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35B1 -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35B1
KR101204735B1 KR1020110052451A KR20110052451A KR101204735B1 KR 101204735 B1 KR101204735 B1 KR 101204735B1 KR 1020110052451 A KR1020110052451 A KR 1020110052451A KR 20110052451 A KR20110052451 A KR 20110052451A KR 101204735 B1 KR101204735 B1 KR 10120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fabric
weight
lay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김기태 filed Critical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Priority to KR102011005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포; 상기 직물포의 한쪽면에 점착제를 코팅한 점착층;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 상부에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의 혼합물을 코팅한 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테이프의 일면에 최적의 축광안료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광흡수시간에도 불구하고, 발광휘도가 종래보다 약 3배가량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광지속시간을 종래에 비해, 약 30배가량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내열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LOTH TAPE WITH PHOSPHORESC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포를 이용한 테이프에 잔광의 밝기 및 지속시간이 우수한 축광안료를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축광층을 형성함으로써, 면포조직을 따라 쉽게 절단이 가능하면서도, 휘도가 밝고 지속시간, 그리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점착테이프는 종이 및 필름 재질로 주로 이루어졌으나, 종이 재질 테 테이프의 경우 손으로 찢을 수 있으나 찢어지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외부환경에서 작업시 습기로 인해 테이프가 젖어 사용하기 어렵고, 제품의 강도 또한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필름 재질 테이프의 경우 손으로 찢는 것 자체가 어려워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점착테이프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공사표시선, 위험안내, 안전도구 등으로 사용시, 야간에 발광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가 요구되었으나, 지속시간이 짧아 실질적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종래에 아크릴점착제나 솔벤트 타입의 고무점착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주로 점착테이프가 사용되는 마루바닥이나 그 외의 거친 표면에 사용시에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점착테이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축광특성을 갖는 직물점착테이프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일면에 최적의 축광안료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광흡수시간에도 불구하고, 발광휘도가 종래보다 약 3배가량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광지속시간을 종래에 비해, 약 30배가량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내열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연고무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한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마루바닥, 카펫 등 거친표면에도 접착력이 강하여, 다양한 표면에 적용이 가능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적의 조성을 갖는 배면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틸렌, 축광층 등에 점착제가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 및 사용이 용이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와 달리,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직물포를 베이스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며, 절단이 용이하고 제품강도가 높으면서도, 축광기능이 부여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는, 직물포; 상기 직물포의 한쪽면에 점착제를 코팅한 점착층;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 상부에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의 혼합물을 코팅한 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포와 상기 축광층 사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축광안료의 평균입도는 14㎛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천연고무, 석유수지, 경탄(CaCO3), 산화아연(ZnO) 및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 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상기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상기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상기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포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제 1실시예는,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축광층 제조단계; 상기 축광층 상부에 배면제를 도포하는 배면처리단계;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에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제조하는 점착층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광층 제조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의 도포전에, 상기 직물포의 한쪽면에 폴리에틸렌을 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축광층 제조단계에서, 상기 직물포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면처리단계에서, 상기 배면제는 롱체인알킬-펜던트 폴리머(long chain-alkyl pendant polymer) 60 내지 95중량%, 디메틸설폭사이트(Dimethyl Sulfoxide)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 제조단계는,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착층 제조단계에서,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는, 폴리에틸렌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폴리에틸렌층을 제조하는 폴리에틸렌층 제조단계; 축광안료를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인쇄하거나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축광층 제조단계; 상기 축광층 상부에 배면제를 도포하는 배면처리단계;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에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제조하는 점착층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은, 점착테이프의 일면에 최적의 축광안료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광흡수시간에도 불구하고, 발광휘도가 종래보다 약 3배가량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광지속시간을 종래에 비해, 약 30배가량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내열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고무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한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마루바닥, 카펫 등 거친표면에도 접착력이 강하여, 다양한 표면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최적의 조성을 갖는 배면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틸렌, 축광층 등에 점착제가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직물포를 베이스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며, 절단이 용이하고 제품강도가 높으면서도, 축광기능이 부여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는, 직물포(10), 폴리에틸렌층(20), 축광층(30), 배면층(40) 및 점착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폴리에틸렌층(20)과 배면층(40)은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직물포(10)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폴리에스터 조직, 면사조직 또는 폴리에스터와 면사가 혼용된 면포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필름이나 종이와 달리, 손으로 쉽게 찢어지면서도 찢어지는 방향이 일정하며, 제품의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습기로부터의 보호막 역할도 하기 위해 최적의 재료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종이나 필름 또는 타 직물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수차례 실험을 통해 발견하고 이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층(20)은 상기 직물포(10)와 상기 축광층(30) 사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이는 생략될 수 있으나, 방수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층(20)상에 축광층(30)을 형성하는 것이 직물포(10)와 축광층(30)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축광층(30)은 상기 직물포(10)의 타면 상부에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의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이는 직물포(10)를 중심으로, 점착층(50)과 반대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핵심구성으로, 광원을 흡수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축광기능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혼합함으로써,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발광기능이 부여될 수 있으며, 직물포(10)와의 접착력 등의 내구성 향상효과도 있다.
