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577B1 -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577B1
KR101209577B1 KR1020107027087A KR20107027087A KR101209577B1 KR 101209577 B1 KR101209577 B1 KR 101209577B1 KR 1020107027087 A KR1020107027087 A KR 1020107027087A KR 20107027087 A KR20107027087 A KR 20107027087A KR 101209577 B1 KR101209577 B1 KR 10120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function
holding device
function holding
web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588A (ko
Inventor
요시코 스에다
마사시 토야마
코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3Click to di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57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using an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36Signalling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3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the content carried by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92Charging for signaling or unsuccessful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에 기억되는 점포 ID를 웹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댁외 접속처 정보를 취득하여, 웹 단말을 거쳐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댁외 접속처 정보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댁외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IP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댁내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해서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한 후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통지된 댁외 접속처 정보를 사용해서 점포에 발신하고, 그후, 전화장치와 점포의 접속을 확립한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ALL CONTROL SERVER DEVICE, AND CALL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각종 통신을 행하는 댁내장치와 IP 통신기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IP 통신기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댁외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브로드밴드의 보급 등에 의해, 웹 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 페이지를 열람하는 이용자가 증가되어 왔다. 이들 웹 페이지는, 검색이 용이하고, 정보량이 풍부한 것 등 다양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비즈니스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즈니스에서의 이용예의 한가지로서, 웹 페이지에 기재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제 점포의 이용 예약이나 상품의 주문 등을 행하는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 10-336349호 공보)에서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발신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전화) 발신을 행할 수 있는 Click-To-Dial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화기에의 발신 기능을 갖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전용 웹 브라우저를 인스톨한 PC과 해당 PC에 접속되는 전화기 A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이용자는, 인터넷 등의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를 하고 싶은 점포 등의 전화번호를 입수하고, 입수한 전화번호를 전용 웹 브라우저의 「전화번호」 입력 영역에 입력해서 「발신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전용 웹 브라우저는, 접속되는 전화기 A에 발신하고, 해당 전화기 A에 대해 이용자가 응답하면(온후크하면),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통화 발신한다.
일본국 특개평 10-336349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전용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고 하는 과제와, 이용자의 수고가 많이 들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PC에서 전화 발신을 행하기 위한 전용의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PC에 사전에 인스톨해 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발신 버튼」 클릭이라고 하는 동작으로 통화(전화) 발신을 행하기는 하지만, 발신처의 전화번호는 이용자가 손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령 사전에 설정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주소 변경이나 입력 오류 등의 인적 요인에 의해 반드시, 올바른 설정으로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잘못 거는 것 등을 방지 할 수 없고, 이용자의 수고가 많이 들어, 이와 같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종 통신을 행하는 댁내장치와 IP 통신기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IP 통신기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댁외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댁내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IP 통신기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댁내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댁외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댁외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외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댁외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댁내장치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댁외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장치 ID를 상기 댁내장치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수단과, 상기 액세스 응답수단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댁내장치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통지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댁외 접속처 정보를 상기 댁외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댁외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액세스 응답수단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댁내장치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댁내장치의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댁내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특정하는 댁내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댁내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IP 통신기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IP 통신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댁외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댁외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댁외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댁외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IP 통신기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댁외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통신을 행하는 댁내장치와 IP 통신기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댁내장치에 대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장치와, 상기 콘텐츠를 고객에 대해 권유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를 댁내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웹 서버장치에 제공되는 콘텐츠에 콘텐츠 정보를 게재하는 댁외장치와, 상기 IP 통신기와 댁외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장치는, 상기 댁내장치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친 리다이렉트(redirect)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댁내장치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상기 댁외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댁외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외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댁외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콘텐츠에 제공되는 장치 ID가 상기 댁내장치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댁외 접속처 정보를 상기 댁외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댁내장치를 통한 리다이렉트로, 상기 취득한 댁외 접속처 정보를 호 제어 서버장치에 통지하는 댁외 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는, 상기 댁내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IP 통신기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댁내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댁외 접속처 정보가 댁내장치를 거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해당 댁외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댁내장치에 의해 부가된 댁내장치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댁내 접속처 정보를 상기 댁내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댁내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댁내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IP 통신기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IP 통신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댁외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댁외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댁외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IP 통신기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댁외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액세스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등의 장치 정보를 클릭하는 것 만으로, 해당 광고를 게재한 댁외장치에 전화 발신할 수 있는 결과,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IP 통신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웹 사이트로부터의 음성을 이용한 문의에 있어서, 웹 사이트로부터의 문의인 것을 점포측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전화에 의한 웹 상의 어필리에이트 모델(affiliate model)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웹 서버에 블로그 파트(widget)(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댁외장치(점포)에서는, 어떤 블로그(콘텐츠)를 열람한 유저가 전화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결과, 고객의 확보 등, 고객에 대해 효과적인 유치 및 권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댁외 정보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댁내 정보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6a은, 점포 ID를 부가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발신 확인으로서 웹 단말에 표시되는 웹 사이트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댁외 접속처 정보를 직접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송신할 때에, SAML 등의 증명서를 사용해서 통지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부가되는 SAML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SAML에 기재되는 서명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웹 단말에 액세스된 블로그를 기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웹 단말에 액세스된 블로그가 PV된 회수를 기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블로그에 있어서 클릭된 점포와 일시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블로그마다 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실제로 선택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점포마다 실제로 선택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선택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발신처와 착신처를 기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블로그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점포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전화장치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블로그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점포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전화장치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접속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요한 용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의 흐름을 순서대로 설명하고, 최후에 본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용어의 설명]
처음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요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청구범위에 기재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일례이다)」는, 웹 단말과 전화장치와 HGW(Home Gateway)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검색 사이트 등의 각종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통신에 의한 통신 제어를 행하는 SIP 프록시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사이트에 점포의 정보를 게재해서 고객을 권유하는 점포(점포의 전화장치)가 서로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웹 단말(청구범위에 기재된 「댁내장치」의 일례이다)」이란, 인터넷 등의 통신을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행하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장치이다. 「전화장치(청구범위에 기재된 「IP 통신기」의 일례이다)」란, VoIP 전화기 등의 텐키를 구비하고, 다이얼 신호에 의해 상대방을 지정해서 통화 접속을 행하는 전화기나 소프트 폰이며, 더구나, 리모트 콘트롤 등을 구비한 웹 브라우저 탑재 텔레비전이어도 된다. 또한, 「HGW」란, IP 어드레스로서 「192.168.1.1」과, SIP-URI(Session Initiation Protocol-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서 「0422xx@xxx.co.jp」가 설정되어 있는 댁내 네트워크 및 댁외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장치이며, 어드레스 변환이나 데이터의 바꿔놓기 등을 행함으로써 정보가전을 상호접속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과 댁내 네트워크 사이에 배치되고, 홈 라우터, 프로토콜 변환, 파이어월, 파이어월의 룰 동적 변경 등의 기능과 방송 수신 기능 등의 셋탑 박스를 갖는다. 즉, 웹 단말이나 전화장치는, HGW를 거침으로써,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때, 댁내 네트워크의 각 장치(정보가전) 사이는, 가전 표준화 기술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접속되어 있어, 상기한 장치 이외에도, 하드디스크 레코더나 웹 브라우저 탑재 텔레비전 등의 다양한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장치는, 외부의 네트워크와 통신을 행할 때에는, HGW를 거쳐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웹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와 웹 통신을 행하는 경우, 웹 단말은, HGW에서 NAT 변환 등이 실시되어, HGW에 설정되어 있는 「192.168.1.1」의 IP 어드레스로 서비스 제공 서버에 통신을 행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IPV4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IPV6에서도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리픽스(prefix)를 사용한 표기(예를 들면, 192.168.1.0/24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청구범위에 기재된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의 일례이다)」란, 네트워크를 거쳐 접수한 액세스에 대하여, 다양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검색 사이트, 뉴스 사이트, 음악 사이트 등의 웹 사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청구범위에 기재된 「호 제어 서버장치」의 일례이다)」란, 복수의 장치 사이를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사용해서 접속하는 장치이다.
