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521B1 - 흄 후드 - Google Patents

흄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521B1
KR101206521B1 KR1020120046217A KR20120046217A KR101206521B1 KR 101206521 B1 KR101206521 B1 KR 101206521B1 KR 1020120046217 A KR1020120046217 A KR 1020120046217A KR 20120046217 A KR20120046217 A KR 20120046217A KR 101206521 B1 KR101206521 B1 KR 10120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ixing
enclosure
fum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상열
Original Assignee
동진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공조(주) filed Critical 동진공조(주)
Priority to KR102012004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는 흄 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열고 닫는 도어를 구비한 함체와,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배기수단과, 상기 함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정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그리고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차이가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여 함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흄 후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흄 후드{FUME HOOD}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는 흄 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열고 닫는 도어를 구비한 함체와,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배기수단과, 상기 함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정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그리고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차이가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여 함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흄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흄 후드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8877호(2011.09.02.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흄 후드 캐비닛"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내부에 실험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실험 공간의 일측에 설치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험 공간 내부 또는 상기 본체 외부의 일측 면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정보를 실험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는 빔 프로젝트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실험 공간의 상황, 실험자의 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마음대로 조절하고, 흄 후드 캐비닛의 타입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윈도우 개방정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출력으로 구동되는 컴프레서에 의하여 실험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윈도우의 개방정도에 따라 실험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공기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 적은 출력으로도 공기의 배출이 가능함에도 컴프레서의 출력을 필요 이상으로 계속 유지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증대시켜 에너지 낭비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함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차이가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여 함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기수단이 댐퍼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컨트롤러에 의한 배기수단의 흡입력 조절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댐퍼의 개방량을 조절하거, 또는 송풍팬의 회전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구현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배기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열고 닫는 도어를 구비한 함체;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배기수단; 상기 함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정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의 출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기수단은 상기 함체에 근접 배열되는 댐퍼와, 상기 댐퍼의 상부에 배열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개방량 조절 또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력 조절, 또는 이들 모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상기 도어에 근접하여 배열되는 마그네틱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마그네틱센서에 대응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는 함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차이가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조절하여 함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기수단이 댐퍼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컨트롤러에 의한 배기수단의 흡입력 조절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댐퍼의 개방량을 조절하거, 또는 송풍팬의 회전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구현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배기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의 승하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는
개구부(12)와, 상기 개구부(12)를 열고 닫는 도어(11)를 구비한 함체(10); 상기 함체(10)에 연결되는 배출덕트(20); 상기 배출덕트(20)에 구비되는 배기수단(30); 상기 함체(10)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11)의 개방정도를 감지하는 센싱부(40); 및 상기 센싱부(40)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30)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또는 흄 캐비닛(fume cabinet))는 내실((S1)에 각종 화학약품이나, 실험 장치들이 구비되어 화학 실험을 진행할 때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나, 도어가 개방된 부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실험실 분위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체(10)는
사각의 캐비닛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에 개구부(12)가 구비되어 실험공간을 형성하는 내실(S1)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2)에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한 도어(11)가 구비되어 개구부(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어(11)는 상기 개구부(12)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2) 좌우측에는 상기 도어(11)의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1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도어(11)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면지지부(14)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2)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11)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하강수단(100)이 내장되고, 상기 도어(11)가 수용되는 수납부(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는 도어프레임(11A)과, 상기 도어프레임(11A)에 장착되어 함체(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윈도우(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프레임(11A)의 하부 외측면에는 제1 손잡이(11c)가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 시에, 작업자가 제1 손잡이(11c)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프레임(11A)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함체(10)의 측면지지부(13)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도어프레임(11A)의 하면은 도어(11)가 닫히는 경우 상기 함체(10)의 하면지지부(14) 상면에 얹히게 되므로 상기 도어프레임(11A)의 하면이나, 상기 함체(10)의 하면지지부(14) 상면에는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내실(S1) 후방에는 가이드플레이트(16)가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는 상기 내실(S1)의 후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출로(S2)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의 하부는 내실(S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출공(17)이 형성되어 함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공(17)과 배출로(S2)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내실(S1)의 상면에는 배출덕트(20)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로(S2)와 배출덕트(20)를 이어주는 흡기공(18)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의 상부는 전방으로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된 확장부(16a)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16a)에서 공기가 확산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확장부(16a)는 상기 배출로(S2) 후방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배출덕트(20)의 입구와 배출로(S2)가 이어지도록 배출로(S2)를 확장하여 줌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실(S1)의 상면에는 내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설비(L)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함체(10)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작업편의성이나,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10) 하부에는 보조함체(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함체(1)에는 보조도어(2)가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도어(2)에는 제2 손잡이(3)가 구비되어 보조도어(2)의 개폐 시, 작업자가 상기 제2 손잡이(3)를 파지하여 개폐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덕트(20)는
상기 함체(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실(S1)의 가스나, 내실(S1)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덕트(20)는 입구가 상기 함체(10)의 흡기공(18)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로(S2)와 이어지고, 상기 배출덕트(20)의 후단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후드덕트(21)가 연결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가 배치되는 연구실이나, 실험실, 사무실 등에는 외기와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을 통하여 다시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조 설비가 구비된다.
