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010B1 - 미생물 배양 용기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010B1
KR101207010B1 KR1020100053083A KR20100053083A KR101207010B1 KR 101207010 B1 KR101207010 B1 KR 101207010B1 KR 1020100053083 A KR1020100053083 A KR 1020100053083A KR 20100053083 A KR20100053083 A KR 20100053083A KR 101207010 B1 KR101207010 B1 KR 10120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s
well
cover
culture vessel
cul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382A (ko
Inventor
박승범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오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오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5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0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웰 및 복수개의 웰의 개방된 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커버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웰이 각각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커버의 위로 웰을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개체로 연결된 각각의 독립된 웰을 절단하기 쉽게 구성함으로써, 필요한 웰만 분리하여 이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배양용기의 4분의 1정도만으로도 미생물 배양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실험에 소요되는 배지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같은 단면적에 대하여 더 많은 웰을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이용해 커버 위로 다른 웰을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해 미생물 배양 용기를 적층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배양 용기{MICROORGANISM CULTURE CONTAINER}
본 발명은 미생물을 배양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물공학을 위한 실험에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배양을 위한 배양 용구로 디쉬, 플레이트, 플라스크 및 샬레 등의 다양한 배양 용구들이 그 목적에 맞게 이용된다.
대체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배양은 세균, 세포 및 조직을 배양하는 공간인 웰의 바닥에 아가(Argar) 또는 배지(Culture Media)를 사용하며, 배양하려는 개체는 웰, 플레이트 또는 플라스크와 같은 배양용기에 조직을 배양하기에 적합한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가 또는 배지를 공급하여 성장시키도록 한다.
이때, 통상적인 배양용기는 그 지름을 약 90~100mm로 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지만, 진균의 일종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배양에 필요한 배양용기의 단면적이 그것의 약 4분의 1만 되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의 배양용기에 조직을 배양함에 있어서 통상의 배양용기는 불필요하게 큰 단면적을 차지하며, 이는 조직배양을 위한 배지를 공급함에 있어 배지의 낭비를 발생시킨다.
한편,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배양용기는 균 등에 의해 배양할 개체가 오염되었을 경우에 하나의 오염원으로 인해 나머지 전체를 모두 오염시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양용기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배양용기의 내부에 칸막이를 도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9248호(배지를 공유하는 칸막이가 구분된 배양용기)에서는 미생물 등의 배양을 위한 배양용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오염방지 등을 위해 칸막이를 이용한 독립된 방을 가지면서 배지를 공유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는 하나의 웰을 칸막이로 분획하여 독립된 공간을 만들지만, 배지를 공유하기 때문에 각각의 웰을 완전히 독립된 공간으로 보기 어렵고, 다른 공간으로부터의 오염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17945호(세포 배양 용구 및 세포 배양 방법)에서는 복수개의 웰을 갖는 배양 용기에 한 가지 유형 이상의 세포 물질을 다른 물질과 상호 반응시키도록 본체와 본체를 둘러싸는 외벽 및 외벽 주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은 복수개의 독립된 웰을 갖지만, 독립된 각각의 웰이 하나의 용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웰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필요한 배양용기의 단면적을 줄여 배지를 낭비하지 않고, 하나의 오염원으로 인한 다른 피배양물의 오염을 방지하며, 웰을 낭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 배양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미생물 배양 용기는 피배양물이 배양되는 공간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복수개의 웰; 및 상기 복수개의 웰의 개방된 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웰은 M×N(M≥1, N≥1, M×N≠1)으로 배열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상기 복수개의 웰 중 어느 하나를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의 상단 테두리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상기 복수개의 웰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 및 받침부의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웰이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 부분은 분리를 위한 홈이 형성된 웰 마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는 M×N(M≥1, N≥1, M×N≠1)으로 배열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부분에 분리를 위한 홈이 형성된 커버 마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개체로 연결된 각각의 독립된 웰을 절단하기 쉽게 구성함으로써, 필요한 웰만 분리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통상적인 배양용기의 4분의 1정도만으로도 미생물 배양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실험에 소요되는 배지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같은 단면적에 대하여 더 많은 웰을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각각의 독립된 웰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므로 오염된 개체가 생기는 경우에도 하나의 오염원으로 인해 다른 웰에서 배양되는 미생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이용해 커버 위로 다른 웰을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해 미생물 배양 용기를 적층하여 용이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미생물 배양 용기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미생물 배양 용기의 웰과 커버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미생물 배양 용기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미생물 배양 