또한, 「점포(청구범위에 기재된 「댁외장치」의 일례이다)」란, 고객에 대해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예를 들면, 바아, 레스토랑, 자동차 판매 등)의 광고를 서비스 제공 서버의 웹 사이트에 게재함으로써 고객을 확보한다. 예를 들면, 「점포」는, 고객에 대해 행하는 서비스로서 「점포명, 주소, 전화번호, 서비스(마음껏 마시는데 3000엔)」 등이라고 하는 광고를 서비스 제공 서버의 웹 사이트에 게재한다. 그리고, 고객은, 웹 단말을 사용해서 해당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는 여러가지 광고를 열람하여, 자신의 요건에 일치하는 점포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
다음에, 도 1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다. 이 통신 제어 시스템은, 상기한 것과 같이, 웹 단말과 전화장치와 HGW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프록시 서버와, 점포와 서로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은,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전화장치와,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점포를 접속하는 것을 개요로 하는 것으로, 특히,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때, 댁내 네트워크에는, 웹 단말, 전화장치, 다른 네트워크와의 각종 통신을 제어하는 HGW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 주된 특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댁내 정보 DB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댁내 정보 DB은,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IP 어드레스」,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로서 「192.168.1.1, 0422xx@example.co.jp」 등으로 기억한다. 이때, 여기에서는, 식별자로서 IPV4에 있어서의 완전히 일치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IPv6에 있어서의 전방 일치나 상관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경우나 미리 할당한 유저 ID 등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점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점포 ID(청구범위에 기재된 「장치 ID」의 일례이다)와 해당 점포에 관한 장치 정보를 대응시켜 댁외 정보 DB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댁외 정보 DB은, 장치 ID로서 『점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점포 ID」』에 대응시켜, 장치 정보를 표시하는 『댁외장치의 「SIP-URI」』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댁외 정보 DB은, 「점포 ID, SIP-URI」으로 「11111, 031234567@ntt.co.jp」 등으로 기억한다. 이때, 여기에서 기억되는 점포 ID는, 웹 사이트의 이용을 희망하는 점포로부터의 신청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가 미리 고유하게 부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에 기억되는 점포 ID를 웹 단말에 송신한다(도 1의 (1)~(2) 참조). 상기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웹 단말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브라우저가 기동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의 URL 등이 입력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댁외 정보 DB에 기억되는 점포 ID 「11111」을 부가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를 웹 단말에 응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응답하는 웹 사이트는, 상기한 점포 ID 「11111」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점포 ID가 마찬가지로 부가되어 있다. 즉, 이 웹 사이트는, 일반적인 검색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광고가 표시되어 있고, 그 광고 각각 상기한 장치 정보가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된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점포 ID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를 댁외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해서 취득하고, 웹 단말을 거쳐, 취득한 장치 정보를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도 1의 (3)~(5)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복수의 광고 중에서, 점포 ID 「11111」을 부가한 광고가 웹 단말에 의해 클릭된 경우, 해당 클릭된 점포 ID 「11111」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 「SIP-URI=031234567@ntt.co.jp」을 댁외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하고,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 이 리다이렉트시에, 웹 단말(HGW)의 IP 어드레스가 부가되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SIP-URI 「031234567@ntt.co.jp」와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 「192.168.1.1」을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하게 된다.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해당 장치 정보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해당 웹 단말의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댁내 정보 DB로부터 특정한다(도 1의 (6)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SIP-URI 「031234567@ntt.co.jp」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하여, 해당 웹 단말의 SIP-URI 「0422xx@example.co.jp」을 댁내 정보 DB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한다(도 1의 (7)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SIP-URI 「0422xx@example.co.jp」(전화장치)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행하고, 그후,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온후크 등)을 발신처(전화장치)로부터 접수한다.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에 의해 특정된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한다(도 1의 (8)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통지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점포 ID=11111이 할당된 점포)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행하고, 그후,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온후크 등)을 발신처(점포)로부터 접수한다.
그후,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점포에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댁외장치를 접속한다(도 1의 (9)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점포에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점포의 접속을 확립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액세스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댁외 정보)를 클릭하는 것 만으로, 해당 광고를 게재한 점포에 전화 발신할 수 있는 결과, 상기한 주된 특징처럼,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다.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
다음에, 도 2를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낸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다. 이때, HGW와 웹 단말과 전화장치와 점포는, 일반적인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기능을 갖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프록시 서버에 대해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통신 제어 I/F부(11)와, 기억부(12)와, 제어부(20)를 갖는다. 통신 제어 I/F부(11)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각종 정보에 관한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통신 제어 I/F부(11)는, 댁내 네트워크의 웹 단말로부터 HGW을 거쳐 웹 액세스를 접수하거나, 웹 단말에 대해 HGW을 거쳐 웹 사이트를 송신하거나, SIP 프록시 서버(30)에 대해 SIP-URI를 통지한다.
기억부(12)는, 각종 통신에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나 제어부(20)에 의한 각종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동시에,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댁외 정보 DB(13)을 갖는다. 댁외 정보 DB(13)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점포 ID」, 점포명을 표시하는 「점포명」, 점포가 속하는 「카테고리」, 점포의 「주소」, 점포의 「SIP-URI」』로서 「11111, 점포A, 레스토랑, 무사시노시 키치죠우지 XXX, 031234567@ntt.co.jp」 등으로 기억한다. 이때, 여기에서 기억되는 점포 ID는, 웹 사이트의 이용을 희망하는 점포로부터의 신청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가 미리 고유하게 부여한다. 또한, 상기한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댁외 정보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0)는, OS(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 프로그램, 각종의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한 프로그램 및 소요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는 동시에,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액세스 응답부(21)와, 댁외 정보 취득부(22)를 갖고, 이것들에 의해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액세스 응답부(21)는,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13)에 기억되는 점포 ID를 웹 단말에 송신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세스 응답부(21)는, 웹 단말로부터 웹 브라우저에 의한 액세스를 접수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13)에 기억되는 점포 ID 「11111」을 부가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를 웹 단말에 응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응답하는 웹 사이트는, 상기한 점포 ID 「11111」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점포 ID가 마찬가지로 부가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이 웹 사이트는, 일반적인 검색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광고가 표시되어 있고, 그 광고 각각에 상기한 장치 정보가 부가되어 있게 된다.
댁외 정보 취득부(22)는, 송신된 점포 ID가 댁내장치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점포 ID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를 댁외 정보 DB(13)로부터 취득하고, 댁내장치를 거쳐 SIP 프록시 서버(30)에 통지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댁외 정보 취득부(22)는, 송신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복수의 광고 중, 점포 ID 「11111」을 부가한 광고가 웹 단말에 의해 클릭된 경우, 해당 클릭된 광고의 점포 ID가 웹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해당 송신된 점포 ID 「11111」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 「SIP-URI=031234567@ntt.co.jp」을 댁외 정보 DB(13)로부터 특정한다. 이어서, 댁외 정보 취득부(22)는, 특정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로서,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SIP 프록시 서버(30)에 통지한다.
