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81B1 - 수액백용 안전캡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81B1
KR101210281B1 KR1020100081818A KR20100081818A KR101210281B1 KR 101210281 B1 KR101210281 B1 KR 101210281B1 KR 1020100081818 A KR1020100081818 A KR 1020100081818A KR 20100081818 A KR20100081818 A KR 20100081818A KR 101210281 B1 KR101210281 B1 KR 10121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ubber stopper
cover
safety cap
insertion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958A (ko
Inventor
김동신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종대
김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종대, 김동신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의 포트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이를 구비한 안전캡 및 수액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보다 두께가 얇아 도입침으로 천공하기 용이하고, 도입침으로 뚫을 때 고무파편이 생기지 않으며, 도입침을 밀어넣는 삽입도관이 도입침의 외면 쪽으로 수축하여 빈틈없이 밀착됨에 따라 도입침이 삽입도관으로부터 빠지지 않음은 물론 수액 누출도 방지되는, 수액백용 고무마개와 수액백용 안전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액백용 안전캡{A safety cap for an infusion bag}
본 발명은 수액백의 포트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이를 구비한 안전캡 및 수액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보다 두께가 얇아 도입침으로 천공하기 용이하고, 도입침으로 뚫을 때 고무파편이 생기지 않으며, 도입침을 밀어넣는 삽입도관이 도입침의 외면 쪽으로 수축하여 빈틈없이 밀착됨에 따라 도입침이 삽입도관으로부터 빠지지 않음은 물론 수액 누출도 방지되는, 수액백용 고무마개와 수액백용 안전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Non-PVC소재로 만들어지는 수액백에는, 의사가 처방한 특정 약물을 수액백 안에 주입할 때 주사기 바늘을 찔러넣는 인젝션포트(Injection port)와, 수액백 안의 주사액(예컨대, 5% 포도당액이나 생리식염수 또는 의사가 처방한 특정 약물이 혼합된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하고자 할 때 수액세트의 도입침(spike)을 찔러넣는 인퓨젼포트(Infusion port)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포트는 수액백 속의 수액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입구부분이 고무마개로 밀봉되어 있으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캡이나 알루미늄 캡이 고무마개 위에 덧씌워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마개는 두께가 두꺼워, 도입침을 고무마개에 찔러넣을 때 힘이 많이 들뿐 아니라, 도입침이 고무마개를 뚫고 들어갈 때 고무마개로부터 고무파편이 떨어져 나와 수액에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입침을 찔러넣을 때 힘이 적게 들고, 고무파편이 떨어져 나오는 일이 없으며, 도입침이 쉽게 빠지지 않음은 물론 수액 누출이 방지되는, 개선된 구조의 수액백용 고무마개와 수액백용 안전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첨부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지겠지만, 상술한 과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고무마개 는, 수액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고무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며 수액백 밖으로 수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수액백용 고무마개로서, 도입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를 가진 삽입도관 과, 삽입도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과, 진입통로를 가로막도록 삽입도관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에 의해 파열되는 차단막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도관은 상기 삽입도관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굵기가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림의 하면과 상기 삽입도관의 외면(外面)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 은, 상기 구성의 고무마개와,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커버 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판의 이면(裏面)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과, 외측벽보다 낮은 높이로 관통구멍의 둘레를 따라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과,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격벽과,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액백용 안전캡은, 커버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덮어주기 위한 이지필 필름을 더 포함하며, 고무마개의 림은 커버의 격벽과 내측벽 사이에 형성된 환형홈 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 은, 상기 구성의 고무마개와,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커버 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 및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판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과, 외측벽보다 낮은 높이로 관통구멍의 둘레를 따라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과,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걸림구멍에 고무마개의 림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무마개와 상기 커버는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 은, 상기 구성의 고무마개와, 상기 제1 관점에 따른 커버와, 커버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플랩으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플랩 은, 커버의 관통구멍을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이면에 돌출시킨 폐쇄림과, 상기 관통구멍을 개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둘레 일측에 돌출시킨 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은,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외측벽의 일측과 플랩의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 은, 상기 구성의 고무마개와, 상기 제2 관점에 따른 커버와, 커버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플랩으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커버의 걸림구멍에 