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53B1 -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53B1
KR101204953B1 KR1020110060486A KR20110060486A KR101204953B1 KR 101204953 B1 KR101204953 B1 KR 101204953B1 KR 1020110060486 A KR1020110060486 A KR 1020110060486A KR 20110060486 A KR20110060486 A KR 20110060486A KR 101204953 B1 KR101204953 B1 KR 10120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ashes
ash
cooling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응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1006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4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specially adapted to be cre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가니를 포함하는 용융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유골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된 유골을 용융시키기 위한 열과 알곤 가스를 공급하는 열공급 장치와,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상부에 화염 주입구와 측부에 유골 유입구와 상기 유골 유입구의 반대측 측부에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배출하는 용융물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열공급 장치는 상기 용융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의 화염 주입구를 통하여 플라즈마 빔을 주입하고, 상기 유골 공급장치는 상기 도가니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골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도가니에 유골분을 공급하며; 상기 도가니에서 용융된 유골 용융물은 상기 도가니의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가 상기 열공급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골분을 공급하는 호퍼를 포함한 유골공급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골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Manufacturing equipment for crystal of a person's remai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火葬)하고 남은 유골을 촉매제 및 첨가물(융제)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영구보존이 가능한 크기의 원형 또는 반원형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죽음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시신의 처리는 각 민족의 전통 장례 관습이나 종교에 따른 장례의식에 따라 행하여진다.
우리나라의 장례의식은 전통적인 유교사상 등의 영향으로 매장을 선호한다. 이로 인해 국토의 상당히 많은 부분이 묘지로 사용되고 있다.
정부나 사회단체에서는 묘지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신을 화장한 후 수습된 유골을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납골당 및 수습된 유골을 수목의 근처에 매립하는 화장 장례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 대부분은 전통적인 장례 의식에 따라 묘지를 선호하고,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수습한 유골을 용기에 담아 납골당에 보관함에 있어서, 납골된 유골이 보기 흉한 잿빛의 색상과 모양을 가지며, 심한 경우에는 벌레가 끼는 등의 이유로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기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게 된다.
또한, 유족들이 매장을 선호하는 것은 화장으로 인해 2번 죽는다는 부정적인 생각과 납골당에 초라하게 유골을 안치하기보다 묘지를 크게 하고 화려하게 함으로써 유족들의 경제적, 권력적 능력의 자랑이나 그 후손이 복을 받는다는 기복 신앙 등에 의해 매장하는 장례문화를 선호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은 상황에서 매년 증가하는 묘지 사용을 억제하지 않는다면 전 국토가 묘지화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유족들의 생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화장 장례문화에 대한 부정적 요소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화장 후 남은 유골이 혐오스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 자연스러우며, 봉안하기가 매우 용이하도록 화장한 후 남은 유골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용융액을 구슬 형태의 결정체로 재결정하는 유골 용융 장치 및 그 용융 방법을 발명하여 하기 특허문헌1로 특허를 받은 바 있다.
하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는 도가니(110)의 상방에는 유골공급호퍼(121)와 유골이송밸브(122)로 구성되는 유골공급장치(120)를 가지며, 상기 도가니(110) 하방에는 용융물 냉각이동장치(130)를 가지며, 상기 도가니(110)에는 화염주입구(110-1)와 유골유입구(110-2)와 용융물을 배출하는 용융물 배출구(110-3)를 가지며, 상기 도가니(110)의 외측에는 도가니회전모터(113)와 상기 도가니회전모터(113)의 반대편의 화염주입구(110-1) 앞에는 프라즈마토치(115)가 장착되는 유골 용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110)는 내측의 용융도가니(111)와 이를 감싸는 단열보호케이스(112)로 구성되며, 상기 도가니(110) 내측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4)를 가지며, 상기 용융물 냉각이동장치(130)는 용융물 낙하받이 호퍼(131)와 상기 용융물 낙하받이 호퍼(131) 내측에는 용융물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하는 용융물 분쇄판(132)을 가지며, 상기 용융물 낙하받이 호퍼(131) 하방에는 나선형 냉각이송관(135)을 가지며, 상기 나선형 냉각이송관(135)의 단부에는 알곤가스 공급파이프(140)가 연결되며, 상기 나선형 냉각이송관(135) 단부에 연결되는 알곤가스 공급파이프(140)에는 알곤가스 조절밸브(141)와, 알곤가스가 결정체 배출구(137)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알곤가스 역류방지기(142)를 갖는다.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1에 의한 유골 용융 장치는 유골분을 공급하는 호퍼가 고열을 발생하는 도가니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유골분을 공급하기 위해 제어하는 이송밸브 등의 구성부품들 역시 도가니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유골공급의 원활성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용융되는 유골을 섞기 위해 도가니 회전모터로 도가니를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어 고열의 도가니가 쉽게 마모되고, 유골을 섞는 동안에는 용융체를 제조할 수 없으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없다.
