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333B1 -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333B1
KR101206333B1 KR1020110038586A KR20110038586A KR101206333B1 KR 101206333 B1 KR101206333 B1 KR 101206333B1 KR 1020110038586 A KR1020110038586 A KR 1020110038586A KR 20110038586 A KR20110038586 A KR 20110038586A KR 101206333 B1 KR101206333 B1 KR 10120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oupled
back box
circuit boar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808A (ko
Inventor
고영욱
김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비젼
Priority to KR102011003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333B1/ko
Priority to PCT/KR2012/003201 priority patent/WO2012148175A2/ko
Publication of KR2012012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가 개시된다. 천정에 LED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 타면에 LED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에 상기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은 인쇄회로기판의 방해없이 등박스를 천정의 브라켓에 수작업으로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Method for installing LED lighting and LED lighting therefor}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LED 조명 기구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전구와 같은 광원이 방출하는 광을 조명으로 사용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 기구는 일반 조명 기구보다 효율이 좋은 특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천정(110), 브라켓(120), 브라켓 볼트(121), 결합 너트(122), 등박스(130), 서포터 핀(131), 컨버터(132), 인쇄회로기판(133), LED(134), DC 와이어(135), 천정지지부(136), 투광부(140)가 도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133)이 등박스(130)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므로, 등박스(130)를 천정(110)에 고정시 브라켓 볼트(121)에 결합 너트(122)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133) 간 이격된 거리가 최소한 결합 너트(122)의 폭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LED 광이 충분히 방출하지 않는 암부가 발생한다. 즉, 조명 기구의 발광면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되지 않는 라인형 광원으로 제작된 도 2의 (D)를 참조하면, LED가 있는 부분은 밝고, 나머지 조명 기구 부분은 어둡다. 여기서, 도 2는 천정의 브라켓(A)에 인쇄회로기판이 부분적으로 결합한 조명 기구를 부착하고(B), LED에 전원을 인가한 후(C)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140)를 설치한 과정(D)을 도시한다. 이러한 조명 기구는 광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있어서 눈부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원형 LED 조명 기구에서도 암부가 발생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기구를 브라켓에 연결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너트와 볼트를 결합하는데 필요한 틈이 인쇄회로기판(133) 사이에 형성되어 암부가 발생한다. 여기서, 도 3은 브라켓 볼트(121)를 LED 조명 기구에 삽입한 후(A 및 A-1),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결합 너트(122)를 브라켓 볼트(121)에 결합하며(B), LED에 전원을 인가한 후(C) 광이 통과하는 커버를 설치한 과정(D)을 도시한다. 즉, 라인형이 아니라 면조명의 경우 균일한 조도면이 가능하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채로 시공할 때 기존의 천정에 부착되는 브라켓(12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의 간격을 벌릴 수밖에 없어서 투광부(140)를 씌웠을 때 이격 공간에 암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결합 너트(122)를 브라켓 볼트(12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133)을 한 손으로 지지하여 등박스(130) 전체의 무게를 지탱한 상태이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133)이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암부를 없애기 위해 인쇄회로기판(133)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줄이는 경우 사용자가 결합 너트(122)를 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암부를 발생시키는 틈새를 없애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형태의 인쇄회로기판(133)을 사용할 경우 조명 기구의 형태 및 사이즈에 따라 천정고정용 브라켓(120)의 사이즈도 적절히 결정해야 하며 이 브라켓(120)에 결합된 브라켓 볼트(121) 간 간격도 넓거나 좁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133)이 조명 장치에 미리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틈새를 이용하여 결합 너트(122)를 브라켓 볼트(121)에 결합하거나 또는 인쇄회로기판(133)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인쇄회로기판(133)을 제작하거나 회로를 수정하는 등 별도의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 기구에서 인쇄회로기판(133)을 나중에 설치하는 작업은 DC 와이어 연결 공정 및 서포터 핀 설치 공정 등 번거로운 공정을 포함하여 번거로운 작업이며,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향후 색상이 다른 LED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133)을 나중에 설치하는 작업과 마찬가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방해없이 등박스를 천정의 브라켓에 수작업으로 편리하게 결합하기 위한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박스를 천정의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한 후 미리 결합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결합하는 다양한 커넥터 구조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결합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정에 LED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 타면에 LED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에 상기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등박스 고정 단계는, 상기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 볼트를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의 