용기가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생물 배양 용기(100)는 무한한 개수의 웰(111)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웰(111)의 개수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미생물 배양 용기(1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 연결체(110) 및 커버 연결체(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웰 연결체(110)는 웰(111), 웰 마디(113) 및 받침부(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웰(111)은 피배양물인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 등이 배양되는 공간으로 실험하고자 하는 미생물 등을 배양하기 위해서 웰(111)의 바닥에 아가 또는 배지 등을 이용하여 연구에 필요한 미생물 등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미생물은 0.1㎜ 이하의 크기인 미세한 생물로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써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하고, 조류(algae), 세균류(bacteria), 원생동물류(protozoa), 사상균류(fungi), 효모류(yeast)와 한계적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러스(virus)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아가 또는 배지는 미생물 등을 배양하기 위하여 피배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을 말하며,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등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웰(111)은 후술되는 웰 마디(113)에 의해 하나의 개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며, 웰 마디(113)에 형성된 홈(G)에 의해 각각의 독립된 웰(111)로 필요에 따라 분리되기도 한다. 이로써, 각각의 독립된 웰(111)에서 미생물 등을 배양하므로 오염된 개체가 생기는 경우에도 하나의 오염원으로 인해 다른 웰(111)에서 배양되는 미생물 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웰 마디(113)는 미생물 등이 배양되는 환경을 갖춘 각각의 웰(111)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외부의 힘에 의해 각각의 웰(111)로 쉽게 분리되도록 하며, 이를 위한 홈(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웰 마디(113)에 의해 각각의 독립된 웰(111)이 하나의 개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독립된 웰(111)에서 배양되는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는 것은 물론, 하나의 개체로 연결된 각각의 독립된 웰(111)을 웰 마디(113)가 가지는 홈(G)에 의해 절단하기 쉽게 구성함으로써, 실험에 필요한 웰(111)에 해당하는 웰 마디(113)만 쪼개어 따로 분리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받침부(115)는 커버(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25)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웰(111)의 하부면에 구성되며, 커버(121)의 가이드부(125)에 안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받침부(115)는 웰(111)이 놓여지는 웰(111)의 바닥을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연결체(120)는 커버(121), 커버 마디(123) 및 가이드부(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121)는 복수개의 웰(111)의 개방된 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웰(111)에서 배양되는 피배양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커버(121)는 하나의 웰(111)만을 덮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독립된 커버(121)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후술되는 커버 마디(123)에 의해 용도에 따라 각각의 커버(121)로 분리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커버 마디(123)는 각각의 커버(121)에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커버(121)가 연결되는 부분에 홈(G)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홈(G)을 이용해 외부의 힘에 의해 각각의 커버(121)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125)는 커버(121) 위로 다른 웰(111)이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웰(11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받침부(115)와 맞닿아 안정적인 상태로 웰(111)을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커버(121) 위로 웰(111)이 적층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25) 및 받침부(115)가 만나 형성된 이격된 공간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각각의 미생물 배양 용기(100)를 적층하여 보관하기 용이한 것은 물론 각각의 미생물 배양 용기(100) 사이를 일정한 간격을 주어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배양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생물 배양 용기(100)는 각각의 웰(111)의 단면적이 600~1500
Figure 112010036138994-pat00001
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인 배양용기의 4분의 1정도만으로도 미생물 배양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크게 구성된 기존의 배양 용기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사용하던 배지를 단면적을 줄임으로 인해 배지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같은 단면적에 대하여 더 많은 웰(111)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생물 배양 용기(100)는 그 지름을 약 40mm로 이용한다. 이는 통상적인 배양용기가 그 지름을 약 90~100mm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같은 균의 경우에는 그러한 통상의 배양용기에 해당하는 단면적의 약 4분의 1만으로도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착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상적인 배양용기의 불필요한 단면적에 따라 소모되는 배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독립된 웰(111)에서 배양이 필요한 다양한 미생물을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한 웰(111)만을 분리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피배양물에 해당하는 미생물 등이 배양되는 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웰(111)이 M×N(M≥1, N≥1, M×N≠1)으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용기(100)가 무한히 많은 수의 웰(111)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웰(111)의 개수를 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5의 배열을 가지는 독립된 5개의 웰(111)을 가지고 설명하도록 하며, 각각의 독립된 웰(111)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5의 웰(111)에 각각 A~E까지의 미생물을 배양하도록 하며, 진균의 일종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에 대한 반응실험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캔디다 알비칸스는 인간의 점액질 막과 장에 사는 효모세포로, 인간의 몸에 상주하며, 면역체계가 약화되거나 항생제 등에 의해 유익한 세균들이 죽게 될 때 병원성으로 변해 피부나 구강 등에 국부적인 캔디다증(Candidasis)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제1~5의 웰(111)에서 배양되는 A~E까지의 미생물을 이용해 캔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며, 이때 독립된 제1~5의 웰(111)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 동일한 환경에서 실험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험에서 A, B의 미생물만을 필요로 한다면, 그에 해당하는 웰(111)을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하나의 개체로 연결된 각각의 독립된 웰(111)을 절단하기 쉽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힘을 들인다거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으로 필요한 웰(111)의 주변에 형성된 웰 마디(113)를 쪼개어 필요한 웰(111)만 따로 분리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미생물 배양 용기