또한, 유골분은 전기적으로 절연체이므로 유골분에 의해 빔이 끊어지게 되어 유골분의 용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유골분이 용융되기 전에 토출구로 빠져나가는 문제도 발생된다.
또한, 용융된 용융물이 나선형 냉각 이송관을 통하여 냉각되면서 결정체 배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냉각 이송관이 수시로 막히거나 결정체가 충격에 의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6639호 (2010. 01. 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골분을 공급하는 호퍼를 포함한 유골공급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골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열을 받는 도가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골의 결정체 제조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킨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골분의 용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유골 결정체의 이송이 원활하고, 이송중 결정체가 파손되지 않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는 도가니를 포함하는 용융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유골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된 유골을 용융시키기 위한 열과 알곤 가스를 공급하는 열공급 장치와,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상부에 화염 주입구와 측부에 유골 유입구와 상기 유골 유입구의 반대측 측부에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배출하는 용융물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열공급 장치는 상기 용융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의 화염 주입구를 통하여 플라즈마 빔을 주입하고, 상기 유골 공급장치는 상기 도가니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골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도가니에 유골분을 공급하며; 상기 도가니에서 용융된 유골 용융물은 상기 도가니의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가 상기 열공급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 장치는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 빔과 함께 알곤 가스를 상기 화염 주입구를 통하여 도가니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내부 공간의 중앙에는 상기 플라즈마 빔과 상기 알곤 가스를 분산시키는 빔유도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 공급장치는 상부에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 하부에는 수평으로 이송하는 유골 이송 장치가 상기 유골 유입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의 하부에는 1차 스토퍼와 2차 스토퍼가 설치되고, 1차 스토퍼와 2차 스토퍼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유골분이 상기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유골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도가니로 유입된 유골분은 상기 빔유도기의 주변에서 유골 용융물로 용융되어 상기 용융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 배출구로 배출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수집하기 위한 냉각?이송장치는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이송장치는 냉각용 체인 콘베이어와 냉각용 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용 원반에서 유골 용융물이 고체로 응고된 후 상기 냉각용 체인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은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유골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된 유골을 용융시키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토치를 포함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의해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골 공급장치에 의해 유골분을 수평방향으로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도가니의 상부에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를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유골분이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용융되고, 용융된 유골 용융물이 상기 도가니로부터 배출된 후에 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는 원뿔 모양의 빔유도기가 설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빔과 상기 알곤 가스가 상기 원뿔 모양의 빔유도기의 꼭지에 유입되어 상기 빔유도기에 의해 분산되는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에 의해 상기 유골분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골분을 공급하는 호퍼를 포함한 유골공급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골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열을 받는 도가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골의 결정체 제조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골분의 용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조된 유골 결정체의 이송이 원활하고, 이송중 결정체가 파손되지 않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의 도가니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유골 결정체를 보이는 사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호퍼(Hopper)에 투입된 유골분 공급의 특성상 일정량까지는 잘 공급되다가 유골분이 서로 뭉쳐져 집을 짓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유골분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토퍼(stopper)를 2단으로 장착하여 용융시킬 양의 유골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자동 분배를 위한 호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골을 가열함에 있어 초고온(약 4,000℃)의 열을 순간적으로 제어하도록 플라즈마 빔의 발생을 결과물 보상 복합 맥동형 플라즈마 발생장치(전기 에너지와 가스 압력을 일정 주기로 동기화하고,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의 강약과 사이클 타임(Cycle Time)를 제어하여 적당한 크기의 둥근 모양의 물방울을 튕겨내는 현상을 구현하는 장치)를 2중 냉각방식으로 설계된 플라즈마 빔 토치(Plasma Beam Torch)와 유골과 도가니의 산화방지를 위한 가스, 및 스크류를 이용하여 연속적 공급이 가능한 선입선출 시스템인 유골분 이송 장치에 의해 유골분을 도가니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에 유골분은 불활성 알곤 가스(Argon Gas) 분위기의 도가니에서 용융되므로 촉매제 등 이물질의 투여없이도 유골 및 도가니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빠른 시간내에 용융되게 된다.
