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268A -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 Google Patents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1268A KR20150101268A KR1020140022781A KR20140022781A KR20150101268A KR 20150101268 A KR20150101268 A KR 20150101268A KR 1020140022781 A KR1020140022781 A KR 1020140022781A KR 20140022781 A KR20140022781 A KR 20140022781A KR 20150101268 A KR20150101268 A KR 201501012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berry
- proliferation
- tool
- propagation
- run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모가 활착된 증식도구를 바로 경작지로 이동시켜 배치하여 성장시킴으로써 자모를 이식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필요 없고, 이식과정에서 모종이 받는 스트레스가 없고 자모의 손상이나 활착 불량 또는 병충해로 모종의 고사를 방지하여 재배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증식바디와, 상기 증식바디를 받쳐주면서 증식바디 내부에 채워진 흙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증식도구를 종묘장에 배치하고, 상기 증식도구의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을 수용시키고, 종묘장의 지면 또는 포트 등과 같은 성장 보울에 심어진 딸기 모주로부터 런너를 증식도구로 유도하여 자묘를 성장시켜 증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증식바디와, 상기 증식바디를 받쳐주면서 증식바디 내부에 채워진 흙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증식도구를 종묘장에 배치하고, 상기 증식도구의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을 수용시키고, 종묘장의 지면 또는 포트 등과 같은 성장 보울에 심어진 딸기 모주로부터 런너를 증식도구로 유도하여 자묘를 성장시켜 증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의 번식에 해당하는 런너(Runner) 번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증식방법과 그 증식방법에 사용되는 새로운 도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딸기 모종의 번식 방법은 씨앗을 통한 발아가 아닌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로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딸기는 줄기가 뻗어나가면서 지면과 접촉한 줄기가 발근 및 활착(Rooting) 되는 형식으로 재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딸기 재배농가에서는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의 번식을 통상적으로 런너(Runner) 번식이라고도 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런너 번식을 딸기를 재배하는 경작지에서 모종을 육묘한 후 이식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상기와 같이 경작지(노지)에서 딸기 모종을 육묘하는 것은 모종과 함께 자라는 잡초를 제거해야하고, 비료 살포나 물관리가 어려워 모종을 육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다 자란 모종을 정식(定植)할 때는 지면에 박힌 뿌리가 많이 떨어져 나가 고사하거나 병충해에 취약하여 성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면에 모종의 뿌리가 잘 활착 되지 않아 모종의 성장이 늦어지고, 그로 인해 수확지연이나 수확량 감소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육묘용 포트(Pot)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육묘하였으나, 포트에 담는 상토(Bed Soil) 작업을 포트의 수만큼 하여야 하고 딸기 모종의 런너를 각각의 포트로 유인하여 활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손이 많이 간다.
또한, 모주로부터 발생한 런너에 의하여 포트에 활착된 자묘를 이식하고자 할 경우에도 각각의 포트 상의 모종을 드러낸 후 상토를 털어준 후 경작지에 한 포기씩 심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평평한 지면에 멀칭시트(10)로 멀칭을 수행한 후, 상기 멀칭시트(10) 상에 왕겨를 적층하여 왕겨층(20)을 형성하고, 상기 왕겨층(20)에는 딸기 모주(40)로부터 번식된 런너(45)를 왕겨층(20)에 유인하여 자묘(50)로 성장시켜 딸기를 증식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강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왕겨층을 형성한 후 모주로부터 발생하는 런너를 왕겨층으로 유도한 후 자묘를 성장시킨 경우에도 딸기를 재배하여 수확하기 위해서는 왕겨층으로부터 자묘를 하나 하나씩 인출한 후 경작지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자묘를 수작업으로 분리하여야 하는 일손이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어 일손이 부족한 농가 현실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특히 왕겨의 경우 퇴비나 기타 연료 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매년 많은 양을 확보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급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어 종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보장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왕겨의 수급 상황에 따라 그해의 딸기 농사가 결정되어 질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왕겨로부터 자묘를 인출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자묘를 경작지로 이식한 후에는 