여기서,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0분정도의 광원흡수후에, 8시간이상 발광이 가능하고, 밝기 또한 종래의 3~8배가량 높은 축광안료조성물로,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직물테이프에 최적화된 물질이다.
상기 축광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대밝기가 약 1100mcd/㎡까지 구현이 가능하고, 발광시간은 최소 8시간 내지 10시간으로,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의 물성 또한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하여, 야외에 노출되는 테이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의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축광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물포와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의 평균입도는 14㎛ 내지 28㎛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4㎛, 가장 바람직하게는 22㎛인 것이 효과적이다. 14㎛미만인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작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2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커서, 발광의 균일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배면층(40)은 배면제로 축광층(30) 상부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이는 폴리에틸렌, 축광층 등에 점착제가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면제의 구체적인 조성은 이하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점착층(50)은 상기 직물포(10)의 한쪽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이는 직물포(10)를 기준으로, 축광층(30)과 반대면에 형성되며, 테이프가 다른 물질에 부착되도록 점착성을 부여하는 층이다.
상기 점착층(50)에서, 상기 점착제는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천연고무, 석유수지, 경탄(CaCO3), 산화아연(ZnO) 및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프텐계 N2 프로세스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 대신에 폴리브덴을 사용하거나, 이 둘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구성성분의 함량은,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상기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상기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상기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OPP테이프에 사용되는 용제형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또는 핫멜트(HOT MELT)형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카펫, 마루바닥, 콘크리트바닥, 벽면 등 본 발명의 직물테이프가 실제 적용되는 환경에서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무용제 천연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적용환경에서의 접착력을 극대화하였다.
즉,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는, 점착층(50), 직물포(10), 폴리에틸렌층(20), 축광층(30) 및 배면층(40)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제 1실시예는, 혼합단계(S10), 축광층 제조단계(S20), 배면처리단계(S30) 및 점착층 제조단계(S40)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혼합단계(S10)는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는 테이프에 축광 및 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폴리에틸렌은 방수기능뿐만 아니라, 직물포와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며, 축광안료는 색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어두운 환경에서도 발광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축광기능과 도색 및 방수기능이 하나의 공정으로 처리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S10)에서,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혼합단계(S10)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축광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물포와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축광층 제조단계(S20)는 상기 혼합용액을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는 직물포 상에 축광기능을 수행하는 축광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여기서, 혼합용액의 용융온도는 200 내지 4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인 것이 효과적이다. 200℃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용액이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직물포에 고르게 도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4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용액이 손상될 수 있으며, 과도하게 용융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축광층 제조단계(S20)에서는, 상기 혼합용액의 도포전에, 상기 직물포의 한쪽면에 폴리에틸렌을 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략해도 되는 공정이나, 축광층 제조단계(S20)에서, 혼합용액의 도포전에 폴리에틸렌을 먼저 합지시키고, 그 위에 혼합용액을 도포하여 폴리에틸렌, 축광층 순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방수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물포와 축광층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합지방식은, 어떠한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킨 후에 직물포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축광층 제조단계(S20)에서, 상기 직물포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와 같다.
