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97B1 - 하천제방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천제방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897B1
KR101208897B1 KR1020100062734A KR20100062734A KR101208897B1 KR 101208897 B1 KR101208897 B1 KR 101208897B1 KR 1020100062734 A KR1020100062734 A KR 1020100062734A KR 20100062734 A KR20100062734 A KR 20100062734A KR 101208897 B1 KR101208897 B1 KR 10120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iver
slope
construction method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050A (ko
Inventor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주)거창스톤
이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창스톤, 이승렬 filed Critical (주)거창스톤
Priority to KR102010006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8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제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석재를 적층 함으로서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의 물이 급격히 늘어나더라도 하천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며, 균일한 크기의 석재(1)를 준비하는 석재 준비단계(S 1), 하천의 사면(3)에 석재(1)를 쌓기 위해 터파기를 하거나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 2), 사면(3)을 따라 석재(1)를 쌓는 적층 단계(S 3),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잡석(2)을 넣어 석재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잡석 다짐단계(S 4),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흙을 넣어 틈을 메우는 흙 채움단계(S 5) 및 마감단계(S 6)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천제방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river bank}
본 발명은 하천제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석재를 적층 함으로서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의 물이 급격히 늘어나더라도 하천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사면(斜面)은 흐르는 물의 유량 즉, 수위가 높아지거나 유속이 늘어날 경우 사면이 깎이게 되고 이로써 둑(제방)과 도로가 유실되거나 물이 사면을 넘어 범람하는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둑이나 도로의 유실과 홍수 예방을 위해 사면에 제방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제방설치로서는 자연석을 이용한 전석쌓기 및 인공블록을 이용한 제방설치가 있다.
보통의 전석쌓기는 돌 쌓기에 사용할 돌을 구비하고 돌 쌓을 곳을 기초 콘크리트로서 타설하거나 터파기를 행한 뒤 돌 쌓을 곳의 기울기와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규준틀을 설치하고, 기초가 되는 기초돌을 쌓고 기초돌 주변에서부터 돌 쌓기를 진행한다.
이러한 전석쌓기는 돌의 크기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적합한 모양이나 크기의 돌을 찾는데 시간 소모가 많고, 많은 시간을 소모하면서 적합한 돌을 찾아 촘촘히 쌓는다고 하더라도 돌과 돌 사이에 많은 틈새가 생기게 마련이다. 이러한 틈새는 잡석(사석)을 이용해 채워주게 되며, 잡석으로 채워지지 않는 부분은 흙이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이용해 채워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전석쌓기는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돌과 돌 사이의 틈새로 인해 물이 침투되어 유실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전석쌓기로 시공된 하천제방의 경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전석의 일부나 전부가 유실되어 둑이 붕괴되고 도로가 유실되어 재공사를 해야하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석쌓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7288호나 제50387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이 있다.
먼저, 전자는 하천제방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블록을 하천과 접하는 바닥에 설치하고 그 위에 다수의 십자형블록을 교차되게 설치하며 십자형블록의 상부에 토사를 적재하여 그물망을 설치한 뒤 토사에 식물을 식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천제방 시공구조에 사용되는 기초블록과 십자형블록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됨으로써 물속에 들어가게 되면 수화반응으로 인해 수산화칼슘이 생성되게 되고 수산화칼슘은 강한 알칼리성으로 수생태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십자형블록 위에 토사가 적재됨으로써 비록 그물망이 쳐져 있다고 하더라도 장마나 폭우로 인해 유량과 유속이 늘어날 경우 토사의 유실을 막을 방법이 없어 친환경적인 하천시설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에 대해 의문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후자의 경우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하천 호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흙을 주재로한 생태블럭을 스틸플레이트와 와셔 및 아이볼트를 이용해 고정시켜주고 생태블럭의 관통공에 흙을 채워 식물을 적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태블럭은 물에 접촉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강도 또한 크게 저하될 것이며 이로써 급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졌을 시 토사의 유실 및 하천호안의 깎임을 막을 수 없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즉, 스틸플레이트, 와셔 및 아이볼트 등은 금속재로 제작됨으로써 물과 접촉될 경우 