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789B1 -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789B1
KR101209789B1 KR1020100063446A KR20100063446A KR101209789B1 KR 101209789 B1 KR101209789 B1 KR 101209789B1 KR 1020100063446 A KR1020100063446 A KR 1020100063446A KR 20100063446 A KR20100063446 A KR 20100063446A KR 101209789 B1 KR101209789 B1 KR 10120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ermentation
drying
stir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768A (ko
Inventor
문홍순
Original Assignee
정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7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26B9/08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mechanically agitating or recirculating the material being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최소화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장착공간을 갖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공간 및 상기 이송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이송관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원심분리기는 상기 이송관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최소화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가정, 식당, 호텔, 시장 등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 및 이와 혼합된 협잡물 등의 처리방법은 매립지에 직접 매립하거나 또는 하수도로 흘려보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배출하거나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한 뒤 하수구를 통해 흘려보낼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각 가정에서 별도의 구입비용을 들여 제푸을 구매해야 하므로 가정에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있기 때문에 모든 가정에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였다.
또한 현재 아파트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주택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별도의 수거통을 구비하고, 각 세대 주거민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통에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차량이 주기적으로 수거통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수거용 차량의 수거용량에 한계가 있어 다수의 수거차량을 이용하거나 하나의 수거차량으로 반복 수거를 실시해야 하므로 불편하였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악취가 나는 등 수거통에 의해 공동 주택 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낮추도록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열 건조방식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되는 전력량이 과다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낮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탈수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미생물 처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장착공간을 갖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공간 및 상기 이송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이송관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원심분리기는 상기 이송관을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상기 이송관을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발효될 수 있는 소정의 건조?발효공간을 갖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건조?발효공간 내에 설치되어 건조?발효공간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제2 본체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건조?발효공간의 온도가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2 본체를 감싸는 가열하우징과, 상기 가열하우징에 충진되는 열교환매체와, 상기 가열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배출되는 배출물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제2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발효액 분사부(370)와 교반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실시예의 분사노즐(374)을 도시한 부분절단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부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본체(110)와, 제1 본체(110)와 인접 설치되어 있는 제2 본체(120)를 포함한다.
제1 본체(110)에서는 투입된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작업이 이루어지고, 제2 본체(120)에서는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해 발효하는 발효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본체(110)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130)과, 이송관(130)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31)와, 이송스크류(131)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140)와, 이송관(130)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기(150)가 장착되어 있다.
이송관(130)은 투입구(111)와 연통되어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이송공간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본체(12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131)는 이송관(13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서 회전 구동을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제2 본체(120)를 향해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이송관(130)의 단부에는 이송관(130)으로부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1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원심분리기(150)에 의해 수분이 상당량 제거된다. 따라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뭉쳐진 상태로 이송관(130)으로부터 토출되는데,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2 본체(120)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소정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부(160)는 이송관(130)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절단날(161)을 포함하는데, 이 절단날(161)은 이송관(130)의 단부와 인접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부(160)는 상기 절단날(161) 외에도 절단날(161)의 회전중심축이 되는 제1 회전축(162)과, 제1 회전축(16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기어(164)와, 제1 기어(164)와 치합되는 제2 기어(165) 및 제2 기어(165)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 회전축(163)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160)와 이송스크류(131)의 구동은 제1 구동부(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구동부(140)는 이송스크류(131)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된 제1 종동스프로킷(141)과, 상기 제2 회전축(163)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종동스프로킷(142), 제1 구동모터(145), 제1 구동모터(145)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 구동스프로킷(143) 및 상기 제1 구동스프로킷(143)과 제1, 제2 종동스프로킷(141,142)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체인(144)을 포함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145)가 구동하면 이송스크류(131) 및 제2 회전축(163)이 회전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류(131)에 의해 이송관(130)을 따라 단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2 회전축(163)의 회전은 제1, 제2 기어(134,135)와 제1 회전축(162)을 통해 절단날(161)에 전달되어 절단날(161)도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원심분리기(150)는 상술한 것처럼 이송관(130)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관(13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회전체(151)와, 회전체(151)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15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심분리기(150)가 결합되는 이송관(130)의 일부 구간에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통수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수공의 직경은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되지 않고 수분만 배출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151)는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체(151)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탈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130)의 외벽에 걸려 배출되지 못하고 수분만 통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제2 구동부(152)는 회전체(15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종동풀리(153)와, 제2 구동모터(156), 제2 구동모터(156)에 설치된 구동풀리(154) 및 상기 구동풀리(154)와 종동풀리(153)를 연결하는 연결벨트(155)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투입구(1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제1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31)가 회전하면서 이송관(130)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단부로 이송하게 되며, 통수공이 형성된 이송관(130)을 통과할 때, 제2 구동부(15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51)에 의해 수분이 이송관(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류(131)에 의해 단부로 진행한 뒤 토출되는데, 토출되는 이송관(130)의 단부측에 형성된 절단날(161)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제2 본체(120)로 투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제2 구동부(140,152)의 구동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투입구(111) 측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에 의해 제1, 제2 구동부(152)가 자동으로 구동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본체(120)는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해 발효시키는 것이다.