이 공조 설비는 상기 장소의 복도나, 통행로의 공기를 프리필터(미도시)가 구비된 제1 디퓨져(D1)에 의하여 흡입되고,
상기 제1 디퓨져(D1)에 의하여 흡입된 정화된 공기는 천정에 구비된 열교환기(H)로 유입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도 상기 열교환기(H)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H)에서는 내기와 외기 상호간의 열교환을 통하여 하절기에는 냉기를 동절기에는 온기를 공급하게 되고,
이렇게 열교환된 외기는 흄 후드가 설치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반면에, 열교환된 내기는 다시 복도로 공급된다.
이 경우 외기와 내기를 내부공간과 복도로 공급하기 위해 천정에는 제2 및 제3 디퓨져들(D2)(D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디퓨져(D2)(D3)에는 각각 여과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배출덕트(20)에 구비되어 함체(10) 내실(S1)의 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배출덕트(20)의 입구에 구비되는 댐퍼(31)와, 상기 배출덕트(20)의 후단에 구비되는 송풍팬(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댐퍼(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33)이 가동됨으로써 상기 함체(10) 내실(S1)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배기수단(30)의 댐퍼(31)에는 개폐판(31a)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31a)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구동모터(31b)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구동모터(31b)로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의 도입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모듀트롤(modutrol) 모터를 도입하기로 한다.
이 모듀트롤 모터는 내부에 포텐셜미터가 구비되어 있어 제어회로에서 댐퍼(31)의 개폐판(31a)을 열거나, 닫거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판(31a)의 개폐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판(31a)이 완전히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한 및/또는 하한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기수단(30)의 송풍팬(33)은 팬(33a)과, 팬(33a)을 위한 제2 구동모터(33b)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31)의 개폐판(31a)이 개방된 상태에서 함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후두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싱부(40)는
상기 함체(10)에 구비되어 도어(11)의 개방정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40)는 상기 함체(10)의 내측면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마그네틱센서(41)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도어(11)의 하부에는 상기 마그네틱센서(41)에 근접 배열되도록 자성체(1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를 개방하여 어느 지점에서 정지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마그네틱센서(41)가 도어(11)의 자성체(11a)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센싱부(40)의 마그네틱센서(41)에 의하여 감지된 감지신호는 도어(11)의 개방위치에서의 감지신호로, 상기 도어(11)의 개방정도를 알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상기 마그네틱센서(41)는 도어(11)의 개방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4cm, 8cm, 12cm, 16cm, 20cm 높이까지 상기 마그네틱센서(41)의 접점 리드(미도시)를 단계별로 배치시켜 각 단계에서 감지되는 상기 자성체에서 발산되는 자력선을 감지하여 현재 도어(11)의 개방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만 마그네틱센서의 접점 리드간의 이격거리나, 개수는 상기 예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 배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센싱부(4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자력 외에도, 광센서나, 근접센서, 열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단계별로 개구부(12)의 개방면적이 다르고, 이 경우 함체(10)의 내실(S1)로 유입되는 공기량도 다르기 때문에 상기 배기수단(30)을 항상 일정한 흡입력으로 구동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와,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도어(11)의 개방정도에 따라 배기수단(30)의 흡입력을 조절하고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센싱부(40)에 의하여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배기수단(30)의 출력을 조절하여 배기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50)와, 이 컨트롤러(50)에 의한 제어방식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센서(41)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30)을 제어하여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센싱부(40)의 마그네틱센서(41)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서 현재 도어(11)의 개방정도를 인식한 후,
상기 배기수단(30)에서 상기 댐퍼(31)의 개폐판(31a)의 개방량을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송풍팬(33)의 회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댐퍼(31)의 제1 구동모터(31b)를 제어하여 현재 도어(11)의 개방 단계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개폐판(31a)을 개방하고,
동시에 상기 송풍팬(33)의 제2 구동모터(33b)를 제어하여 현재 도어(11)의 개방 단계에 대응하는 회전속도로 상기 팬(33a)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컨트롤러(50)에 의하여 현재 도어(11)의 개방 단계에서 함체(10)의 내실(S1)로 유입된 공기량에 해당하는 흡력 및/또는 출력만으로 유입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수단(30)의 흡입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댐퍼(31)와 송풍팬(33)을 모두 제어하고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상기 송풍팬(33a)의 회전력만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댐퍼(31)의 개방량만 조절하여 배기수단(30)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흄 후드에는