성장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자묘의 뿌리가 정상적으로 활착하여 성장하지 못하고, 병충해에 쉽게 감염되어 고사하게 되는 확률이 높아져 수확량의 감소로 인한 농가소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왕겨로부터 자묘를 인출하고 다시 경작지로 옮겨 심는 작업을 하나 하나의 자묘 마다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일손이 부족한 농가 현실에 비추어볼 때 제때 자묘를 이식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증식바디와, 상기 증식바디를 받쳐주면서 증식바디 내부에 채워진 흙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증식도구를 종묘장에 배치하고, 상기 증식도구의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을 수용시키고, 종묘장의 지면 또는 포트 등과 같은 성장 보울에 심어진 딸기 모주로부터 런너를 증식도구로 유도하여 자묘를 성장시켜 증식시켜;
자모가 활착된 증식도구를 바로 경작지로 이동시켜 배치하여 성장시킴으로써 자모를 이식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필요 없고, 이식과정에서 모종이 받는 스트레스가 없고 자모의 손상이나 활착 불량 또는 병충해로 모종의 고사를 방지하여 재배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경작지의 흙과 동일한 흙 또는 딸기가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흙을 수용한 증식도구에 모주로부터 발생하는 런너를 유도하여 자묘를 성장시킨 후 자묘와 자묘 사이를 연결하는 런너만 절단한 후 증식도구를 경작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증식도구를 경작지에 비치한 상태에서 종묘를 증식시킨 후 바로 재배하여 딸기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딸기 재배를 위한 과정을 대폭 줄여 부족한 일손을 도우면서도 딸기의 성장을 용이하게 하여 수확량을 늘려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딸기 증식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딸기 증식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를 이용한 딸기 모종의 증식상태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의 사용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증식방법은, 딸기 종묘를 증식시기 위한 종묘장에 증식도구(100)를 준비하여 비치하고, 상기 증식도구(100)의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101)을 수용시키고, 종묘장의 지면 또는 포트 등과 같은 성장 보울에 심어진 딸기 모주(102)로부터 런너(103)를 증식도구(100)로 유도하여 자묘(104)를 성장시켜 증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모주(102)로부터 발생하는 런너(103)를 증식도구(100)로 유도하는 것은 런너(103)가 증식도구(100)로 스스로 찾아가지 못하게 되므로 주기적인 관찰을 통하여 작업자가 런너(103)를 증식도구(100)로 안내하여주고, 적정 위치에 활착되어 자묘(104)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증식도구(100)는, 폭(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L)를 가지고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증식바디(110)와, 상기 증식바디(110)를 받쳐주면서 증식바디(110) 내부에 채워진 흙(10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111)로 구성한다.
상기 증식바디(110)와 받침대(111)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하는 형태 또는 재생비닐이나 재생플라스틱 재질 또는 목재나 금속 또는 비철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나 설계와 제조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증식바디(110)의 내부에는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101)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증식바디(110)의 하단에는 받침대(111)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는 걸림턱(113)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증식바디(110)의 내부에는 흙(101)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비틀리는 현상 또는 흙(101)의 압력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보강림(114)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증식바디(11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는 증식바디(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유도가이드(115)를 일체로 더 형성하여 런너(103)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꺽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11)는, 증식바디(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13)을 수용하여 유동을 방지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향 돌출되게 이탈방지림(11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11)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17)을 형성하여 런너(103)부터 유도된 자묘(104)가 성장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딸기 모종 증식도구(100)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증식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묘장에 심어진 모주(102)의 측방에 소정의 간격(모두로부터 생성되는 런너의 길이인 약 10 ∼ 20㎝)을 두고 흙(101)을 수용한 증식도구(100)를 배치하고, 모주(102)로부터 런너(103)가 생성되면 증식도구(100)로 유도하여 자모(104)가 증식도구(100) 내에서 활착 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모주(102)에서 통상 3 ∼ 5개 정도의 런너(103)가 생성되는 데, 이러한 런너(103)를 증식도구(100)의 길이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증식도구(100)에 3 ∼ 5개의 자모(104)가 활착되도록 한다.(도 4참조)
