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276Y1 -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276Y1
KR200301276Y1 KR2019980014464U KR19980014464U KR200301276Y1 KR 200301276 Y1 KR200301276 Y1 KR 200301276Y1 KR 2019980014464 U KR2019980014464 U KR 2019980014464U KR 19980014464 U KR19980014464 U KR 19980014464U KR 200301276 Y1 KR200301276 Y1 KR 200301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ear
crane
trolley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100U (ko
Inventor
송영석
김귀수
김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14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27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4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rollers or sliding shoe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10Devices preventing the collector from jump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4Maintenance of current collectors, e.g. reshaping of brushes, cleaning of commu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천정 기중기 설비의 전원 공급장치인 트롤리에 설치되어 기중기의 이동 중에도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집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 기중기 주행시 집전장치가 트롤리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 불량에 의한 기중기 제어 불가로 파급되는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천정 기중기의 주행중 트롤리의 휨 발생이 심한 지역이라도 트롤리에서 집전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수단과, 상기 천정 기중기의 주행시 브러쉬의 현재 마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 및 천정 기중기 가동을 중지하기 위한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 및 상기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의 경고에 따라 마모된 브러쉬의 교체시, 브러쉬를 간단하게 교체 할 수 있는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
본 고안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천정 기중기 설비의 전원 공급장치인 트롤리에 설치되어 기중기 이동중에도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집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 기중기 주행시 집전장치가 트롤리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 불량에 의한 기중기 제어 불가로 파급되는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기중기 전원 공급 장치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Trolley)에 집전장치의 브러쉬(1)가 접촉되어 3상의 교류 전원이 공급되나, 트롤리 자체 특성상 여름철에는 팽창되고 겨울철에는 수축되어 트롤리가 일직선이 되지 못하고 휨 현상이 발생되어, 천정 기중기 주행시 토롤리 휨 상태가심한 장소에서 고정된 집전장치의 브러쉬(1)가 이탈되므로서, 주 전원 공급 불가에 의한 기중기 제어 불량으로 주행 슬립 15M 전 구간 트롤리와 애자(13) 및 집전장치의 파손이 발생된다.
또한, 집전장치의 브러쉬(1) 마모량을 점검시에는 주 전원 스위치를 턴-오프시키고 실시해야 되므로, 천정 기중기 사용 불가로 인한 소재의 입고 및 제품 출하작업의 지연으로 생산휴지가 발생되어, 주 전원을 턴-오프 시키기가 불가능하므로 정확한 브러쉬의 마모량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브러쉬(1)의 마모량 과다시 미 마모량 부위가 애자(13)와 접촉되어 집전장치 및 애자(13)가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 사고가 발생된다.
한편, 집전장치에 브러쉬가 2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브러쉬 1개당 고정용 볼트가 4개이며 브러쉬 2개에 총 8개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브러쉬 교체시 볼트 다량으로 교체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전기 흑연질 브러쉬 자체에 너트 홀이 제작되어 스틸 볼트로 고정 시키므로, 미세한 과 조임 발생에도 너트 홀이 파손되어 고정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고정상태의 불량으로 인하여 천정 기중기의 주행중 브러쉬의 이탈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브러쉬 낙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또한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정 기중기 주행시 집전장치가 트롤리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 불량에 의한 기중기 제어 불가로 파급되는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집전장치 외형도로서,
도 1a 는 정면도,
도 1b 는 측면도,
도 2a 와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의 외형도로서,
도 2a 는 정면도,
도 2b 는 측면도,
도 3 의 (a) 내지 (d)는 상기 도 2a 와 도 2b 에 대한 각 장치별 상세도,
도 4a 와 도 4b 는 브러쉬의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브러쉬 2 : 절연판 이탈방지 브라켓트