상기 도어(11)의 승하강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승하강수단(1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승하강수단(100)은 상기 수납수(15)에 내장되고, 상기 도어(11)의 상단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110)와, 상기 함체(10)의 측면지지부(13)와, 상기 도어프레임(11A)에 구비되는 도어고정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100)의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도어(11)의 승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함체(10)의 수납부(15) 상부 양측에는 장착프레임(10A)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프레임(10A)에는 장착브래킷(111)이 연결되며, 상기 각 장착브래킷(111)에는 고정바(112)가 연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바(112)는 중공형태의 가이드봉(113)이 감싸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113)의 양단과, 전방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바(112)와 접촉되는 제1 지지부재(1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114)는 상기 가이드봉(113)에 억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봉(113)의 회전 시에 같이 회전동작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지지부재(114)는 상기 고정바(112)의 외주면을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13) 내부에는 후단에 구비된 제1 지지부재(114)와 이어지고, 상기 고정바(112)를 감싸는 제2 지지부재(115)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115)는 상기 제1 지지부재(11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13)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연결부재(117)가 고정되고,
상기 함체(10)의 측면지지부(13)는 각 장착프레임(10A)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열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3)의 상부 내측에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가이드부재(119)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연결부재(117)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119)에 의하여 양측이 지지되는 말림부재(118)가 구비되며,
상기 말림부재(118)의 하부에는 양단이 상기 각 가이드부재(119)에 의하여 안내되어 밀림부재(118)가 가이드부재(119)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승하강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지지바(118a)가 구비된다.
상기 밀림부재(118)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11)가 연결되어 상기 도어(11)를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말림부재(118)도 승강하다가 상기 가이드봉(113)에 말려 도어(11)가 개방되고,
반대로 도어(11)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를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밀림부재(118)가 가이드봉(113)에서 풀리면서 도어(11)가 하강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말림부재(118)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각 장착브래킷(111)에는 가이드롤러(111a)가 구비되어 상기 말림부재(118)의 하면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말림부재(118)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110)에는 상기 도어(11)의 승하강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봉(113)에 내장되는 탄성스프링(116)이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후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115)에 끼워지고, 전단부에는 직경이 전체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소경부(116a)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고정바(112)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의 승하강 시, 상기 가이드봉(113)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14)(115)도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후단부터 압축되거나, 또는 인장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16)의 소경부(116a)는 상기 고정바(112)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16)의 전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압축된 상태에 있고, 상기 도어(11)를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복원력에 의하여 압축이 풀리면서 자연스럽게 가이드봉(113)을 회전시켜 상기 말림부재(118)가 감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11)의 승강을 멈추게 되면 상기 도어(11)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16)의 복원 동작이 멈추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11)가 어느 위치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를 하방으로 일정한 힘을 주어 내리게 되면 상기 가이드봉(113)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말림부재(118)를 풀게 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다시 압축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11)의 하강동작은 상기 탄성스프링(116)을 압축시키는 과정이 때문에 일정한 이상의 힘을 가해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11)를 하강시키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16)은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는 하강을 멈추게 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도어(11)의 승강 시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16)의 복원력에 의하여 특별한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도어(11)의 승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도어(11)의 하강 