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949B1 - 에어 발전형 랜턴 - Google Patents

에어 발전형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949B1
KR101209949B1 KR1020080042130A KR20080042130A KR101209949B1 KR 101209949 B1 KR101209949 B1 KR 101209949B1 KR 1020080042130 A KR1020080042130 A KR 1020080042130A KR 20080042130 A KR20080042130 A KR 20080042130A KR 101209949 B1 KR101209949 B1 KR 10120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ntern
generator
cas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280A (ko
Inventor
윤원준
허병동
김동민
이강국
백재진
최민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94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발전형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랜턴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은 임펠러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전원 스위치를 통해 램프에 공급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로 구성하되, 상기 랜턴 케이스의 후면 일측부에는 임펠러를 통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랜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해 주기 위한 에어 배출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체 블록 내부나 어두운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막의 품질을 위해 충전이나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도막과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도장 작업 중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이 랜턴의 투명 유리 측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 효율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어떤 요인으로 인해 에어의 공급이 차단되어 발전기의 구동이 차단되더라도 예비용으로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랜턴을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도장 작업 등에 어떠한 지장도 주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에어, 발전기, 임펠러, 에어 커튼, 노즐, 충전용 배터리

Description

에어 발전형 랜턴{Air Supplied Lantern with generator using air}
본 발명은 에어 발전형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작동시켜 랜턴을 구동시키는 방식을 통해 선체 블록 내부나 어두운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도막의 품질을 위해 충전이나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도막과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 효율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 중 선체 블록 내부와 같은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시야 확보와 안전을 위해 랜턴이 필요하며, 보통의 경우 핸드 캐리형 랜턴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선체 블록 내부에서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 개인별로 억세스 홀(Access Hole)을 통해 블록 내부로 진입하여 장시간 동안 도장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도장 작업 시 발생되는 도장 먼지(Dust) 및 분진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 작업자의 목적인 도장의 품질 저하를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제공되어 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진행할 경우 랜턴의 무게로 인해 작업자의 손목 통증이 유발되고, 랜턴의 밝기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수시로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선체 블록뿐만 아니라 도장 작업지역에서는 도장 작업 시 도료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므로 방폭 지역에서 사용되는 제품은 방폭 승인을 득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인 작업 공수 이외에 열악한 작업 여건 등으로 작업의 위험성을 증대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통해 랜턴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체 블록 내부나 어두운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막의 품질을 위해 충전이나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도막과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 효율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 발전형 랜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발전형 랜턴은, 속이 빈 랜턴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전면 개구부에는 투명 유리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원 스위치의 "온"시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랜턴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임펠러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전원 스위치를 통해 램프에 공급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로 구성하되, 상기 랜턴 케이스의 후면 일측부에는 임펠러를 통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랜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해 주기 위한 에어 배출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전기는 에어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안치시켜 모듈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의 에어 유입구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발전기의 임펠러에 집중 조사시킬 수 있는 에어 노즐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 노즐은 사용자가 에어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 공급량 제어밸브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랜턴 케이스의 개구부 내면과 투명 유리의 외주면 사이에는 랜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의 일부를 투명 유리 전면부로 배출시켜 투명 유리 전면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램프는 직류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랜턴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정전압 정류부의 출력단자와 충전용 배터리 사이에는 상기 정전압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랜턴의 램프 자체를 에어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시켜 줌으로써 선체 블록 내부나 어두운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막의 품질을 위해 충전이나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도막과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도장 작업 중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이 랜턴의 투명 유리 측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 효율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어떤 요인으로 인해 에어의 공급이 차단되어 발전기의 구동이 차단되더라도 예비용으로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랜턴을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도장 작업 등에 어떠한 지장도 주지 않게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랜턴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 중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 중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 중 A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어 발전형 랜턴은, 속이 빈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전원공급수단(3)이 구비되고, 전면 개구부에는 투명 유리(1)가 설치되며, 그 내 부에는 전원 스위치(4)의 "온"시 전원공급수단(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5)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랜턴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3)은 임펠러(32)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31)와;