또한, 상기 모주(102)에 근접되게 배치한 증식도구(100)에 활착한 1자모(120)로부터도 런너(103)가 생성되는 데, 이 런너(103)는 증식도구(100) 측방에 배치한 2증식도구(100)로 유도하여 활착시켜 2자모(121)가 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증식도구(100)를 3, 4개를 그 측방에 배치하여 하나의 모주(100)로부터 4개의 자모(104)를 생성시켜 증식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이 과정에서 모주(102)의 측방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증식도구(100)가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경우에는 증식바디(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도가이드(115)가 모주(10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런너(103)가 유도될 때 꺽여지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증식도구(100)를 배치할 때 서로 연접되도록 배치할 경우에는 모주(102)에 근접되는 증식도구(100)는 유도가이드(115)가 모주(10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옆에 배치되는 증식도구(100)는 앞선 증식도구(100)와 밀착시키면서 유도가이드(115)가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형태를 반복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종의 증식이 완료되면 모주(102)와 증식도구(100)에 활착된 자모(104)를 연결하는 런너(103) 및 각각의 증식도구(100)에 활착된 자모(104)를 연결하는 런너(103)를 절단한 후, 자모(104)가 활착된 상태의 증식도구(100)를 종묘장에서 경작지로 이동시켜 받침대(111)를 이탈시키고 경작지 지면에 증식도구(100)의 저면이 밀착되도록 배열한 상태에서 딸기를 성장시켜 재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딸기가 충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영양분이 배합된 흙(101)을 채운 증식도구(100)에 바로 자모(104)를 활착시켜 이식하지 않고 그대로 성장시켜 딸기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모(104)를 이식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필요 없고, 이식과정에서 모종이 받는 스트레스가 없고 이식 과정에서 취급 부주의로 야기될 수 있는 자모(104)의 손상이나 활착 불량 또는 병충해로 인한 모종의 고사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재배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딸기를 증식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토마토, 오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과채류를 증식시키거나 재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100; 증식도구
102; 모주
103; 런너
104; 자묘
110; 증식바디
111; 받침대
112; 수용공간
115; 유도가이드
116; 이탈방지림
117; 배수공
102; 모주
103; 런너
104; 자묘
110; 증식바디
111; 받침대
112; 수용공간
115; 유도가이드
116; 이탈방지림
117; 배수공
Claims (5)
- 딸기 종묘를 증식시기 위한 종묘장에 증식도구(100)를 준비하여 비치하고;
상기 증식도구(100)의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101)을 수용시키고;
종묘장의 지면 또는 포트 등과 같은 성장 보울에 심어진 딸기 모주(102)로부터 런너(103)를 증식도구(100)로 유도하여 자묘(104)를 성장시켜 증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 증식방법. - 폭(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L)를 가지고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증식바디(110)와;
상기 증식바디(110)를 받쳐주면서 증식바디(110) 내부에 채워진 흙(10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1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 증식도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식바디(110)는, 내부에 딸기 성장에 필요한 흙(10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수용공간(112)과;
상기 증식바디(110)의 하단에 받침대(111)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는 걸림턱(113)과;
상기 증식바디(110)의 내부에 증식바디(110)를 이동시키는 과정 또는 흙(101)의 압력에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형성하는 보강림(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 증식도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1)는, 증식바디(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13)을 수용하도록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는 이탈방지림(116)과;