다음으로, 배면처리단계(S30)는 상기 축광층 상부에 배면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는 폴리에틸렌, 축광층 등에 점착제가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면처리단계(S30)에서, 상기 배면제는 롱체인알킬-펜던트 폴리머(long chain-alkyl pendant polymer) 60 내지 95중량%, 디메틸설폭사이트(Dimethyl Sulfoxide)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차례의 실험결과, 상기 혼합용액과의 접착이 용이하면서도, 점착제와는 접착되지 않고 쉽게 제거되기에 가장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점착층 제조단계(S40)는 상기 직물포의 타면에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는 타 물질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테이프에 점착제를 코팅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는, 콘크리트 바닥, 마루바닥 등 다양한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뛰어난 것으로,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는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천연고무, 석유수지, 경탄(CaCO3), 산화아연(ZnO) 및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성성분의 함량은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상기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상기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상기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점착층 제조단계(S40)에서는,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10 내지 30분간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00℃미만이거나 10분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점착제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도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300℃를 초과하거나 3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오히려 점착제이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붓 등의 다른 장비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코팅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는, 폴리에틸렌층 제조단계, 축광층 제조단계, 배면처리단계 및 점착층 제조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제 1실시예와 배면처리단계 및 점착층 제조단계가 동일하며, 단지 폴리에틸렌층 제조단계와 축광층 제조단계에 차이가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면,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층 제조단계는 폴리에틸렌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는 폴리에틸렌층, 축광층 순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방수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물포와 축광층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을 직물포에 합지하는 방식은, 어떠한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킨 후에 직물포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축광층 제조단계는 축광안료를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인쇄하거나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축광안료를 폴리에틸렌층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과 폴리에틸렌층상에 축광층을 합지시키는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 1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러한 인쇄 및 합지방식을 적용하여도, 우수한 축광성능을 효과적으로 테이프상에 구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여기에, 축광안료의 인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인쇄방식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축광안료의 특성상 인쇄가 가능하며, 합지방식은, 축광안료를 용융시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우수성에 대해, 종래사용되고 있는 축광기능을 갖는 필름테이프와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여기서, 종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가 없어, 필름테이프와 비교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이하 <표 1>과 같다.
비교항목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종래 축광기능을 갖는
필름테이프
광선흡수시간 10분 10분
잔광의 밝기 최대 1100mcd/㎡ 최대 330mcd/㎡
잔광지속시간 약 10시간 약 20분
내약품성 우수 불량
비중 3.4g/㎠ 4.1g/㎠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물테이프임에도 종래 축광테이프보다 밝기는 약 3배, 발광지속시간은 약 30배로 현저히 우수한 축광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내약품성 또한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의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는 종래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성능을 가짐이 입증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중심으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할 수 있는 변형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15)

  1. 직물포;
    상기 직물포의 한쪽면에 점착제를 코팅한 점착층;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 상부에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의 혼합물을 코팅한 축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포와 상기 축광층 사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의 평균입도는 14㎛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천연고무, 석유수지, 경탄(CaCO3), 산화아연(ZnO) 및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상기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상기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상기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포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8. 폴리에틸렌과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축광층 제조단계;