상기 발전기(31)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전원 스위치(4)를 통해 램프(5)에 공급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33)로 구성하되,
상기 랜턴 케이스(2)의 후면 일측부에는 임펠러(32)를 통해 발전기(31)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해 주기 위한 에어 배출구(21)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전기(31)는 에어 유입구(61) 및 배출구(62)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별도의 케이스(6) 내부에 안치시켜 모듈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6)의 에어 유입구(61)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발전기(31)의 임펠러(32)에 집중 조사시킬 수 있는 에어 노즐(7)을 설치하되, 상기 에어 노즐(7)은 사용자가 에어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 공급량 제어밸브(71)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랜턴 케이스(2)의 개구부 내면과 투명 유리(1)의 외주면 사이에는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의 일부를 투명 유리(1) 전면부로 배출시켜 투명 유리(1)의 전면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22)를 일정간격을 두고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램프(5)는 직류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8)를 부가 설치하되, 상기 정전압 정류부(33)의 출력단자와 충전용 배터리(8) 사이에는 상기 정전압 정류부(3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용 배터리(8)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9)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랜턴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랜턴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3)을 에어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31)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33)로 구성하되, 랜턴 케이스(2)의 후면부에는 임펠러(32)를 통해 발전기(31)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해 주기 위한 에어 배출구(21)를 구비시킨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3)을 구성하고 있는 발전기(31)는 임펠러(32)를 구비하고 외부(즉, 공장 내에 설치된 에어 유틸리티)에서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교류전압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발전기(31)는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그대로 설치할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발전기(31)의 임펠러(32)에 집중시키기 힘들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될 경우 발전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전기(31)를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할 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에어 유입구(61)와 에어 배출구(62)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별도의 케이스(6) 내부에 안치시켜 모 듈화한 상태에서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해 줌으로써 외부에서 에어 유입구(61)를 통해 케이스(6)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발전기(31)의 임펠러(32)에 모두 가해진 후 에어 배출구(62)를 통해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다시 배출되는 루트를 갖게 되므로 발전기(31) 자체의 발전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케이스(6)의 에어 유입구(61)에는 에어 노즐(7)을 더 설치해 줌으로써 에어 유입구(61)를 통해 케이스(6)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노즐(7)을 통해 발전기(31)의 임펠러(32)에 집중시킬 수 있어 발전기(31)의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 노즐(7)에 에어 공급량 제어밸브(71)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에어 노즐(7)을 통해 발전기(31)의 임펠러(32)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발전기(31)에서 필요 이상의 높은 전압이 발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압 정류부(33)는 발전기(31)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전원 스위치(4)를 통해 램프(5)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갖게 되므로 상기 발전기(31)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에 부응하여 필요 이상의 높은 전압으로 변화되더라도 상기 램프(5)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일정전압을 갖게 되어 램프(5)에서 조사되는 빛이 선체 블록 내부나 어두운 공간 내에서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랜턴 케이스(2)의 개구부 내면과 투명 유리(1)의 외주면 사이에 수개의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22)를 일정간격 을 두고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랜턴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의 일부가 상기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22)들을 통해 도 1 및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투명 유리(1) 전면부로 배출되어 에어 커튼이 형성되므로 도장 작업 중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이 랜턴의 투명 유리(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 효율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랜턴 케이스(2)의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8) 및 충전회로부(9)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통상시 발전기(31)에서 발생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용 배터리(8)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의 어떤 요인으로 인해 에어의 공급이 차단되어 발전기(31)의 구동이 차단되더라도 예비용으로 내장된 상기 충전용 배터리(8)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랜턴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도장 작업 등을 실시하던 중 랜턴이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램프(5)를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함으로써 전력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그 수명은 대폭 연장할 수 있어 랜턴 자체의 고장율을 대폭 저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랜턴의 측 단면도.
도 2는 도 1 중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의 배면도.
도 3은 도 1 중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1 중 A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투명 유리 2 : 랜턴 케이스
3 : 전원공급수단 4 : 전원 스위치
5 : 램프 6 : 케이스
7 : 에어 노즐 8 : 충전용 배터리
9 : 충전회로부 21, 62 : 에어 배출구
22 :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
31 : 발전기 32 : 임펠러
33 : 정전압 정류부 61 : 에어 유입구
71 : 에어 공급량 제어밸브

