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033A - 메밀싹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메밀싹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033A
KR20100137033A KR1020090055242A KR20090055242A KR20100137033A KR 20100137033 A KR20100137033 A KR 20100137033A KR 1020090055242 A KR1020090055242 A KR 1020090055242A KR 20090055242 A KR20090055242 A KR 20090055242A KR 20100137033 A KR20100137033 A KR 2010013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ckwheat
vertical
horizontal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서
Original Assignee
진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서 filed Critical 진종서
Priority to KR102009005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033A/ko
Publication of KR2010013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 종자를 파종한 뒤 발아된 새싹을 성장시켜 수확하는 메밀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의 한쌍의 세로틀과 막대 형상의 한쌍의 가로틀이 체결수단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세로틀 홈에 삽입되는 가로 구획판들과 상기 가로틀에 형성된 가로틀 홈에 삽입되는 세로 구획판들을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시켜 생성되는 격자 형상의 종자 탈피공을 다수개 형성한 재배틀과, 상기 재배틀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가 파종되는 받침과, 상기 재배틀과 받침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밀싹, 재배

Description

메밀싹 재배장치{A buckwheat sprout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메밀 종자를 파종한 뒤 발아된 새싹을 성장시켜 수확하는 메밀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의 한쌍의 세로틀과 막대 형상의 한쌍의 가로틀이 체결수단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세로틀 홈에 삽입되는 가로 구획판들과 상기 가로틀에 형성된 가로틀 홈에 삽입되는 세로 구획판들을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시켜 생성되는 격자 형상의 종자 탈피공을 다수개 형성한 재배틀과, 상기 재배틀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가 파종되는 받침과, 상기 재배틀과 받침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밀은 마디풀과의 일년초로서 재배후 열매를 수확하여 건조 분쇄한 상태에서 묵이나 국수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의 웰빙(Well-being) 추세에 편승하여 어린 새싹 식물에 관한 일반 대중의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메밀싹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메밀싹을 재배하는 방법은 메밀 종자에 적정한 온도와 조도 및 습도를 공급 하면 메밀 종자에서 2-3 일내 사이에 싹이 발아되고, 이 상태에서 5~7 일의 발육기를 거치게 되면 섭취가 가능한 메밀싹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메밀싹에는 섭취시 영양분이 없는 부분인 껍질(종피)이 있어 이러한 를 종피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메밀싹의 종피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메밀싹 재배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284805 호의 메밀싹 재배기가 공지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 284805 호는 평판에 이미 발아시킨 식물종자를 올려놓고 물을 공급하여 새싹을 재배하고, 평판에 안착된 발아상태의 메밀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망목을 구비한 스크린을 결합하여 메밀싹의 종피가 발육과정에서 망목에 걸려서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553777 호의 메밀싹 재배장치는 상기와 같은 망을 이용하여 메밀싹을 재배하되, 슬라이딩 홈에 컷터를 끼워 메밀싹을 수확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메밀싹 재배장치들은 메밀싹을 수확할 때 메밀싹이 매우 조밀하게 자라고 있는 관계로 통상적인 사람의 힘으로는 메밀싹이 쉽게 절취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재배시에는 주로 메밀싹을 뿌리채 잡아 뽑는 수확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메밀싹과 그 뿌리가 손상을 입게 되어 유통과정 중에 쉽게 상하여 신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밀싹을 메밀 뿌리와 절취하지 않은 상태로 출시를 하려하면 메밀싹 재배장치에 포함된 메밀싹의 종피를 제거하기 위한 망이나 스크린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망을 제거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술한 메밀싹과 그 뿌리가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메밀싹 재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생육된 메밀싹과 그 뿌리 부분을 채취할 경우 메밀싹과 뿌리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메밀싹 재배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메밀싹을 메밀 뿌리로부터 절취하지 않은 상태로 상품화하여 출시함으로써 메밀싹의 유통기간을 증대시키고 소비자에게 신선한 메밀싹을 공급할 수 있는 메밀싹 재배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구성은, 막대 형상의 한쌍의 세로틀과 막대 형상의 한쌍의 가로틀이 체결수단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세로틀 홈에 삽입되는 가로 구획판들과 상기 가로틀에 형성된 가로틀 홈에 삽입되는 세로 구획판들을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시켜 생성되는 격자 형상의 종자 탈피공을 다수개 형성한 재배틀과, 상기 재배틀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가 파종되는 받침과, 상기 재배틀과 받침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메밀싹 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메밀싹 재배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자가 메밀을 직접 절취하지 않은 상태로 메밀싹을 상품으로 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메밀싹을 절취하는 과정에서 메밀싹과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뿌리 부분이 붙어있는 채로 메밀싹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메밀싹의 유통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신선도가 우수한 메밀싹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재배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다 자란 메밀싹을 절취하지 않은 상태로 상품으로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1)는 메밀싹의 종피를 제거하는 재배틀(100)과, 상기 재배틀(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메밀 종자가 파종되는 받침(300)과, 상기 재배틀(100)과 상기 받침(300) 사이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에 수분을 공급하는 패드(200)로 대분된다.