시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16)을 압축시킬 수 있는 만큼의 힘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어가 급속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있어 도어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나아가 상기 말림부재(118)의 하부에는 블록 형태의 걸림부(118b)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19) 상단에는 상기 걸림부(118b)에 상응하는 대응걸림부(119a)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말림부재(118)가 더 이상 가이드봉(113)에 말리지 않도록 상기 각 걸림부(118b)(119a)가 상호 지지함으로써 말림부재(118)가 가이드부재(119)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100)의 도어고정부(120)는 상기 측면지지부(13)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공(121)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1)의 측면프레임(11b)에는 상기 고정공(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공(122)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부에는 상기 안내공(122)을 드나들고, 상기 고정공(122)에 삽입 배출되는 고정돌기(1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23)에는 중심부에 관통공(123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3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23b)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122) 주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돌기(123)를 지지하기 위한 안내돌기(1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내측프레임(11b) 내부에는 모터(125)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125)에는 스크루(126)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126)는 상기 고정돌기(123)의 관통공(123a)에 삽입되어 관통공(123a)의 나사산(123b)에 맞물려 상기 모터(125)의 구동 시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23)가 상기 스크루(126)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 안내공(122)을 진출입하여 전후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123)가 상기 안내공(122)을 진출하여 상기 고정공(121)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도어(11)는 그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고정공(121)에서 고정돌기(123)가 빠지는 경우 상기 도어(11)는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124)는 상기 고정돌기(123)가 고정공(121)에 끼워지는 경우 고정돌기(123)의 후방 부분을 지지하여 도어(1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터(126)의 구동 시점은 함체(10)에 구비된 스위치버튼(미도시)을 작업자가 누르는 경우 구동되어 고정돌기(123)의 진출입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123) 후단에는 단면형상이 전협후광(前狹後廣)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폐부재(12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127)에는 고정돌기(123)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밀폐부재의 전단은 상기 고정돌기(123)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127)의 전면은 상기 안내돌기(124)의 후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그 후면은 상기 도어(11)의 측면프레임(11b)의 내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27)는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주름부(127a)가 형성되는데,
상기 주름부(127a)는 상기 고정돌기(123)가 전진 및 후진, 특히 후진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127)의 전단이 상기 고정돌기(123)에 접촉되어 있어 상호간의 마찰에 의하여 밀폐부재(127)의 전면이 상기 안내돌기(124)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기밀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127)의 주름부(127a)는 상기 고정돌기(123)의 후진 시에, 밀폐부재(127)가 가압되어 압축되더라도 그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밀폐부재가 전진하여 그 전면이 안내돌기(124)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폐부재의 전면 또는 상기 안내돌기 후면에는 기밀유지를 보다 확실히 구현하기 위해 고무나, 엘라스토머와 같은 연성부재를 부착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공(121)은 하기할 마그네틱센서(41)의 접점 리드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돌기(123)는 상기 도어(11)의 측면프레임(11b) 하부에만 구비되어 단계별로 구비된 각 고정공(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마그네틱센서에 의하여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어 어느 단계에 위치하는지를 알림등이나, 부저로 알려줌으로써 작업자가 도어의 개방 위치를 파악하여 도어고정부의 모터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흄 후드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디퓨져 H : 열교환기
L : 조명설비 S1 : 내실
S2 : 배출로
1 : 보조함체 2 : 보조도어
3 : 제2 손잡이
10 : 함체 10A : 장착프레임
11 : 도어 11A : 도어프레임
11B : 윈도우 11a : 자성체
11b : 측면프레임 11c : 제1 손잡이
12 : 개구부 13 : 측면지지부
14 : 하면지지부 15 : 수납부
16 : 가이드플레이트 16a : 확장부
17 : 배출공 18 : 흡기공
20 : 배출덕트 21 : 후드덕트
30 : 배기수단 31 : 댐퍼
31a : 개폐판 31b : 제1 구동모터
33 : 송풍팬 33a : 팬
33b : 제2 구동모터
40 : 센싱부 41 : 마그네틱센서
50 : 컨트롤러
100 : 승하강수단
110 : 동력전달부 111 : 장착브래킷
111a : 가이드롤러 112 : 고정바
113 : 가이드봉 114 : 제1 지지부재
115 : 제2 지지부재 116 : 탄성스프링
116a : 소경부 117 : 연결부재
118 : 말림부재 118a : 지지바
118b : 걸림부 119 : 가이드부재
119a : 대응걸림부
120 : 도어고정부 121 : 고정공
122 : 안내공 123 : 고정돌기
123a : 관통공 123b : 나사산
124 : 안내돌기 125 : 모터
126 : 스크루 127 : 밀폐부재
127a : 주름부

Claims (4)

  1.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열고 닫는 도어(11)를 구비한 함체(10);
