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05B1 -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 Google Patents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05B1
KR101208605B1 KR1020100037137A KR20100037137A KR101208605B1 KR 101208605 B1 KR101208605 B1 KR 101208605B1 KR 1020100037137 A KR1020100037137 A KR 1020100037137A KR 20100037137 A KR20100037137 A KR 20100037137A KR 101208605 B1 KR101208605 B1 KR 10120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sprout
box
consumer
gr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749A (ko
Inventor
홍석인
김동만
이현희
유승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주식회사 참한싹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주식회사 참한싹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일 측면이 개방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에 의하여 씨앗이 수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된 씨앗 고정판 및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사이에 형성되는 컷팅부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신선한 새싹을 직접 채취하여 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뿌리의 제거가 간편하여 바로 새싹을 섭취할 수 있는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SPROUT CULTURE DEVICE}
본 발명은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성 높은 새싹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고, 뿌리의 제거가 용이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이로운 새싹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새싹을 직접 재배하여 섭취하는 것은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배달하는 경우 종실을 발아시켜 새싹을 섭취하기 적당한 크기로 성장시키고 이를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생산라인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새싹이 수요자에게 배달되는 시간 동안 새싹의 신선도를 보장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새싹은 뿌리를 제거하고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얇은 새싹을 수작업으로 뿌리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시점에서 간편하게 새싹의 수확이 가능하고 뿌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느 일면이 개방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부에 위치하고 종실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된 씨앗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고정판은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장홈에 의하여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상단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상단 볼록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종실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하단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과 하부 고정판 사이에는 컷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컷팅부는 박스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슬릿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사이에 스크린을 더 포함되어 뿌리의 제거가 더욱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소비자가 신선한 새싹을 직접 채취하여 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뿌리의 제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자는 소비자에게 제공할 새싹을 직접 수확하지 않고 종실을 넣고 필요한 수분(양분)만을 공급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함으로써 새싹 재배의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실은 독립된 공간에서 각각 발아되므로 새싹의 손상이 없어 상품성이 우수한 새싹의 재배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에 새싹이 자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새싹이 뿌리가 제거된 상태로 새싹 분리판이 박스에서 꺼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에 의하여 재배된 새싹의 뿌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일 측면이 개방되는 박스(100)와 상기 박스(100)에 삽입되는 씨앗고정판(200) 및 상기 씨앗고정판(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컷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스(100)는 사각 형상의 박스(100)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가능한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100)는 실시 태양에 따라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용기로 구성되거나 빛이 충분히 입사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는 바코드 또는 RFID 칩이 부착되어 무선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생산 내역을 소비자가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박스(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운반 또는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대하에 내구성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100)는 일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씨앗고정판(200)이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씨앗고정판(2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홈은 상기 씨앗고정판(200)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부 장홈(130)과 하부 장홈(14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장홈(130)과 하부 장홈(140)의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장홈(130)(140)과 평행하게 슬릿(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111)은 후술하는 컷팅부(300)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컷팅부(3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100)의 내부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겨울철이나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새싹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씨앗고정판(200)은 상부 고정판(210)과 하부 고정판(220)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고정판(210)은 상면에 상단 볼록부(21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11)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볼록부(211)의 중앙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211)의 개구부(212)를 통하여 새싹이 신장하게 된다.
