치되는 서브 케이스(12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벽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프링 설치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스프링 설치홈(222)에는 보조 스프링(25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250)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벽에 접촉되어 구를 수 있는 구름 베어링(260)이 배치되고,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내측벽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유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름 베어링(260)은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구르도록 이루며,
상기 가이드 블럭(220)의 하단에는 제 1스프링 고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제 1스프링 고정홈(221)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스프링(300)의 타단은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단부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상기 누름 스위치 부재(200)의 탄성 유동을 안내하도록 이루고,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상단에는 돔 형상의 버튼체(240)가 설치되고, 상기 버튼체(240)의 외주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외주에 형성되는 돌기(210a)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기 끼움홀(241a)이 형성되는 결합 리브들(241)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부 몸체(21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커버링(500)이 설치되되,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외주에 스크류 나사산(S1)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결합 링(1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500)의 내주에는 상기 스크류 나사산(S1)과 결합되는 다른 스크류 나사산(S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링(500)은 상기 결합 링(111)과 스크류 결합되도록 이루고,
상기 리드 스위치부(400)는 상기 가이드 블럭(220)에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체(230)의 근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리드 스위치(420)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42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엔진 스타트 신호로서 발생하는 기판(430)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케이스(120)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440)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의 단부 양측에는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441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들(441)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케이스(120)의 단부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리브(441)에 형성되는 끼움홈(441a)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케이스(12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40)는 서로 후크 결합되도록 이루며,
상기 자석체(23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에 접착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홈을 가이드 블럭(220)의 일측부에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에 끼워 설치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6205A KR101210897B1 (ko) | 2010-03-24 | 2010-03-24 |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6205A KR101210897B1 (ko) | 2010-03-24 | 2010-03-24 |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7050A KR20110107050A (ko) | 2011-09-30 |
KR101210897B1 true KR101210897B1 (ko) | 2012-12-11 |
Family
ID=455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6205A KR101210897B1 (ko) | 2010-03-24 | 2010-03-24 |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089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21279A (ja) * | 2007-11-13 | 2009-06-04 | Tokai Rika Co Ltd | エンジン始動停止スイッチ装置 |
JP2010048105A (ja) * | 2008-08-19 | 2010-03-04 | Tokai Rika Co Ltd | 電源状態切換装置 |
-
2010
- 2010-03-24 KR KR1020100026205A patent/KR101210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21279A (ja) * | 2007-11-13 | 2009-06-04 | Tokai Rika Co Ltd | エンジン始動停止スイッチ装置 |
JP2010048105A (ja) * | 2008-08-19 | 2010-03-04 | Tokai Rika Co Ltd | 電源状態切換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7050A (ko) | 2011-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88432A1 (en) | Contact device | |
JP2006120397A (ja)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
WO2005039943A1 (ja) | バックル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装置 | |
KR101598421B1 (ko) | 전자접촉기 | |
KR20140110731A (ko) | 스위치 | |
JP2015079741A (ja) | 電磁接触器 | |
JP2015095461A (ja) | 電磁接触器 | |
US8390275B2 (en) | Component including magnets for input operation | |
KR101210897B1 (ko) | 엔진 스타트용 스위치 모듈 | |
JP2008091217A (ja) | 照光スイッチユニット | |
US6919520B2 (en) | Stoplight switch and mounting method | |
KR101810213B1 (ko) | 일체형 다중 스위치 | |
US20100236912A1 (en) | Snap action switch with a non-metal interchangeable spring | |
JP2015153683A (ja) | 防水防塵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6232454A (ja) | エレベータの押釦装置 | |
JP3212543U (ja) | マウス | |
JP2007157737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342437A (ja) | 車両用プッシュスイッチ | |
US8657206B2 (en) | Terminal box for centrifugal switch of motor | |
CN209374323U (zh) | 一种带防水功能的按压式开关 | |
KR200492832Y1 (ko) | 중장비 조작 레버용 스위치 | |
JP2011113817A (ja) | 防塵ロッカースイッチ | |
CN108216105B (zh) | 车辆的安全气囊模块 | |
ATE386332T1 (de) | Bedienungsmodul für ein kraftfahrzeug | |
JP2017112262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