제2 본체(120)에는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이송관(130)을 통해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본체(12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도록 교반부(17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교반부(170)를 구동하기 위한 제3 구동부(173)는 상기 제1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교반부(170)는 제2 본체(120)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교반회전축(171)과, 이 교반회전축(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교반회전축(171)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한하는 복수개의 교반날개(172)를 포함한다.
교반회전축(171)이 후술하는 제3 구동부(17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교반날개(172)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제3 구동부(173)는 제2 본체(120)에 설치된 제3 구동모터(174)와, 제3 구동모터(174)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2 구동스프로킷(175)과, 교반회전축(171)에 설치되며 제2 연결체인(177)에 의해 제2 구동스프로킷(175)과 연결되는 제3 종동스프로킷(176)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본체(120)에는 가열수단(180)이 결합되어 제2 본체(120) 내부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가열수단(180)은 제2 본체(120)의 하부를 감싸는 가열하우징(181)과, 가열하우징(181)에 충진된 열교환매체와, 가열하우징(18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재(18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182)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전열부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열부재(182)가 발열하여 열교환매체를 가열하게 되면 이 열교환매체에 의해 제2 본체(120)가 가열되어 제2 본체(120) 내부의 온도가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효미생물의 생육 및 발효 적정 온도가 40~50℃로 알려져 있다. 하절기에는 태양열에 의해 제2 본체(12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절기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제2 본체(120) 내부의 온도가 자연적으로는 적정온도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열수단(180)을 통해 인위적으로 온도를 높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부공간에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마련되어 제2 본체(12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가열수단(18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제2 본체(120)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발효된 후의 나머지 음식물 쓰레기의 잔유물은 배출유닛(190)을 통해 배출되는데, 제2 본체(1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191)과, 배출관(19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배출스크류(192)와, 배출스크류(192)를 회전시키는 제4 구동모터(193)를 포함한다.
제4 구동모터(193)의 구동력이 체인과 스프로킷을 통해 배출스크류(192)에 전달되고, 배출스크류(192)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유물을 제2 본체(12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5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200)는 장착실(211)과,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을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장착실(211)에 마련된 투입부(220)와,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에 설치된 교반부(230) 및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의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제2 건조,발효실(213)과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이송부(240),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을 가열하는 가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도시된 것처럼 장착실(211)과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을 포함하는데, 장착실(211)에는 후술하는 투입부(220)와, 투입부(220)와 교반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탈수구동부(223)와 교반구동부(233)가 장착된다.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은 각각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발효공간(212a,213a)을 제공하는 것이며, 제2 건조,발효실(213)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신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건조,발효실(212)에서 대기하면서 예비 건조 및 발효가 이루어지게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완전 건조 및 발효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투입부(220)는 음식물 쓰레기가 제1 건조,발효실(212)로 이동할 수 있도록 투입구(214)와 제1 건조,발효실(212)을 연결하는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하는 투입관(221)과, 투입관(2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222)를 구비한다.