상기 재배틀(100)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영양 성분이 없는 메밀싹의 종자 껍질(이하 '종피' 라함)을 메밀싹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재배틀(100)은 막대 형상의 한쌍의 세로틀(110,110')과 한쌍의 가로틀(120,120')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150)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한 재배틀(100)의 테두리 내부에 메밀싹의 종피를 탈피시키는 종자 탈피공(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자 탈피공(10)은 상기 세로틀(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세로틀 홈(111)에 삽입되는 가로 구획판(130)과, 상기 가로틀(120)에 형성된 가로틀 홈(121)에 삽입되는 세로 구획판(140)들이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어 생성된 격자 형상의 탈피공이다.
상기 가로 구획판(130)은 상부에 다수개의 요철홈(131)을 형성한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가로 구획판(130)의 양단을 일측 세로틀(110)의 세로틀 홈(111)과 이에 대응되는 타측 세로틀(110')의 세로틀 홈(111')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되, 상기 요철홈(131) 부분이 상방향으로 놓이도록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로틀(110)과 결합된 가로구획판(130)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홈(131)에 세로 구획판(140)을 삽입시킨다.
상기 세로 구획판(140)은 하부에 다수개의 요철홈(141)을 형성한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세로 구획판(140)의 양단을 일측 가로틀(120)의 가로틀 홈(121)과 이에 대응되는 타측 가로틀(120')의 가로틀 홈(121')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되, 상기 세로 구획판(140)에 형성된 요철홈(141) 부분을 하방향으로 놓이도록 결합하여 세로 구획판(140)의 요철홈(141)을 상기 가로 구획판(130)의 요철홈(131)에 삽입시켜 각각의 요철홈(131,14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킨다.
그럼으로써, 가로 구획판(130)과 세로 구획판(140)의 결합력이 보다 공고해지면서 메밀싹의 생장시 발생되는 힘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틀(110,110')과 가로틀(120,120')이 결합되고, 여기에 다수개의 가로 구획판(130)과 다수개의 세로 구획판(140)이 상호 결합됨으로 인하여 도 2 및 도 3 의 본 발명 재배장치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 및 평면도와 같은 본 발명의 재배틀(100)을 이루게 되며, 상기 재배틀(100)의 테두리 내부에 가로 구획판(130)과 세로 구획판(140)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격자 모양의 종자 탈피공(10)이 다수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재배틀(100)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세로틀(110)과 일측 가로틀(120)을 체결수단(150)을 이용하여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일측 세로틀(110)의 세로틀 홈(111)에 다수개의 가로구획판(130)들을 삽입시켜 본드 등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나 끈 등을 사용하여 가로구획판(130)들의 일단을 세로틀 홈(111) 에 접착시키거나 세로틀 홈(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타측 세로틀(110')과 타측 가로틀(120')을 체결수단(150)을 이용하여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타측 가로틀(120')의 가로틀 홈(121)에 다수개의 세로구획판(140)들을 삽입시켜 본드 등의 접착제 또는 테이프나 끈을 사용하여 세로구획판(140)들의 일단을 가로틀 홈(121)에 접착시키거나 가로틀 홈(1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배틀(100)의 주요부를 이루는 일측 세로틀(110)과 일측 가로틀(120) 및 가로구획판(130)을 미리 조립한 일부의 재배틀과 타측 세로틀(110')과 타측 가로틀(120') 및 세로구획판(140)을 미리 조립한 또 다른 일부의 재배틀을 미리 구비하여 두게 되면, 재배틀(100)의 조립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재배틀(10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세로틀(110,110')과 가로틀(120,120')의 길이는 메밀싹의 재배 면적에 따라서 조절 가능하다.
상기 세로틀(110)에 결합되는 각각의 가로구획판(130)들의 이격 거리는 대략 2.0 ~ 4.0 mm 되도록 삽입하고, 각각의 세로구획판(140)들의 이격 거리는 2.0 ~ 3.0 cm 가 되도록 삽입하여, 도 4 의 A 부분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 모양의 종자 탈피공(10)의 가로(x)가 2.0 ~ 3.0 cm, 세로(y)는 2.0 ~ 4.0 mm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종자 탈피공(10)의 크기는 파종된 메밀 종자가 발아과정 중에 종자 탈피공(10)에서 메밀 종자가 회전되거나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여유가 있어야 하며, 상기 종자 탈피공(10)은 그 폭이 적당한 정도로 좁아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너무 좁으면 메밀싹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고 너무 넓으면 메밀 떡잎과 종피가 분리되지 않고 그냥 빠져나오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자 탈피공(10)의 폭(즉, 도면부호 y 길이)은 대략 2.0 ~ 4.0 mm 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 재배틀(100)의 전체 높이의 경우, 너무 낮으면 발아된 메밀싹이 빠져나오기 전에 공간 내에서 엉켜버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높이를 대략 8.0 ~ 12.0 mm 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세로틀(110)과 가로틀(120) 및 가로구획판(130)과 세로구획판(14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로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패드(200)는 메밀 종자로의 원활한 수분 공급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요소로서, 주로 부직포와 같이 물을 흡수하고 머금는 성질이 뛰어난 재질을 사용한다.