    상기 축광층 상부에 배면제를 도포하는 배면처리단계;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에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제조하는 점착층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9. 폴리에틸렌을 직물포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폴리에틸렌층을 제조하는 폴리에틸렌층 제조단계;
    축광안료를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인쇄하거나 200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용융시킨 후, 상기 폴리에틸렌층에 도포하여 축광층을 제조하는 축광층 제조단계;
    상기 축광층 상부에 배면제를 도포하는 배면처리단계; 및
    상기 직물포의 타면에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제조하는 점착층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는, MeO?xAl2O3?ySiO2?Eu를 포함하고, 상기 Me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x는 0.5 내지 2.0, 상기 y는 0.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축광안료는 1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포는 폴리에스터 또는 면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3.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처리단계에서, 상기 배면제는 롱체인알킬-펜던트 폴리머(long chain-alkyl pendant polymer) 60 내지 95중량%, 디메틸설폭사이트(Dimethyl Sulfoxide)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제조단계는,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15.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제조단계에서, 상기 무용매 천연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유수지 80 내지 140중량부, 나프텐(nepthene)계 N2 프로세스오일 또는 폴리브덴 중 적어도 하나 5 내지 20중량부, 경탄(CaCO3) 150 내지 200중량부, 산화아연(ZnO) 10 내지 30중량부, 페놀계 노화방지제인 BHT(buthyl hidroxy toluene)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10052451A 2011-05-31 2011-05-31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0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451A KR101204735B1 (ko) 2011-05-31 2011-05-31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451A KR101204735B1 (ko) 2011-05-31 2011-05-31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735B1 true KR101204735B1 (ko) 2012-11-27

Family

ID=4756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451A KR101204735B1 (ko) 2011-05-31 2011-05-31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98B1 (ko) 2015-01-15 2015-03-26 화영실업(주) 폴리에스테르 축광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축광 필름, 축광 원사, 축광 분말, 축광 핫멜트 필름 및 산업 부자재
KR20170092295A (ko) * 2016-02-03 2017-08-11 임동선 내구성이 개선된 천테이프
KR101865033B1 (ko) * 2017-07-12 2018-06-07 김기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36A (ja) 1997-07-23 1999-02-09 Fujikura Ltd 難燃性シート
JP2002011835A (ja) 2000-06-27 2002-01-15 Nitto Denko Corp 蓄光性基材及び蓄光粘着テープ
KR200392388Y1 (ko) 2005-05-12 2005-08-17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미끄럼 방지 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36A (ja) 1997-07-23 1999-02-09 Fujikura Ltd 難燃性シート
JP2002011835A (ja) 2000-06-27 2002-01-15 Nitto Denko Corp 蓄光性基材及び蓄光粘着テープ
KR200392388Y1 (ko) 2005-05-12 2005-08-17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미끄럼 방지 테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98B1 (ko) 2015-01-15 2015-03-26 화영실업(주) 폴리에스테르 축광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축광 필름, 축광 원사, 축광 분말, 축광 핫멜트 필름 및 산업 부자재
KR20170092295A (ko) * 2016-02-03 2017-08-11 임동선 내구성이 개선된 천테이프
KR102280435B1 (ko) 2016-02-03 2021-07-28 주식회사 디에스코리아 내구성이 개선된 천테이프
KR101865033B1 (ko) * 2017-07-12 2018-06-07 김기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735B1 (ko) 축광기능을 갖는 직물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9504948A (ja) 滑り抵抗性をもった表面
EP2816091A1 (en) Lightweight two-sided adhesive tape
AU2017213774A1 (en) Film backings for peel release mounting
KR20110048219A (ko) 비점착부분을 포함하는 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66883A1 (en) Photoluminescen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7079541A (zh) 密封片材、电子器件用部件和电子器件
KR101522550B1 (ko)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
JP2015036494A (ja) 自己粘着性屋根下葺防水材
CN104403552B (zh) 一种户外用高性能蓄光‑自发光膜的制备方法
CN105256600A (zh) 一种双面纹路的水性超细纤维合成革及其制备方法
KR101505898B1 (ko) 폴리에스테르 축광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축광 필름, 축광 원사, 축광 분말, 축광 핫멜트 필름 및 산업 부자재
CN104650754A (zh) 一种蓝绿光发光膜制备方法
JPH10250006A (ja) 夜光性積層シート
KR101800126B1 (ko)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75669B (zh) 一种发光膜及其制备方法
WO2011122112A1 (ja) 熱転写シート
KR101147472B1 (ko) 무기 el 스웨이드 제조 방법
JP6114857B1 (ja) 蓄光性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蓄光性転写シート、蓄光性転写シートの転写方法
KR101580649B1 (ko)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축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52665A (ja) 壁 紙
JP7363178B2 (ja) 透光部材用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建材用透光部材
JP2005186434A (ja) 化粧シート
KR101350963B1 (ko) 열가소성 점착제를 이용한 장식용 시트
JP3546320B2 (ja) 発光性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