3 : 60% 마모시 감지 센서 4 : 기존 브러쉬 고정고리
5 : 40% 마모시 감지 센서 6 : 트위스트 코일 상부 스프링
7 : 브러쉬 유동구간 고정 브라켓트 8 : 트위위트 코일 하부 스프링
9 : 브러쉬 지지 브라켓트 10 : 슈 지지봉
11 : 파워 피더 12 : 센서 감지 케이블
13 : 애자 14 : 애자 고정 너트
15 : 동작 램프 16 : 경고용 시그널 보드
17 :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 17-1 : 브러쉬
17-2 : 고정형 "L" 찬넬 17-3 : 고정형 "L" 찬넬 고정부
17-4 : 스프링형 "L" 찬넬 록(Lock)부
17-5 :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 홀(Key Hole)
17-6 :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Key)
18 : 트롤리 19 : 센서가 내장된 브러쉬
19-1 : 마찰시 소모 가능한 절연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정 기중기의 주행중 트롤리의 휨 발생이 심한 지역이라도 트롤리에서 집전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수단과 ;
상기 천정 기중기의 주행시 브러쉬의 현재 마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 및 천정 기중기 가동을 중지하기 위한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 ; 및
상기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의 경고에 따라 마모된 브러쉬의 교체시, 브러쉬를 간단하게 교체 할 수 있는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탈 방지수단은 도 2a 와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기중기의 주행중 트롤리의 휨 발생이 심한 지역이라도 트롤리에서 집전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 기존 브러쉬 고정고리(4)가 양측간 2개인 것을 브러쉬(1)의 중간 부위에 붙여 설치하고, 상기 브러쉬(1)가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6)과 하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8)을 설치하며, 상기 브러쉬(1) 양측에 이탈 방지 브래킷(2)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이탈방지 브래킷(2)의 내부 양측에 절연판을 각각 설치하여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은 도 3의 (a) 내지 (d) 에 도시한 바와같이, 센서와 브러쉬(1) 간 절연이 되면서 브러쉬(1)의 마모시 동일하게 마모될 수 있는 절연층(19-1)을 브러쉬(1) 내부에 삽입하고, 40% 마모시 감지센서(5)와 60% 마모시 감지센서(3) 역할인 소형 브러쉬를 상기 절연층(19-1) 내부에 장착하며, 또한 40% 마모시 감지센서(5)와 60% 마모시 감지센서(3)의 사이에도 소모 가능한 절연판이 있고, 40% 및 60% 마모시 감지센서(5,3) 역할인 소형 브러쉬에 트롤리(18)가 접촉될 시 콘트롤용인 케이블이 인출된다.
단, 40% 마모시 감지센서(5)인 브러쉬에 트롤리(18)가 접촉되어 전원이 통전되어도, 60% 마모시 감지센서(3)는 절연층(19-1)이 있으므로 전원이 통전되지 않는다.
상기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17)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17-1)에 고정형 "L" 찬넬(17-2) 2개를 브러쉬 길이만큼 제작 설치하여, 기존 집전장치의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볼트를 취외하고, 그 베이스를 이용하여 고정형 "L" 찬넬 고정부(17-3)를 설치하며, 반대측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으로 잡아 당겼다가 놓으면 원위치로 복구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형 "L" 찬넬 록부(17-4)를 설치한다.
또한, 브러쉬의 고정은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17-6)와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 홀(17-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브러쉬(1)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6)과 하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8)에 의해 동작되며, 그 텐션은 일정하므로 상기 브러쉬(1)는 항상 중간 지점에 있다가, 트롤리(18)의 휨 발생이 심한 장소에서는 브러쉬(1)가 이탈되므로, 이탈되기 직전 절연판 이탈 방지 브래킷(2)이 트롤리(18)를 지지할 때, 그 텐션은 트위스트 코일 상부 스프링(6)과 트위스트 하부 스프링(8)이 보상하여 상기 트롤리(18)가 휘어지는 양만큼 이동되었다가, 상기 트롤리(18)의 수평 상태가 정상인 지역에서는 트위스트 코일 상,하부 스프링(6, 8)의 텐션에 의해 다시 브러쉬(1)의 중간 위치로 원 위치 되므로, 이탈 방지가 가능하다.
한편,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은 브러쉬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점검없이도 브러쉬의 현재 마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 및 천정 기중기 가동을 중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천정 기중기의 주행시 브러쉬가 마모되면서 브러쉬 내부에 설치된 절연층(19-1)도 트롤리(18)와의 마찰에 의해 소모되므로서, 최초 40% 마모시 감지센서(5)와 통전으로 도 3의 (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용 시그널 보드(16)에 표시가 가능하다.
이때, 센서 양측의 브러쉬에 의해 천정 기중기의 주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천정 기중기는 계속 운전중이므로, 60% 마모시 감지센서(3)의 하부 절연층(19-1)이 다시 소모되어, 60% 마모시 감지센서(3)와 트롤리(18)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트롤리(18)의 전원 공급에 의해 경고용 시그널 보드(16)의 60% 마모 경고등인 동작 램프(15)가 표시됨과 동시에 천정 기중기의 가동이 중지된다.
