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91B1 -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91B1
KR101529491B1 KR1020130068971A KR20130068971A KR101529491B1 KR 101529491 B1 KR101529491 B1 KR 101529491B1 KR 1020130068971 A KR1020130068971 A KR 1020130068971A KR 20130068971 A KR20130068971 A KR 20130068971A KR 101529491 B1 KR101529491 B1 KR 1015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roximity sensor
trolley bar
trolley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379A (ko
Inventor
이재각
Original Assignee
원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58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llector for indicating condition thereof, e.g. for indicating brush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 등의 산업용 이동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수전하는 집전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안정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롤리바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단선되고,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부위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부가 설치되어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양단이 내측으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근접센서삽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근접센서삽입홀에는 근접센서가 삽입되어 집전기의 브러시가 마모에 의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abration of a brush for current corrector}
본 발명은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 등의 산업용 이동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수전하는 집전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안정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전기란 크레인 등의 산업용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동경로상의 상측에 설치된 트롤리바에 접촉하여 기동전력을 공급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실용신안공고 제1980-0002040호(이하, 종래 발명 1이라 함)의 기재된 집전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1) 양단에는 절연체(P.V.C)의 가이드 로울러(2)(2')를, 중앙부에는 안내요조(5)가 삭설되고 저부에 한쌍의 탄발스프링(6)(6')을 융착한 동-카본의 브러시(4)를 관출되게 탄삽한 집전자 홀더(3)를 고착한 후, 이의 하측에 회전봉(7)을 유착하고 이를 각 형관(8) 지지부(9)를 형성한 축수(10)와 상하의 횡간(11)(11')으로 유설하되 이에 스프링(12)을 연설 탄지시킨 것이다.
따라서, 브러시(4)가 이동경로의 상측에 설치된 트롤리(14)에 접촉하여 기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발명 1에 따르는 집전기는 동-카본으로 된 브러시(4)가 트롤리(14)에 직접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브러시(4)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마모가 한계점에 다다르면 하우징(1)이 트롤리(14)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하우징(1)과 트롤리(14)의 손상은 물론 수전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브러시(4)의 마모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집전기의 운전을 정지시킨 다음 육안으로 브러시(4)의 마모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848호(이하, 종래 발명 2라 함)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러시(3)의 하단면 중앙에 고정되고 집전기의 베이스(6)측을 향해 연장된 압상로드(8)와; 상기 베이스(6)의 상측에 배설되고 상기 압상로드(8)과 관통고정된 고정판(15)과; 상기 고정판(15)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압상로드(8)가 관통되며 운전실의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11)과; 상기 전자석(11)과 거리를 두고 그 상측에 구비된 흡착판(12)과; 상기 흡착판(12)의 상측에 한쌍의 안내봉(9)에 의해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그 일측단부에 감지편(14)이 설치된 스프링고정판(10)과; 상기 흡착판(12)과 스프링고정판(10) 사이에 이들을 관통한 상기 압상로드(8) 상에 권취되는 압상스프링(7)과; 상기 고정판(15)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상에 상기 감지편(14)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근접센서(13);로 구성되어 있어서, 브러시(3)의 과마모가 발생하여 일정치 이상 오버하게 되면, 근접센서(13)가 감지편(14)에 근접함으로써 브러시(3)의 마모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1'은 트롤리바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발명 2는 베이스(6)에 고정된 고정판(13)에 근접센서(13)가 구비되고, 또한 감지편(14)은 스프링고정판(10)에 설치됨으로써 집전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상하충격에 의해 근접센서(13)와 감지편(14)이 서로 근접하게 됨으로써 브러시(3)의 마모가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았다 할지라도 잦은 경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오동작에 의해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관리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브러시(3)의 마모상태 감지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고정구조물인 트롤리에 근접센서를 설치하되 브러시의 상부면에 수직상태로 근접되게 근접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근접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신뢰성 있는 경보가 발생하도록 한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는,
트롤리바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단선되고,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부위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부가 설치되어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양단이 내측으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근접센서삽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근접센서삽입홀에는 근접센서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된 트롤리바에 브러시의 마모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집전기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감지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일반적인 집전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종래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상태를 감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4은 본 발명의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연결부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
도6은 연결부, 복수의 트롤리바, 복수의 집전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7은 전원공급을 위한 트롤리바의 단선 구조를 보인 도.