삽입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등박스를 상기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너트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하는 회전형 너트, 집게 형상 너트 및 푸쉬 형상 너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단계에서,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제2 메인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는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컨버터와 DC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DC 와이어는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인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LED가 실장된 면의 배면에 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상기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등박스에 고정된 서포터 핀과 힌지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LED가 위치한 면에 실장된 집적회로로 형성된 드라이버 IC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볼트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기 등박스의 삽입홀은 상기 브라켓 볼트의 개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천정에 결합하여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삽입된 브라켓 볼트에 결합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등박스 타면에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되는 LED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등박스에 결합되어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너트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하는 회전형 너트, 집게 형상 너트 및 푸쉬 형상 너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는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컨버터와 DC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DC 와이어는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등박스에 고정된 서포터 핀과 힌지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는 인쇄회로기판의 방해없이 등박스를 천정의 브라켓에 수작업으로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등박스를 천정의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한 후 미리 결합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결합하는 다양한 커넥터 구조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쇄회로기판을 등박스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는 너트를 고정하는 수작업에 구애받지 않아서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을 좁혀 등박스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완료 후 점등시 투광부의 표면상에 매우 균일한 발광면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천정(410), 브라켓(420), 브라켓 볼트(421), 결합 너트(422), 등박스(430), 제1 메인 커넥터(431), 컨버터(432), 인쇄회로기판(433), LED(434), DC 와이어(435), 천정지지부(436), 제2 메인 커넥터(437) 및 투광부(44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433)에 의해 천정(410)의 브라켓(420)이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등박스(430)를 브라켓(420)에 결합한 후 간편하게 인쇄회로기판(433)을 등박스(430)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편리하게 LED 조명 기구를 천정에 부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LED 조명 기구를 천정에 부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LED 조명 기구를 천정에 매입하는 경우, LED 조명 기구를 벽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420)은 천정(410) 등에 고정되며, 브라켓 볼트(421)가 결합된다. 브라켓 볼트(421)는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너트(422)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너트(42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돌려서 브라켓 볼트(4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 볼트(421)가 삽입되는 홀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형 너트, 집계 형상의 너트, 눌러 끼우는 푸쉬 형태의 너트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형 너트는 나비 너트가 될 수 있으며, 집계 형상의 너트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벌린 공간으로 브라켓 볼트(421)를 삽입하는 집계가 될 수 있으며, 푸쉬 형태의 너트는 등박스(430)에 마련된 소정의 홀에 결합 너트(422)의 일측을 삽입하여 결합되는 너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형 너트(510)는 내부에 소정의 스프링 조임수단(51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형 너트(510)에 브라켓 볼트(421)를 삽입하여 푸쉬형 너트(510)를 천정(410) 방향으로 밀면, 스프링 조임수단(515)은 브라켓 볼트(421)의 측면, 예를 들면, 브라켓 볼트(42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푸쉬형 너트(510)가 브라켓 볼트(421)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조임수단(5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 근접하여 브라켓 볼트(421)와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조임수단(515)은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형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등박스(430)는 LED 조명 기구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432), DC 와이어(435)와 같은 부품이 내부에 결합하며, LED 조명 기구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이다. 등박스(430)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433)을 제외한 컨버터(432), DC 와이어(435), 후술할 서브 커넥터, 브라켓 볼트(421)가 삽입될 삽입홀 등이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등박스(430)가 브라켓(420)과 결합하는 면의 배면에는 제1 메인 커넥터(431)가 결합할 수 있다. 제1 메인 커넥터(431)는 컨버터(432)와 DC 와이어(435)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433)에 결합한 제2 메인 커넥터(437)와 결합하여 인쇄회로기판(433)에 필요한 전원을 전달한다.