투입부(220)를 통해 제1 건조,발효실(212)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건조,발효실(213)에서 먼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되는 소정의 시간동안 머물게 되며, 이 때 제1 건조,발효실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예비 건조 및 발효가 진행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음식물 이송부(240)에 의해 제1 건조,발효실(212)의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건조,발효실(213)로 이동하게 되고, 건조 및 발효가 완료된 제2 건조,발효실(213)의 음식물 쓰레기는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앞선 제1 실시예의 경우처럼 건조 및 발효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구획되 어 있지 않을 때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경우 새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주택단지와 같은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야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야간에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가 거의 이루어지게 되므로 건조?발효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24시간 운영되는 음식점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항시 이루어지게 되므로 건조?발효공간에는 항시 완전히 건조?발효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물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물을 배출시키면 건조?발효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함께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신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먼저 제1 건조,발효실(212)에서 대기하게 되므로 제2 건조,발효실(213)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건조 및 발효가 완료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음식물 이송부(240)는 제1 이송부(241)와 제2 이송부(242)를 포함하는데, 제1 이송부(241)는 제1 건조,발효실(212)의 음식물 쓰레기를 제2 건조,발효실(213)로 이동시키고, 제2 이송부(242)는 제2 건조,발효실(213)의 건조,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1, 제2 이송부(241,242)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배출유닛과 동일하므로 기술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이송부(241)는 제2 건조,발효실(213)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발효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시간동안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일정 시간간격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이송부(242) 역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 건조?발효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완전히 건조?발효된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물만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200)는 원심분리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1 실시예의 경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곧장 건조?발효공간으로 유입되므로 건조?발효공간에서의 건조?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제1 건조,발효실(212)에서 1차 건조?발효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할 수 있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분리기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도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210)에는 제1, 제2 건조,발효실(212,213)에서 증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가 형성되고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3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 후 건조, 발효되는 본체(310)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음식물 이송부(320)와,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310)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330)와, 본체(310)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340), 상기 본체(310)의 내부를 건조 발효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350), 본체(310) 내부의 악취와 습기 제거를 위한 냉각부(36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발효촉진을 위한 발효액을 분사하는 발효액 분사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실(311)과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을 포함한다.
구동실(311)에는 후술하는 교반부(340)의 교반회전축(34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교반모터(312)와, 투입부(330)의 승강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기(3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은 각각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발효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투입구(317)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1 건조,발효실(314)에서 1차로 건조 및 발효된 다음 음식물 이송부(320)를 통해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 건조, 발효된다.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를 위한 미생물을 함께 투입함으로써 발효가 이루어지게 하며,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완전건조 및 발효를 위한 충분한 건조발효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건조,발효실(314)에서 소정시간 대기한 후 제2 건조,발효실(315)로 투입된다.
이렇게 건조 및 발효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두 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31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 시간이 짧아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되지 못한채 외부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투입부(330)는 본체(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인데, 본체(3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331)과, 상기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이동하는 이동대차(333)와, 상기 가이드레일(331)과 인접하도록 본체(31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액튜에이터(335)와,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333)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액튜에이터(335)의 상단에 마련된 가이드롤러(336)를 경유하여 타단이 본체(310)에 고정된 연결와이어(337)와, 본체(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구(317)를 막도록 설치된 뚜껑(318)을 개폐하는 개폐액튜에이터(338)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331)은 상술한 것처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두 개의 가이드레일(331)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호 마주보는 면에 이송대차의 레일바퀴(334)가 인입 장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331)의 상단에는 투입구(317)를 향해 만곡되게 연장된 절곡부분(3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대차(333)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통(301)이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바퀴(334)가 마련되어 있다.
관리자가 수거용 통(301)을 이동대차(333)에 장착시킨 후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유압공급기(313)에서 상기 유압액튜에이터(335)에 유압을 공급하며, 유압액튜에이터(335)의 피스톤로드가 상방으로 승강하게 된다.
피스톤로드의 상단에는 가이드롤러(336)가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연결와이어(337)가 가이드롤러(336)를 경유하여 일단은 이동대차(333)의 하측에, 타단은 본체(3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가 승강하면서 연결와이어(337)를 당겨 이동대차(333)를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상방으로 승강시킨다.
