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50B1 -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50B1
KR101209850B1 KR1020050107222A KR20050107222A KR101209850B1 KR 101209850 B1 KR101209850 B1 KR 101209850B1 KR 1020050107222 A KR1020050107222 A KR 1020050107222A KR 20050107222 A KR20050107222 A KR 20050107222A KR 101209850 B1 KR101209850 B1 KR 10120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thiazolone
isothiazolone compound
compound
cyclodextr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918A (ko
Inventor
하재민
신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으로서, 생물체에 돌연변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전독성 원인물질을 물리적 방법으로 변형시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티아졸론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가온하면서 교반시키고, 상기 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소티아졸론, 안정화제,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전독성, 복귀돌연변이.

Description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INHIBITION METHOD OF GENETIC TOXICITY FOR COMPOSITION COMPRISING ISOTHIAZOLON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사용 또는 환경노출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생물체에 대한 유전독성 발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소티아졸론 용액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여 변이원성 물질의 입체구조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살균력은 유지하면서 유전독성을 억제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3-이소티아졸론은 개인위생용품 방부제로부터 공업용 수처리제 까지 산업분야 전반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제품의 부패 및 공정 상의 문제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용 살균제이다. 지금까지 상용화된 대부분의 3-이소티아졸론 제품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과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실질적인 혼합물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 제품에 함유된 기술이 발달하고 화학물질의 환경과 생물에 대한 영향 평가의 기술이 발달 함에 따라 생물체의 유전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유발시킬수 있는 유전독성이 화학물질의 독성 및 안전성 평가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었다. 수용액에서 이 제품들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의 화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금속질산염을 안정화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안정화제에 대한 기술은 미국특허 US 3,807,795에 기술되어 있다.
또 안정화제 없는 무수물 상태에서 이소티아졸온 조성물에 대한 기술은 KR 96-3924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US 5,670,529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997-0000034호에는 3-이소티아졸론 및 금속질산의 배합물에 Cu2 + 염을 ppm수준으로 첨가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 하기도 한다. 한편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생성되지 않는 제조방법으로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1-0007541호에서 제시되었는데, 이는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미국특허등록번호 제5466818호에서는 컬럼을 사용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분리할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들에서 제시된 방법은 불순물로 함유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농도는 줄일 수 있으나 선택성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며 상용화 시킬 수 없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103525호는 이소티아졸론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살균력은 유지하면서 침전물의 형성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소티아졸론 혼합물의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제조방법은 밝힌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83098호의 이소티아졸론 침전 방지를 안정화 방법인데, 이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첨가에 의한 점도증가와 물의 활동도 감소로 침전형성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소티아졸론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형태는 가역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용화된 대부분의 3-이소티아졸론 제품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과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실질적인 혼합물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화학물질의 환경과 생물에 대한 영향 평가의 기술이 발달 함에 따라 생물체의 유전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전독성이 화학물질의 독성 및 안전성 평가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이소티아졸론 조성물은 유전독성 유발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유전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복귀돌연변이시험은 하나 또는 몇 개의 DNA염기쌍의 치환, 첨가 그리고 결실을 포함하는 점돌연변이를 검색하기 위해 아미노산 요구성 균주인 살모넬라균과 대장균을 이용한다. 점돌연변이(point mutation)는 유전적 질병의 원인이 되며, 암유전자와 체세포의 암억제 유전자에 존재하는 점돌연변이는 암 형성에 관여하고 있다는 많은 증거가 있다.