LED(434)는 발광 다이오드로서 PN접합층에 의해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이다. LED(434)는 인쇄회로기판(433)에 실장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천정지지부(436)는 등박스(430)가 브라켓(420)과 결합하는 면에 형성되어 등박스(430)와 천정(1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인쇄회로기판(433)은 등박스(130)의 형상에 상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박스(130)가 원형인 경우 각 인쇄회로기판(433)은 부채꼴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경우 전체 형상이 원형이 될 수 있으며, 등박스(130)가 사각형인 경우 각 인쇄회로기판(433)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33)은 등박스(130)의 형상과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박스(130)가 원형인 경우 각 인쇄회로기판(433)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투광부(440)는 전체적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LED(434)에서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구성 요소이다. 투광부(44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재는 광 확산 비드(light diffusive bead)가 될 수 있으며, 투광부(440)는 광 확산 비드가 첨가된 플라스틱(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스터(polyester,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등으로 형성되거나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44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은 조도(roughness)가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투광부(440)의 일면과 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은 헤이즈(haze) 처리됨으로써 투광부(440)는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투광부(440)는 상술한 확산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헤이즈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투광부(44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은 확산 시트와 결합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LED(434)에서 방출되는 광이 고르게 확산되며 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을 향해 광이 진행하도록 하는 기능 시트이다. 투광부(440)에 결합하는 확산 시트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 3장 정도가 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투광부(440)의 주요 성분인 상술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양면에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두께가 수백 ㎛, 예를 들면, 100㎛ 내지 990㎛가 될 수 있으며, 외면에 상술한 확산부재가 부착된 시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광부(440)에 이러한 복수의 확산 시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넓고 균일한 배광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광부(440)는 확산부재를 내부에 포함하는 확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은 유백색이 될 수 있으며, 두께가 수 mm이고, 내부에 상술한 확산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 내지 15mm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의 투과도는 35% 내지 86%이고, 헤이즈는 42% 내지 99.5%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광의 세기가 커져서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확산부재는 옥사이드(oxide) 계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발포 형태의 마이크로 셀이 포함된 발포형 확산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 확산부재로 사용되는 옥사이드 계열의 물질은, 예를 들면, Si 파우더(Si base powder), TiO, TiO2, SiO, SiO2, ZnOk, ZrO2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확산부재는 별도의 유기 또는 무기 확산제로 구성되지 않고, 확산판 자체가 연속되고 불규칙한 발포형 마이크로셀로 구현되며, 이러한 마이크로 셀에 의해 확산판 내부를 통과하는 빛이 확산된다.
또한, 투광부(44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은 프리즘 시트와 결합할 수도 있다. 프리즘 시트는 흩어진 광을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시트이다. 프리즘 시트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광부(44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은 LED(434) 광의 확산을 유도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은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각형이 배열되는 바둑판 모양의 패턴이 투광부(440)에 형성되어 광의 확산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33)이 설치되기 전에 인쇄회로기판(433)에 의해 가리지 않고 등박스(430) 전체가 노출되므로 천정(410)에 설치된 브라켓 볼트(421)에 결합 너트(422)를 결합시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등박스(430)를 손으로 브라켓(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등박스(430)를 브라켓(420)에 단단히 고정시킨 후 인쇄회로기판(433)에 결합된 제2 메인 커넥터(437)를 등박스(430)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431)에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433)을 등박스(430)에 결합한다. 이 경우 컨버터(432)의 위치는 등박스(430) 내부에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은 천정(410)에 LED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420)을 결합하는 단계, 브라켓(420)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430)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430) 타면에 LED(434)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33)을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430)에 LED(434)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44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실시예를 제품으로 구현하여 천정에 부착한 사진이 도시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등박스(430)가 천정에 부착되며, 등박스(430) 내부에는 복수의 제1 메인 커넥터(431)가 결합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부채꼴 형상의 인쇄회로기판(433)이 도시되며, LED(434)가 실장되지 않은 면에 제2 메인 커넥터(437)가 결합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등박스(430)가 천정에 부착된 후 일부 인쇄회로기판(433)이 등박스(43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며, 도 5의 (D)를 참조하면, 전체 인쇄회로기판(433)이 등박스(43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5의 (E)를 참조하면, 전체 인쇄회로기판(433)이 등박스(430)에 결합된 상태에서 LED(434)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도시되며, 도 5의 (F)를 참조하면, 투광부(440)를 통해 LED(434)의 광이 암부없이 고르게 출사되는 조명 기구가 도시된다. 