부식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써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의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를 위한 것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5152호에 개시되어 있는 하천제방용 세굴방지제의 시공방법, 등록특허 제0645325호에 개시되어 있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및 등록특허 제0821351호에 개시되어 있는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다수의 석재를 망에 넣어서 형성한 게비온(돌망태)을 매트리스로 사용하여 하천의 법면 즉, 사면에 적층 함으로써 사면의 유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게비온은 금속재로 형성한 망에 다수의 석재를 충전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결국 금속재가 물속에 잠겨서 부식이 생기게 되고 이로써 망이 찢어지게 된다. 이렇게 망이 찢어진 상태에서 높은 압력의 급류가 게비온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망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석재가 유실되게 되고 석재의 유실과 함께 게비온의 부식으로 발생하는 환경문제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석재를 적층 함으로써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늘어나더라도 하천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하천제방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사용하여 하천제방을 형성하여 더욱 통일감 있는 하천제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 시공방법은 석재 준비단계,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적층 단계, 잡석 다짐단계, 흙 채움단계 및 마감단계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 시공방법은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석재를 적층 함으로써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늘어나더라도 하천제방이 유실되지 않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사용하여 하천제방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통일감 있는 하천제방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의 시공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의 또 다른 시공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의 일부분 시공예시도
본 발명은 하천제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크기의 석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석재를 적층 함으로서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의 물이 급격히 늘어나더라도 하천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하천제방 시공방법은 균일한 크기의 석재(1)를 준비하는 석재 준비단계(S 1), 하천의 사면(3)에 석재(1)를 쌓기 위해 터파기를 하거나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 2), 사면(3)을 따라 균일한 크기의 석재(1)를 쌓는 적층 단계(S 3),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잡석(2)을 넣어 석재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잡석 다짐단계(S 4),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흙을 넣어 틈을 메우는 흙 채움단계(S 5) 및 마감단계(S 6)로 이루어진다.
먼저, 석재 준비단계(S 1)는 균일한 크기로 석재(1)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가 가장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직육면체 이외의 다른 형태 즉, 삼각기둥이나 육각기둥의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석재(1)가 준비되면 하천에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하거나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상기 터파기는 석재를 쌓을 공간을 확보하거나 사면(3)의 경사가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 행하게 되며,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은 사면(3) 내로 물이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콘크리트로서 타설을 하기 이전이나 이후에 별도의 방수층을 사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터파기와 콘크리트 타설은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 2)에서 서로 병행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적층단계(S 3)는 사면(3)을 따라 석재(1)를 쌓는 단계로서 석재의 크기가 균일하므로 종래의 전석쌓기에 비해 틈이 적게 생기고 훨씬 견고하게 쌓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재(1)는 건축용 석재와 같이 전면이나 측면 모두를 매끄럽게 가공하기는 비용 및 시간 소모가 많아 표면에 거친 석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석재를 쌓는 도중 석재와 석재 사이에는 도 4와 같이 어느 정도의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틈은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틈)에 잡석(2)을 넣어 석재(1)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잡석 다짐단계(S 4)나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흙(4)을 넣는 흙 채움단계(S 5)로서 메워줄 수 있다.
물론, 잡석 다짐단계(S 4)나 흙 채움단계(S 5)는 서로의 전후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공 중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시공 시 서로의 순서가 뒤바뀔 수 있음은 상식적으로 당연하며, 적층단계(S 3)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잡석 다짐단계(S 4)와 흙 채움단계(S 5)가 완료된 이후에는 마감단계(S 6)를 통해 잘못 놓인 석재의 위치를 바로하고 미처 메워지지 않는 틈에 잡석이나 흙으로서 채울 수 있다.