용융 도가니는 2,500℃ 이상의 초고온에서 견디며 최적의 용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원뿔 모양의 빔 유도기가 설치되고, 유골분 유입구가 출구보다 낮은 구조, 응고방지 구조의 밀폐 토출구)로 개발된 탄소섬유 복합제와 흑연도가니를 사용하여 용융에 필요한 적정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고, 유골분의 비산방지 및 용융액 낙하에 용이하도록 많은 실험과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토치 헤드의 복합 맥동 반복주기와 도가니의 용융액 토출구의 크기로 정해진 크기의 용융물을 받아 이 용융물이 갖는 표면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반원 또는 원형에 가까운 결정물로 집합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반원 또는 원형에 가까운 결정물로 성형된 유골 결정체는 선입선출법으로 이송하는 평면 냉각 원반과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 형태의 냉각 및 이송 장치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이후에 설명될 유골 용융 장치(20)로 유골분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 장치(10)이다.
유골 공급 장치(10)는 유골분을 유골 용융 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해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11)와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13)와 유골 이송 장치(15)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11)로 투입된 유골분은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11)에 설치되어 있는 1차 스토퍼(12a) 및 2차 스토퍼(12b)를 거쳐 유골 이송 장치(15)로 공급된다.
유골 이송 장치(15)로 공급된 유골분은 유골 이송 장치(15)의 이송 작동에 의해 유골 용융 장치(20)로 공급된다.
이때 유골 용융 장치(20)로 공급되는 유골분의 양은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11)에 설치된 1차 스토퍼(12a)와 2차 스토퍼(12b) 사이의 공간에 유골분이 채워지면 1차 스토퍼(12a)는 폐쇄하고, 2차 스토퍼(12b)는 개방하여 유골 이송 장치(15)로 공급함으로써, 유골 용융 장치(20)로 공급되는 유골분의 양을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유골 이송 장치(1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의 도가니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유골 이송 장치(15)는 실린더(22)의 내부에 축(14)을 갖는 스크류(16)가 설치되어 있고, 스크류(16)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17)에 의해 구동된다.
미설명 부호 19는 로터리 조인트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20은 유골 이송 장치(15)로부터 이송되어 온 유골분을 용융시키기 위한 유골 용융 장치이고, 도면부호 30은 유골 용융 장치(20)에 열과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열 공급 장치이다.
유골 용융 장치(20)는 유골 이송 장치(15)의 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유골분을 받아 들여 용융시키는 도가니(21), 열 공급 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플라즈마 빔 및 알곤 가스(38)를 통과시키는 빔가이드(26), 빔가이드(26)를 덮는 커버(27)와 도가니(21)에서 배출되는 유골 용융물(65)을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29)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가니(2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제 제조 장치의 도가니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23은 도가니(21)의 내부 공간(25)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원뿔형 빔 유도기(23)이다. 도가니(21)는 고온 내화재로 감싸여 있는 탄소섬유 도가니로서 그 내부는 열 공급 장치(30)에 의해 유골분이 용융될 수 있는 2,000℃정도의 온도로 예열되어 있다. 그리고 도가니(21)의 배출구(24)는 유입구(18)보다 높게 설치되어 일정 주기로 강약이 제어되는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 압력에 의해 물방울이 튕겨나가는 현상처럼 알맹이로 비산하여 배출구(24) 배출하여 낙하한다.
용융된 액상 배출구(24) 외벽은 용융물이 낙하할 때 많은 온도차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급속한 응고(고드름)현상이나 벽면 점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밀폐된 좁은 통로를 만들고 2,0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가니와 일체형으로 가공되어 있다.
열 공급 장치(30)는 적당한 크기의 둥근 모양의 물방울을 튕겨내도록 전기 에너지와 가스 압력을 일정 주기로 동기화하고,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의 강약과 사이클 타임을 제어하여 플라즈마 빔 및 알곤 가스(38)를 도가니(21)의 빔 유도기(23)의 꼭지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토치 헤드(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플라즈마 토치 헤드(31)에는 플라즈마 빔을 발생하기 위해 파워(35)가 공급되고,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가스(37)가 유입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 부호 40은 도가니(21)의 배출구(24)에서 배출되는 유골 용융물(65)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45)와 이 냉각장치(45)에서 냉각되어 고체로 응고된 유골 결정체를 컨베이어(41)로 이송하는 냉각 및 이송 장치이다.