상기 받침대(111)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런너(103)부터 유도된 자묘(104)가 성장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수분이 배출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공(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 증식도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식바디(110)의 상부 길이방향에는 런너(103)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꺽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증식바디(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유도가이드(115)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모종 증식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781A KR101590327B1 (ko) | 2014-02-26 | 2014-02-26 |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781A KR101590327B1 (ko) | 2014-02-26 | 2014-02-26 |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1268A true KR20150101268A (ko) | 2015-09-03 |
KR101590327B1 KR101590327B1 (ko) | 2016-02-01 |
Family
ID=5424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781A KR101590327B1 (ko) | 2014-02-26 | 2014-02-26 |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03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17954A (zh) * | 2016-06-17 | 2016-09-07 | 霍山县新元生态农业有限公司 | 一种草莓的种植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8100B1 (ko) | 2021-11-18 | 2024-08-22 | 이호명 | 연간 딸기 묘의 육묘 및 딸기 수확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739A (ja) * | 2000-02-04 | 2001-08-07 | Mikado Ikushu Nojo:Kk | イチゴの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栽培装置 |
JP2003018916A (ja) * | 2001-07-10 | 2003-01-21 | Takuo Yamamoto | イチゴ栽培装置 |
JP2006050907A (ja) * | 2004-08-10 | 2006-02-23 | Marusan Sangyo Kk | 苺苗育成方法 |
KR100797933B1 (ko) | 2006-11-20 | 2008-01-24 | 천태봉 | 딸기 모종 육묘방법 |
KR101107786B1 (ko) | 2009-07-01 | 2012-01-20 | 이창선 | 딸기모종 육모방법 |
-
2014
- 2014-02-26 KR KR1020140022781A patent/KR101590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739A (ja) * | 2000-02-04 | 2001-08-07 | Mikado Ikushu Nojo:Kk | イチゴの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栽培装置 |
JP2003018916A (ja) * | 2001-07-10 | 2003-01-21 | Takuo Yamamoto | イチゴ栽培装置 |
JP2006050907A (ja) * | 2004-08-10 | 2006-02-23 | Marusan Sangyo Kk | 苺苗育成方法 |
KR100797933B1 (ko) | 2006-11-20 | 2008-01-24 | 천태봉 | 딸기 모종 육묘방법 |
KR101107786B1 (ko) | 2009-07-01 | 2012-01-20 | 이창선 | 딸기모종 육모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17954A (zh) * | 2016-06-17 | 2016-09-07 | 霍山县新元生态农业有限公司 | 一种草莓的种植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0327B1 (ko) | 2016-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7933B1 (ko) | 딸기 모종 육묘방법 | |
CN104663072B (zh) | 板栗育苗的方法 | |
Jankauskiene et al. | Effect of transplant growth stage on tomato productivity | |
Olsen et al. | Growing hazelnuts in the Pacific Northwest: plant propagation | |
KR101109054B1 (ko) | 연의 번식 및 개화 촉진 방법 | |
CN105815118A (zh) | 一种银杏树用根系做砧木的嫁接方法 | |
WO2015131751A1 (zh) | 一种建立采穗圃大规模繁殖美国红杉苗木的方法 | |
CN105746282B (zh) | 橡胶树芽条苗圃增殖及其后复壮和换种方法 | |
CN105123467A (zh) | 一种无公害盆栽生菜的栽培方法 | |
Hochmuth | Greenhouse Cucumber Production—Florida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on Handbook, Vol 3 | |
CN103975752A (zh) | 一种水果黄瓜的种植方法 | |
JP2000201539A (ja) | プッシュプル式の植物根部エアプル―ニング用トレイ及びコンテシステム | |
ES2647344T3 (es) | Método para cultivar plantas | |
Chauhan et al. | Methods of propagation in vegetable crops | |
CN110583267A (zh) | 一种面包果芽接育苗方法 | |
KR101590327B1 (ko) |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 |
CN109526432B (zh) | 高海拔冷凉地区甜樱桃育苗及建园方法 | |
CN104303769A (zh) | 马铃薯扩繁方法 | |
WO1996025030A1 (fr) | Procede de production de tubercules de pommes de terre par greffage | |
KR101161581B1 (ko) | 뱅커플랜트 재배세트 및 이를 이용한 뱅커플랜트 재배방법 | |
KR101107786B1 (ko) | 딸기모종 육모방법 | |
JP2007166973A (ja) |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 |
JP2004516838A (ja) | バイオテク種ジャガイモの生産方法 | |
CN109275469A (zh) | 一种板栗育苗的方法 | |
Capocasa et al. | Micropropagated strawberry mother plants for high quality frigo and plug plants nursery prod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