피스톤로드가 상사점까지 인출되는 과정에서 이동대차(333)는 상기 절곡부분(332)으로 진입하게 되고, 절곡부분(332)이 투입구(317)를 향해 만곡지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된 것처럼 수거용 통(301)의 상단이 투입구(317)에 음식물을 쏟아부을 수 있는 상태로 뒤집어지게 된다.
또한 유압액튜에이터(335)가 구동하는 동안 유압공급기(313)는 개폐액튜에이터(338)도 구동시키게 되는데, 개폐액튜에이터(338)는 실린더가 본체(3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실린더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로드의 단부는 뚜껑(318)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318)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을 통해 투입구(317)를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인출로드의 단부는 뚜껑(318)의 힌지축과 이격된 지점에서 뚜껑(318)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로드가 실린더에 인입되면 뚜껑(318)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투입구(317)를 개방하게 되며, 그 사이에 이동대차(333)가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승강하여 수거용 통(301)의 음식물 쓰레기를 제1 건조,발효실(314)에 투입한다.
본 실시예는 대형화된 설비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투입부(330)가 마련되어 있으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사용자가 직접 투입하도록 투입부(33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부(340)는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것으로서,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도록 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회전축(341)과, 교반회전축(341)에 장착되며, 교반회전축(341)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342)와, 교반회전축(34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교반모터(312)와, 교반회전축(341)으로부터 연장되어 교반날개(342)를 지지하는 연장로드를 포함한다.
교반회전축(341)은 상기 구동실(311)에 설치된 교반모터(312)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그 구동력을 통해 회전 구동하며, 교반회전축(341)의 회전에 의해 연장로드와 교반날개(342)도 함께 회전한다.
교반날개(342)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건조 및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음식물 이송부(320)와 연통되는 배출구(316)측으로 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교반날개(342)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접촉면 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돌기에 의해 교반과정에서 교반날개와 음식물 쓰레기와의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열부(350)는 본체(310) 내부에서의 건조 및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열탱크(351)와, 가열탱크(351)에 충진된 열매체와, 상기 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게 장착된 복수개의 가열히터(352)를 포함한다.
가열히터(352)에서 열매체를 가열하면 이 열매체에 의해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이 건조, 발효에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된다.
음식물 이송부(320)는 제1 건조,발효실(314)의 음식물 쓰레기를 제2 건조,발효실(315)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송부(321)와, 제2 건조,발효실(315)의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3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이송부(322)를 포함한다.
제1, 제2 이송부(321,322)는 각각 이송관(323)과, 이송관(323)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이송스크류(324)와, 이송관(323)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24)를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모터(325)를 갖는다.
이송모터(325)의 구동력이 체인에 의해 이송스크류(324)에 전달되고, 이송스크류(324)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관(323)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술한 것처럼 제1 건조,발효실(314)은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건조,발효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주고,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의 건조 및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비 건조 발효한다. 따라서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제1, 제2 이송부(321,322)가 구동하여 완전히 건조 및 발효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이송부(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제1 건조,발효실(314)에서 예비로 건조, 발효 중인 음식물 쓰레기는 제1 이송부(321)를 통해 제2 건조,발효실(315)로 이동한다.
상기 이송스크류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더블스크류타입으로 형성되어 이송량을 증대시키고 입자가 큰 음식물 쓰레기도 운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360)는 제1 건조,발효실(314)에서의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건조,발효실(314)에는 내부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공(3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기공(319)을 통해 제1 건조,발효실(314)의 공기가 흡입된다.
냉각부(360)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에 의해 증발기 측에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배기공(319)을 통해 냉각부(360)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각이 이루어진다.
제1 건조,발효실(314) 내의 공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과정에서 증발된 수분과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이슬점 이하로 냉각이 되면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결되어 제거되고, 온도가 낮아짐으로써 악취도 제거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냉각부(360)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300)의 구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부(33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310)의 내부로 투입한다.
제1 건조,발효실(314)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건조,발효실(314) 내에 주입되어 있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이루어지며, 가열부(350)에서 제1 건조,발효실(314)을 가열하므로 수분이 증발된다.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1 이송부(321)가 구동하여 제1 건조,발효실(314)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제2 건조,발효실(315)로 이송되며,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발효가 이루어진다.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동안 건조 및 발효 공정이 이루어지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이송부(322)를 통해 본체(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상기 냉각부(360)에 의해 제1 건조, 발효실에서 제습 및 악취제거가 이루어진다.
