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156B1 -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156B1
KR101206156B1 KR1020110096194A KR20110096194A KR101206156B1 KR 101206156 B1 KR101206156 B1 KR 101206156B1 KR 1020110096194 A KR1020110096194 A KR 1020110096194A KR 20110096194 A KR20110096194 A KR 20110096194A KR 101206156 B1 KR101206156 B1 KR 10120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light guide
guide plate
roll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1009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23D79/04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with rotating cutting-tool, e.g. for smoothing linings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B29C2043/463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corrugated, patterned or emboss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B29C2043/464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having projections or knives, e.g. for cutting-out or for forming local de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 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다양하게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뿔 형 패턴을 형성함은 물론 단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송로를 주행하면서 이송되는 도광판(1)의 표면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최하단에 상기 도광판(1)을 에칭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 커터날(6)을 가지는 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커터날(6)이 정렬배치된 원판의 형상의 커터롤러(10)를 가지는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의 커터날(6)을 도광판(1)의 작업영역에서 도광판(1)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상으로 승강되게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과, 상기 커터날(6)을 도광판(1)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가압폭(길이)로 단위시간 동안 가압하여 식각하도록 된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롤러(10)에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된 회전수단이 더욱 구비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A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in a Light guiding plate}
본 발명은 각종 액정표시장치, 조명간판, 핸드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서 반사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 진 홈 형태의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구 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다양하게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뿔 형 패턴을 형성함은 물론 단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액정표시장치, 조명간판, 핸드폰,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균일하게 산란 및 확산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일종의 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은 도광판의 판면에는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은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서 반사하여 발광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광판이 적용되는 면광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특허번호 제10-947264호(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패턴형성장치)에 개략적으로 게재된 바와 같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도록 된 반사판과,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되어 도광판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된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확산판에 의해 확산된 빛을 정렬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된 프리즘시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광판은 유리 또는 아크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받아들여 산란 및 확산하여 전 면적에 걸쳐 군일한 조도로 방출하도록 된 홈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패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내부로 확산시켜 균일한 조도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기존에는 공보에 개재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도광판에 조사하여 도광판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입사된 레이저의 열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홈 형태의 패턴이 형성된다.
물론 레이저가 아닌 가구적인 커터(고강도의 날을 가진 커터)를 이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수많은 패턴(하나의 도광판에 대략 45-50만개 가량의 패턴이 형성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한 간격 및 길이와 깊이로 형성하기 어려워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 레이저를 이용하여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은 상기 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설정된 형태로 조사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광판의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로, 레이저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내부는 용융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어 패턴의 깊이가 설정에 따라 형성되지 않고 면이 불규칙하여 빛을 확산시킬 때 균일하지 못하여 상(像)이 불명료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적은 갯 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패턴형성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도광판의 표면에 가장 이상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뿔(원뿔, 사각형(피라미드형)) 홈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한번에 단 하나의 도광판만 성형할 수 있,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 적인 커터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다양하게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뿔 형 패턴을 형성함은 물론 단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는 이송로를 주행하면서 이송되는 도광판의 표면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최하단에 상기 도광판을 에칭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 커터날을 가지는 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커터날이 정렬배치된 원판의 형상의 커터롤러를 가지는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의 커터날을 도광판의 작업영역에서 도광판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상으로 승강되게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과, 상기 커터날을 도광판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가압폭(길이)로 단위시간 동안 가압하여 