냉각장치(45)는 회전 가능하고 외곽은 냉각된 유골 결정체가 튕겨나가지 않도록 턱(도면에는 미도시)이 설치된 냉각용 원반(48)과 냉각용 원반(48)을 회전시키는 모터(49)로 이루어져 있다.
냉각 및 이송 장치(40)에서 이송되는 유골 결정체는 결정체 수집장치(50)로 이송된다.
결정체 수집장치(50)는 냉각용 컨베이어(41)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유골 결정체를 모으는 호퍼(51)와 호퍼(51)에 의해 모아진 유골 결정체를 수집하는 수집용기(53)와 수집용기(53)를 냉각시키는 냉각판(5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유골로부터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화장하고 난 유골을 분쇄한 유골분을 2차 스토퍼(12b)를 폐쇄하고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11)에 투입하고 1차 스토퍼(12a)를 폐쇄한 후, 2차 스토퍼(12b)를 개방하면 1차 스토퍼(12a)와 2차 스토퍼(12b)사이의 공간에 의해 정해지는 일정량의 유골분이 유골 이송 장치(15)로 공급된다. 이 일정량의 유골분은 모터(17)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도가니(21)로 이송된다.
한편, 플라즈마 토치 헤드(31)에서 발생된 플라즈마 빔 및 알곤 가스(38)는 도가니(21) 내에 설치된 빔 유도기(23)의 꼭지를 향하여 공급된다.
도가니(21)로 이송되어 들어오는 유골분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빔 유도기(23)의 주위로 흩어지고, 빔 유도기(23)의 꼭지 부분에서 내려오면서 분산되는 결과물보상 복합 맥동형 플라즈마 빔 및 알곤 가스(38)에 의해 도가니(21) 내부의 공간(25)에서 골고루 퍼징(purging)되어 산화 및 이물질의 혼합을 방지하면서 용융되어 유골 용융물(65)로서 배출구(24)로 배출된다. 이때 유골분말은 무기질의 부도체이므로 도가니 중앙에 위치한 원뿔모양의 빔 유도기(23)에 의해 플라즈마 빔은 도가니(21) 내부의 좁은 공간(25)에서 360˚ 확산하여 도가니 온도 유지와 유골분말 용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빔 유도기(23)에 의해 유입구(18)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골분말이 공간(25)에서 용융되기 전에 배출구(24)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배출된 유골 용융물(65)은 회전하는 냉각용 원반(48) 위에서 표면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냉각되면서 반원 또는 원형에 가까운 결정물로 집합성형하게 되고, 선입선출법에 의해 이송할 수 있는 다용도 평면 냉각 원반이 이용된다. 반원 또는 원형에 가까운 결정물은 그 표면이 다른 물체와 접촉하지 않아 윤기가나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흰색, 옥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냉각된 유골 결정체는 냉각용 컨베이어(41)에 의해 호퍼(51)로 이송되고, 호퍼(51)에서 모아진 유골 결정체는 수집용기(53)에 낙하한다.
수집용기(53)에 모아진 유골 결정체는 냉각판(55)에 의해 계속적으로 냉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유골 공급 장치 11 :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
12 :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 12a : 1차 스토퍼
12b : 2차 스토퍼 15 : 유골 이송 장치
20 : 용융 장치 21 : 도가니
23 : 빔 유도기 30 : 열 공급 장치
31 : 플라즈마 토치 38 : 플라즈마 빔 및 알곤 가스
40 : 냉각?이송 장치 50 : 결정체 수집 장치

Claims (9)

  1. 도가니를 포함하는 용융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유골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된 유골을 용융시키기 위한 열과 알곤 가스를 공급하는 열공급 장치와,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상부에 화염 주입구와 측부에 유골 유입구와 상기 유골 유입구의 반대측 측부에 용융된 유골 용융물을 배출하는 용융물 배출구를 갖고, 그 내부 공간의 중앙에는 빔유도기가 설치되며;
    상기 열공급 장치는 상기 용융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의 화염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빔유도기로 플라즈마 빔을 주입하고, 상기 유골 공급장치는 상기 도가니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골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도가니에 유골분을 공급하며;
    상기 도가니에서 용융된 유골 용융물은 상기 도가니의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용융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이송하는 냉각?이송장치가 상기 열공급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 장치는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 빔과 함께 알곤 가스를 상기 화염 주입구를 통하여 도가니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공급장치는 상부에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 하부에는 수평으로 이송하는 유골 이송 장치가 상기 유골 유입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유골 공급 호퍼의 하부에는 1차 스토퍼와 2차 스토퍼가 설치되고, 1차 스토퍼와 2차 스토퍼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유골분이 상기 제 2의 유골 공급 호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유골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도가니로 유입된 유골분은 상기 빔유도기의 주변에서 유골 용융물로 용융되어 상기 용융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 배출구로 배출된 유골 용융물을 냉각 및 수집하기 위한 냉각?이송장치는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이송장치는 냉각용 체인 콘베이어와 냉각용 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용 원반에서 유골 용융물이 고체로 응고된 후 상기 냉각용 체인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8.