복귀돌연변이시험은 주로 유전독성적인 활성 또는 점돌연변이를 유발하는 활성에 대한 초기검색에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티아졸린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추후 혼합물을 냉각함으로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이소티아졸린을 선택적으로 포접함으로써 돌연변이원으로 작용하여 유전독성을 발현하지 못하도록 억제시킨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고; 상기 가온된 혼합물을 1 내지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및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영하 10 내지 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으로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것인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6454643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고리화된 아릴기이고,
R3는 수소원자, C1 내지 C18의 알킬기, C2 내지 C18의 알케닐기, C2 내지 C18의 알키닐기, 3 내지 8각 고리를 갖는 C3 내지 C12의 시클로알킬기, C10 내지 C24의 아랄킬기, 또는 C10 내지 C24의 아릴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정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유전독성의 원인물질이 할로겐화된 이소티아졸론 분해산물임을 알 수 있었고, 여러 종류의 할로겐화된 이소티아졸론의 분해물이 생성되기 전단계에서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사이클로덱스트린류로 입체구조복합체를 형성시키는 경우, 제조된 상기 용액이 미생물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의 방출이 억제되어 조성물의 유전독성이 방지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독성 억제용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것인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고; 상기 온도로 가온된 혼합물을 1 내지 3 시간동안 교반하며; 및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영하 10 내지 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교반시간이 1 시간 이하인 경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포접 효율이 떨어지며, 3시간 이상인 경우는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벤조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3-이소티아조론, 2-옥틸-3-이소티아졸론, 4,5-디클로로-2-시클로헥실-3-이소티아졸론 및 4,5-디클로로-2-옥틸-3-이소티아졸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벤조이소티아졸론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살균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유전독성을 나타낸다. 반면, 벤조이소티아졸론은 유전독성의 유발이 없는 물질로 살균력의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소티아졸론 화합물류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전독성의 발현정도를 낮추고 살균력의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유전독성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과 가온 및 냉각처리에 의하여 이소티아졸론을 포접함으로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전체 이소티아졸론 용액 조성 물에 대하여 0.5 내지 50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0.5중량% 이하인 경우는 이소티아졸론의 효과를 발휘하지 아니하므로 상용화 하기에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50중량% 이상인 경우는 최종 조성물의 안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글루코스가 환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의 3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들 3종류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류의 첨가량은 전체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0.01 내지 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사용량이 0.5 내지 10 중량%인 것이 좋다. 0.01 중량% 이하인 경우는 유전독성 제거효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50 중량% 이상인 경우는 조성물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상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는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가 물, 황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벤질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매가 물인 것이 좋다.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는 통상적으로 상온상에서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교반단계 전 상기 혼합물에 50 내지 100℃로 가온하는 전단계를 거친다. 상기 혼합물에 상기의 온도로 가온하는 경우,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이소티아졸린 화합물을 포접하기 위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50℃이하로 가온하는 경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클로로이소티아졸린 복합체 형성시 필요한 에너지 상태에 이르지 못하게 되므로, 사이크로덱스트린이 이소티아졸린 화합물에 대하여 입체구조적 포집을 이루지 못하고 표면에 흡착되는 것에 그칠 수 있으므로, 유전독성이 억제되지 못할 염려가 있고, 100℃ 이상으로 가온하는 경우는 포접 과정상 클로로이소티아졸린의 활성성분 파괴가 발생되어 조성물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의 가온된 이소티아졸린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1 내지 3 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교반시 교반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는 온도를 높이는 경우 열에너지에 의한 이소티아졸린류의 유효성분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물리적으로 전단력을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주므로 이소티아졸린 화합물의 유전독성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이소티아졸린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물리적 힘을 가하기 위하여 고속교반기를 분당 2000rpm 내지 20000rpm 으로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속도가 2000rpm 이하인 경우는 에너지가 불충분하여 이소티아졸린 화합물의 일부가 포접이 안 될 수 있으며, 20000rpm 이상인 경우는 기기 및 운전상 경제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가온조건을 유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이소티아졸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입체적 복합체를 형성하지만, 상기 입체적 복합체는 형성과 해리가 모두 용이한 물리적인 여기된 상태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역적으로 재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상기의 교반단계를 거친 후, 영하 10 ℃내지 0℃로 5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서서히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로 가온상태에서 교반시 입체적으로 포접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구조가 열역학적 가장 안정화된 복합체로 형성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점차적인 미약한 발열 과정에 의하여 진행되며, 그 결과 이소티아졸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입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한 형태로 화학 결합을 하게 된다. 이 과정이 충분치 못하면 포접된 이소티아졸론의 재용출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점차적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냉각온도가 영하 10℃ 이하인 경우는 조성물의 운동에너지 부족으로 복합체가 형성되기 전 각각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자체가 동결될 수 있으며, 0℃ 이상인 경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소티아졸론 화합물 복합체의 포접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냉각단계에서 이소티아졸론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에 많은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열역학적으로 최적의 안정화된 복합체의 형태를 이루어, 비가역적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가온 및 교반, 냉각단계를 거치는 동안 하기 화학식 2로 대표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포접하여 입체적 구조상 복합체를 형성하게 되며, 그 결과 형성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동일 미생물 농도에서 처리시 유전독성 발현이 억제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화학식 2]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류
