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966B1 -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966B1
KR101207966B1 KR1020120031740A KR20120031740A KR101207966B1 KR 101207966 B1 KR101207966 B1 KR 101207966B1 KR 1020120031740 A KR1020120031740 A KR 1020120031740A KR 20120031740 A KR20120031740 A KR 20120031740A KR 101207966 B1 KR101207966 B1 KR 101207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ear
pressure change
abrasion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3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58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llector for indicating condition thereof, e.g. for indicating brush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한계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브러쉬(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모감지공(110)과;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기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브러쉬(10)가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될 경우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손상으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10)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로 구성되는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브러쉬의 내부로 일정압력을 갖는 기체를 공급하여 브러쉬가 마모한계를 초과할 경우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의 교환주기를 감지 및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및 고압전류가 발생하는 작업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Device sensing wear limit of brush}
본 발명은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의 내부로 일정압력을 갖는 기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브러쉬가 마모한계를 초과할 경우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의 교환주기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브러쉬의 마모로 인한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는 제철소의 크레인 또는 전기장치의 슬립링에 사용되는 브러쉬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0643호(1999.07.01), 제0238041호(2001.12.05), 제0298336호(2002.12.16)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는 브러쉬의 내부에 전기적인 센서 또는 스위치(감지케이블)를 마련하여 브러쉬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고 있으나, 이는 크레인 또는 슬립링의 작동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압전류로 인해서 센서 또는 스위치가 오작동 및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브러쉬의 내부에 전기적인 센서 또는 스위치를 삽입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불편하며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고온 및 고압전류가 발생하는 작업환경에서는 쉽게 적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브러쉬의 내부로 일정압력을 갖는 기체를 공급하여 브러쉬가 마모한계를 초과할 경우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의 교환주기를 감지할 수 있는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는,
마모한계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브러쉬(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모감지공(110)과;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기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브러쉬(10)가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될 경우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손상으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10)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압력변화 감지부재(120)의 사이에는 연결호스(12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보조호스(11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12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는 압력계 또는 유량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브러쉬의 내부로 일정압력을 갖는 기체를 공급하여 브러쉬가 마모한계를 초과할 경우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의 교환주기를 감지 및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및 고압전류가 발생하는 작업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크레인의 집전장치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전기장치의 슬립링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크레인의 집전장치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전기장치의 슬립링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모한계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브러쉬(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모감지공(110)과;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기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브러쉬(10)가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될 경우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손상으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10)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가 마모되어 마모한계에 초과할 경우 함께 손상되면서 내부에 공급되는 일정압력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되면서 브러쉬(10)의 마모한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10)의 마모한계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브러쉬(10)가 마모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일정압력의 기체가 원활하게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마모한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압력변화 감지부재(120)의 사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호스(121)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브러쉬(10)가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공간 및 환경에 설치되는 특성상 설비사고의 위험은 물론 압력변화 감지부재(120)의 유지보수 효율성을 위해서 브러쉬(10)와 압력변화 감지부재(120)가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그 사이를 상기 연결호스(121)가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기체를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121)는 내열성과 유연성을 갖는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보조호스(11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121)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상기 마모감지공(110)에 연결호스(121)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공간이 협소하고 설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호스(111)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상기 연결호스(121)를 보조호스(111)에 연결하여 일정압력의 기체를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는 브러쉬(10)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기체를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브러쉬(10)가 마모한계 이상까지 마모되어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손상부위를 통해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계 또는 유량계 등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일정압력의 기체를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로 공급함은 물론 기체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러쉬(10)의 마모와 함께 상기 마모감지공(110)이 손상될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변화에 따라서 브러쉬(10)의 교환주기를 감지하여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10: 브러쉬 20: 트롤리바
30: 집전장치 40: 슬립링
100: 본 발명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110: 마모감지공 111: 보조호스
120: 압력변화 감지부재 121: 연결호스

Claims (7)

  1. 마모한계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브러쉬(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모감지공(110)과;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연결되어 일정압력의 기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브러쉬(10)가 마모한계 이상으로 마모될 경우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손상으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브러쉬(10)의 마모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로 구성되되, 상기 마모감지공(110)과 압력변화 감지부재(120)의 사이에는 연결호스(121)가 연결되되, 상기 마모감지공(110)은 브러쉬(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브러쉬(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거나 브러쉬(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감지공(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보조호스(111)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121)가 연결되며, 상기 압력변화 감지부재(120)는 압력계 또는 유량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31740A 2012-03-28 2012-03-28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KR101207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40A KR101207966B1 (ko) 2012-03-28 2012-03-28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40A KR101207966B1 (ko) 2012-03-28 2012-03-28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966B1 true KR101207966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40A KR101207966B1 (ko) 2012-03-28 2012-03-28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91B1 (ko) * 2013-06-17 2015-06-17 원광기업 주식회사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848A (ja) * 1982-03-02 1983-09-09 Hitachi Chem Co Ltd 電刷子の摩耗限界検知装置
KR100824640B1 (ko) * 2006-12-14 2008-04-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축류형 팬의 로테이팅 오일 씰 및 실린더에 대한 오일 누설테스트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848A (ja) * 1982-03-02 1983-09-09 Hitachi Chem Co Ltd 電刷子の摩耗限界検知装置
KR100824640B1 (ko) * 2006-12-14 2008-04-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축류형 팬의 로테이팅 오일 씰 및 실린더에 대한 오일 누설테스트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91B1 (ko) * 2013-06-17 2015-06-17 원광기업 주식회사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91848A (zh) 一种基于光纤传感技术的变压器绕组监测系统
KR101207966B1 (ko)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CN203798317U (zh) 一种基于光纤传感技术的变压器绕组监测系统
CN106319122B (zh) 在线测量高炉炉缸渣铁液面信息的方法和装置
CN203116673U (zh) 一种机械零部件孔距公差测量检具
CN202539186U (zh) 轧机张力检测与失张保护装置
CN104567973A (zh) 传感器故障检测装置
CN104723409A (zh) 一种具有温度检测功能的电锯
CN103433878B (zh) 一种带有自锁的绝缘扳手
CN207528142U (zh) 热轧履带板尺寸测量工具
CN207214543U (zh) 一种制冷设备及其报警装置
KR101353664B1 (ko) 와이어 점검장치
CN204085418U (zh) 一种电力电缆转弯半径测试仪
CN210623780U (zh) 一种弹簧支吊架载荷异常警示装置
CN204613291U (zh) 便携式高压电缆电源检测仪
CN204007439U (zh) 孔径测量工具
CN204044233U (zh) 一种带自测功能的试电笔
CN202785362U (zh) 吊车集电器滑块磨损监测报警装置
CN209358010U (zh) 一种智能电缆插头
CN106115515A (zh) 一种海工折臂式起重机松绳检测装置
CN105092070A (zh) 电缆温度在线监测报警装置
CN215087933U (zh) 一种中速磨煤机磨锟润滑油温度测量元件
EP3167461B1 (en) Damage preventing identification system for conductors and coupling points in electrical systems with data acquisition
KR20130066062A (ko) 감전사고 예방 작업복
CN202599863U (zh) 一种阴阳膜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