발효액 분사부(3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발효액을 혼합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효액 분사부(370)는 발효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71)와, 저장탱크(371)로부터 발효액이 이송되는 이송로를 제공하는 연결관(373)과, 연결관(373)의 단부에 설치되며, 발효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374) 및 저장탱크(371)의 발효액을 펌핑하는 분사펌프(372)를 구비한다.
발효액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발효촉진제인데,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상 발효촉진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71)에는 발효액이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탱크(371)는 본체(310)의 외부 일측 또는 구동실(311) 내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발효액의 소진시 보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373)은 저장탱크(371)로부터 발효액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일부구간이 교반회전축(341)과 연장로드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연결관(373)은 연장로드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로드의 단부에 상기 분사노즐(374)이 연결관(373)과 연통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다.
분사노즐(374)은 상기 교반날개(342)의 접촉면과 돌출돌기를 향해 발효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발효액이 분사되는 분사구(377)가 형성된 노즐바디(374)와, 노즐바디(374)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구(377)를 개폐하는 승강개폐부재(376)를 포함한다.
노즐바디(374)는 상기 연결관(373)의 관로와 연통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단부에 분사구(377)가 형성되어 있어서, 통로를 통과한 발효액은 상기 분사구(377)를 통해 교반날개(342)로 분사된다.
상기 승강개폐부재(376)는 분사구(377)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바디(374)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교반회전축(341)의 회전에 의해 교반날개(342)가 교반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할 때, 중력에 의해 승강개폐부재(376)가 통로상에서 승강되어 분사구(377)를 개폐하게 된다. 즉, 교반날개(342)가 하방을 향하고 있을 때에는 중력에 의해 승강개폐부재(376)가 분사구(377)를 향해 이동하여 분사구(377)를 폐쇄시켜, 분사노즐(374)을 통한 발효액의 분사를 차단한다. 반대로 교반날개(342)가 교반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승강개폐부재(376)가 분사구(377)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분사구(377)를 개방하여 발효액의 분사가 가능케 한다.
이렇게 승강개폐부재(376)가 교반날개(342)의 위치에 따라 분사구(377)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342)가 상방을 향하고 있을 때, 즉 교반날개(342)가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기 전에 교반날개(342)와 돌출돌기에 발효액을 분사하고, 교반날개(342)와 돌출돌기가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해 있을 때에는 발효액의 분사를 차단함으로써 발효액의 효율적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돌출돌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와의 접촉면적을 넓어지게 하여 발효액의 투입영역을 넓혀 신속한 발효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110; 제1 본체
120; 제2 본체
130; 이송관
131; 이송스크류
140; 제1 구동부
150; 원심분리기
170; 교반부
180; 가열수단
190; 배출유닛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제2 건조발효실(315)과, 상기 제2 건조발효실(315)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 건조 및 발효될 수 있는 소정의 시간동안 신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면서 예비 건조 및 발효되는 제1 건조발효실(314)을 포함하는 본체(310)와;
    상기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의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제2 건조발효실(315)과 상기 본체(3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이송부(320)와;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340)와;
    상기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을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발효가 용이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350); 및
    상기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에는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공(3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공(319)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 제거와 탈취를 위해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36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용 수거통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본체(310)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부(330)를 더 구비하되,
    상기 투입부(330)는 상기 본체(3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단이 투입구(317)를 향해 만곡지게 연장된 절곡부분을 갖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331)과,
    상기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용 수거통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이동대차(333)와,
    상기 가이드레일(331)과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가이드롤러(336)가 마련되어 있는 유압액튜에이터(335)와,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333)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롤러(336)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본체(3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유압액튜에이터(335)의 구동으로 상기 피스톤로드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이동대차(333)를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상방으로 견인하는 연결와이어(3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3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340)는 상기 제1, 제2 건조,발효실(314,3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회전축(341)과, 상기 교반회전축(341)이 회전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312)와, 상기 교반회전축(341)에 설치되며, 교반회전축(341)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의 반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342)와,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교반날개(342)의 교반면 상에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돌기를 포함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촉진을 위해 발효용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발효액이 저장된 저장탱크(371)와, 저장탱크(371)로부터 상기 교반회전축(341)과 연장로드의 내부를 통해 상기 발효액이 이송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연결관(373)과, 상기 연결관(37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돌기를 향해 상기 발효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74)과, 상기 저장탱크(371)에 저장된 발효액이 연장관과 분사노즐(374)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발효액을 펌핑하는 분사펌프(372)를 포함하는 발효액 분사부(37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분사노즐(374)은 발효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단에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바디(374)와, 상기 노즐바디(374)의 내부에 중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374)이 발효액을 분사하는 교반날개(342)가 상기 교반회전축(341)을 중심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을 때에는 분사구를 향해 하강하여 상기 분사구를 차단하고, 상기 교반날개(342)가 상기 교반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있을 때에 분사구를 개방하여 상기 발효액이 분사되게 하는 승강개폐부재(3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300).
