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152B1 -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152B1
KR101206152B1 KR1020100038555A KR20100038555A KR101206152B1 KR 101206152 B1 KR101206152 B1 KR 101206152B1 KR 1020100038555 A KR1020100038555 A KR 1020100038555A KR 20100038555 A KR20100038555 A KR 20100038555A KR 101206152 B1 KR101206152 B1 KR 10120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orting
stone sludge
hopp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070A (ko
Inventor
승 현 양
임채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콘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콘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콘원
Priority to KR102010003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1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슬러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선별부의 선별망의 외주연에 복수형성된 배출구의 내경크기가 선별부의 본체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부의 배출관이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슬러지 선별장치{STONE SLUDGE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선별부의 선별망의 외주연에 복수형성된 배출구의 내경크기가 선별부의 본체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부의 배출관이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분야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주로 시멘트에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잔골재 및 굵은 골재로 가공하기 위한 천연골재의 양은 한정되어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등의 시행으로 점차 천연골재를 채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천연골재를 대체하기 위한 재활용 제품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폐기물과 폐콘트리트 등을 분쇄하고, 여러 단계의 처리공정을 거쳐 불균일한 입도의 석재슬러지가 포함된 재활용 골재를 생산하는 재활용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선별부의 선별망의 외주연에 복수형성된 배출구의 내경크기가 선별부의 본체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부의 배출관이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수평구비되고,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석재슬러지를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수평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으로 이송된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내부에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송될 석재슬러지를 수용하는 양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석재슬러지를 하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복수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경크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상기 배출구의 내경크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선별망과, 상기 본체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개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선별망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선별망의 하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되는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의 타측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부의 선별망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호퍼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수평구비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이송관으로 배출된 석재슬러지를 상기 이송관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로 구성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축의 일단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의 일측면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의 선별망은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일단부에 수직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환형의 일측 플랜지와; 상기 그물망의 타단부에 수직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환형의 타측 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그물망, 일측 및 타측 플랜지로 구성되는 상기 선별망은 상기 선별부의 본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타측 플랜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 플랜지와 접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선별망의 배출구의 내경크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선별부의 본체는 상기 선별망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하부본체의 후단부에 후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본체의 전단부 상부면 및 후단부 상부면에는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의 전단부 하부면 및 후단부 하부면과 접하는 실링패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선별부의 본체의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 전후측에 각각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선별망의 하부 전후측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선별부의 본체의 타측면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망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타단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망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본체의 일측 상부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상기 본체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부의 본체의 타측 상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관을 따라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의 중심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안내관의 일측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호퍼의 내부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호퍼의 일측 하부 외주연에 수평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일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개폐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호퍼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용되는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부,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팬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 구동부재 및 상기 팬부재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별부의 선별망의 외주연에 복수형성된 배출구의 내경크기가 선별부의 본체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부의 배출관이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송관, 이송부재 및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통해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상기 선별부의 선별망의 수용공간내로 석재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물망, 일측 및 타측 플랜지로 구성되는 상기 선별망이 상기 선별부의 본체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선별망이 훼손된 경우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만 상기 본체의 외부로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의 선별망의 배출구 내경크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경우 상기 선별부의 배출관이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본체가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 전단부 전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필요없이 복수의 상부본체 중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선별망이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본체의 전단부만을 상하이동시켜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만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의 전단부 상부면 및 후단부 상부면에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의 전단부 하부면 및 후단부 하부면과 접하는 실링패드가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선별할 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본체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선별망의 하부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지지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축과, 복수의 지지바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선별망의 하부 전후측을 각각 보다 더욱 용이하게 회전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구동모터, 회전축 및 회전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선별망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필터부재와 팬부재를 통해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선별할 시 상기 본체내에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본체내로 순환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실린더, 이송부, 구동부재 및 팬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 이송부, 구동부재 및 팬부재로 전원이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 구동부재 및 팬부재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대 또는 원하는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송부, 구동부재 및 팬부재가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전력낭비를 보다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다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호퍼의 하측에 개폐판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슬러지 선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퍼(10), 이송부(30), 선별부(50) 및 구동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호퍼(10)의 상측은 개방되고, 상기 호퍼(10)의 내부에는 입도가 서로 상이한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가 일정높이로 수용된다.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용된 석재슬러지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된다.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호퍼(10)의 배출구(101)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석재슬러지를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선별부(50)는 본체(510), 선별망(530) 및 배출관(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10)는 상기 이송부(30)의 후술할 이송관(310)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부(30)의 이송관(310)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510)의 일단부 하부 전측 및 하부 후측, 상기 본체(510)의 타단부 하부 전측 및 하부 후측에는 상기 본체(5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7)가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별망(530)은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30)에 의해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으로 이송된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510)의 내부 타측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선별망(53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타측으로 이송될 석재슬러지를 수용하는 양측이 개방된 수용공간(531)이 형성된다.