식각하도록 된 가압수단과, 상기한 커터롤러에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한 회전수단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커터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치와 기어결합하는 다수의 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커터날은 상기 치홈과 치홈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커터롤러는 상기 고정수단의 승하강되도록 고정된 커터부재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커터롤러와 기어결합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커터부재에 축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광판 패턴형성장치는 도광판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서 반사할 수 있도록 된 패턴을 형성할 때, 물리적인 에너지(전기, 혹은 열)에 의해 형성하지 않고, 기구적인 커터의 타격에 의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단시간의 대량 생산에 의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설정된 간격으로 다양하게 설정된 길이만큼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뿔 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가 적용된 제조시스템을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가 적용된 제조시스템을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5는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마스크를 이용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보인 확대 개략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하여 보인 일부 측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의 주 요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도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의 주 요부를 확대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13은 도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의 작용을 설명 도시하여 보인 부분확대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7은 도 3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 도시하여 보인 부분확대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에 의해 형성된 도광판의 패턴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구성하는 커터롤러의 일부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이 안치 고정된 트레이(2)를 이송하도록 된 이송대(3)에 이송되는 중에 이송로 상에 마련된 작업영역에서 도광판(1)의 판면에 홈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이송대(3)는 도광판(1)을 판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광판의 판면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직립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 이송로는 도광판(1)을 별도의 이송장치에서 이송로의 이송대(3)로 투입하는 투입장치(4)와 작업영역에서 작업이 완료된 도광판(1)을 배출하는 배출장치(5)에 의해 도광판(1)을 공급 및 퇴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광판(1)을 투입장치(4)를 이용하여 이송로 상에서 이송되는 트레이(2)에 고정시켜 작업영역으로 투입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 배출장치(5)를 이용하여 이송로 상에서 이송되는 트레이(2)에서 도광판(1)을 수거하여 별도의 보관장치 및 이송장치에 투입하여 운반 및 보관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도광판(1)에 대하여 커터수단이 이송되면서 도광판(1)측으로 가압되어 도광판(1)의 판면을 에칭함에 따라 패턴을 형성하거나, 혹은 도광판(1)이 커터수단의 커팅영역에서 이송되면서 커터날이 가압되어 도광판(1)의 판면을 에칭함에 따라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광판(1)이 상기 이송로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커터수단의 작업영역에서 이송되면서 커터날의 가압에 따라 에칭되도록 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는 상기 이송로를 주행하면서 이송되는 도광판(1)의 표면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된 커터날(6)을 구비한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의 커터날(6)을 도광판(1)의 작업영역에서 도광판(1)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상으로 이송되게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과, 상기 커터날(6)을 도광판(1)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가압폭(길이)로 단위시간 동안 가압하여 식각하도록 된 가압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도광판(1)이 이송로에서 트레이(2)에 안치되어 작업영역으로 이송되면, 상기 커터수단의 커터날(6)이 가압수단에 의해 설정된 단위시간당 설정된 깊이로 홈이 형성되도록 가압하여 원하는(설정된) 형태로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커터수단은 최하단에 상기 도광판(1)을 에칭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 다수의 커터날(6)을 가지는 커터와, 이송로의 작업영역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에 슬라이딩되도록 고정되는 승강부(7)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두부(8)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커터부재(9)들로 이루어진다.
즉 이송로 상에서 이송되는 도광판(1)을 기준으로 도광판(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다수의 커터부재(9)들이 정렬 배치되고, 도광판(1)이 작업영역(커터부재(9)의 위치)으로 이송되면 설정된 가압수단의 가동에 따라 두부(8)가 도광판(1) 측으로 가압되고, 승강부(7)가 고정수단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커터의 커터날(6)이 도광판(1)의 판면을 가압하여 에칭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가압수단은 설정된 단위시간 동안 커터부재(9)를 가압하게 설정되며 단위 시간에 대한 가압 폭을 달리하면 다양한 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패턴 홈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커터는 상기 승강부(7)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커터날(6)이 정렬 배치된 원판의 형상의 커터롤러(1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터부재(9)가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도광판(1) 측으로 가압되면 커터날(6)이 구비된 커터롤러(10)가 도광판(1)의 판면 상에서 공회전함에 따라 커터날(6)이 도광판(1)의 판면을 파고들어 패턴 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이송로의 작업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커터의 승강부(7)가 슬라이딩되도록 고정되는 슬라이드공(11)이 구비된 고정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12)와 상기 커터수단은 탄성체(13)로 연결되어 커터날(6)이 복귀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탄성체(13)는 고정체(12)와 승강부(7)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커터날(6)에 복귀력을 부가함으로써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는 커터날(6)이 도광판(1)에서 이격되어 패턴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될 때만 패턴을 형성한다.
즉 가압 폭 및 시간을 조절하여 설계하면 원하는 형태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가압수단은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터부재(9)들의 두부(8)와 밀착하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단위 시간당 커터부재(9)를 도광판(1)측으로 가압하거나 해제하도록 굴곡된 가압면을 가지는 원판상의 가압롤러(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압롤러(14)의 회전축의 중심과 가압면과의 길이에 따라 커터부재(9)를 가압하는 가압길이가 달라져 원하는 깊이를 가지는 패턴 홈을 형성한다.