Figure 112005064546431-pat00002
이와 같은 가온, 교반 및 냉각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방법에는 상기 조성물에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과 무관하게 통상적으로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제로 질산염 또는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황산을 안정화제로 사용할 경우는 제조되는 이소티아졸론 용액이 높은 농도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질산염 또는 황산을 안정화제로 사용할 경우 황산의 사용량은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가 좋다. 0.01 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경우는 안정제의 역할을 할 수 없고, 5 중량% 이상인 경우는 산도 문제로 제품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매 및 임의적으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전독성이 억제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64546431-pat0000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 효능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혼합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가온된 상태에서 교반하고, 그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거침에 의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이소티아졸론을 포접함으로서 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유효량을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거나, 오염되기 쉬운 분야에 적용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고, 환경 중 유전독성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이소티아졸론 조성물은 살균제, 위생제, 청정제, 탈취제, 액체 및 가루비누, 오일 및 그리이스 제거제, 음식처리용 화학제품, 일용화학제품, 석유제조시, 종이처리시, 제지공장 슬라임 방지제, 석유산물, 접착제, 섬유, 안료슬러리, 라텍스, 가죽 및 피혁처리, 석유연료, 장소, 호재, 고무, 제당, 담배, 수영장, 화 장품, 화장실용품, 풀, 플라스틱, 카드보오드, 의약품, 화학적화장치, 가정세탁물, 디젤연료첨가제, 왁스, 코오크, 윤활제, 건축용품, 콘크리이트 배합제 또는 광택제에 투입되거나 또는 상기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박테리아 및/또는 곰팡이 및/또는 조류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있거나 오염된 영역 및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과 접촉하는 유기물 및 수분이 있는 영역 어디에나 사용이 가능하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은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
3-이소티아졸론의 유전독성 억제 효과를 실험을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이 3 : 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의 1.5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하여 온도계를 장착하고 고체상분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2 중량% 투입한 후, 온도를 80℃로 유지 시키며 고속 교반기로 분당 5000 rpm으로 30분간 고속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0℃ 이하로 급속 냉각하여 1시간 정치시킨 후 상온에서 보관한다.
실시예 2: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
3-이소티아졸론의 유전독성 억제 효과 실험을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이 0.1 : 100 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0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하여 온도계를 장착하 고, 고체상 분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0.2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 하였다.
실시예 3: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혼합물의 제조
3-이소티아졸론의 유전독성 억제 효과를 실험을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 및 벤즈이소티아졸론(BIT) 이 0.1 : 100: 100 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0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하여 온도계를 장착하고, 고체상분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0.04 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 하였다.
비교예 1: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
실시예1에서 조성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후의 유전독성 억제효과를 비교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이 3 : 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5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하여 온도계를 장착하고 온도를 80℃로 유지시키며, 고속 교반기로 분당 5000 rpm으로 30분간 고속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0℃ 이하로 급속 냉동하여 1시간 정치 시킨후 상온에서 보관한다. 이 용액을 유전독성 측정용 농도로 희석하여 하기 절차에 따라 비교 표준물질과 함께 독성 발현을 관찰하고 평가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
실시예 2 에서 조성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후의 유전독성 억제효과를 비교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 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이 0.1 : 100 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50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비교예 3: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
실시예 3 에서 조성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후의 유전독성 억제효과를 비교 하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 및 벤즈이소티아졸론(BIT) 이 0.1 : 100: 100 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0 중량% 용액을 비이커에 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 하였다.
실험예 1: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살모넬라균에서의 유전독성 억제활성
1-1: 시험균의 전처리
본 실험에서는 히스티딘 요구성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균주(구입처:Molecular Toxicology, Inc., USA)를 각각 배양액 15㎖에 무균조작으로 접종하고,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하룻동안 전배양하였다. 전배양 종료 후 각 균주현탁액의 흡광도를 UV 스펙트로포토미터(측정파장 660nm, V-550, Jasco, Japan)로 측정하여 1 x 109 세포수/㎖ 이상의 균수가 확인된 것을 이하 시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에 사용될 Top agar는 염화나트륨 0.5% 와 박토아가(Bacto Agar, Lot No:4149282, BD, USA) 0.6% 용액에 0.5 mmol/LL-Histidine (Lot No. : 126H1093, Sigma, USA)-0.5 mmol/L D-biotine(Lot No.:068H137425, amresco, USA)용액을 용량비 10:1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1-2: 시험시료의 제조
먼저 4차 증류수에 영양 액체배지 No.2(Lot No.: 298714, Oxoid, UK)를 2.5%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그 후, 삼각플라스크에 박토아가(Bacto Agar, Lot No:4149282, BD, USA) 15g 과 800㎖ 의 3차 증류수를 넣고 고압증기 멸균하였다. 멸균 후, 사전에 멸균하여 준비한 virus buffer salt(10X) 100㎖와 20% 글루코오스 100㎖를 첨가하여, 각각의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여 굳혔다.