상기 선별망(530)의 후술할 그물망(532)의 외주연에는 상기 수용공간(531)에 수용된 석재슬러지를 하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하는 배출구(533)가 복수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531)의 내경(I1)크기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상기 수용공간(531)의 내경(I1)크기가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짐에 따라,
상기 선별망(530)의 그물망(532)의 상측에는 상기 선별망(5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510)의 상측 내주연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측 경사면(532a)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망(530)의 상기 그물망(532)의 하측에는 상기 선별망(5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510)의 하측 내주연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하측 경사면(53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선별망(530)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선별망(530)의 수용공간(531)에 수용된 석재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선별망(530)의 그물망(532)의 하측 경사면(532b)을 따라 상기 선별망(530)의 그물망(532)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삭제
상기 배출관(550)은 상측이 상기 본체(510)의 후술할 하부본체(5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수직형성된다.
상기 배출관(550)의 하측에는 상기 선별망(530)의 그물망(532)이 입도별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5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550)의 하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출관(550)을 통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를 수용하는 마대 등을 포함한 수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에 4개의 배출관(55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에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상기 배출관(55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에 4개의 배출관(55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4개의 상기 배출관(550)을 각각 제 1, 2, 3, 4배출관(550a, 550b, 550c, 550d)라 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70)는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관(310), 이송부재(330) 및 구동모터(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관(310)은 상측이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330)는 회전축(331)과 이송스크류(3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1)은 상기 이송관(310)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33)는 상기 회전축(331)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33)는 상기 회전축(33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호퍼(10)로부터 상기 이송관(310) 내부로 배출될 석재슬러지를 상기 이송관(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50)의 구동축(351)은 상기 이송관(310)의 일측면에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의 구동축(351)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331)의 일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이송관(310)의 일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관(310), 이송부재(330) 및 구동모터(350)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송부(30)를 통해 상기 이송관(310)의 내부에서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의 수용공간(531)내로 석재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은 그물망(532), 환형의 일측 플랜지(534), 환형의 타측 플랜지(5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532)은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53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배출구(533)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일측 플랜지(534)는 상기 그물망(532)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일측 플랜지(534)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용공간(531)의 일측과 연통되는 관통구(535)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타측 플랜지(536)는 상기 그물망(532)의 타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타측 플랜지(536)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용공간(531)의 타측과 연통되는 관통구(5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532), 환형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으로 구성되는 상기 선별망(530)은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에는 상기 그물망(532), 환형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구성되는 4개의 상기 선별망(530)의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에 상기 그물망(532), 환형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구성되는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상기 선별망(530)이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에 상기 그물망(532), 환형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구성되는 4개의 상기 선별망(530)의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4개의 상기 선별망(530)을 각각 제 1, 2, 3, 4선별망(530a, 530b, 530c, 530d)라 칭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환형의 상기 타측 플랜지(536)는 고정부재(538)에 의해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 플랜지(534)와 접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선별망(530a)의 타측 플랜지(536)의 타측면은 상기 제 2선별망(530b)의 일측 플랜지(534)의 일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38)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고,
제 2선별망(530b)의 타측 플랜지(536)의 타측면은 상기 제 3선별망(530c)의 일측 플랜지(534)의 일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38)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3선별망(530c)의 타측 플랜지(536)의 타측면은 상기 제 4선별망(530d)의 일측 플랜지(534)의 일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38)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538)는 상기 일측 플랜지(534)와 타측 플랜지(536)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538a)와; 상기 고정볼트(538a)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38b);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그물망(532), 환형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로 구성되는 상기 선별망(530)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선별망(530)이 훼손된 경우 작업자가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530)상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재(538)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530)만을 상기 본체(510)의 외부로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의 배출구(533)의 내경(I2)크기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즉, 제 1선별망(530a)의 배출구(533)의 내경(I21)크기는 상기 제 2선별망(530b)의 배출구(533)의 내경(I22)크기보다 작고,(I21〈 I22)
상기 제 2선별망(530b)의 내경(I22)크기는 상기 제 3선별망(530c)의 배출구(533)의 내경(I23)크기보다 작고,(I22 〈 I23)
상기 제 3선별망(530c)의 배출구(533)의 내경(I23)크기는 상기 제 4선별망(530d)의 내경(I24)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23 〈 I24)