상기 고무마개의 림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무마개와 커버가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랩의 외측 둘레를 따라 폐쇄림과 엇비슷한 높이의 먼지유입방지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수액백 은,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Non-PVC소재로 만든 수액저장용기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젝션포트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퓨젼포트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수액이 수액저장용기의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인퓨젼포트의 입구부분에 결합되는 상기 구성의 수액백용 안전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수액백 은,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Non-PVC소재로 만든 수액저장용기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젝션포트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퓨젼포트와, 인퓨젼포트의 입구부분에 장착되어 일체화되는 연결포트와, 수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수액이 수액저장용기의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연결포트의 입구부분에 결합되는 상기 구성의 수액백용 안전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무마개와 이를 구비한 안전캡 및 수액백에 따르면, 수액 누출을 방지하는 차단막의 두께가 얇아 도입침을 사용하여 천공하기가 쉽고, 도입침으로 차단막을 뚫을 때 고무파편이 생기지 않으며, 진입통로가 형성된 삽입도관이 신축 가능하므로 차단막을 관통해 들어온 도입침이 삽입도관으로부터 빠지지 않음은 물론, 수액 누출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무마개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무마개의 종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분해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포트에 결합하기 전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포트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별도로 마련된 연결포트를 통해 인퓨젼포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수액백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연결포트의 입구부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수액백의 사시도로서, 연결포트가 인퓨젼포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수액백용 고무마개와 이를 포함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및 수액백의 각 실시예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고무마개의 구성
첨부도면 중, 도 1a와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무마개의 사시도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액백용 고무마개(410)는, 수액세트의 도입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입침의 바깥지름과 거의 같은 안지름을 갖는 진입통로(415)가 형성된 삽입도관(411)과,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예컨대,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림(413)과, 진입통로(415)의 한쪽 끝을 가로막도록 삽입도관(411)의 타측 단부(예컨대,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이 밀고 들어올 때 파열되는 차단막(4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도관(411)은 차단막(412)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부가 포트(인젝션포트나 인퓨젼포트 또는 연결포트)의 입구부분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림(413)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타측 단부로 갈수록 굵기가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림(415)의 하면(下面)과 삽입도관(411)의 외면(外面)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414)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마개(410)의 소재로는, 수액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고무가 사용되며, 이러한 고무를 사출성형하여 원하는 형태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홈(414)은, 고무마개(410)가 포트의 입구부분에 어떤 형태로 고정되느냐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진다. 예컨대, 포트의 입구부분 안으로 림(413)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형태라면, 이 홈(414)은 림(413)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포트의 입구부분의 단부측에 림(413)이 걸려서 고정되는 형태라면, 이 홈(414)은 포트의 입구부분의 단부측에 구비된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결합요소로서의 역할을 행한다. 여기서 포트의 입구부분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포트의 입구부분 안으로 삽입도관(411)을 삽입하기가 용이함은 물론, 도입침을 진입통로(415) 안으로 진입시킬 때, 예컨대, 도입침의 바깥지름이 진입통로(415)의 안지름보다 약간 큰 경우에도 진입통로(415)의 내부가 도입침의 바깥지름에 대응하여 넓혀지게 되므로 도입침의 삽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안전캡의 구성 및 작용
(실시예 1)
도 2a~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의 분해 사시도와, 상기 안전캡이 분해된 상태의 종단면도와, 상기 안전캡이 포트(인젝션포트나 인퓨젼포트 또는 연결포트)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종단면도와, 상기 안전캡이 포트에 결합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용 안전캡(400)은, 상기 구성의 고무마개(410)와, 고무마개(410)가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트의 입구부분에 덧씌우는 커버(420)와, 커버(420)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플랩(430)과, 커버(420)와 플랩(430)을 연결하는 힌지(4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420)와 플랩(430)과 힌지(440)는, 합성수지(플라스틱)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치수와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420)는, 수액세트의 도입침(6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구멍(421)이 중앙부분에 천공된 상판과,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판의 이면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423)과, 외측벽(423)보다 낮은 높이로 관통구멍(421)의 둘레를 따라 상판의 이면측에 돌출시킨 내측벽(426)과, 