받침(300)은 메밀 종자의 파종을 위한 것으로서, 파종된 메밀 종자가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경 재배를 감안하여 물에 강한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받침(300)은 단순한 평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결합수단(4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즉, 재배틀(100)과 패드(200)와 받침(300)을 순차적으로 상하로 적치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요소로서, 실시예로서 클램프, 밴드, 핀 등의 다양한 부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재배틀(100)의 세로틀(110)이나 가로틀(120)의 하단 부분에 거치대를 형성하여 거치대 상에 패드(200) 또는 받침(300)을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재배틀(100)이 받침(300)과 공고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재배틀(100)에서 발아되는 메밀싹의 생장력에 의하여 재배 틀(100)이 메밀싹을 따라서 함께 상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재배틀(100)에 의하여 메밀 종피가 보다 용이하게 탈피될 수 있는 결합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150)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볼트를 사용하였으나, 세로틀(110)과 가로틀(12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체결 수단이 사용 가능하다.
미설명 부호 160 은 세로틀(110)과 가로틀(120)에 형성된 체결공(160)으로서, 세로틀(110)과 가로틀(12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150)이 관통되는 구멍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작용 상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메밀싹 성장 과정중에 새싹의 떡잎과 종피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 를 참조하여 메밀 종자(s)가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를 통하여 재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틀(110)과 가로틀(120) 및 가로구획판(130)과 세로구획판(140)이 결합된 상태의 재배틀(100)을 형성하고, 메밀 종자(s)를 패드(200) 상에 파종한 상태에서 패드(200)의 상부에 상기 재배틀(100)을 결합시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틀(100)의 하부와 패드(200) 사이에 메밀 종자(s)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파종된 메밀 종자(s)에 적정한 온도와 조도 및 습도를 공급하면 2-3 일내 사이에 메밀싹이 발아되며, 이후 5~7 일의 발육기를 거치면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 상에서 메밀 뿌리(a)가 형성되면서 메밀 떡잎(b)이 생장된다.
이때,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장된 메밀싹은 상기 가로구획판(130)과 세로구획판(140)에 의한 종자 탈피공(10)의 격자 형태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메밀 종자(s)의 외피 부분인 메밀 종피(c) 부분은 자연적으로 탈피되고, 탈피된 메밀 종피(c)는 패드(200) 상에 남게 된다.
이어서,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메밀 종피(c)가 탈피된 메밀 새싹은 재배틀(100) 상에서 매우 조밀하게 생육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틀(100)과 패드(200) 및 받침(300)의 결합수단(400)을 해제한 후, 체결수단(150)을 제거하여 세로틀(110)과 가로틀(120) 및 가로구획판(130)과 세로구획판(140)을 제거한다.
그러면, 도 6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밀싹은 메밀 뿌리(a)와 메밀 떡잎(b)이 그대로 보존된 상태로 매우 조밀하게 재배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생산자는 여기에 적정한 포장을 하여 상품으로서 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는 메밀싹 상품을 구매하여 포장을 풀고, 메밀싹 부분만 필요한 양만큼 칼로 절취하여 섭취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 메밀싹 재배장치와 같이 생산자가 메밀을 직접 절취하지 않아도 상품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메밀싹을 절취하는 과정에서 메밀싹과 뿌리가 손 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메밀싹을 뿌리가 붙어있는 신선한 상태로 출시할 수 있게 되어 유통기간도 증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밀싹 재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는 도 3 의 A 부분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메밀싹 성장 과정중에 새싹의 떡잎과 종피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재배장치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메밀싹 재배장치
10; 종자 탈피공
100; 재배틀
110; 세로틀
111; 세로틀 홈
120; 가로틀
121; 가로틀 홈
130; 가로 구획판
131; 요철홈(가로 구획판)
140; 세로 구획판
141; 요철홈(세로 구획판)
150; 체결수단
160; 체결공
200; 패드
300; 받침
400; 결합수단
S; 메밀 종자
a; 메밀 뿌리
b; 메밀 떡잎
c; 메밀 종피

Claims (4)

  1. 메밀싹 재배장치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한쌍의 세로틀(110,110')과 막대 형상의 한쌍의 가로틀(120,120')이 체결수단(150)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모양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틀(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세로틀 홈(111)에 삽입되는 가로 구획판(130)들과 상기 가로틀(120)에 형성된 가로틀 홈(121)에 삽입되는 세로 구획판(140)들을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시켜 생성되는 격자 형상의 종자 탈피공(10)을 다수개 형성한 재배틀(100)과,
    상기 재배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가 파종되는 받침(300)과,
    상기 재배틀(100)과 받침(30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틀(100)과 상기 받침(300) 사이에 위치하며 메밀 종자에 수분을 공급하는 패드(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구획판(130)은 상부에 다수개의 요철홈(131)을 형성한 평판 형상이고, 상기 세로 구획판(140)은 하부에 다수개의 요철홈(141)을 형성한 평판 형상이고,
    상기 가로 구획판(130)의 요철홈(131) 부분을 상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세로틀(110)에 결합하고, 상기 세로 구획판(140)의 요철홈(141)을 상기 가로 구획판(130)의 요철홈(131)에 삽입시켜 각각의 요철홈(131,14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가로 구획판(130)과 세로 구획판(140)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재배틀(100)의 세로틀(110)이나 가로틀(120)의 하단 부분에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에 패드(200) 또는 받침(300)을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시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재배장치.