(SIP 프록시 서버의 구성)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SIP 프록시 서버(30)는, 통신 제어 I/F부(31)와, 기억부(32)와, 제어부(40)를 갖는다. 통신 제어 I/F부(31)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각종 정보에 관한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통신 제어 I/F부(31)는,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SIP-URI나 IP 어드레스를 접수하거나,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나 점포와 SIP에 의한 통신을 제어한다.
기억부(32)는, 각종 통신에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나 제어부(40)에 의한 각종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동시에,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댁내 정보 DB(33)을 갖는다. 댁내 정보 DB(33)은, 댁내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댁내 정보 DB(33)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IP 어드레스」,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로서 「192.168.1.1, 0422xx@example.co.jp」 등으로 기억한다. 이때, 상기한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임의로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댁내 정보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는, OS(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 프로그램, 각종의 처리 절차를 규정한 프로그램 및 소요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는 동시에, 특히 본 발명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댁내 정보 특정부(41)와, 제1 발신부(42)와, 제2 발신부(43)와, 접속부(44)를 갖고, 이들에 의해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댁내 정보 특정부(41)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장치 정보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장치 정보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해당 웹 단말의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댁내 정보 DB(33)로부터 특정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댁내 정보 특정부(41)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SIP-URI 「031234567@ntt.co.jp」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 「192.168.1.1」에 대응하는 SIP-URI 「0422xx@example.co.jp」을 댁내 정보 DB(33)로부터 특정한다.
제1 발신부(42)는, 댁내 정보 특정부(41)에 의해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발신부(42)는,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하여, 해당 SIP-URI 「0422xx@example.co.jp」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통신 제어 I/F부(31)를 거쳐 행한다. 그후, 제1 발신부(42)는, 예를 들면, 온후크 등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을 발신처(전화장치)로부터 통신 제어 I/F부(31)를 거쳐 접수한다.
제2 발신부(43)는, 제1 발신부(42)에 의해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댁외 정보 취득부(22)에 의해 특정된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댁외장치에 대해 발신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발신부(43)는, 제1 발신부(42)에 의해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특정되어 통지된 댁외장치(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통신 제어 I/F부(31)를 거쳐 행한다. 그후, 제2 발신부(43)는, 예를 들면, 온후크 등의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을 발신처(점포)로부터 통신 제어 I/F부(31)를 거쳐 접수한다.
접속부(44)는, 발신된 댁외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댁외장치를 접속한다.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부(44)는, 발신된 점포에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제1 발신부(42)에 의해 발신된 전화장치와 제2 발신부(43)에 의해 발신된 점포를 접속한다. 또한, 접속부(44)는, 취득한 전화번호에 근거하고, 3rd 파티 콜(RFC3725)을 사용함으로써, 점포와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를 접속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44)는, 점포의 전화번호(예를 들면, SIP-URI 등)와,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의 전화번호(예를 들면SIP-URI 등)를,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수신한다. 그 결과, 접속부(44)는,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인식할 수 있고, 웹 사이트에 액세스해서 점포를 클릭한 웹 단말이 접속되는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나 해당 점포에 대해,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전화번호(SIP-URI)를 발신 번호로서 발신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시스템에 의한 처리]
다음에, 도 5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는, 전원이 ON으로 된 타이밍이나 REGISTER의 유효 기한이 끝난 타이밍에 의해, HGW을 거쳐, SIP 프록시 서버(30)에 대해 SIP 통신에 있어서의 「REGISTER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101). 이 「REGISTER 메시지」를 접수한 SIP 프록시 서버(30)는, HGW에 의해 해당 REGISTER 메시지에 부가된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의 SIP-URI를 대응시켜 댁내 정보 DB(33)에 격납하고, 전화장치에 대해 「200 OK 메시지」의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02와 스텝 S103).
이때, 여기에서는, SIP 프록시 서버(30)는, SIP 통신의 「REGISTER 메시지」를 접수한 경우에,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의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관리자 등에 의해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그후, 웹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액세스한다(스텝 S104). 액세스를 접수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접수한 액세스의 응답으로서, 댁외 정보의 점포 ID가 부여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를 송신한다(스텝 S105와 스텝 S106).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를 접수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댁외 정보 DB(13)에 기억되는 점포 ID를 부가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를 웹 단말에 응답한다. 이때, 도 6a은, 점포 ID를 부가한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의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웹 단말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신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107).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해당 선택된 광고(점포 ID)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를 댁외 정보 DB(13)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08).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송신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복수의 광고 중, 점포 ID 「11111」을 부가한 광고가 웹 단말에 의해 클릭된 경우, 해당 클릭된 점포 ID 「11111」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 「11111, 점포A, 레스토랑, 무사시노시 키치죠우지 XXX, 031234567@ntt.co.jp」을 댁외 정보 DB(13)로부터 특정한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점포에의 발신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웹 단말에 송신하고, 도 6b에 있어서의 「OK」이 클릭되면, SIP-URI 「031234567@ntt.co.jp」을 점포의 장치 정보로서 취득한다. 이때, 도 6b는, 발신 확인으로서 웹 단말에 표시되는 웹 사이트의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웹 단말을 거쳐, 스텝 S108에서 취득한 SIP-URI를 SIP 프록시 서버(30)에 통지한다(스텝 S109와 스텝 S110).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30)는, 발신한다는 취지를 웹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11).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취득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을, 웹 단말을 거쳐 SIP 프록시 서버(30)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장치 정보인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은, 웹 단말로부터 리다이렉트해서 SIP 프록시 서버(30)에 통지되기 때문에,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 「192.168.1.1」이 HGW에 의해 부가되어 통지되게 된다.
그러면, SIP 프록시 서버(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통지된 SIP-URI에 부가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해당 댁내장치의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댁내 정보 DB(33)로부터 특정한다(스텝 S112).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통지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에 부가되어 있는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하여, 해당 SIP-URI 「0422xx@example.co.jp」을 댁내 정보 DB(33)로부터 특정한다.