즉,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1배출관(550a)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1)는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2배출관(550b)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2)보다 작고,(S1 S2)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2배출관(550b)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2)는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3배출관(550c)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3)보다 작고,(S2 S3)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3배출관(550c)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3)는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의 제 4배출관(550d)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S4)보다 작게 되는 것이다.(S3 S4)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의 배출구(533) 내경크기가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경우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510)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다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는 하부본체(511)와 복수의 상부본체(5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511)의 내부에는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는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후단부는 상기 하부본체(511)의 후단부에 후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본체(511)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5개의 상기 상부본체(513)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5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상기 상부본체(513)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5개의 상기 상부본체(513)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5개의 상기 상부본체(513)를 각각 제 1, 2, 3, 4, 5상부본체(513a, 513b, 513c, 513d, 513e)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가 하부본체(511)와,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하부본체(511)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 중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530)이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만을 상하이동시켜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선별망(530)만을 상기 본체(510)의 외부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511)의 전단부 상부면과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 하부면을 접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5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39)는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와 상기 하부본체(511)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539a)와; 상기 고정볼트(539a)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39b);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539)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511)의 전단부 상부면 내측 및 및 후단부 상부면 내측에는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 하부면 및 후단부 하부면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링패드(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511)의 전단부 상부면 내측 및 후단부 상부면 내측에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 하부면 및 후단부 하부면과 접하는 상기 실링패드(5)가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선별할 시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510)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9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본체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선별망의 하부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지지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9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축(910)과 복수의 지지바퀴(9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축(910)은 상기 본체(510)의 하부본체(511)의 내부 하부 전후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바퀴(930)는 상기 지지축(91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선별망(530)의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의 하부 전후측 외주연을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지지축(910)의 외주연에 5개의 상기 지지바퀴(930)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축(910)의 외주연에 5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상기 지지바퀴(930)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지지축(910)의 외주연에 5개의 상기 지지바퀴(930)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5개의 상기 지지바퀴(930)를 각각 제 1, 2, 3, 4, 5지지바퀴(930a, 930b, 930c, 930d, 930e)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2, 3, 4, 5지지바퀴(930a, 930b, 930c, 930d, 930e)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의 하부 외주연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90)가 상기 지지축(910)과, 복수의 상기 지지바퀴(930)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선별망(530)의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의 하부 전후측 외주연을 각각 보다 더욱 용이하게 회전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7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710), 회전축(730) 및 회전력전달부재(7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는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제 5상부본체(513e)의 타측면 및 하부본체(511)의 타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망(53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711)은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제 5상부본체(513e)의 타측면 및 하부본체(511)의 타측면에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30)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711) 일단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510)의 타단부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750)는 상기 회전축(730)의 일단부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망(530)으로 상기 구동모터(71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75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바(751)와 환형의 플랜지(75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바(751)는 상기 회전축(73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플랜지(753)는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구(753a)내에 복수의 상기 회전바(751)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회전바(751)의 상측 외주연에 원형형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플랜지(753)의 일측면은 상기 제 4선별망(530d)의 타측 플랜지(536)의 타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38)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플랜지(753)의 하측 외주연과 상기 제 4선별망(530d)의 타측 플랜지(536)의 하부 외주연은 상기 제 5지지바퀴(930e)의 상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711)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회전력전달부재(750)는 상기 구동축(71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4선별망(530a, 530b, 530c, 