상기 적층단계(S 3)나 마감단계(S 6)의 사이에는 충진재를 이용하여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줄눈 채움단계(S 5.1)를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줄눈 채움단계(S 5. 1)에 사용될 수 있는 충진재로서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은 모두 점착성이 높아 석재와 석재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지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 중 일부분의 석재를 마감선 외부로 돌출시켜 쌓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된 석재는 실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주는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즉,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면 사면에 작용하는 힘 또한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되고 이로써 사면이 유실될 위험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때 마감선 외부로 돌출되는 석재는 석재 자체의 길이가 긴 석재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크기의 석재를 사용할 경우 돌출시키고자 하는 공간만큼 잡석 등을 이용해 공간을 채운 뒤 석재를 쌓을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단계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석재(1)가 사면(3)에 대해 직립된 상태 즉, 외팔보의 형태로 쌓기가 이루어짐으로써 물이 직접적으로 닿는 면 즉, 물의 힘이 작용하는 면이 석재의 전면에 대해서만 한정되고 이러한 전면에 비해 석재가 박혀있는 면 즉, 주위의 석재로 인해 물의 힘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측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훨씬 넓으므로 한번 시공이 이루어진 석재는 좀처럼 유실되지 않아 하천의 사면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도 5와 같이 석재(1)의 일부분이 지면 속에 박히도록 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석재(1)의 일측 모서리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석재가 더욱 견고하게 적층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시공방법은 석재(1)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석재는 일측 모서리가 지면 속에 시공됨으로써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석재의 위에 적층되는 석재는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하천제방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석재는 자연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석으로서는 화강석, 대리석, 석회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석재 2. 잡석
3. 사면 4. 흙
S 1. 석재 준비단계 S 2.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S 3. 적층 단계 S 4. 잡석 다짐단계
S 5. 흙 채움단계 S 5.1 줄눈 채움단계
S 6. 마감단계

Claims (7)

  1. 하천제방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균일한 크기의 석재(1)를 준비하는 석재 준비단계(S 1), 하천의 사면(3)에 석재(1)를 쌓기 위해 터파기를 하거나 기초공사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터파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 2), 사면(3)을 따라 균일한 크기의 석재(1)를 쌓는 적층 단계(S 3),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잡석(2)을 넣어 석재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잡석 다짐단계(S 4),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흙을 넣어 틈을 메우는 흙 채움단계(S 5) 및 마감단계(S 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단계(S 3)는 사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 즉, 외팔보의 형태로 쌓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석재(1)는 자연석으로서 화강석, 대리석, 석회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적층단계(S 3)에서는 일부분의 석재(1)를 마감선 외부로 돌출시켜 쌓아 실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하천제방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S 3)와 마감단계(S 6) 사이에는 충진재로서 석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줄눈 채움단계(S 5.1)가 부가되는 것이 특징인 하천제방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시멘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서로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하천제방 시공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1)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석재는 일측 모서리가 지면 속에 시공됨으로써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석재의 위에 적층되는 석재는 석재와 석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하천제방 시공방법
KR1020100062734A 2010-06-30 2010-06-30 하천제방 시공방법 KR101208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34A KR101208897B1 (ko) 2010-06-30 2010-06-30 하천제방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34A KR101208897B1 (ko) 2010-06-30 2010-06-30 하천제방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50A KR20120002050A (ko) 2012-01-05
KR101208897B1 true KR101208897B1 (ko) 2012-12-06

Family

ID=4560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734A KR101208897B1 (ko) 2010-06-30 2010-06-30 하천제방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200361729Y1 (ko) * 2004-06-21 2004-09-13 한일에코산업 주식회사 환경 보호용 다기능 블록
JP2004324373A (ja) * 2003-04-28 2004-11-18 Takuo Yukimoto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JP2004324373A (ja) * 2003-04-28 2004-11-18 Takuo Yukimoto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KR200361729Y1 (ko) * 2004-06-21 2004-09-13 한일에코산업 주식회사 환경 보호용 다기능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50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334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JP6473826B2 (ja) 地滑りを防止する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の擁壁工法
JP2006225926A (ja) 流動化処理土、山砂、現地発生土、砕石等の埋め戻し材を利用した盛土工法
JP6370295B2 (ja) 盛土の補強構造とその築造方法
CN108999142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深水防波堤的施工方法
JP2013241745A (ja) 盛土補強土壁工法による耐震性防潮堤防の構築方法
JP2001295245A (ja) 構造物の保護工法
CN110629770A (zh) 一种库区边坡消落带防渗-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005370B (zh) 空心砌块生态护面的加筋土轻质驳岸挡墙及其建造方法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1208897B1 (ko) 하천제방 시공방법
JP5896351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の構築方法
KR20110046209A (ko)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CN213625433U (zh) 一种用于重力式与板桩式组合码头的衔接过渡结构
CN208965494U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KR102138839B1 (ko) 대형마대를 이용한 현장 타설형 콘크리트블록을 활용한 호안공사 방법
JP3472708B2 (ja)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CN109024470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KR100708895B1 (ko)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3821106A (zh) 小型渔港及河道护岸结构
JPH0913343A (ja) 護岸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214460081U (zh) 一种滩涂地质条件下的空箱式堤防结构
JPH11350505A (ja) 石材擁壁
CN110565588B (zh) 一种垂直互锁生态砌块
JP3658625B2 (ja) 堤背部陥没防止構造、及び堤背部陥没防止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