그후, SIP 프록시 서버(30)는, 특정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통지된 SIP-URI를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한다(스텝 S113~스텝 S117).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30)는, 발신된 점포에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점포를 접속한다(스텝 S118과 스텝 S119).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30)는, 특정한 전화장치의 SIP-URI 「0422xx@example.co.jp」을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30)는, 해당 전화장치로부터 「200 OK」을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통지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을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30)는, 발신된 점포로부터 「200 OK」을 수신한 경우에, 전화장치와 점포 사이의 SIP 통신을 확립한다. 이때, 전화장치 및 점포에 발신될 때에는, 양쪽 모두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화번호로 발신되게 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 및 SIP 프록시 서버(30)는, 과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로그 정보 등을 취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스텝 S108의 뒤에, 선택된 점포 ID에 관한 로그를 취득함으로써, 선택된 점포 ID를 계수하여, 선택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30)는, 스텝 S110의 뒤에, 발신 지시가 행해진 점포 ID에 관한 로그를 취득함으로써, 발신 지시된 점포 ID를 계수하여, 발신 지시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30)는, 스텝 S112의 뒤에, 실제로 발신된 점포 ID에 관한 로그를 취득함으로써, 발신된 점포 ID를 계수하여, 발신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스텝 S108의 뒤에, 『선택된 「일시」, 선택된 점포의 「SIP-URI」』을 로그로서 취득하고, 이 「SIP-URI」를 계수함으로써, 선택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30)는, 스텝 S110의 뒤에, 『발신 지시된 「일시」, 발신 지시된 점포의 「SIP-URI」』을 로그로서 취득하고, 이 발신 지시된 「SIP-URI」를 계수함으로써, 발신 지시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IP 프록시 서버(30)는, 스텝 S112의 뒤에, 『실제로 발신된 「일시」, 실제로 발신된 점포의 「SIP-URI」』을 로그로서 취득하고, 이 실제로 발신된 「SIP-URI」를 계수함으로써, 발신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 이외의 로그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스텝 S105의 뒤에, 『유저에게 응답되었다(유저에 의해 선택된) 「일시」, 응답된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URL」』을 로그로서 취득하고, 이 응답된 「URL」을 계수함으로써, 실제로 응답된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30)는, 스텝 S119의 뒤에, 『접속이 확립된 「일시」, 접속의 발신처를 표시하는 「점포의 SIP-URI」, 접속의 착신원을 표시하는 「전화장치의 SIP-URI」』을 로그로서 취득하고, 이 접속이 확립된 회수를 계수함으로써, 접속 회수에 따른 과금 등을 점포에 청구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효과]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점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점포 ID와 점포에 관한 장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점포 ID를 포함하는 광고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를 웹 단말에 송신하고, 송신된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점포 ID에 대응하는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점포와 접속하기 위한 SIP-URI를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송신된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점포 ID를 선택한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SIP-URI를 특정하고, 특정된 SIP-URI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생성된 SIP-URI를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하고, 발신된 점포에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전화장치와 점포의 접속을 확립하므로, 유저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액세스한 웹 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댁외 정보)를 클릭하는 것 만으로, 해당 광고를 게재한 점포에 전화 발신할 수 있는 결과,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유저는, 웹 단말을 사용해서 액세스한 웹 사이트의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광고에 의해 표시되는 점포에 전화 발신할 수 있는 결과,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전화 발신을 행하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는 틀린 사람에의 발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전화 발신을 행하고 있음으로써, 점포는, 유저가 어떤 웹 사이트로부터 액세스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유저에게 있어서는, 발신처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알리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종래, 예를 들면, 페이지의 작성 대행이나 검색 포털, 어필리에이트 등 점포로부터의 의뢰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그 수법에 대해서 일례를 들면, 쿠폰을 사용하게 하거나, ○○을 보고 있다고 구두로 전하게 하는 것 등의 행위에 의해, 그 사이트를 보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수법이 있다. 이와 같이 이용자에게 의존하는 확인수단으로는, 광고효과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해, 확실하게 효과를 취득할 수 있다.
[실시예 2]
그런데, 실시예 1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점포의 SIP-URI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수법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는 다른 수법으로, 웹 단말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점포의 SIP-URI를 송신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웹 단말을 거치지 않고, SIP 프록시 서버에 직접 송신하는 경우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통지할 때에,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등의 증명서를 사용해서 송신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해, 시퀀스 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직접 송신하는 경우의 시퀀스)
우선, 도 7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웹 단말을 거치지 않고, SIP 프록시 서버에 직접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장치 정보를 직접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이때, 이 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프록시 서버는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장치라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점포에 SIP-URI 등을 기억하는 댁외 정보 DB을 갖고, SIP 프록시 서버는, 댁내 네트워크의 SIP-URI 등을 기억하는 댁내 정보 DB을 갖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SIP 프록시 서버는,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의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해 웹 사이트를 응답하고, 웹 단말로부터 선택된 점포 ID에 대응하는 SIP-URI를 취득한다(스텝 S201~스텝 S208).
그후, 실시예 1과는 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로부터 접수한 액세스시에, 웹 단말의 액세스 요구시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취득한 SIP-URI에 부가하고, 웹 단말을 거치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SIP 프록시 서버에 직접 송신한다(스텝 S209). 그후의 처리인 스텝 S210~스텝 S218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스텝 S111~스텝 S119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장치 사이에서만, SIP-URI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결과, SIP-URI의 누출이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시큐리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명서를 부가해서 송신하는 경우의 시퀀스)
다음에, 도 8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송신할 때에, SAML 등의 증명서를 사용해서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송신할 때에, SAML을 사용해서 통지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SIP 프록시 서버는, 웹 단말의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의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해 웹 사이트를 응답하고, 웹 단말로부터 선택된 점포 ID에 대응하는 SIP-URI를 특정한다(스텝 S301~스텝 S308).
그후, 실시예 1과는 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특정한 SIP-URI에 SAML을 부가하고,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SIP 프록시 서버에 송신한다(스텝 S309와 스텝 S310). 그러면, SIP 프록시 서버는, 수신한 SIP-URI에 부가된 SAML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 다시 송신하고(스텝 S311), 해당 SAML이 정당한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 결과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다(스텝 S312).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SAML을 특정한 SIP-URI에 부가하여,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SIP 프록시 서버에 송신한다. 이 SAML에는,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도메인 정보, 발신자의 IP 어드레스, SIP 프록시 서버의 도메인 정보, 도 10에 나타낸 서명을 포함하는 점포의 전화번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SAML을 수신한 SIP 프록시 서버는, 수신한 SIP-URI에 부가된 SAML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 다시 송신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SAML 내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도메인 정보, 발신자의 IP 어드레스, SIP 프록시 서버의 도메인 정보 등을 판정함으로써, 자 장치가 통지한 SIP-URI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그 판정 결과를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해당 SIP-URI가 정당한 정보이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만(스텝 S313), 스텝 S314~스텝 S322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스텝 S314~스텝 S322의 처리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스텝 S111~스텝119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점포의 SIP-URI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SIP-URI의 누출이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시큐리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점포의 SIP-URI를 송신하는 경우에, SAML을 사용해서 SIP-URI의 누출이나 변조를 방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자서명 등 검증가능한 형식의 것이면, 어떤 정보라도 된다. 이때, 도 9는, 부가되는 SAML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SAML에 기재되는 서명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3]