즉 원하는 형태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신뢰성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가압롤러(14)의 가압면에서 단위 시간당 회전되는 면적에 대하여 회전축의 중심에서의 길이는 형성하고자 하는 도광판의(1) 패턴 홈의 깊이에 따라 상응하여 정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고정체(12)에는 도광판(1)의 표면에 밀착되어 주행하도록 공회전하는 롤러가 하단에 구비된 높이조절링크(15)가 마련되어 도광판(1)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고정체(12)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표면이 불규칙적인 곡률을 가지는 도광판(1)의 표면상태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링크(15)가 판면의 불규칙한 면을 따라 주행을 하고, 이에 고정체(12)가 불규착한 판면의 형태에 따라 굴곡되면서 이송되어 고정체(12)에 결합된 커터부재(9)가 고정체(12)를 따라 굴곡되면서 이송되어 결과적으로 도광판(1)의 노면상태(굴곡형태)에 대응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터부재(9)와 고정체(12)의 사이에는 탄성체(13)가 게재되어 커터부재(9)가 가압수단측으로 가압되게 지지됨에 따라, 고정체(12)가 도광판(1)에서 이격되었을 때 탄성체(13)가 커터부재(9)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커터부재(9)를 가압롤러(14) 측으로 밀게 되고, 고정체(12)가 도광판(1)에 근접할 때 탄성체(13)의 커터부재(9)에 대한 탄성지지력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커터부재(9)가 도광판(1)측 방향으로 근접됨에 따라 더욱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광판(1)의 표면상태에 따라 대응하여 깊이를 가감할 수 있어, 패턴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상기한 높이조절링크(15)는 고정체(12)에 조절볼트(16)로 나사결합되어 고정체(12) 상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된다.
즉 고정체(12)와 도광판(1)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도광판(1)의 노면의 상태에 따른 커터부재(9)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2)의 탄성력에 따라 커터부재(9)에 대한 고정체(12)의 탄성지지력을 각각 알맞게 조절하여 더욱 미세한 에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커터부재(9)들은 상기 이송로의 작업영역상에 위치되며 승강부(7)가 이송되도록 된 다수의 가이드공(17)을 가지는 고정플레이트(18)에 정렬배치되도록 된다.
즉 상기한 커터부재(9)들의 정렬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송대(3)에 마련되며 커터부재(9)의 승강부(7)가 슬라이딩되게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공(17)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8)에 의해 배열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커터부재(9)가 도광판(1)을 에칭할 때 정렬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커터부재(9)가 4-5개로 묶음 상태로 구성될 경우 타 묶음 불럭과의 사이 공간이 과도하게 벌어져 패턴이 부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묶음 블럭과 블럭 사이에 연하여 위치된 커터부재(9)들의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는 상기한 고정플레이트(18)에서 상기 가이드공(17)은 일 가이드공(17)을 기준으로 그 양측의 가이드공(17)들의 위치가 도광판(1)의 판면의 진행방향측으로 편위되는 지그잭 배열로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영역의 공간적 효율이 높아 다수의 커터부재(9)들을 설치하여 더욱 정밀한 패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커터부재(9)의 커터날(6)은 커터의 외주면에 뿔 형상으로 돌출된 뿔 돌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광판(1)은 판면에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유입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패턴이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뿔 형으로 이루어져 빛의 산란 및 확산이 동심원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아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어 품질이 현저히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뿔 돌기는 원뿔 형상 및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다각 뿔 돌기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사각 뿔 돌기 또는 팔각 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이송로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광판(1)들이 양측에 배치되어 수직상으로 직립되도록 이송되는 트레이(2)가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레이(2)의 양측에 상기 커터수단과 고정수단과 가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 이송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한 쌍의 도광판(1)들을 동시에 가공하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을 구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는 상기한 커터롤러(10)에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된 회전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1)의 판면을 공회전하여 주행하면서 패턴을 형성하는 중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력이 부가됨에 따라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패턴의 길이를 조절하여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부가되는 회전력의 크기 및 시간에 따라 단위길이(T) 상에서 성형되는 패턴의 길이(t)가 증감된다.
또한 상기한 회전수단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커터롤러(1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회전롤러(19)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롤러(19)의 회전력을 커터롤러(10)가 전달받아 회전력이 더욱 가속되어 커터날(6)이 가속됨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롤러(10)의 회전력의 증감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패턴을 원하는 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정밀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회전롤러(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20)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롤러(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치(20)와 기어결합하는 다수의 치홈(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롤러(19)가 회전을 하면 이와 기어결합된 커터롤러(10)가 회전을 하게 되어 부가된 회전력을 통해 패턴의 길이를 설정된 만큼 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커터날(6)은 상기 치홈(21)과 치홈(21)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에서 상기한 커터롤러(10)는 상기 고정수단의 승하강되도록 고정된 커터부재(9)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롤러(19)는 상기 커터롤러(10)와 기어결합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커터부재(9)에 축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광판(1)의 곡률에 따라 커터부재(9)가 승하강될 때 회전롤러(19)가 동시에 승하강 되도록 있어, 도광판(1)의 곡률에 관계없이 설정된 깊이와 길이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패턴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1)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가압롤러(14)의 회전에 따라 커터부재(9)가 가압되고, 이에 따라 커터롤러(10)가 도광판(1)의 판면으로 근접된 후 도광판(1)과의 접촉에 따라 이동되는 도광판(1)에서 공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도광판(1)의 내면으로 파고들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롤러(10)와 도광판(1)이 밀착되면 이송로를 주행하는 도광판(1)에 의해 커터롤러(10)가 공회전하면서 커터날(6)이 도광판(1)의 판면으로 파고들어 찍어내듯 패턴 홈을 식각하게 된다.