도8은 본 발명의 근접센서에 의해 마모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본 발명에서의 집전기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도1의 집전기와 동일하게 하우징(300), 회전봉(320), 횡간(330,340), 스프링(3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도1 뿐만 아니라 도3의 구조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집전기의 구조는 지극히 일반적인 것으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 및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브러시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해서, 트롤리바(100,100')는 일정구간이 단선이 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선된 구간의 길이는 브러시(310)의 길이보다 작아야 한다.
트롤리바(100,100')의 단선된 위치에는 비도전체로 된 연결부(200)가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부(200)는 도5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양측 상부방향으로 각각 하측이 개방된 부위와 연통되도록 삽입홈(210,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200)가 트롤리바(100,100')의 단선된 구간의 상측에서 끼워질 때 삽입홈(201,220)의 개방된 하측으로 트롤리바(100,100')의 양단이 삽입되면서 연결부(200)가 트롤리바(100,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부(200)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측 개방된 부위까지 수직으로 관통된 근접센서 삽입홀(230)이 형성되며, 또한 연결부(200)의 하단부위는 즉, 개방된 부위의 전후면 양측으로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근접센서 삽입홀(230)에는 도8에서와 같이 근접센서(4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근접센서(230)의 하단부위는 트롤리바(100,100')의 하단부위에 근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전기의 운전시 브러시(310)가 상단에 장착된 하우징(300)이 연결부(200)의 개방된 부위를 위치하면서 트롤리바(100,100')에 의해 기동전력을 공급받게 되는데, 트롤리바(100,100')가 단선되었다 할지라도 브러시(310)에 의해 통전되게 된다.
또한, 집전기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300)이 트롤리바(100,100')의 단선된 구간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이웃하는 집전기에 의해 기동전력을 계속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도6에서와 같이 복수의 트롤리바들(110,120,130,140,150,160,170,180)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연결부(200)가 트롤리바들(110,120,130,140,150,160,170,180)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하나의 이동체(400)에 복수의 하우징(300)을 갖는 집전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7에서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들(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이 트롤리바들(110,120,130,140,150,160,170,180)에 결쳐서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하나의 연결부에는 하나의 트롤리바 단선구간을 갖는다.
예를들면, 제1연결부(200-1)는 제1트롤리바(110)가 단선된 구간에 설치되며, 제2연결부(200-2)는 제2트롤리바(120)의 단선된 구간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제3트롤리바(200-3)는 제3트롤리바(130)의 단선구간에, 제4트롤리바(200-4)는 제4트롤리바(140)의 단선구간에, 제5트롤리바(200-5)는 제5트롤리바(150)의 단선구간에, 제6트롤리바(200-6)는 제6트롤리바(160)의 단선구간에, 제7트롤리바(200-7)는 제7트롤리바(170)의 단선구간에, 제8트롤리바(200-8)는 제8트롤리바(180)의 단선구간이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트롤리바와 연결부는 집전기의 이동구간에 더 확장이 가능하며, 도7에서는 각 연결부들(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의 간격을 이해하기 편하게 넓게 도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서로 근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트롤리바들(110,120,130,140,150,160,170,180)의 개수에 맞게 집전기에는 복수의 하우징(300)이 구비되며, 이러한 하우징들은 사선방향으로 구비되는데, 그 위치는 제1트롤리바(110)의 단선구간에 하나의 하우징이 위치하여 집전기가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다른 트롤리바의 단선구간에는 하우징이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제1트롤리바(110)의 단선구간에서 하우징이 벗어나게 되면, 또다른 하우징이 다른 단선구간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들을 배치하면 된다.