그런데, 실시예 1과 2에서는, 점포 정보를 검색 사이트 등의 광고에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점포 정보를 각종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블로그 파트에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과 2에서 설명한 점포 정보를 각종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블로그 파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 처리의 흐름, 실시예 3에 의한 효과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실시예 3)]
우선, 도 11을 사용하여,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은, 댁내 네트워크와, 웹 단말에 대해 블로그를 제공하는 블로그 사이트와, 블로그에 게재되는 고객을 권유하기 위한 블로그 파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전화장치와 점포를 접속하는 SIP 프록시 서버가 접속되어 있다. 이때, 댁내 네트워크에는, 각종 통신을 행하는 웹 단말과, 다른 전화장치와 통화 접속하는 전화장치와, 다른 네트워크와의 각종 통신을 제어하는 HGW 등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통신 제어 시스템에 블로그 사이트가 1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시스템으로서는, 복수의 블로그 사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그 중에서, 여기에서는, 웹 단말이 도시되어 있는 블로그 사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블로그에 액세스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댁내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댁내 정보 DB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댁내 정보 DB은,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IP 어드레스」,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로서 「192.168.1.1, 0422xx@example.co.jp」 등으로서 기억한다. 이때, 여기에서는, 식별자로서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미리 할당된 유저 ID 등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로그 사이트는, 블로그 파트 ID와 점포 ID를 대응시켜 블로그 파트 DB에 기억한다. 이때, 블로그 파트 ID란, 자 장치가 제공하는 블로그에 표시되는 블로그 파트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또한, 점포 ID란, 해당 블로그 파트를 광고로서 제공하는 점포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구체적으로는, 블로그 사이트의 블로그 파트 DB은, 「블로그 파트 ID, 점포 ID」로서 「01, 11111」이나 「02, 22222」 등으로 기억한다. 이 예에서는, 블로그에 블로그 파트가 2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되지만, 블로그 파트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를 제공하는 유저 정보를 유저 정보 DB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의 유저 정보 DB은, 『블로그 사이트를 운영하는 유저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해당 블로거가 운영하는 블로그를 표시하는「블로그 URL」』로서 「aaaa, www.ntt.co.jp/~aaaa」나 「bbbb, www.ntt.co.jp/~bbbb」 등을 기억한다. 이때, 이 이외에도, 블로거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성명, 주소, 전화번호, 카드 번호」 등을 기억해도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블로그에 광고되고 있는 블로그 파트의 유저 정보(점포 정보)를 댁외 정보 DB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의 댁외 정보 DB은, 『블로그 파트를 이용하고 있는 점포를 식별하는 「점포 ID」, 해당 점포의 연락처를 표시하는 「SIP-URI」, 해당 점포 ID가 할당된 블로그 파트가 광고되고 있는 블로그를 표시하는 「블로그 URL」』로서 「11111, 031234567@ntt.co.jp, www.ntt.co.jp/~aaaa」 등을 기억한다. 이때, 이 이외에도, 점포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경영자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을 기억해도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블로그 사이트는,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블로그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하면서,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웹 단말에 블로그를 응답한다(도 11의 (1)~ (3) 참조). 상기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웹 단말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블로그 사이트가 제공하는 블로그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블로그 사이트는, 점포 ID=11111이 할당된 블로그 파트 「ID=01」 및 점포 ID=22222가 할당된 블로그 파트 「ID=02」가 표시되는 블로그를,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웹 단말에 제공한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점포 ID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장치 ID와, 송신된 블로그 사이트에의 액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대응시켜 블로그 액세스 DB에 기억한다(도 11의 (4) 참조).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로그 액세스 DB은, 블로그 사이트가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블로그를 웹 단말에 제공한 경우에, 웹 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RANDID)를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에 광고되고 있는 블로그 파트의 정보(점포 ID)와, 생성한 RANDID와, URI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는, 날마다 갱신되는 블로그 사이트의 어떤 상태에서 웹 단말에 액세스되었는지를, RANDID에 의해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된 블로그에 표시되는 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선택된 경우, 해당 선택된 블로그 파트에 대응하는 SIP-URI를 취득하고, 웹 단말을 거쳐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도 11의 (5)~ (7)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웹 단말은, 액세스한 블로그에 표시되는 「ID=01」의 블로그 파트를 클릭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클릭된 블로그 파트(점포 ID=11111)에 대응하는 SIP-URI(031234567@ntt.co.jp)을 상기한 댁외 정보 DB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단말을 통한 리다이렉트로, 취득한 대응하는 SIP-URI(031234567@ntt.co.jp)을 SIP 프록시 서버에 송신한다.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SIP-URI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해당 웹 단말의 댁내 접속처 정보를 댁내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한다(도 11의 (8)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SIP-URI 「031234567@ntt.co.jp」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하여, 해당 웹 단말의 SIP-URI 「0422xx@example.co.jp」을 댁내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한다(도 11의 (9)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IP 어드레스 「192.168.1.1」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SIP-URI 「0422xx@example.co.jp」(전화장치)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행한다. 그후, SIP 프록시 서버는, 예를 들면, 온후크 등의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을 발신처(전화장치)로부터 접수한다.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댁외 정보 DB에 의해 특정된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한다(도 11의 (10)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특정되어 통지된 점포의 SIP-URI 「031234567@ntt.co.jp」(점포 ID=11111이 할당된 점포)에 대해 SIP에 의한 발신을 행한다. 그후, SIP 프록시 서버는, 온후크 등의 해당 발신에 대한 응답을 발신처(점포)로부터 접수한다.
그후,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점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댁외장치를 접속한다(도 11의 (11) 참조). 상기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점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전화장치와 발신된 점포의 접속을 확립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은, 블로그 사이트에 광고되는 블로그 파트를 클릭한 경우에도, 해당 블로그 파트를 광고로서 게재하는 점포에 대해 전화 발신할 수 있는 결과,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제어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흐름(실시예 3)]
다음에, 도 12를 사용하여,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3에 관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댁내 네트워크의 전화장치는, 전원이 ON됨으로써SIP 프록시 서버에 대해 SIP 통신에 있어서의 「REGISTER 메시지」를, HGW을 거쳐 송신한다(스텝 S401). 이 「REGISTER 메시지」를 받은 SIP 프록시 서버는, HGW에 의해 해당 「REGISTER 메시지」에 부가된 IP 어드레스와 전화장치의 SIP-URI를 대응시켜 댁내 정보 DB에 격납한다(스텝 S402).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전화장치에 대해 「200 OK 메시지」의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403).
그후, 웹 단말은, 블로그 사이트가 제공하는 블로그에 액세스한다(스텝 S404). 액세스를 접수한 블로그 사이트는,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블로그 파트로서 광고되는 점포를 표시하는 점포 ID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한다(스텝 S405~스텝 S407).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점포 ID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장치 ID와 송신한 블로그 사이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블로그를 웹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408과 스텝 S409).
그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된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클릭된 블로그 파트 「점포 ID=11111」에 대응하는 SIP-URI(031234567@ntt.co.jp)을 상기한 댁외 정보 DB으로부터 취득하고, 웹 단말을 거친 리다이렉트로, SIP-URI(031234567@ntt.co.jp)을 SIP 프록시 서버에 송신한다(스텝 S410~스텝 S412).
이때, 여기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생성한 댁외 접속처 정보(SIP-URI)를, 웹 단말을 거쳐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하는 수법으로서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수법과 동일한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웹 단말을 거치지 않고, SIP 프록시 서버에 직접 송신하는 수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통지할 때에, SAML 등의 증명서를 사용한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법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은, 실시예 2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한다는 취지를 웹 단말에 송신하고(스텝 S413), 더구나, 해당 점포 ID를 선택한 웹 단말의 식별자인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댁내 접속처 정보 「SIP-URI:0422xx@xxx.co.jp」을 댁내 정보 DB으로부터 특정한다(스텝 S414).
그후, SIP 프록시 서버는, 특정된 SIP-URI 「0422xx@xxx.co.jp」을 사용해서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한다(스텝 S415).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한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스텝 S416),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통지된 SIP-URI 「03yyy@yyy.com」을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한다(스텝 S417).
이어서,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한 점포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스텝 S418), 발신한 전화장치와 발신한 점포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이 확립된 회수를 계수한다(스텝 S419~스텝 S421).