이러한 설치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33)이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등박스(430)가 천정에 부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실시예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등박스(430) 내측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431)는 인접한 컨버터(43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1 메인 커넥터(431)는 컨버터(432)와 DC 와이어(435)로 연결되고, DC 와이어(435)는 제1 메인 커넥터(431)와 서브 커넥터(438)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커넥터(438)와 제1 메인 커넥터(431)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결합 구조는 본 발명의 당업자가 자명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2 메인 커넥터(437)는 인쇄회로기판(433)에서 LED(434)가 실장되지 않는 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메인 커넥터(437)는 인쇄회로기판(433)에서 LED(434)가 실장된 면의 배면에 결합하며, 인쇄회로기판(433)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LED(4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 핀(439)은 일단이 등박스(430)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433)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 핀(439)의 타단은 인쇄회로기판(433)에 형성된 소정의 고정홈 또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433)에 결합할 수 있다. 서포터 핀(439)은 DC 와이어(435)와 연결되지는 않으며, 인쇄회로기판(433)을 등박스(430)에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또한, 컨버터(432)는 등박스(130)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컨버터(432)는 등박스(130)와 인쇄회로기판(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등박스(430)의 일측은 전극이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가 결합하고, 타측은 서포터 핀, 전극이 연결되지 않는 일반 비전극 커넥터 및 전극인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DC 와이어(435)는 일단이 컨버터(4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직접 제1 메인 커넥터(43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DC 와이어(435)가 직접 제1 메인 커넥터(4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컨버터(432)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1 메인 커넥터(431)에 인가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메인 커넥터(437)는 인쇄회로기판(133)에 고정 결합하지 않고, DC 와이어(43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3)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33)은 서포터 핀(439)에 의해 등박스(4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메인 커넥터(437)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메인 커넥터(437)를 제1 메인 커넥터(431)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메인 커넥터(437)는 소정의 지지핀들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회로기판(133)과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메인 커넥터(437)가 인쇄회로기판(133) 상에 있지 않고 소정의 지지핀들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회로기판(133)의 측면 밖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핀은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지지수단으로서 내부에 DC 와이어(4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6d를 참조하면, 컨버터는 인쇄회로기판(133)에서 LED(434)가 실장된 면에 실장된 집적회로로 형성된 드라이버 IC(450)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원은 제1 메인 커넥터(431), 제2 메인 커넥터(437)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드라이버 IC(450)로 인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등박스(430), 제1 메인 커넥터(431), 컨버터(432), 인쇄회로기판(433), LED(434), 천정지지부(436), 제2 메인 커넥터(437), 서브 커넥터(438), 서포터 핀(439), 힌지(460)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433)의 일단이 미리 서포터 핀(439)에 힌지(460)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하는 특징이 있다. 즉, 사용자가 등박스(430)를 천정에 고정할 때 인쇄회로기판(433)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등박스(430)와 수직인 상태에 있으며, 사용자가 등박스(430)를 천정에 고정한 후 인쇄회로기판(433)은 힌지(460)를 중심으로 실선인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인 커넥터(431)는 제2 메인 커넥터(437)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433)과 서포터 핀(439)은 그 사이에 별도의 힌지를 개재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서포터 핀(439) 자체가 힌지로 구현되어 인쇄회로기판(433)이 서포터 핀(439)의 일측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쇄회로기판(433)을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인쇄회로기판(433)을 등박스(430)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메인 커넥터(431)와 제2 메인 커넥터(437)를 바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실시예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브라켓(420)에는 복수의 브라켓 볼트(421)가 결합할 수 있으며, 컨버터(432)는 등박스(430)의 중심부에서 등박스(430)와 인쇄회로기판(4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 볼트(421)의 개수는 복수이며, 등박스(430)에 형성되어 브라켓 볼트(421)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은 브라켓 볼트(421)의 개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투광부(440)는 전체 인쇄회로기판(433)을 다 커버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투광부(440)는 컨버터(432)를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433)별로 나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는 컨버터(432)가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컨버터(432)는 등박스(430)와 천정(410) 사이에 위치하며, 투광부(440)는 전체 인쇄회로기판(433)을 다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컨버터(432)는 등박스(430)와 천정(410) 사이에 위치하며, 투광부(440)는 인쇄회로기판(433)별로 나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 설치 상태이다. 여기서, P는 인쇄회로기판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너트(422)를 삽입하기 위한 틈이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에서 암부가 형성된다. 도 10의 (A), (C), (E) 및 (G)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을 나타내며, (B), (D), (F) 및 (H)는 각 (A), (C), (E) 및 (G)의 인쇄회로기판 배열에 투광부(440)가 설치된 조명 기구의 사진을 도시한다. 각 조명 기구는 인쇄회로기판 간 이격 거리에 의해 세로 또는 가로의 암부가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박스(430)를 브라켓(420)에 결합시킨 후에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기 때문에 조명에서 암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의 (A), (C), (E) 및 (G)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을 나타내며, (B), (D), (F) 및 (H)는 각 (A), (C), (E) 및 (G)의 인쇄회로기판 배열에 투광부(440)가 설치된 조명 기구의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조명 기구에서 암부가 제거된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는 입력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제어 장치나 조명의 색온도, 색상을 변화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거나 기타 다양한 메커니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천정 120 : 브라켓