Claims (7)

  1. 속이 빈 랜턴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전면 개구부에는 투명 유리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원 스위치의 "온"시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랜턴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임펠러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전원 스위치를 통해 램프에 공급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로 구성하되,
    상기 랜턴 케이스의 후면 일측부에는 임펠러를 통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랜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해 주기 위한 에어 배출구를 구비시키고,
    상기 랜턴 케이스의 개구부 내면과 투명 유리의 외주면 사이에는 랜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의 일부를 투명 유리 전면부로 배출시켜 투명 유리 전면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커튼 형성용 공기 배출구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에어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안치시켜 모듈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에어 유입구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발전기의 임펠러에 집중 조사시킬 수 있는 에어 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에는 사용자가 에어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 공급량 제어밸브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직류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턴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정전압 정류부의 출력단자와 충전용 배터리 사이에는 상기 정전압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발전형 랜턴.
KR1020080042130A 2008-05-07 2008-05-07 에어 발전형 랜턴 KR10120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30A KR101209949B1 (ko) 2008-05-07 2008-05-07 에어 발전형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30A KR101209949B1 (ko) 2008-05-07 2008-05-07 에어 발전형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80A KR20090116280A (ko) 2009-11-11
KR101209949B1 true KR101209949B1 (ko) 2012-12-07

Family

ID=416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30A KR101209949B1 (ko) 2008-05-07 2008-05-07 에어 발전형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56A (ko) 2014-07-25 2016-02-03 류기준 압축공기를 동력으로 하는 발전기 일체형 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922B (zh) * 2019-12-13 2020-08-21 嘉兴马灯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通信网络的图书馆书架专用照明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026Y1 (ko) * 2000-08-26 2001-01-15 김승호 에어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026Y1 (ko) * 2000-08-26 2001-01-15 김승호 에어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656A (ko) 2014-07-25 2016-02-03 류기준 압축공기를 동력으로 하는 발전기 일체형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80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5654B1 (en) A kit for converting a battery-powered automatic fragrance sprayer to solar power
JP2013140773A (ja) 光半導体照明装置
KR101209949B1 (ko) 에어 발전형 랜턴
KR20110076049A (ko)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JP2006351486A (ja) 移動式投光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00102929A (ko) Led 비상등
US8992035B2 (en) Lighting device for ventilating fan
WO2006025757A1 (en) Miner’s cap lamp
JP2004146335A (ja) 照明器具
CN206608868U (zh) 一种壁灯
KR200459899Y1 (ko)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KR10091621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조명 제어시스템
CN210875990U (zh) 一种汽车维修用汽车补漆装置
KR101722819B1 (ko) 자가 충전 방식 조명 장치
JP2007188685A (ja) 照明器具
CN103162213B (zh) 室内照明灯具
KR100964530B1 (ko) 태양열을 이용한 팬 냉각 방식의 엘이디 조명등
KR100918246B1 (ko)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CN215612408U (zh) 一种带有蓄电池的发光喷嘴
KR200387283Y1 (ko) 태양전지용 랜턴
KR20050108458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통로 및 피난구 유도등
CN102829419A (zh) 一种led电梯应急专用灯
CN211372084U (zh) 一种铝材led工矿灯
EP4116950A1 (en) An emergency luminaire,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n emergency luminaire and an emergency sign unit
JP2011129360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