[각종 로그의 취득]
또한, 실시예 3에서는, 블로거나 점포에 대해 과금하기 위한 로그 등을 취득 할 수 있다. 즉, 어떤 블로그를 열람한 유저가 전화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결과, 집계한 회수(통화 접속, 발신 등)에 근거하여, 블로거에 대해 보수를 지불할 수 있어, 전화에 의한 웹 상의 어필리에이트 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각 스텝에 대응하여, 전화에 의한 웹 상의 어필리에이트 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취득하는 다양한 로그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 회수)
우선, 도 13~도 18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가, 블로그에 광고되는 블로그 파트(점포 ID)가 선택된 회수를 계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점포 ID를 수신한 경우에, 도 12의 스텝 S408에서, 블로그에의 액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자에 대응시켜 점포 ID나 블로그 URI 등을 기억한다. 여기에서 기억되는 정보는, 도 11에서 나타낸 블로그 액세스 DB에 정보를 격납할 때에,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블로그로부터 각종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취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텝 S405 후에,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생성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RANDID」, 점포 ID(블로그)을 송신한 블로그 사이트를 표시하는 「블로거 ID」, 점포 ID를 송신한 블로그의 상태를 식별하는 「블로그 URI」』로서 「11111e39564yu, aaaa, /20080508」등을 취득해서 기억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405 후에,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포 ID를 송신한 블로그 사이트를 표시하는 「블로거 ID」, 블로그 사이트로부터 점포 ID를 수신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해당 블로그에 광고되고 있는 블로그 파트의 수를 표시하는 「점포수」, 해당 블로그에 액세스된 회수를 표시하는 「PV수 (페이지 뷰 수)」』로서 「aaaa, 2008/05/08, 3, 2」 등을 취득해서 기억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4에 나타낸 「PV수」를 집계함으로써, 「PV수」에 따른 보수를 블로거에 대해, 지불할 수 있다. 이때, 도 13은, 웹 단말에 액세스된 블로그를 기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웹 단말에 액세스된 블로그가 PV된 회수를 기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텝 S410 후에,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된 블로그 파트가 광고되는 블로그를 표시하는 「RANDID」, 선택된 「일시」, 선택된 점포의 「SIP-URI」』을 로그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3에 나타낸 「블로거 ID」와, 도 13의 「RANDID」에 대응하는 도 15에 나타낸 「일시」와 「점포 ID」를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점포의 블로그 파트를 광고하는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해당 블로거 ID가 할당된 블로그 사이트를 웹 단말에 제공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해당 블로그 사이트가 제공하는 블로그에 광고되는 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클릭된 회수를 표시하는 「클릭 회수」』로서 「aaaa, 2008/05/08, 1」 등을 집계 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마다 클릭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15는, 블로그에 있어서 클릭된 점포와 일시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블로그마다 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실제로 선택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5에 나타낸 「일시」마다 도 15의 「점포 ID」를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릭된 점포를 표시하는 「점포 ID」, 당 점포가 클릭되었을 때의 블로그 사이트의 상태를 표시하는 「일시」, 해당 점포 ID(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클릭된 회수를 표시하는 「클릭 회수」』로서 「11111, 2008/05/08, 2」 등을 집계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점포마다 클릭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17은, 점포마다 실제로 선택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3에 나타낸 「블로거 ID」에 대응하는 「RANDID」마다, 도 15의 「점포 ID」를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점포의 블로그 파트를 광고하는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집계하는 기간을 표시하는 「기간」, 클릭된 점포를 표시하는 「점포 ID」, 해당 점포 ID(블로그 파트)가 웹 단말에서 클릭된 회수를 표시하는 「클릭 회수」』로서 「aaaa, 2008/05, 11111, 4」 등을 계수 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선택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할 수 있다. 이때, 도 18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선택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 회수)
다음에, 도 19~도 23을 사용하여, SIP 프록시 서버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점포에 발신한 회수나 전화장치에 발신한 회수를 계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실제로 발신한 회수, 점포마다 실제로 발신한 회수, 전화장치마다 실제로 발신한 회수,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발신한 점포와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2에 나타낸 S414 이후에,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블로그에의 액세스를 식별하기 위해 생성한 「RANDID」, RANDID를 생성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표시한 「From」, 자 장치에서 특정한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TO」』로서 「11111e39564yu, 2008/05/0810:00:53, 031234567@ntt.co.jp, 0422xx@example.co.jp」 등을 취득해서 기억한다. 이때, 도 19는, 발신처와 착신처를 기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정보를 기억하는 SIP 프록시 서버는,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RANDID」와 「일시」와 대응시켜 「From」을 계수하고, 해당 「RANDID」를 도 13에 나타낸 「블로거 ID」로 변환해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신한 점포의 블로그 파트가 게재되는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발신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발신한 회수를 표시하는 「발신 회수」』로서 「aaaa, 2008/05/08, 1」 등을 집계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발신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0은, 블로그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RANDID」와 「일시」와 대응시켜 「From」을 계수하고, 해당 「RANDID」를 도 15에 나타낸 「점포 ID」로 변환해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신한 점포를 식별하는 「점포 ID」, 발신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발신한 회수를 표시하는 「발신 회수」』로서 「11111, 2008/05/08, 2」 등을 집계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점포마다 발신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1은, 점포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From」과 「일시」와 대응시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신한 댁내장치의 전화장치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From」, 발신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발신한 회수를 표시하는 「발신 회수」』로서 「031234567@ntt.co.jp , 2008/05/08, 1」 등을 계수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전화장치마다 발신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2는, 댁내장치인 전화장치마다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RANDID」에 대응하는 「블로거 ID」를 도 13으로부터 특정하고, 「RANDID」를 「블로거 ID」로 변환한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From」과 「RANDID」의 대응과 일치하는 점포 ID를 도 15로부터 특정하고, 도 19의 「From」을 「점포 ID」로 변환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의 「일시」마다 「From」(도 15의 점포 ID)을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신한 점포의 블로그 파트가 게재되는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집계하는 기간을 표시하는 「기간」, 발신한 점포를 표시하는 「점포 ID」, 발신한 회수를 표시하는「발신 회수」』로서 「aaaa, 2008/05, 11111, 4」 등을 집계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발신한 점포와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3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발신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접속 회수)
다음에, 도 19와 도 24~도 27을 사용해서 SIP 프록시 서버가, 점포와 전화장치를 실제로 접속 확립한 회수를 계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 점포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 전화장치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접속한 점포와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RANDID」와 「일시」와 대응시켜 「From」을 계수하고, 해당 「RANDID」를 도 14에 나타낸 「블로거 ID」로 변환해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제로 통화 접속이 확립한 점포의 블로그 파트를 광고하고 있었던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접속 확립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접속 확립한 회수를 표시하는 「접속 회수」』로서 「aaaa, 2008/05/08, 1」 등을 계수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통화 접속 확립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4는, 블로그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RANDID」와 「일시」와 대응시켜 「From」을 계수하고, 해당 「RANDID」에 대응하는 「점포 ID」를 도 15에서 특정해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제로 통화 접속이 확립한 점포를 식별하는 「점포 ID」, 접속 확립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접속 확립한 회수를 표시하는 「접속 회수」』로서 「11111, 2008/05/08, 1」 등을 계수 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점포마다 통화 접속 확립한 회수를 계수할 수 있다. 이때, 도 25는, 점포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TO」가 존재하는 「From」과 「일시」와 대응시켜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제로 통화 접속이 확립한 전화장치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From」, 접속 확립된 일시를 표시하는「일시」, 접속 확립한 회수를 표시하는 「접속 회수」』로서 「031234567@ntt.co.jp , 2008/05/08, 1」 등을 계수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처의 전화번호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할 수 있다. 이때. 도 26은, 발신처의 전화번호마다 실제로 접속한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RANDID」에 대응하는 「블로거 ID」를 도 13으로부터 특정하고, 「RANDID」를 「블로거 ID」로 변환한다. 또한,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에 나타낸 「TO」가 존재하는 도 19에 나타낸 「From」과 「RANDID」의 대응과 일치하는 점포 ID를 도 15로부터 특정하고, 도 19의 「From」을 「점포 ID」로 변환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도 19의 「일시」마다 「From」(도 15의 점포 ID)을 집계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SIP 프록시 서버는,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제로 통화 접속이 확립한 전화장치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실제로 통화 접속이 확립한 점포의 블로그 파트를 광고하고 있었던 블로그 사이트를 식별하는 「블로거 ID」, 집계하는 기간을 표시하는 「기간」, 접속 확립한 점포를 표시하는 「점포 ID」, 접속 확립한 회수를 표시하는「접속 회수」』로서 「aaaa, 2008/05/08, 11111, 1」 등을 계수 할 수 있다. 그 결과, SIP 프록시 서버는,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접속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할 수 있다. 이때, 도 27은, 블로그마다 소정의 기간 내에서 실제로 접속한 점포와 회수를 집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식별자로서 RANDID를 사용함으로써, 블로그 파트를 언제 어디에서 표시했는지, 또한, 클릭, 발신, 착신 등의 각 페이즈(phase)까지 올바르게 행해졌는지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효과]