1-3: 대사 활성화계 시험방법
실험예 1-2에서 준비된 시료 100㎕ 에 S9 mix 500㎕를 이미 건열멸균된 시험관(13 X 100㎜)에 넣고, 균현탁액 100㎕를 첨가하여 37 ℃ 진탕배양기에서 20분간 선회배양한 다음, 45℃에 보관된 top agar(연한천 용액) 2㎖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Vogel-Bonner 최소 글루코오스 한천평판배지 위에 중층하였다. Top agar가 고정된 후 페트리디쉬를 뒤집어서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경과 후 복귀변이콜로니수를 콜로니카운터(ProtoCOL, SYNBIOSIS,UK)로 자동계측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복귀변이 콜로니수는 실측치로 기록하였으며, 각 용량군당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1-4: 대사활성계 비적용의 경우
상기 1-3에서 S9 mix 500㎕ 대신 0.1 mol/인산완충액(pH 7.4) 500㎕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3와 같은 방법으로 복귀변이 콜로니수를 측정하여 하 기 표 1에 나타냈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시험물질의 부형제로 사용한 주사용수인 Lot No.:AAW5AL, Choongwae Pharma Corp. 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하기 5가지의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의 실험을 행하였으며, 복귀변이 콜로니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2-NF: s-Nitrofluorene(Lot No.: DA09213BA, Aldrich, USA)
SA: Sodium azide(Lot No.:121Koo47, Sigma, USA)
2-AA: 2-Aminoanthracene (Lot No.: 106F06681, Sigma, USA)
9-AA: 9-Aminoacridine (Lot No.: 106F06681, Sigma, USA)
4-NQO: 4-nitroquinoline 1-oxide (Lot No.:101K2191, Sigma, USA)
실험예 2: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대장균에서의 유전독성 억제활성
Escherichia coli WP2uvrA(pKM101) 균주를 시험균주로 이용하고, top agar 제조시 0.5mmol/LL-Histidine-0.5mmol/L D-biotine 용액 대신 0.5mmol/L L-Tryptophan 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복귀변이콜로니수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시험균주 용량
㎍/plate
실시예 콜로니수 비교예 콜로니수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98 0 1 19 22 1 19 22
2 22 21 2 22 21
3 21 21 3 21 21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00 0 1 116 110 1 116 110
2 110 114 2 110 114
3 104 111 3 104 111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5 0 1 19 20 1 19 20
2 18 19 2 18 19
3 19 18 3 19 18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7 0 1 9 9 1 9 9
2 9 9 2 9 9
3 9 9 3 9 9
대장균 WP2urvA(pKM101) 0 1 120 110 1 120 110
2 115 102 2 115 102
3 118 106 3 118 106
시험균주 용량
㎍/plate
실시예 콜로니수 비교예 콜로니수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98 312 1 23 22 1 48 60
2 20 21 2 52 80
3 21 21 3 59 53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00 312 1 103 110 1 260 320
2 108 114 2 280 420
3 105 111 3 321 431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5 312 1 19 20 1 63 75
2 17 19 2 45 50
3 18 18 3 40 53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7 312 1 10 9 1 36 40
2 8 9 2 25 59
3 9 9 3 28 23
대장균 WP2urvA(pKM101) 312 1 111 110 1 196 320
2 116 102 2 227 260
3 115 106 3 192 279
시험균주 용량
㎍/plate
실시예 콜로니수 비교예 콜로니수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대사활성계 비활성계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98 625 1 15 22 1 59 72
2 16 21 2 78 83
3 16 21 3 29 56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00 625 1 108 110 1 336 350
2 109 114 2 360 346
3 110 111 3 420 492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5 625 1 19 20 1 68 65
2 16 19 2 52 63
3 18 18 3 65 65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A1537 625 1 7 9 1 32 38
2 6 9 2 29 52
3 7 9 3 54 64
대장균 WP2urvA(pKM101) 625 1 108 110 1 450 713
2 118 102 2 560 586
3 113 106 3 484 562
표 1에 따르면,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지 아니한 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시험균주의 용량에 관계없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귀변이콜로니수가 적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에 혼합하여 가온, 교반 및 냉각단계를 거치는 경우 이소티아졸론-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의 형성으로 인하여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이 발현되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유전독성 억제활성의 판단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측정된 복귀변이콜로니수에 대하여 대사활성계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콜로니수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한 개 이상의 용량에서 명확히 증가하고, 2배 이상이면서 용량의존성을 가지며, 그 작용에 재현성이 인정될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외에는 음성으로 판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대사활성계 대사비활성계 유전독성
실시예 1 음성 음성 없음
실시예 2 음성 음성 없음
실시예 3 음성 음성 없음
비교예 1 양성 양성 있음
비교예 2 양성 양성 있음
비교예 3 양성 양성 있음
복귀돌연변이 실험 결과에서 실시예 1 내지 3의 모든 시험균주에서 복귀변이 콜로니수는 대사활성계의 적용유무에 관계없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시험물질에 의한 균주의 생육저해와 석출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시험균주에서 유전독성이 발현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복귀변이 콜로니수는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므로 비교예의 모든 경우는 유전독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제조방법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고 교반 시 온도의 상승단계 및 교반작용 후 냉각단계를 거침으로서 이소티아졸론의 유전독성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혼합하여 고온의 온도조건에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함유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50 내지 100 ℃의 온도조건으로 가온하고,