530d)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 회전축(730) 및 회전력전달부재(750)로 이루어지는 상기 구동부재(70)를 통해 상기 선별망(530)을 보다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제 1상부본체(513a)의 일측 상부에 일정높이로 수직형성되는 유입관(521)의 내부에는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과정 중에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기 본체(510)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제 5상부본체(513e)의 타측 상부에 일정높이로 수직형성되는 배출관(541)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본체(5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관(100), 필터부재(130) 및 팬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100)의 양단부는 상기 유입구(520)가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관(521) 및 상기 배출구(540)가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관(541)에 각각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안내관(1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100)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유입구(520)에서 상기 배출구(5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팬부재(150)는 상기 안내관(1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100)의 중심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부재(150)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기 본체(510)내의 공기를 상기 유입구(520) 및 상기 안내관(100)의 일측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540) 및 안내관(100)의 타측 내부로 흡입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팬부재(150)는 상기 유입구(520)를 통해 상기 안내관(100)의 일측 내부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130)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540)를 통해 상기 본체(510)내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130)와 팬부재(150)를 통해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선별할 시 상기 본체(510)내에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본체(510)내로 강제순환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제어부(8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호퍼(10)의 하측에 개폐판(20)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판(20), 실린더(40), 감지센서(60) 및 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호퍼(10)의 내부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0)의 일단부는 상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의 일측 하부 외주연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0)의 일단부는 상기 개폐판(20)의 일단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0)의 타단부는 상기 호퍼(10)의 일측 하부 외주연에 축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40)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개폐판(20)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용되는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개폐판(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호퍼(10)의 내주면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호퍼(10)의 일측 내주면 하측에 구비되는 발광소자(610)와, 상기 호퍼(10)의 타측 내주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가 수용될 경우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은 석재슬러지에 가려져 상기 수광소자(630)로 도달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석재슬러지가 일정높이로 수용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60)가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석재슬러지가 일정높이로 수용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호퍼(10)의 내부 하측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광소자(630)는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감지센서(60)는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석재슬러지가 수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60)가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석재슬러지가 수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호퍼(10)의 내부 하측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다리부(7)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8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실린더(40),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가 상기 실린더(40),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팬부재(150)의 구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40),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팬부재(150)로 상기 전원공급부(810)의 전원이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타이머(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10)는 상기 제어부(80)상에 누름식 또는 다이얼 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는 구동시간 또는 구동시간간격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가 구동시간이고, 상기 구동시간이 예를 들어,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4시, 오후 7시인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전원공급부(8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4시, 오후 7시마다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가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가 구동시간간격이고, 상기 구동시간간격이 30분인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전원공급부(8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30분간격으로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가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타이머(1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시간대 또는 원하는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송부(30)의 구동모터(350),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0) 및 상기 팬부재(150)가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전력낭비를 보다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의 외주연에 복수형성된 상기 배출구(533)의 내경(I2)크기가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부(50)의 배출관(550)이 상기 본체(5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석재슬러지의 입도가 상기 본체(510)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석재슬러지를 입도별로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5; 실링패드, 7;다리부,
10; 호퍼, 100; 안내관,
101, 533, 540; 배출구, 110; 타이머,
130; 필터부재, 150; 팬부재,
20; 개폐판, 30; 이송부,
310; 이송관, 330; 이송부재,
331, 730; 회전축, 333; 이송스크류,
350, 710; 구동모터, 351, 711; 구동축,
40; 실린더, 50; 선별부,
510; 본체, 511; 하부본체,
513; 상부본체,
513a, 513b, 513c, 513d, 513e; 제 1, 2, 3, 4, 5상부본체,
520; 유입구, 521; 유입관,
530; 선별망,
530a, 530b, 530c, 530d; 제1, 2, 3, 4선별망,
532; 그물망, 531; 수용공간,
532a; 상측 경사면, 532b; 하측 경사면,
534; 일측 플랜지, 535, 537, 753a; 관통구,
536; 타측 플랜지, 538, 539; 고정부재
538a, 539a; 고정볼트, 538b, 539b; 볼트,
541, 550; 배출관, 60; 감지센서,
610; 발광소자, 630; 수광소자,
70; 구동부재,
550a, 550b, 550c, 550d; 제 1, 2, 3, 4배출관,
750; 회전력전달부재, 751; 회전바,
753; 플랜지부, 80; 제어부,
810; 전원공급부, 90; 지지부재,
910; 지지축, 930; 지지바퀴,
930a, 930b, 930c, 930d, 930e; 제 1, 2, 3, 4, 5지지바퀴.