이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르면, 블로그 사이트는, 댁내장치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친 리다이렉트로, 블로그를 상기 댁내장치에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점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점포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블로그에 제공되는 장치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SIP-URI를 취득하고, 웹 단말을 통한 리다이렉트로, 취득한 SIP-URI를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한다. 그리고, SIP 프록시 서버는,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IP 통신기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SIP-URI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점포의 SIP-URI가 웹 단말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점포의 SIP-URI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IP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전화장치의 SIP-URI를 특정하고, 특정된 전화장치의 SIP-URI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동시에, 발신되어 전화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점포의 SIP-URI를 사용하여, 점포에 대해 발신하고, 발신된 점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전화장치와 점포의 접속을 확립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블로그 사이트에 블로그 파트를 제공하는 댁외장치(점포)에서는, 어떤 블로그를 열람한 유저가 전화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결과, 고객의 확보 등, 고객에 대해 효과적인 유치 및 권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로그가 웹 단말에 송신된 회수를 계수하므로, 블로그 열람 상황 등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적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블로그 열람 상황에 의해, 블로그를 제공하는 블로그 사이트에 대해 시스템의 이용료를 변경하거나, 또한, 고객을 권유하는 블로그의 레이아웃(디자인)이나 권유 수법 등의 변경에 유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점포 ID가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회수를 계수하므로, 블로그 파트 액세스 상황 등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적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고객을 권유하는 블로그 파트의 레이아웃(디자인)이나 권유 수법 등의 변경에 유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블로그 파트(점포)의 액세스 랭킹 등을 집계할 수 있는 결과, 고객의 권유 및 고객 니즈의 대응에 유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르면, SIP 프록시 서버는, 특정된 댁내 접속처 정보(SIP-URI)를 사용하여, 전화장치에 대해 발신된 회수를 계수하므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적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블로그나 블로그 파트(점포)의 액세스 상황 뿐만 아니라, 실제로 전화 발신되었는지 아닌지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르면, SIP 프록시 서버는, 발신된 점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전화장치와 점포의 접속이 확립된 회수를 계수하므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적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블로그나 블로그 파트(점포)의 액세스 상황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용되었는지 아닌지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블로그 파트(점포)의 이용 랭킹 등 고객 권유에 유용하게 할 수 있는 상세한 정보를 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도, 실시예 2와 동일한 수법으로, SAML이나 증명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한 댁외 접속처 정보(SIP-URI)를 SIP 프록시 서버에 통지함에 있어서, 해당 생성한 SIP-URI에 SAML 또는 증명서를 부가해서 통지하고, SIP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SAML 또는 증명서에 근거하여, 통지된 SIP-URI가 정당한 정보라고 인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SIP-URI가 통지될 때에 웹 단말에 의해 부가된 IP 어드레스로부터, 해당 전화장치의 SIP-URI를 댁내 정보 DB로부터 특정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SIP 프록시 서버에 웹 단말을 거쳐 점포의 SIP-URI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SIP-URI의 누출이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시큐리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그런데,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도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낸 것과 같이, (1) 서비스 형태, (2) 시스템 구성 등, (3) 프로그램으로 각각 구분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서비스 형태
예를 들면, 실시예 1과 2에서는, 웹 사이트의 광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실시예 3에서는, 블로그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댁외장치를 댁내 네트워크로부터 이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웹 상에서 점포 ID를 클릭한 경우에, 전화 접속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웹 상에서 점포 ID를 클릭한 경우에, 해당 점포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 탑재 텔레비전 등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점포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 탑재 텔레비전 등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 탑재 텔레비젼과 점포를 VPN을 사용해서 접속할 수도 있어, 시큐리티를 높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사용하는 IP 통신기란, 실시예에 기재한 전화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시스템 구성 등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프록시 서버를 별개의 하우징을 실현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비스 제공 서버와 SIP 프록시 서버를 같은 하우징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에서, 자동적으로 행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예를 들면, SIP 프록시 서버에서의 IP 어드레스와 SIP-URI의 격납 처리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또는, 수동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으로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 이외에,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서 나타낸 처리 절차, 제어 절차, 구체적 명칭,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예를 들면, 도 3, 도 4, 도 6a, 도 6b, 도 13~도 27 등)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의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예를 들면, 제1발신부와 제2발신부를 통합하거나, SIP 프록시 서버에 의한 IP 어드레스 등록 처리 부분을 외부에 설치하거나 하는 것 등)해서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 기능은, 그것의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가, CPU 및 해당 CPU에서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되거나, 또는, 와이어도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3) 프로그램
이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신 제어방법은,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FD), CD-ROM, MO,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됨으로써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은, 각종 통신을 행하는 댁내장치와 다른 전화장치와 통화 접속하는 전화장치와 다른 네트워크의 각종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 중계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전화장치와,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댁외장치를 접속하는 것에 유용하고, 특히,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 접속하는 것에 적합하다.
10 서비스 제공 서버
11 통신 제어 I/F부
12 기억부
13 댁외 정보 DB
20 제어부
21 액세스 응답부
22 댁외 정보 취득부
30 SIP 프록시 서버
31 통신 제어 I/F부
32 기억부
33 댁내 정보 DB
40 제어부
41 댁내 정보 특정부
42 제1 발신부
43 제2 발신부
44 접속부

Claims (15)

  1.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장치 ID를 상기 웹 단말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수단과,
    상기 액세스 응답수단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통지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액세스 응답수단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웹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2.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장치 ID를 상기 웹 단말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수단과,
    상기 액세스 응답수단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통지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웹 단말을 거쳐, 취득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호 제어 서버장치에 통지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호 제어 서버장치는,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의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상기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의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수단은, 상기 취득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에 통지함에 있어서,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에 인증 정보를 부가해서 통지하고,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의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지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가 통지한 정보라고 인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식별자로부터, 해당 웹 단말의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의 액세스 응답수단은, 상기 웹 단말에 의한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생성해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에 격납하는 동시에,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5.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제1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장치와, 상기 제1콘텐츠 정보상에 게재되는 제2콘텐츠 정보를 상기 웹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제2콘텐츠 정보에 기재된 접속처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장치는,
    상기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 상기 제1콘텐츠 정보를 상기 웹 단말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제2콘텐츠 정보에 의해 웹 단말에 제공되는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웹 단말을 거쳐, 상기 취득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호 제어 서버장치에 통지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는,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상기 웹 단말을 거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의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송신수단은, 상기 취득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에 통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에 인증 정보를 부가해서 통지하고,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의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지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가 통지한 정보라고 인증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식별자로부터,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상기 웹 서버장치의 액세스 응답수단으로부터 콘텐츠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에 송신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수단은, 상기 콘텐츠에 제공되는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회수를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는,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회수를 계수하는 발신 회수 계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는, 상기 접속 확립수단에 의해 접속이 확립된 회수를 계수하는 접속 회수 계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11.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는 통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 단말로부터 액세스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장치 ID와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장치 ID를 상기 웹 단말에 송신하는 액세스 응답공정과,
    상기 액세스 응답공정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해당 통지된 장치 ID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공정과,
    상기 액세스 응답공정에 의해 송신된 장치 ID가 상기 웹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부로부터, 해당 선택된 웹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시켜 기억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공정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공정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공정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정보 취득공정에 의해 취득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공정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공정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공정에 의해 발신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방법.