상기 외측벽(423)과 내측벽(426)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판의 이면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격벽(422)과, 외측벽(423)의 내면(內面)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4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격벽(422)과 내측벽(426) 사이에는 환형홈(427)이 형성되고, 격벽(422)과 외측벽(423) 사이에는 환형공간(424)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 상기 플랩(430)은, 커버(420)의 관통구멍(421)을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421)의 안지름보다 약간 큰 바깥지름을 갖는 형태로 플랩(430)의 이면의 중앙에 돌출시킨 원형의 폐쇄림(431)과, 관통구멍(421)을 개방할 때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플랩(430)의 둘레 일측에 돌출시킨 팁(4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440)는 한쪽 끝 부분이 커버(420)의 외측벽(423)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이 플랩(4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무마개(410)의 림(413) 상단부가 커버(420)의 환형홈(427)에 끼워지거나, 환형홈(427)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상기 커버(420)와 고무마개(410)의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다(도 2b 및 도 2c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캡(400)은, 도 2c와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부분이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인퓨젼포트(300)나 연결포트(5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Non-PVC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얻어지는 인퓨젼포트(300)나 연결포트(500)는, 상술한 구성의 안전캡(400)이 포트의 입구부분에 결합된 이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420)의 환형공간(424)에 일부분(상단부분)이 끼워져서 고정됨과 동시에, 고무마개(410)의 림(413) 하단을 지지하는 접속부(CP)가 입구부분에 구비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CP)의 외면측의 상단부분에는 상기 커버(420)의 외측벽(42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425)에 결합되는 측면돌기(SP)가 돌출되어 있고, 고무마개(410)의 림(413) 하단이 지지되는 상기 접속부(CP)의 내측 바닥면에는 고정돌기(FP)가 돌출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FP)는, 고무마개(410)의 림(413) 하면과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홈(414)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인퓨젼포트(300)나 연결포트(500)의 입구부분에 안전캡(400)이 결합되면, 안전캡(400)의 커버(420)와 포트의 입구부분에 형성된 접속부(CP) 사이에 고무마개(410)가 끼인 상태로 긴밀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고무마개(410)의 삽입도관(411) 안으로 도입침(600)을 진입시켰을 때, 고무마개(410)가 도입침(600)의 진입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일이 없고, 또한, 차단막(412)이 비교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더 적은 힘에 의해서도 차단막(412)이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캡(400a)을 나타낸 평면도와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실시예 1의 안전캡(400)과 달리, 고무마개(410a)와 커버(420a)가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화되고, 또한, 커버(420a)의 관통구멍(421)을 막을 수 있는 폐쇄림(431)이 구비된 플랩(4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폐쇄림(431)과 엇비슷한 높이의 먼지유입방지벽(43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캡(400a)은 커버(420a)의 상판 중앙부분에 천공된 관통구멍(421) 주위로, 4개의 걸림구멍(428)이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인체에 무해한 고무소재가 걸림구멍(428)을 통해 이중 사출됨으로써, 고무마개(410a)의 림(413a) 상단부가 걸림구멍(428)에 끼워진 형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케이스나 칫솔 손잡이 등의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이중 사출(투 톤 사출) 방식은, 조립과정에서의 부품 오염을 줄임과 동시에,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전캡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실시예 1의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임으로써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 고무마개(410)와, 고무마개(410)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트의 입구부분에 덧씌우는 커버(420)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고무마개(410)와 커버(420)는 그 구성이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은, 커버(420)의 상판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을 덮어주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실시예 1의 플랩(430) 대신, 이지필 필름(700)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변형예)
그 밖의 변형예로서, 예컨대, 실시예 2의 안전캡에 적용된 이중 사출 방식이 실시예 3의 안전캡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의 안전캡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커버(420)와 플랩(430)을 연결하는 힌지(440)는 없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커버(420)와 플랩(430)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액백의 구성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액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수액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Non-PVC소재로 만든 수액저장용기(100)와, 수액저장용기(100)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도록 수액저장용기(100)의 일측 변부에 설치된 인젝션포트(200)와, 수액저장용기(100)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인젝션포트(2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일측 변부에 설치된 인퓨젼포트(300)와, 인퓨젼포트(300)의 입구부분에 장착되어 일체화된 연결포트(500)와, 연결포트(500)의 입구부분에 결합된 제1실시예의 안전캡(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퓨젼포트(300)와 인젝션포트(200)는 형상이 동일하다.