KR1020090055242A 2009-06-20 2009-06-20 메밀싹 재배장치 KR20100137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242A KR20100137033A (ko) 2009-06-20 2009-06-20 메밀싹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242A KR20100137033A (ko) 2009-06-20 2009-06-20 메밀싹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033A true KR20100137033A (ko) 2010-12-30

Family

ID=4351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242A KR20100137033A (ko) 2009-06-20 2009-06-20 메밀싹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0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5708A (zh) * 2014-10-16 2015-01-21 高文献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CN105432357A (zh) * 2015-06-04 2016-03-30 安徽省万薇林业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育苗盒
CN105453993A (zh) * 2015-06-04 2016-04-06 安徽省万薇林业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育苗盒及配套使用的搬运车与植树铲
CN109328737A (zh) * 2018-11-08 2019-02-15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采收的嫩芽菜栽培装置
KR102131875B1 (ko) * 2020-01-08 2020-07-08 주식회사 에이피엔 보호 구조가 개선된 초음파 프로브
WO2020173745A1 (de) * 2019-02-26 2020-09-03 Phytoniq Technology Gmbh Pflanzenhaltevorricht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5708A (zh) * 2014-10-16 2015-01-21 高文献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CN105432357A (zh) * 2015-06-04 2016-03-30 安徽省万薇林业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育苗盒
CN105453993A (zh) * 2015-06-04 2016-04-06 安徽省万薇林业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育苗盒及配套使用的搬运车与植树铲
CN109328737A (zh) * 2018-11-08 2019-02-15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采收的嫩芽菜栽培装置
WO2020173745A1 (de) * 2019-02-26 2020-09-03 Phytoniq Technology Gmbh Pflanzenhaltevorrichtung
KR102131875B1 (ko) * 2020-01-08 2020-07-08 주식회사 에이피엔 보호 구조가 개선된 초음파 프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278B (zh) 油茶绿枝带叶苗砧嫁接方法
KR20100137033A (ko) 메밀싹 재배장치
KR101817591B1 (ko) 딸기육묘용 포트
WO2017163745A1 (ja) 植物栽培方法および植物栽培装置
JP6035653B2 (ja) 野菜栽培器具
CN102805000A (zh) 吊丝竹两段式快繁育苗方法
KR101208605B1 (ko) 소비자 유통용 새싹 재배기
KR100776619B1 (ko) 황금소나무 재배방법
CN206586052U (zh) 一种便于移栽的育苗盘
KR101590327B1 (ko)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JP5464765B2 (ja) 水耕栽培用培地
KR20120005424U (ko) 농작물 재배용 조립식 덮개
KR101107786B1 (ko) 딸기모종 육모방법
CN201069937Y (zh) 棉花育苗专用的网底塑料穴盘
CN205596805U (zh) 一种马铃薯无土培养箱
JPH10304764A (ja) 苺等の蔓性作物の栽培方法と栽培用設備
JP2008011729A (ja) 栽培トレーを用いた野菜栽培方法及び装置
KR101337841B1 (ko) 인삼 파종지
KR102399668B1 (ko) 새싹 재배 장치
CN113785728B (zh) 一种用于温室大棚规模化种植蝴蝶兰的种植板及种植方法
CN214385267U (zh) 一种农业技术推广用育苗装置
KR200242455Y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KR100861195B1 (ko) 새싹 재배장치
CN208095460U (zh) 柑橘木虱防治装置
KR200407156Y1 (ko) 육묘상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