즉 도광판(1)의 이송에 따라 커터롤러(10)들이 공회전하면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터롤러(10)의 식각작업은 도광판(1)이 작업영역에서 이송되는 중에 이루어지며, 작업영역에서 도광판(1)이 이탈되면 가압롤러(14)의 일 회전이 완료되고 가압롤러(14)의 커터부재(10)로의 가압 폭이 좁아져 도광판(1)에서 이탈됨에 따라 커터날(6)에 의한 식각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19)가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을 하면, 도광판(1)의 판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커터롤러(10)가 공회전력에 더하여 회전력을 인가받아 가속되고, 이에 따라 파여진 패턴홈이 길이방향으로 에칭되어 패턴홈이 길이방향으로 더욱 확장되어 최종적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패턴 홈이 형성된 도광판(1)은 이송대(3)를 통해 이송로를 주행하는 중에 상술한 배출장치(5)에 의해 별도의 장소 혹은 이송장치로 이송되어 보관 또는 별도의 작업공간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도광판(1)들의 패턴 형성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1 : 도광판, 2 : 트레이,
3 : 이송대, 4 : 투입장치,
5 : 배출장치, 6 : 커터날,
7 : 승강부, 8 : 두부,
9 : 커터부재, 10 : 커터롤러,
11 : 슬라이드공, 12 : 고정체,
13 : 탄성체, 14 : 가압롤러,
15 : 높이조절링크, 16 : 조절볼트,
17 : 가이드공, 18 : 고정플레이트,
19 : 회전롤러, 20 : 기어치,
21: 치홈.

Claims (5)

  1. 이송로를 주행하면서 이송되는 도광판의 표면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최하단에 상기 도광판을 에칭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 다수의 커터날을 가지는 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커터날이 정렬배치된 원판의 형상의 커터롤러를 가지는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의 커터날을 도광판의 작업영역에서 도광판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상으로 승강되게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과, 상기 커터날을 도광판으로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가압폭(길이)로 단위시간 동안 가압하여 식각하도록 된 가압수단과, 상기한 커터롤러에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된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수단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커터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치와 기어결합하는 다수의 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날은 상기 치홈과 치홈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롤러는 상기 고정수단의 승하강되도록 고정된 커터부재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커터롤러와 기어결합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커터부재에 축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KR1020110096194A 2011-09-23 2011-09-23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KR10120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94A KR101206156B1 (ko) 2011-09-23 2011-09-23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94A KR101206156B1 (ko) 2011-09-23 2011-09-23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156B1 true KR101206156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94A KR101206156B1 (ko) 2011-09-23 2011-09-23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1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612B1 (ko) 2010-05-25 2010-08-27 (주)아이에스티 코리아 자동 평행 조정 스크레이퍼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612B1 (ko) 2010-05-25 2010-08-27 (주)아이에스티 코리아 자동 평행 조정 스크레이퍼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402B2 (ja) 背面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照明方法
EP2549173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light guide element used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ight guide element
JP4611202B2 (ja) 導光板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光源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206156B1 (ko)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CN204629365U (zh) 具有均匀发光面的圆形导光板及其手表
CN206684340U (zh) 导光板、背光模组及其加工机构
CN104325633A (zh) 导光板的转印成形方法及导光板以及面光源装置
CN204076815U (zh) 一种导光板的加工装置
KR101252521B1 (ko)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CN105388558A (zh) 一种同心圆弧曲线排列的微透镜阵列均光板及其制作方法
KR101021572B1 (ko) 도광판 변형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1229267B1 (ko) 도광판 및 그 제조장치
EP3201515A1 (en) Micro-optical element having curved surface and light guide and lighting assembly including same
US8940218B1 (en) De-focused laser etching of a light diffuser
KR101206183B1 (ko) 도광판의 패턴 형성장치
KR101236870B1 (ko) 광확산판 성형장치
KR101166106B1 (ko)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964284B1 (ko)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KR101558554B1 (ko) 도광판 가공장치 및 도광판 가공방법
JP2013229286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268516B1 (ko) 도광판의 패턴형성장치
KR101368227B1 (ko) 도광판 및 그의 가공방법
KR20130118160A (ko) 액정표시장치용 세레이션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WO2017031035A1 (en) Light extracting element having serpentine shape, light redirecting element having serpentine shape, and light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088354B1 (ko) 멀티 포커스 렌즈를 이용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