인퓨젼포트(300)의 입구부분에 일단부가 끼워져 있는 연결포트(500)는, 그 연결부위에 열이나 초음파가 가해짐으로써, 견고하게 장착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액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인퓨젼포트를 통하지 않고, 실시예 1의 연결포트(500)가 수액저장용기(100)의 일측 변부(상변)에 직접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변형예)
실시예 1 및 2의 수액백에서는, 실시예 1의 안전캡(400)이 사용되었지만, 이와는 다른 유형의 안전캡(예컨대, 실시예 2와 실시예 3과 변형예의 안전캡)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실시예 1과 2의 수액백은, 인젝션포트(200)와 인퓨젼포트(300) 이외의 다른 포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100...수액저장용기(container)
200...인젝션포트(Injection port)
300...인퓨젼포트(infusion port)
400,400a...안전캡(safety cap)
410,410a...고무마개(rubber plug)
411...삽입도관(inserting conduit)
412...차단막(stopping)
413,413a...림(rim)
414...홈(groove)
415...진입통로(entrance passage)
420,420a...커버(cover)
421...관통구멍(penetrating hole)
422...격벽(partition)
423...외측벽(outside wall)
424...환형공간(annular space)
425...걸림홈(recess)
426...내측벽(inside wall)
427...환형홈(annular groove)
428...걸림구멍(engaging hole)
430...플랩(flap)
431...폐쇄림(closing rim)
432...팁(tip)
433...먼지유입방지벽(dust protection enclosure)
440...힌지(hinge)
500...연결포트(connecting port)
600...도입침(spike)
700...이지필 필름(easy peel film)
CP...접속부(connecting portion)
FP...고정돌기(fixing protrusion)
SP...측면돌기(side protrusion)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수액백의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고무마개는,
    도입침이 삽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415)를 가진 삽입도관(411)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림과, 상기 진입통로(415)를 가로막도록 상기 삽입도관(411)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에 의해 파열되는 차단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裏面)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423)과, 상기 외측벽(42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구멍(4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426)과, 상기 외측벽(423)과 상기 내측벽(426)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격벽(422)과, 상기 외측벽(423)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무마개의 림은, 상기 커버의 격벽(422)과 내측벽(426)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홈(427) 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용 안전캡은, 상기 커버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을 덮어주기 위한 이지필 필름(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삽입도관(411)은,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림의 하면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41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5. 수액백의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고무마개는,
    도입침이 삽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415)를 가진 삽입도관(411)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림과, 상기 진입통로(415)를 가로막도록 상기 삽입도관(411)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에 의해 파열되는 차단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421) 및 상기 관통구멍(421)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구멍(428)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423)과, 상기 외측벽(42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구멍(4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426)과, 상기 외측벽(423)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걸림구멍(428)에 상기 고무마개의 림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무마개와 상기 커버는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용 안전캡은, 상기 커버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을 덮어주기 위한 이지필 필름(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삽입도관(411)은,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림의 하면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41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7. 수액백의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플랩(430)으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고무마개는,
    도입침이 삽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415)를 가진 삽입도관(411)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림과, 상기 진입통로(415)를 가로막도록 상기 삽입도관(411)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에 의해 파열되는 차단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裏面)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423)과, 상기 외측벽(42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구멍(4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426)과, 상기 외측벽(423)과 상기 내측벽(426)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격벽(422)과, 상기 외측벽(423)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랩(430)은,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421)을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이면(裏面)에 돌출시킨 폐쇄림(431)과,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421)을 개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둘레 일측에 돌출시킨 팁(4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마개의 림은, 상기 커버의 격벽(422)과 내측벽(426)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홈(427) 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용 안전캡은, 상기 커버의 외측벽(423)의 일측과 상기 플랩(430)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삽입도관(411)은,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림의 하면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41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9. 