110 : 웰 연결체
111 : 웰 113 : 웰 마디
115 : 받침부
120 : 커버 연결체
121 : 커버 123 : 커버 마디
125 : 가이드부
G : 홈

Claims (4)

  1. 피배양물이 배양되는 공간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복수개의 웰; 및
    상기 복수개의 웰의 개방된 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웰은 M×N(M≥1, N≥1, M×N≠1)으로 배열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상기 복수개의 웰 중 어느 하나를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의 상단 테두리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상기 복수개의 웰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 및 받침부의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웰이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 부분은 분리를 위한 홈이 형성된 웰 마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버는 M×N(M≥1, N≥1, M×N≠1)으로 배열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부분에 분리를 위한 홈이 형성된 커버 마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53083A 2010-06-04 2010-06-04 미생물 배양 용기 KR10120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83A KR101207010B1 (ko) 2010-06-04 2010-06-04 미생물 배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83A KR101207010B1 (ko) 2010-06-04 2010-06-04 미생물 배양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82A KR20110133382A (ko) 2011-12-12
KR101207010B1 true KR101207010B1 (ko) 2012-11-30

Family

ID=455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83A KR101207010B1 (ko) 2010-06-04 2010-06-04 미생물 배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615A1 (ko) * 2013-11-21 2015-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분리형 세포 배양 접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345B1 (ko) * 2012-10-19 2014-07-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중구조 세포배양용기
KR101937039B1 (ko) * 2017-07-18 2019-01-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 세포 배양 블록
US11732232B2 (en) 2020-08-14 2023-08-2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Biomimetic cell culture apparatus and cell cultur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790A1 (en) * 2006-11-14 2010-03-04 Simon Eric M Cell cultur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790A1 (en) * 2006-11-14 2010-03-04 Simon Eric M Cell cultur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615A1 (ko) * 2013-11-21 2015-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분리형 세포 배양 접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석 방법
KR101571608B1 (ko) 2013-11-21 2015-11-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드 분리형 세포 배양 접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82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1132B (zh) 高效透气装置及培养细胞的方法
KR101207010B1 (ko) 미생물 배양 용기
WO1994006902A1 (es) Placa para cultivos celulares con un sistema de difusion lateral de moleculas a traves de membrana barrera
CN103865751B (zh) 一种阵列式高通量分离培养微生物装置
WO2011096659A2 (ko) 미생물 또는 세포 배양용기
WO2004074423A3 (en) Reactor for industrial culture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Caron Enrichment, isolation, and culture of free-living heterotrophic flagellates
Thøgersen et al. A novel microbial culture chamber co-cultivation system to study algal-bacteria interactions using Emiliania huxleyi and Phaeobacter inhibens as model organisms
Nevalainen et al. Methods for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filamentous fungi
ES2689492T3 (es) Dispositivo de fermentación en medio sólido y productos obtenidos
CN102703318A (zh) 一种多室共培养装置
US924938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microorganisms
KR20110021545A (ko) 미생물 배양 용기
US6410310B1 (en) Cell culture expansion plate
JP5166399B2 (ja) 微生物の単離および培養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RU173302U1 (ru) Чаш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с двухпозиционной резьбой
CN102634447A (zh) 一种微阵列透析室及利用该透析室的富集培养方法
JP5923821B2 (ja) 微生物の培養方法
Crawford Designer’s Guide to Lab Practice
CN103406163A (zh) 四层单独控温的振荡培养箱
Bui et al. Isolation, improv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n ammonium excreting mutant strain of the heterocytous cyanobacterium, Anabaena variabilis PCC 7937
KR20060112408A (ko) 배지를 공유하는 칸막이가 구분된 배양용기
US20180223239A1 (en) Biofilm growth devices and methods
Ingraham Microorganisms: an introduction
KR101563054B1 (ko) 미생물의 현장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