121 : 브라켓 볼트 122 : 결합 너트
130 : 등박스 131 : 서포터 핀
132 : 컨버터 133 : 인쇄회로기판
134 : LED 135 : DC 와이어
136 : 천정지지부 140 : 투광부
410 : 천정 420 : 브라켓
421 : 브라켓 볼트 422 : 결합 너트
430 : 등박스 431 : 제1 메인 커넥터
432 : 컨버터 433 : 인쇄회로기판
434 : LED 435 : DC 와이어
436 : 천정지지부 437 : 제2 메인 커넥터
438 : 서브 커넥터 439 : 서포터 핀
440 : 투광부 450 : 드라이버 IC
460 : 힌지

Claims (13)

  1. 천정에 LED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기 전의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 타면에 LED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되어 전극이 연결된 제1 메인 커넥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전극이 연결된 제2 메인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하여 지지함-; 및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에 상기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박스 고정 단계는,
    상기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 볼트를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의 삽입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등박스를 상기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너트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하는 회전형 너트, 집게 형상 너트 및 푸쉬 형상 너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는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컨버터와 DC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DC 와이어는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LED가 실장된 면의 배면에 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상기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등박스에 고정된 서포터 핀과 힌지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LED가 위치한 면에 집적회로로 형성되는 드라이버 IC인 컨버터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볼트의 개수는 복수이며, 상기 등박스의 삽입홀은 상기 브라켓 볼트의 개수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10. 천정에 결합하여 조명 기구가 부착될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삽입된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등박스 타면에 암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결합되는 LED가 실장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상기 제2 메인 커넥터는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상기 제2 메인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하여 지지함-; 및
    상기 등박스에 결합되어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LED 조명 기구의 등박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브라켓에 일면이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너트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브라켓 볼트에 결합하는 회전형 너트, 집게 형상 너트 및 푸쉬 형상 너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박스 타면에 결합된 제1 메인 커넥터는 상기 등박스의 타면에 결합된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컨버터와 DC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DC 와이어는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등박스에 고정된 서포터 핀과 힌지결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상기 제1 메인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메인 커넥터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
KR1020110038586A 2011-04-25 2011-04-25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KR10120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586A KR101206333B1 (ko) 2011-04-25 2011-04-25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PCT/KR2012/003201 WO2012148175A2 (ko) 2011-04-25 2012-04-25 커넥터형 led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586A KR101206333B1 (ko) 2011-04-25 2011-04-25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808A KR20120120808A (ko) 2012-11-02
KR101206333B1 true KR101206333B1 (ko) 2012-11-29

Family

ID=4750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586A KR101206333B1 (ko) 2011-04-25 2011-04-25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01B1 (ko) * 2013-03-04 2015-03-30 송두환 엘이디 천정등
KR20180070413A (ko) * 2016-12-16 2018-06-26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엘이디 천정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434A (ja) * 2009-06-19 2011-01-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11060718A (ja) * 2009-09-14 2011-03-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3434A (ja) * 2009-06-19 2011-01-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11060718A (ja) * 2009-09-14 2011-03-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808A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5749B2 (ja) 照明装置
KR101062839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KR100931266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실내용 led 조명
US10060608B2 (en) Detachable LED lighting device
JP2012523664A (ja) 広くて均一な配光を持つled照明
TW201202624A (en) Edge-light type lighting device
JP6062180B2 (ja) 照明装置
TW201307753A (zh) 使用發光體之面照明光源裝置
WO2021018289A1 (zh) 一种发光二极管灯具
JPH04118803A (ja) 室内用照明器具
JP6960167B2 (ja) 照明装置
KR101206333B1 (ko) Led 조명 기구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led 조명 기구
JP2013058316A (ja) Led照明装置
JP6125662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KR20130104152A (ko) 컨버터가 분리된 커넥터형 led 조명 기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332679B1 (ko) 커넥터형 led 조명 기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601801B1 (ko) 아크형 광확산 구조의 led 조명등
TWI812361B (zh) 多光源照明裝置
JP2014075315A (ja) 発光装置
CN217816297U (zh) 灯具
KR101652813B1 (ko) 조명 장치
TWM580158U (zh) Flat panel light
TWM610331U (zh) 平板燈具
KR20150142930A (ko)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다면 발광 조명등
WO2011003345A1 (zh) 一种led发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