    상기 가온된 조건하에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영하 10 내지 0 ℃로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2052781415-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고리화된 아릴기이고,
    R3는 수소원자, C1 내지 C18의 알킬기, C2 내지 C18의 알케닐기, C2 내지 C18의 알키닐기, 3 내지 8각 고리를 갖는 C3 내지 C12의 시클로알킬기, C10 내지 C24의 아랄킬기, 또는 C10 내지 C24의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2000 내지 20000 rpm으로 60 내지 180 분 동안 교반하는 것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 중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0.5 내지 50 중량%,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3-이소티아졸론, 2-옥틸-3-이소티아졸론, 4,5-디클로로-2-시클로헥실-3-이소티아졸론 및 4,5-디클로로-2-옥틸-3-이소티아졸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 2-메틸-4-이소티아졸론-3-온 및 벤조이소티아졸론을 중량비 0.01:1:1 내지 0.5:1:1 로 함유하는 혼합물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교반 및 냉각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는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황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벤질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질산염 또는 황산을 상기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용매를 함유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50 내지 100 ℃의 온도조건으로 가온하고,
    상기 가온된 조건하에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영하 10 내지 0 ℃로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0.5 내지 50 중량%, 사이클로덱스트론 0.5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52781415-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고리화된 아릴기이고,
    R3는 수소원자, C1 내지 C18의 알킬기, C2 내지 C18의 알케닐기, C2 내지 C18의 알키닐기, 3 내지 8각 고리를 갖는 C3 내지 C12의 시클로알킬기, C10 내지 C24의 아랄킬기, 또는 C10 내지 C24의 아릴기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더욱 포함하는 유전독성이 감소된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함유 조성물.
KR1020050107222A 2005-11-09 2005-11-09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KR10120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222A KR101209850B1 (ko) 2005-11-09 2005-11-09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222A KR101209850B1 (ko) 2005-11-09 2005-11-09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18A KR20070049918A (ko) 2007-05-14
KR101209850B1 true KR101209850B1 (ko) 2012-12-10

Family

ID=3827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222A KR101209850B1 (ko) 2005-11-09 2005-11-09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98B1 (ko) 2000-05-10 2003-05-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침전형성 방지방법 및 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98B1 (ko) 2000-05-10 2003-05-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침전형성 방지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18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1126B2 (ja) 安定化3―イソチアゾロン水溶液
KR0137027B1 (ko) 살균제
KR101657723B1 (ko) 살생물 조성물 및 방법
HU202053B (en) Stabilized isothiazolon compositions
EP2227953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useful for preserving wood
RU2542152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иброммалонамид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биоцидов
TW201216852A (en) Microbicidal composition
CN101731234A (zh) 水基皮革杀菌防霉剂
KR101209850B1 (ko)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독성 억제방법
EP0761094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860946B1 (en) Isothiazolone-containing preservative with improved effectiveness
US11279902B2 (en) Hyperprotonation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EP1244358B1 (en) A stabilized isothiazolon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stabilization of isothiazolone
HU208469B (en) Method for producing fungicide and bactericide preparations containing isothiazolone-derivative
KR20090072490A (ko)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이 함유된 조성물의 유전 독성억제방법
MX2011005312A (es) Composicion biocida de 2,6-dimetil-m-dioxan-4-ol acetato y metodos de uso.
KR100383098B1 (ko)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침전형성 방지방법 및 그 조성물
JPH0627043B2 (ja) 殺菌剤組成物
WO2017046709A1 (en) Biocides and preparation thereof
TWI602509B (zh) Asymmetric double cationic antiseptic and antibacterial liquid
KR20230096869A (ko) 방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도료
CN114745959A (zh) 4-(3-乙氧基-4-羟基苯基)烷基酮型化合物对抗洋葱伯克霍尔德菌群细菌的用途
KR101209262B1 (ko) 메틸살리실레이트와 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KR20220033726A (ko) 손 소독제 조성물
JP2019038791A (ja) 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