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유골을 공급하는 유골 공급장치와,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된 유골을 용융시키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토치를 포함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에 의해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골 공급장치에 의해 유골분을 수평방향으로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도가니의 상부에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를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유골분이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용융되고, 용융된 유골 용융물이 상기 도가니로부터 배출된 후에 응고되며,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는 원뿔 모양의 빔유도기가 설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빔과 상기 알곤 가스가 상기 원뿔 모양의 빔유도기의 꼭지에 유입되어 상기 빔유도기에 의해 분산되는 플라즈마 빔과 알곤 가스에 의해 상기 유골분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10060486A 2011-06-22 2011-06-22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86A KR101204953B1 (ko) 2011-06-22 2011-06-22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86A KR101204953B1 (ko) 2011-06-22 2011-06-22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953B1 true KR101204953B1 (ko) 2012-11-27

Family

ID=4756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86A KR101204953B1 (ko) 2011-06-22 2011-06-22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32B1 (ko) * 2013-01-15 2013-04-08 최윤석 인조 사리 제조장치
KR20150116150A (ko) * 2014-04-07 2015-10-15 안요환 골분 보석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44B1 (ko) 2006-03-07 2007-01-09 박만우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및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36728B1 (ko) * 2009-05-25 2010-01-14 신영식 사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6639B1 (ko) 2008-12-29 2010-01-14 (주)헤븐제이드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44B1 (ko) 2006-03-07 2007-01-09 박만우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및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36639B1 (ko) 2008-12-29 2010-01-14 (주)헤븐제이드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KR100936728B1 (ko) * 2009-05-25 2010-01-14 신영식 사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32B1 (ko) * 2013-01-15 2013-04-08 최윤석 인조 사리 제조장치
KR20150116150A (ko) * 2014-04-07 2015-10-15 안요환 골분 보석화 방법
KR102185731B1 (ko) 2014-04-07 2020-12-02 안요환 골분 보석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0069C (fr) Procede et installation d'incineration, fusion et vitrification de dechets organiques et metalliques
KR100666444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및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04953B1 (ko) 유골 결정체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068333A (zh) 运输单元和三维构件的制备
ES2701004T3 (es) Producción de un manto inerte en un horno
KR100885271B1 (ko) 유골사리 분골결정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001483B (zh) 多晶硅破碎系统
TW20101297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a casting system with independent melting and solidification
KR100928388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EP0711254B1 (fr) Procede d'inertage par torche a plasma de produits contenant des metaux, en particulier des metaux lourds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uvre
KR101221121B1 (ko)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KR100936639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EP0002664A1 (fr) Procédé de traitement de déchets métalliqu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JP2002503328A (ja) 高温廃棄物処理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HUT639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harmless dangerous wastes by applying high temperature
ES2377698A1 (es) Procedimiento secuencial para la gestión ecológica y limpia de la escoria blanca de acerías en estado pulverulento y equipo para la realización de dicho procedimiento.
US9587291B2 (en) Method for treating aluminum slags
RO121136B1 (ro) Metodă şi aparat pentru prelucrarea termică a unui oxid metalic cu un material carbonic
KR100664834B1 (ko) 사리화 장치
ES2273996T3 (es) Metodo y tratamiento de lodos que contienen particulas que comprenden metal, oxido de metal o hidroxido de metal mezclados con este.
US5513207A (en) Melting furnace and method
JP2013176713A (ja) アスベスト含有廃棄物の溶融無害化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EP1870479A3 (de) Verfahren und Anlage zur kontinuierlichen Weiterverarbeitung schmelzflüssiger Hüttenschlacken
EP0785836B1 (fr) Une poche de chauffage et de coulee de metaux liquides
KR20060112017A (ko) 유골 및 분골의 용융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