  12.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에 의해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웹 단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
  13.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제1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장치와, 상기 제1콘텐츠 정보상에 게재되는 제2콘텐츠 정보를 상기 웹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제2콘텐츠 정보에 기재된 접속처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웹 단말을 거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웹 단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상기 웹 단말 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특정하는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과,
    상기 웹 단말 정보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1 발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는 제2 발신수단과,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 발신수단에 의해 발신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
  14.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댁내 네트워크의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로서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에 의해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웹 단말을 거쳐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웹 단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취득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발신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웹 단말과 제1전화기능소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네트워크와, 상기 웹 단말에 대해 제1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장치와, 상기 제1콘텐츠 정보상에 게재되는 제2콘텐츠 정보를 상기 웹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와, 상기 제2콘텐츠 정보에 기재된 접속처에 대응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를 접속하는 호 제어 서버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서버장치로서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상기 웹 단말을 거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해당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가 통지될 때에 부가된 상기 웹 단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웹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웹 단말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웹 단말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부터 통지된 제2전화기능소지장치 접속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에 대해 발신하고,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 또는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발신된 상기 제1전화기능소지장치와 발신된 상기 제2전화기능소지장치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07027087A 2008-06-16 2009-06-15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 KR101209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7184A JP4624447B2 (ja) 2008-06-16 2008-06-16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呼制御サーバ装置および呼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8-157184 200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588A KR20100137588A (ko) 2010-12-30
KR101209577B1 true KR101209577B1 (ko) 2012-12-07

Family

ID=4143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087A KR101209577B1 (ko) 2008-06-16 2009-06-15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0783B2 (ko)
EP (1) EP2290935B1 (ko)
JP (1) JP4624447B2 (ko)
KR (1) KR101209577B1 (ko)
CN (1) CN102057658B (ko)
WO (1) WO2009154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172B2 (en) * 2009-04-03 2013-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CN102143172B (zh) * 2011-03-21 2014-10-29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KR101923487B1 (ko) * 2011-09-29 2018-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887507B2 (ja) * 2011-11-28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機器間の接続確立方法、通信機器、及びサーバ装置
JP6074165B2 (ja) * 2012-06-01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64824B2 (ja) * 2014-03-06 2018-08-01 富士通株式会社 発呼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発呼制御プログラム、発呼制御システム
US10075494B2 (en) 2015-05-08 2018-09-11 Avaya Inc. Push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for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328128A1 (en) * 2015-05-08 2016-11-10 Avaya Inc. Pu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for communication devices
US9667785B2 (en) * 2015-05-26 2017-05-30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call language settings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diverted calls
US10021022B2 (en) * 2015-06-30 2018-07-10 Juniper Networks, Inc. Public network address conservation
US20190386982A1 (en) * 2016-08-12 2019-12-19 Acrodea. Inc. System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occurrence of event
JP7381834B2 (ja) * 2019-03-15 2023-11-16 アイコム株式会社 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制御サーバの冗長化方法
US11456994B2 (en) * 2019-03-18 2022-09-27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implementing firewal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518A (ja) 2000-05-30 2001-12-07 Hidekazu Morita 電話によるコンタクトシステム
JP2008098786A (ja) 2006-10-06 2008-04-24 Quantum Networks Inc 第三者呼制御による二者間通話制御装置、その方法及び二者間通話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6349A (ja) 1997-03-31 1998-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情報検索手段を用いた電話発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574661B1 (en) * 1997-09-26 2003-06-03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Integrated proxy interface for web based telecommunication toll-free network management using a network manager for downloading a call routing tree to client
US6826403B1 (en) * 2000-09-12 2004-11-30 Phonepages Of Sweden Ab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user
US20020147818A1 (en) * 2001-04-04 2002-10-10 Michael Wengrovitz Session initiation protocol routing using voice cookies
JP4277621B2 (ja) * 2003-08-20 2009-06-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284743A (ja)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バーチャル店舗システム
US20060050686A1 (en) * 2004-09-08 2006-03-09 Commoca, Inc. Software platform for developing, delivering and managing data-voice applications operating on an internet protocol (IP) phone
JP2006108768A (ja) * 2004-09-30 2006-04-20 Oki Electric Ind Co Ltd ユーザ端末の識別情報を隠蔽した通信接続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06088300A1 (en) * 2005-02-17 2006-08-24 Phil Hwan Yun Method for providing call intermediation services and system therefore
US8135022B2 (en) * 2005-05-26 2012-03-13 Xconnect Global Networks Ltd. Detection of SPIT on VoIP calls
JP2007067544A (ja) * 2005-08-29 2007-03-15 Oki Electric Ind Co Ltd 第三者呼制御機能を備えるWeb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518A (ja) 2000-05-30 2001-12-07 Hidekazu Morita 電話によるコンタクトシステム
JP2008098786A (ja) 2006-10-06 2008-04-24 Quantum Networks Inc 第三者呼制御による二者間通話制御装置、その方法及び二者間通話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172A1 (ja) 2009-12-23
JP2009303078A (ja) 2009-12-24
EP2290935B1 (en) 2014-08-13
US20110125910A1 (en) 2011-05-26
JP4624447B2 (ja) 2011-02-02
CN102057658B (zh) 2014-07-30
CN102057658A (zh) 2011-05-11
KR20100137588A (ko) 2010-12-30
EP2290935A1 (en) 2011-03-02
EP2290935A4 (en) 2013-01-16
US8700783B2 (en)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577B1 (ko) 통신 제어 시스템, 통신 제어방법, 호 제어 서버장치 및 호 제어 프로그램
US11183282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943351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180198692A1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783925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EP2722756B1 (en) 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am
JP5411290B2 (ja)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管理方法
US20120023247A1 (en) Anonymous communication system, anonymo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101024562B1 (ko) 서비스 관리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66343B2 (ja)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管理方法
CN102301678B (zh) 在电信网络中为越顶服务提供身份相关的系统和方法
US20110032929A1 (en)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JP6471058B2 (ja) Webブラウザを用いて世帯固有の管理識別子を送信するWebアクセス方法、プログラム、端末及びシステム
US20240194307A1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616297B1 (ko) 개인 웹 서비스가 가능한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KR20110057879A (ko) 고객 맞춤형 웹 페이지 송수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5944A (ko) 클릭 투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1008712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8252546A (ja) 呼制御システム、呼制御方法、呼接続要求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