KR1020100063446A 2010-07-01 2010-07-01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KR10120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46A KR101209789B1 (ko) 2010-07-01 2010-07-01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46A KR101209789B1 (ko) 2010-07-01 2010-07-01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68A KR20120002768A (ko) 2012-01-09
KR101209789B1 true KR101209789B1 (ko) 2012-12-07

Family

ID=4560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446A KR101209789B1 (ko) 2010-07-01 2010-07-01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65B1 (ko) 2021-04-27 2021-10-12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하수처리장의 하수협잡물 발효건조장치 및 방법
KR200495183Y1 (ko) * 2021-12-16 2022-03-24 최교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27370A (ko) 2021-08-18 2023-02-28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유기성 폐기물 처리 악취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341B1 (ko) * 2013-12-12 2015-04-08 주식회사 에코카리스 음식물폐기물 재활용 사료 및 퇴비의 산업생산 제조장치
KR101672677B1 (ko) 2016-04-18 2016-11-04 김상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83460B1 (ko) * 2018-07-13 2020-03-03 (주) 지엘플러스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951B1 (ko) * 1996-05-28 1999-10-01 김종대 음식물 찌거기의 발효 및 오수처리장치
JP2004136169A (ja) * 2002-10-16 2004-05-13 Aizawa Seisakusho:Kk 複動式連続生ご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951B1 (ko) * 1996-05-28 1999-10-01 김종대 음식물 찌거기의 발효 및 오수처리장치
JP2004136169A (ja) * 2002-10-16 2004-05-13 Aizawa Seisakusho:Kk 複動式連続生ごみ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65B1 (ko) 2021-04-27 2021-10-12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하수처리장의 하수협잡물 발효건조장치 및 방법
KR20230027370A (ko) 2021-08-18 2023-02-28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유기성 폐기물 처리 악취 제거 장치
KR200495183Y1 (ko) * 2021-12-16 2022-03-24 최교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68A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78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CN102836866B (zh) 固液分离便器及固液分离处理系统
CN110328219B (zh) 一种厨余预处理回收装置及厨余预处理回收的方法
CN210546973U (zh) 一种厨余预处理回收装置
JP4405531B2 (ja) 乾燥装置
KR10122287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3154B1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CN110713397A (zh) 一种易腐垃圾处理装置
CN106345793A (zh) 生活垃圾资源化处理设备
CN103212564A (zh) 食物垃圾处理装置
KR10126145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CN104831792B (zh) 智能厕所
KR1013516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4326B1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발효기
CN107353045A (zh) 一种家用小型剩饭剩菜转化为植物肥料装置
CN2435392Y (zh) 厨房垃圾生物处理机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203253709U (zh) 食物垃圾处理装置
KR10106495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6843184U (zh) 一种污水处理中的厌氧预处理装置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70079907A (ko) 연속처리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31477B1 (ko) 음식 폐기물 열풍 건조기
JP4155789B2 (ja) 汚泥乾燥装置
CN114273381B (zh) 一种厨余垃圾源头处理设备及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