상기 하부 고정판(220)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210)의 상단 볼록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하단 볼록부(2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볼록부(211)와 하단 볼록부(221)에 의하여 종실이 수용되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각각 종실이 수용되므로 발아될 때 각각 독립적으로 성장이 가능해지므로 상품성이 높아지는 한편, 상기 새싹 재배기가 운반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공간에서 이탈되지 않아 발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실은 상기 하단 볼록부(221)에 수용된 후 상기 상단 볼록부(211)의 개구부(212)를 통하여 신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실은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종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볼록부(211)와 하단 볼록부(221)는 형성된 위치가 대응되어 종실이 수용되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 족한 것으로 볼록부의 크기 및 깊이는 서로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단 볼록부(221)는 하나의 종실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단 볼록부(211)는 새싹이 이웃한 새싹에 방해받지 않고 상방으로 자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상단 볼록부(211)의 크기가 상기 하단 볼록부(2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210)과 하부 고정판(220)은 플라스틱, 고무, 합성수지, 나무 또는 종이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210)과 하부 고정판(2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규격의 망목(410)과 테두리(미도시)로 이루어진 스크린(4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목(410)은 새싹 줄기의 좌우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망목(410)의 크기를 조절하여 종실의 껍질이 상기 망목(410)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 고정판(220)의 볼록부(221)에 잔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망목(410)의 크기는 종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종실이 메밀 씨앗인 경우 상기 망목(410)의 크기는 메밀 껍질의 크기보다 작은 가로 세로 약 2.8~3.9mm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컷팅부(300)는 새싹의 뿌리를 절삭하는 컷팅날(320)과 상기 컷팅날(32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손잡이(310)로 구성되고, 상기 컷팅날(320)이 상기 상부 고정판(210)과 하부 고정판(22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400)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400)과 상부 고정판(2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컷팅부(300)의 컷팅날(320)은 얇은 텅스텐 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얇은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줄기를 유효하게 컷팅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컷팅날(3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이동 손잡이(310)는 상기 박스(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릿(111)에 가이드 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 손잡이(310)에는 상기 박스(100)의 슬릿(111)에 가이드 될 수 있는 원형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컷팅날(320)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 손잡이(310)는 최초 박스(100)의 고정홈(112)에 의하여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홈(112)에서 이탈되어 상기 슬릿(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에 새싹이 자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새싹이 뿌리가 제거된 상태로 새싹 분리판이 박스에서 꺼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에 의하여 재배된 새싹의 뿌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종실이 씨앗고정판(200)에 수용된 후 일정한 수분(양분)을 흡수한 경우 새싹(P)은 상단 볼록부(211)의 개구부(212)를 통하여 박스(100)의 상단까지 신장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이동 손잡이(310)를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새싹(P)의 뿌리는 앞서 설명한 컷팅날(320)에 의하여 컷팅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싹(P)의 줄기 부분은 상기 망목(41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컷팅날(320)에 밀리지 않고 용이하게 컷팅될 수 있다.
이후, 도 4와 같이 박스(1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입구를 개방하고 씨앗분리판(200)을 꺼내 뿌리가 제거된 새싹(P)을 채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400)을 상부 고정판(210)과 함께 들어올림으로써 뿌리가 제거된 새싹(P)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박스(100)의 입구는 씨앗분리판(200)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컷팅부(3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씨앗분리판(200)의 상부 분리판(210)과 스크린(400)만을 꺼내어 뿌리가 제거된 새싹을 바로 채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여 새싹(P)의 생장과정을 살펴보면, 최초 하부 고정판(220)의 하단 볼록부(221)에 수용된 종실은 수분(양분)이 흡수된 천(500) 등에 의하여 수분(양분)을 공급받아 자라게 되며, 뿌리(P4)는 상기 하단 볼록부(221)에서 매트 형태로 신장하게 되고 새싹(P)의 머리(P1)는 상기 상부 고정판(210)의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자라게 된다.