이로인해 트롤리바가 단선되었다 할지라도 이웃하는 트롤리바에 의해 집전기의 기동전력을 계속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브러시(310)가 도8에서와 같이 정상적인 마모상태라고 하면, 브러시(310)의 상단과 근접센서(40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집전기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300)의 브러시(310)가 트롤리바(100,100')에 접촉되면서 과대하게 마모되어 마모한계선(311)에 다다르면, 하우징(300)이 트롤리바(100,100')의 하단과 매우 가까워지면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크레비스(360)가 연결부(200)의 하단 돌출부(240)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300)은 더 이상 트롤리바(100,100')에 가까워지지 않고, 집전기의 이동에 의해 브러시(310)가 계속 마모되면, 근접센서(400)와 브러시(310)의 상부면과의 간격이 멀어지게 됨으로써 근접센서(400)는 이를 감지하여 브러시(310)의 마모한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100' : 트롤리바 200 : 연결부
210,220 : 삽입홈 230 : 근접센서 삽입홀
300 : 하우징 310 : 브러시
311 : 마모한계선 360 : 크레비스
400 : 이동체 500 : 근접센서

Claims (3)

  1. 트롤리바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단선되고,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부위에는 하부가 개방된 연결부가 설치되어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트롤리바의 단선된 양단이 내측으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근접센서삽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근접센서삽입홀에는 근접센서가 삽입되어 집전기의 브러시가 마모에 의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위 전후면 양측으로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집전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크레비스가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단부는 트롤리바의 하단위치에 근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비도전성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KR1020130068971A 2013-06-17 2013-06-17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KR10152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71A KR101529491B1 (ko) 2013-06-17 2013-06-17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71A KR101529491B1 (ko) 2013-06-17 2013-06-17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79A KR20140146379A (ko) 2014-12-26
KR101529491B1 true KR101529491B1 (ko) 2015-06-17

Family

ID=5267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971A KR101529491B1 (ko) 2013-06-17 2013-06-17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9342A (zh) * 2016-11-17 2018-05-25 上海宝冶工业工程有限公司 起重机集电架
KR20180065381A (ko) 2016-12-07 2018-06-18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트롤리바 감시장치
KR101921681B1 (ko) * 2017-11-20 2018-11-23 이용호 집전기의 트롤리바 이상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875A (zh) * 2015-08-12 2015-12-02 广西三威林产工业有限公司 滑触线可调安装架
KR20180065430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포스코 전원공급장치
CN109572031B (zh) * 2019-01-23 2024-02-27 北京新龙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下拉导轨编号的装置及方法
US20230368634A1 (en) * 2022-05-16 2023-11-16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Wear indicat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6064B2 (ja) * 1991-06-27 1998-07-16 日立電線株式会社 絶縁トロリー用集電子のブラシ摩耗検出装置
KR200186848Y1 (ko) * 1999-12-22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슈우 상태 감지기능을 갖는 크레인용 집전기
KR200301276Y1 (ko) * 1998-07-31 2003-04-16 주식회사 포스코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KR101207966B1 (ko) * 2012-03-28 2012-12-04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6064B2 (ja) * 1991-06-27 1998-07-16 日立電線株式会社 絶縁トロリー用集電子のブラシ摩耗検出装置
KR200301276Y1 (ko) * 1998-07-31 2003-04-16 주식회사 포스코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KR200186848Y1 (ko) * 1999-12-22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슈우 상태 감지기능을 갖는 크레인용 집전기
KR101207966B1 (ko) * 2012-03-28 2012-12-04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브러쉬의 마모한계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9342A (zh) * 2016-11-17 2018-05-25 上海宝冶工业工程有限公司 起重机集电架
KR20180065381A (ko) 2016-12-07 2018-06-18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트롤리바 감시장치
KR101921681B1 (ko) * 2017-11-20 2018-11-23 이용호 집전기의 트롤리바 이상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79A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491B1 (ko)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US8120503B2 (en) Brush wear monitor having mounted flags interactable with an impedance dependent switch
RU2497698C2 (ru) Контактный провод, токосъемник и контактно-пр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CN103959620B (zh) 直线致动器构造体以及具有该直线致动器构造体的口腔卫生装置
US10137801B2 (en) Conductor line, current collector, and conductor line system
JP5851633B2 (ja) セグメント化された集電シューアセンブリ
KR200486815Y1 (ko) 릴레이
US10147572B2 (en) Embedded po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110715976A (zh) 滑轨式自动上下线钢丝绳检测装置
US9669733B2 (en) Self-insulated modular power supply line
CN105899451A (zh) 带有吊杆磨损检测器的引导装置
CN203589648U (zh) 导电轨盒以及具有导电轨盒的导电轨配电系统
CN102629725B (zh) 机械手用的集电器
JP2010143450A (ja) 集電子磨耗検出装置および集電子磨耗検出システム
CN104049282A (zh) 钢筋焊网机的焊接钢筋检测机构
KR101408131B1 (ko) 크레인용 레일 바
KR101380703B1 (ko) 집전 장치
KR200444538Y1 (ko) 판토그라프
CN113203904A (zh) 一种集电刷检测装置
CN204346355U (zh) 根据接地电刷工作原理设计的金属检测装置
KR102341099B1 (ko) 선로 진단 시스템
JP5491703B2 (ja) 非接触式給電システムの静電容量調整装置
US10079463B2 (en) Brush wear indicator
CN205376410U (zh) 接触器
KR101809474B1 (ko) 열차 하부의 물체의 위치 및 크기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