수액백의 포트의 입구부분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의 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고무마개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마개 위에 덧씌우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플랩(430)으로 이루어진 수액백용 안전캡으로서,
    상기 고무마개는,
    도입침이 삽입될 수 있는 진입통로(415)를 가진 삽입도관(411)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림과, 상기 진입통로(415)를 가로막도록 상기 삽입도관(411)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입침에 의해 파열되는 차단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도입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421) 및 상기 관통구멍(421)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구멍(428)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423)과, 상기 외측벽(42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구멍(4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426)과, 상기 외측벽(423)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425)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랩(430)은,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421)을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이면(裏面)에 돌출시킨 폐쇄림(431)과,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421)을 개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둘레 일측에 돌출시킨 팁(4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걸림구멍(428)에 상기 고무마개의 림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무마개와 상기 커버는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용 안전캡은, 상기 커버의 외측벽(423)의 일측과 상기 플랩(430)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삽입도관(411)은, 상기 삽입도관(411)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림의 하면과 상기 삽입도관(411)의 외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홈(41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430)은,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폐쇄림(431)과 같은 높이의 먼지유입방지벽(43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안전캡.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81818A 2010-08-24 2010-08-24 수액백용 안전캡 KR10121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18A KR101210281B1 (ko) 2010-08-24 2010-08-24 수액백용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18A KR101210281B1 (ko) 2010-08-24 2010-08-24 수액백용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58A KR20120021958A (ko) 2012-03-09
KR101210281B1 true KR101210281B1 (ko) 2012-12-07

Family

ID=4613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818A KR101210281B1 (ko) 2010-08-24 2010-08-24 수액백용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2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84Y1 (ko) 2008-01-11 2008-05-23 주식회사 메디펙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용 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84Y1 (ko) 2008-01-11 2008-05-23 주식회사 메디펙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용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58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1911B (zh) 盖组件及制造方法
EP2739342B1 (en) Needle free connector with a collapsible resilient membrane fitting and corresponding method
US8034041B2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AU2005322136B2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EA009498B1 (ru) Колпачок для заполненных медицинскими жидкостями емкостей
EP2136862A1 (en) Storage container
EP2266646B1 (en) Tight-sealing cap for liquid drug-expelling part
CN105025863B (zh) 储存或输注瓶
KR101210281B1 (ko) 수액백용 안전캡
US20130174937A1 (en) Puncture Free Bottle Cork and the Application Thereof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2403142B1 (ko) 수액 백용 포트
CN203564541U (zh) 一种组合盖及包括该组合盖的输液容器
JP4479201B2 (ja) 医療容器用キャップ
CN104042444A (zh) 医用药塞
JP2007302333A (ja) 液体収納容器
JPH0415219Y2 (ko)
KR101362821B1 (ko) 스파이크 삽입홀이 형성된 마개를 갖는 수액 용기
CN203564544U (zh) 一种组合盖及包括该组合盖的输液容器
JP6731143B2 (ja) プライミング用キャップ
KR20060118163A (ko) 수액백 및 수액세트의 연결구조물
JP2001129055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KR101875518B1 (ko) 개방이 용이한 플라스틱 백
CN204092581U (zh) 医用药塞
CN205814689U (zh) 一种易折式组合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