    상기 함체(10)에 연결되는 배출덕트(20);
    상기 배출덕트(20)에 구비되는 배기수단(30); 및
    상기 함체(10)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11)의 개방정도를 감지하는 센싱부(40); 및
    상기 센싱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수단(30)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10)에는 측면지지부(13)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11A)이 상기 측면지지부(13)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11A)에는 상기 측면지지부(13)에 도어(11)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고정부(12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어고정부(120)는 상기 측면지지부(13)에 다수의 고정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11A)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11b)에는 안내공(122)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부에는 상기 안내공(122)을 드나들고, 상기 고정공(121)에 삽입 배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123)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122) 주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돌기(123)를 지지하기 위한 안내돌기(124)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23)에 연결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부에 고정된 모터(125)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돌기(123)가 상기 안내공(122)을 통하여 진출입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26)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123) 후단에 연결되어 전후면이 상기 안내돌기(124)와 상기 측면프레임(11b) 내면에 각각 밀착되고,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주름부(127a)가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전협후광(前狹後廣)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페부재(12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함체(10)에 근접 배열되는 댐퍼(31)와, 상기 댐퍼(31)의 상부에 배열되는 송풍팬(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센싱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31)의 개방량 조절 또는 상기 송풍팬(33)의 회전력 조절, 또는 이들 모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후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40)는 상기 도어(11)에 근접하여 배열되는 마그네틱센서(41)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11)에는 상기 마그네틱센서(41)에 대응하는 자성체(1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후드.
KR1020120046217A 2012-05-02 2012-05-02 흄 후드 KR10120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17A KR101206521B1 (ko) 2012-05-02 2012-05-02 흄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17A KR101206521B1 (ko) 2012-05-02 2012-05-02 흄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521B1 true KR101206521B1 (ko) 2012-11-30

Family

ID=4756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217A KR101206521B1 (ko) 2012-05-02 2012-05-02 흄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22Y1 (ko) 2015-11-25 2016-02-02 최진오 자력센서를 통해 에어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KR101585631B1 (ko) 2015-11-25 2016-02-02 최진오 자력센서를 통해 에어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JP2018083151A (ja) * 2016-11-22 2018-05-31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ヒュームフー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22Y1 (ko) 2015-11-25 2016-02-02 최진오 자력센서를 통해 에어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KR101585631B1 (ko) 2015-11-25 2016-02-02 최진오 자력센서를 통해 에어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JP2018083151A (ja) * 2016-11-22 2018-05-31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ヒュームフ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305B1 (en) Filter device
KR101206521B1 (ko) 흄 후드
KR101410430B1 (ko) 정화장치가 부착된 실험대
EP3712523B1 (en) Air purifying system
KR101835347B1 (ko)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101889003B1 (ko) 유해가스 정화가능한 면풍속 제어 흄후드 시스템
KR102155718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버스 천정 환기유니트
CN215708809U (zh) 一种生态板材的成品存放装置
EP4206391A1 (en) Hanger device
KR20160008279A (ko)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KR100761768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2520873B1 (ko) 각 방 개별 환기시스템
KR20080065130A (ko) 공기조화기
JP2003302160A (ja) クリーン乾燥保管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64515B1 (ko) 공기 정화기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100560676B1 (ko) 공기 조화기 및 제어방법
KR20080065407A (ko) 공기조화기
JPH0674507A (ja) 調理装置
TWI610053B (zh) 結合天氣判斷之自動乾燥系統
CN215863684U (zh) 一种工业暖风机
EP4206390B1 (en) Hanger device
KR102394524B1 (ko) 음압기능을 갖는 창호형 공기청정기
EP4206386A1 (en) Hanger device
CN218451040U (zh) 一种泵站供水监控系统的plc控制柜
CN218176142U (zh) 用于气膜建筑的内外压平衡汽车通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