이때 새싹(P)에 수분(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천(500)이 형성된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실에 수분(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고정판(220)의 하단 볼록부(221)의 중앙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일정한 수분(양분)이나 물을 공급하고 잉여 수분(양분)이나 물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최초 종실을 외부에서 씨앗고정판(200)에 의하여 발아시킨 후 일정한 크기로 키운 후 씨앗고정판(200)을 상기 박스(100)에 수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후 컷팅날(320)에 의하여 상기 새싹(P)의 줄기(P2)와 뿌리(P4)의 사이가 컷팅됨으로써 상기 뿌리(P4) 및 껍질은 하단 볼록부(221)에 잔류하게 되고, 뿌리(P4)가 제거된 새싹(P)은 꺼내져 별도의 뿌리 제거작업 없이 바로 섭취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박스 111: 슬릿
112: 고정홈 200: 씨앗고정판
210: 상부 고정판 211: 상단 볼록부
212: 개구부 220: 하부 고정판
221: 하단 볼록부 300: 컷팅부
310: 이동손잡이 320: 컷팅날

Claims (12)

  1. 일 측면이 개방되고 운반 가능한 박스; 및
    상기 박스 내부에 위치하고 종실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된 씨앗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고정판은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장홈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상단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상단 볼록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종실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하단 볼록부가 형성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사이에는 망목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 사이에는 컷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컷팅부는 상기 박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릿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스크린 사이에는 컷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컷팅부는 상기 박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릿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일측에는 고정홈에 형성되어 상기 컷팅부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양단부에 형성되는 이동손잡이와 상기 이동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컷팅날을 포함하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단 볼록부에는 수분 또는 양분을 흡수한 천이 배치되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가 개방되는 일 측면은 상기 컷팅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면인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단 볼록부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내부면에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외부면에는 바코드 또는 RFID 칩이 부착된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망목은 가로 및 세로 규격이 2.8~3.9mm인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KR1020100037137A 2010-04-22 2010-04-22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KR10120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37A KR101208605B1 (ko) 2010-04-22 2010-04-22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37A KR101208605B1 (ko) 2010-04-22 2010-04-22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749A KR20110117749A (ko) 2011-10-28
KR101208605B1 true KR101208605B1 (ko) 2012-12-10

Family

ID=4503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137A KR101208605B1 (ko) 2010-04-22 2010-04-22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3308A1 (de) 2018-03-02 2019-09-04 Kws Saat Se Beprobungsvorrichtung zum anziehen und beproben von keimlingen von pflanzen
CN108513834A (zh) * 2018-06-29 2018-09-11 广西银木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组合式秧苗培育盘
KR102002270B1 (ko) * 2019-01-14 2019-07-19 왕희택 강 구조물로 이루어진 천연잔디 재배틀
KR102175323B1 (ko) * 2019-04-24 2020-11-06 (주)일신팜 수경작물의 잔뿌리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15Y1 (ko) 2005-03-08 2005-06-16 정현종 식물 육묘용 발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15Y1 (ko) 2005-03-08 2005-06-16 정현종 식물 육묘용 발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749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agnol et al. Vertical growth of mini watermelon according to the training height and plant density
KR101208605B1 (ko)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US20220240461A1 (en) Method for growing herbs
CN207369702U (zh) 一种用于园林绿化苗木的扦插育苗苗床
KR20100137033A (ko) 메밀싹 재배장치
CN109310054B (zh) 园艺设备
KR101468505B1 (ko) 식물재배장치
D'Anna et al. Influence of planting date and runner order on strawberry plug plants grown under plastic tunnels
Delazari et al. Irrigation water management during the ripening of tomato aiming fruit quality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KR20130007216U (ko) 엽채류 수경재배시 스폰지배지 육묘의 정식용 포트
Melo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nasturtium flowers in three hydroponic solutions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Castoldi et al. Performance of cultivars of crisp mini-lettuce with respect to ground cover and spacing, in three planting times
JP2005198563A (ja) 葉菜類の水耕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葉菜類の水耕栽培方法
KR20150101268A (ko)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Soria et al. Evaluation of strawberry production and fruit firmness under small and large plastic tunnels in annual crop system
JP2019162079A (ja) 水稲の育苗方法
CN108925194A (zh) 一种北美海棠的液体肥料收缩式施肥架
KR102341943B1 (ko) 땅콩나물 재배트레이
KR100898508B1 (ko) 풋마늘 재배방법
Stuewe Panel discussion: Trends in container types
Brar et al. Influence of inter-plant spacing on microclimatic and horticultural parameters of guava (Psidium guajava L.) orchard
KR20200001094U (ko) 육묘 포트용 상토 평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