한편, 40% 마모 센서 감지시 교체하여야 정상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교체하지 않은 경우, 60% 마모 센서 감지시에는 천정 기중기가 정지하여 있으므로, 이때는 필히 교체하지 않으면 경고음이 주기적인 간격으로 발생되도록, 경고용 시그널보드(16)의 내부에 동작 제어용 소형 패널을 설치하여 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경고음과 함께 동작램프(15)도 함께 작동하여 시각적으로 인식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17)은 고정형 "L" 찬넬(17-2)에 스프링형 "L" 찬넬 고정부(17-3)를 먼저 끼우고, 스프링형 "L" 찬넬 록부(17-4)를 잡아당긴 후 놓으면 간단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17-6)와 브러쉬 흔들거림 방지 키 홀(17-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 4a 에 도시한 종래의 브러쉬 교체 방법에 비해 보다 향상된 기능을 보유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천정 기중기 주행시 발생되는 집전장치의 이탈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브러쉬의 현재 마모량이 표시되므로 정확한 데이터 관리 및 원활한 교체로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가능하며, 브러쉬 교체시 볼트, 너트 24개를 취외하여 장시간 소요되던 것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고 빠른 시간에 교체하므로써, 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천정 기중기의 주행중 트롤리의 휨 발생이 심한 지역이라도 트롤리에서 집전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존 브러쉬 고정고리를 브러쉬의 중간 부위에 붙여 설치하고, 상기 브러쉬가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과 하부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브러쉬 양측에 이탈 방지 브래킷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이탈방지 브래킷의 내부양측에 절연판을 각각 형성한 이탈 방지수단과 ;
    상기 천정 기중기의 주행시 브러쉬의 현재 마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 및 천정 기중기 가동을 중지하도록 브러쉬의 마모시 동일하게 마모될 수 있는 절연층을 상기 브러쉬의 내부에 삽입하고, 40% 마모시 감지센서와 60% 마모시 감지센서 역할인 소형 브러쉬를 상기 삽입된 절연층의 내부에 장착하며, 상기 40% 마모시 감지센서와 60% 마모시 감지센서의 사이에도 소모 가능한 절연판을 구비한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 ; 및
    상기 브러쉬 마모량 자동 감지수단의 경고에 따라 마모된 브러쉬의 교체시, 브러쉬를 간단하게 교체 할 수 있는 원터치 브러쉬 교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크레인 집전장치.
KR2019980014464U 1998-07-31 1998-07-31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KR200301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464U KR200301276Y1 (ko) 1998-07-31 1998-07-31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464U KR200301276Y1 (ko) 1998-07-31 1998-07-31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00U KR20000004100U (ko) 2000-02-25
KR200301276Y1 true KR200301276Y1 (ko) 2003-04-16

Family

ID=4939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464U KR200301276Y1 (ko) 1998-07-31 1998-07-31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2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91B1 (ko) * 2013-06-17 2015-06-17 원광기업 주식회사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KR101948908B1 (ko) 2017-10-12 2019-02-1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20620B1 (ko) 2019-03-21 2019-09-11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균압 유지 기능을 갖는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49366B1 (ko) 2019-09-05 2019-11-2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이동형 집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91B1 (ko) * 2013-06-17 2015-06-17 원광기업 주식회사 산업용 집전기의 브러시 마모감지장치
KR101948908B1 (ko) 2017-10-12 2019-02-1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20620B1 (ko) 2019-03-21 2019-09-11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균압 유지 기능을 갖는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49366B1 (ko) 2019-09-05 2019-11-2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이동형 집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00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41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CN104835625A (zh) 一种带指示灯且便于拆卸维护的变压器
KR101942867B1 (ko) 무대장치 와이어용 단선 감지장치
KR200301276Y1 (ko) 다기능크레인집전장치
CN211547067U (zh) 一种钢绞线断丝检验装置
CN205621875U (zh) 一种新型接地线装置
KR101906581B1 (ko) 특고압 배전철탑의 접지장치
KR10210133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장치
KR102218391B1 (ko) 전선체결 일체형 라인포스트 애자 장치
KR102027945B1 (ko) 접지선용 금구 및 이를 이용한 접지 방법
HUT68542A (en) Method for installing optical cable in an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
CN209896583U (zh) 一种电力施工卡线器
CN212222367U (zh) 一种改进后松绳装置
CN217720614U (zh) 地铁牵引系统箱体
CN217543271U (zh) 一种配用电安全监测装置
KR102101777B1 (ko) 탄성분리구조를 갖는 케이블 고정장치
CN220057478U (zh) 一种撵股机用钢绳断丝探杆固定装置
CN219799808U (zh) 一种料盘检测装置
CN109066374B (zh) 一种多功能的真空开关柜
KR102070254B1 (ko) 배전선로의 처짐 복원장치
CN217329316U (zh) 一种便于墙面安装的无线报警器
CN214847044U (zh) 基于opgw光缆的导地线等值覆冰监测预警装置
CN213936871U (zh) 一种配网自动化设备电源过压保护装置
KR200151308Y1 (ko) 서브랜스의 피멜 교환장치
CN219929298U (zh) 一种可拆卸电梯维保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