Claims (12)

  1.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수평구비되고, 상기 호퍼(10)로부터 배출되는 석재슬러지를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와;
    상기 이송부(30)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부(3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30)에 의해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으로 이송된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510)의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내부에 상기 본체(510)의 내부 타측으로 이송될 석재슬러지를 수용하는 양측이 개방된 수용공간(53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수용공간(531)에 수용된 석재슬러지를 하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하는 배출구(533)가 복수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531)의 내경크기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상기 배출구(533)의 내경크기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선별망(530)과, 상기 본체(51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510)의 하부에 복수개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선별망(530)의 배출구(533)를 통해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방향으로 입도별로 배출되는 석재슬러지를 상기 본체(5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550)으로 구성되는 선별부(50)와;
    상기 선별부(5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일측 상부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상기 본체(510)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20)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타측 상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본체(5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520)와 배출구(540)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안내관(100)과;
    상기 안내관(1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100)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관(100)을 따라 상기 유입구(520)에서 상기 배출구(5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130)와;
    상기 안내관(1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관(100)의 중심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520)를 통해 상기 안내관(100)의 일측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130)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540)를 통해 상기 본체(510)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호퍼(1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부에 수평구비되는 이송관(310)과;
    상기 이송관(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는 회전축(331)과, 상기 회전축(331)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31)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10)로부터 상기 이송관(310)으로 배출된 석재슬러지를 상기 이송관(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33)로 구성되는 이송부재(330)와;
    상기 이송부재(330)의 회전축(331)의 일단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310)의 일측면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50)의 선별망(530)은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53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배출구(533)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그물망(532)과;
    상기 그물망(532)의 일단부에 수직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용공간(531)의 일측과 연통되는 관통구(535)가 형성되는 환형의 일측 플랜지(534)와;
    상기 그물망(532)의 타단부에 수직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용공간(531)의 타측과 연통되는 관통구(537)가 형성되는 환형의 타측 플랜지(536);로 구성되고,
    상기 그물망(532), 일측 및 타측 플랜지(534, 536)로 구성되는 상기 선별망(530)은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타측 플랜지(536)는 고정부재(538)에 의해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 플랜지(534)와 접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는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본체(511)와;
    상기 하부본체(511)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하부본체(511)의 후단부에 후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본체(511)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본체(5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511)의 전단부 상부면 및 후단부 상부면에는 복수의 상기 상부본체(513)의 전단부 하부면 및 후단부 하부면과 접하는 실링패드(5)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0)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 하부 전후측에 각각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되는 지지축(910)과;
    상기 지지축(91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선별망(530)의 하부 전후측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퀴(9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70)는 상기 선별부(50)의 본체(510)의 타측면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선별망(5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711)과 축결합되어 상기 본체(510)의 타단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는 회전축(730)과;
    상기 회전축(730)의 일단부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망(530)으로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7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7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호퍼(10)의 내부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판(20)과;
    상기 호퍼(10)의 일측 하부 외주연에 수평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20)의 일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개폐판(20)을 좌우이동시키는 실린더(40)와;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용되는 건조상태인 석재슬러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와;
    상기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0), 상기 이송부(30), 상기 구동부재(70) 및 상기 팬부재(1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 구동부재(70) 및 상기 팬부재(150)의 구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타이머(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38555A 2010-04-26 2010-04-26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KR10120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555A KR101206152B1 (ko) 2010-04-26 2010-04-26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555A KR101206152B1 (ko) 2010-04-26 2010-04-26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70A KR20110119070A (ko) 2011-11-02
KR101206152B1 true KR101206152B1 (ko) 2012-11-28

Family

ID=4539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555A KR101206152B1 (ko) 2010-04-26 2010-04-26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99B1 (ko) * 2013-06-10 2013-11-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에어진동 선별장치
CN115739368B (zh) * 2022-11-01 2023-11-14 南京中联水泥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生料粉细度筛选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70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61B1 (ko) 골재파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20080056256A (ko) 입자상 물질 덩어리 분쇄기
KR101206152B1 (ko) 석재슬러지 선별장치
CN205735662U (zh) 一种带有清洗干燥装置的塑料回收造粒机
CN108357019A (zh) 一种废旧塑料加工回收再生设备
EP2155396A1 (en) Grinding system
CN105519477B (zh) 一种可筛分投料的池塘用投料装置
KR101952538B1 (ko)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KR102061959B1 (ko)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1100633B1 (ko) 친환경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CN116273335B (zh) 一种矿粉用矿渣立磨装置
KR100913534B1 (ko)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CN108558022B (zh) 流化床污水处理装置
CN206689118U (zh) 一种洗石机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CN212759038U (zh) 一种用于物料加工自动化处理的系统
CN108722291A (zh) 公路桥梁梁板预制混凝土废料的处理装置
CN108450970A (zh) 一种辣椒清洁方法及辣椒清洁设备
CN207770369U (zh) 一种矿石全自动清洗装置
KR101871846B1 (ko) 팽이형 이중 로터리 회전을 통한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탈수장치
CN112570428A (zh) 一种发电厂煤渣回收利用方法
KR101559016B1 (ko) 커팅과 용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폐수지 재생장치
KR100836673B1 (ko) 회전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16113B1 (ko) 차량형 이동식 슬러지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