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928B1 -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928B1
KR101203928B1 KR1020057014252A KR20057014252A KR101203928B1 KR 101203928 B1 KR101203928 B1 KR 101203928B1 KR 1020057014252 A KR1020057014252 A KR 1020057014252A KR 20057014252 A KR20057014252 A KR 20057014252A KR 101203928 B1 KR101203928 B1 KR 10120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equency
equation
pow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407A (ko
Inventor
제프리 에이치 로프맨
스콧트 씨 더랜드
티모시 알 폴링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0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세 안 렌즈가 비-우세 안 렌즈보다 많은 원거리 시력 교정이 도입되어 있는 누진 다초점 안 렌즈 쌍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57014252
노안, 원거리 시력 교정, 누진 다초점 안 렌즈, 우세 안 렌즈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A contact lens pair and a method for producing it}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다초점 안(眼)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노안을 교정하는 개인용 콘택트 렌즈 쌍을 제공한다.
발명의 배경
사람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측자로부터 비교적 근거리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수정체를 조절하거나 구부리는 능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상태가 노안으로 알려져 있다. 유사하게도, 자신의 수정체가 제거되어 안내 렌즈가 대체품으로서 삽입된 사람들의 경우, 상기의 조절 능력이 결여된다.
눈의 조절 기능 부전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에는 하나 이상의 광학 도수를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원거리 도수 영역, 근거리 도수 영역 및 중거리 도수 영역이 제공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 및 안내 렌즈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렌즈의 예는 대리인 서류 번호(Attorney Docket Number) VTN 634, 635 및 638에서 발견되고, 이는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85,054호, 제10/284,613호 및 제10/284,702호와 각각 상응하고, 이들 문헌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전문이 인용된다.
각각의 개인은 원거리 시력이 뛰어난 우세 안(dominant eye)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우세 안은 망원경, 단안 현미경, 사격 조준기 등을 통해 보는 경우에 주요한 시각에 사용될 수 있는 눈이다. 본 발명은 개인용 렌즈 쌍을 디자인하는 경우 개인이 우세 안을 갖는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에 유용한 누진다초점(progressive addition) 도수 영역의 누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렌즈에 유용한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의 추가의 누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은 렌즈 착용자의 노안을 교정하는 누진다초점 안 렌즈 쌍 및 이러한 렌즈 쌍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 쌍에서, 우세 안에는 비-우세 안 렌즈 보다 많은 원거리 시력 교정이 도입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광학 영역을 갖는 제1 렌즈 및, 제2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2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광학 영역을 갖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이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로 이루어지는, 제1 도수 프로파일과 제2 도수 프로파일이 상이하며,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주변부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진 다초점 도수가 근거리 시력 도수로부터 원거리 시력 도수로 누진하는, 안 렌즈 쌍을 제공한다.
"안 렌즈"는 콘택트 렌즈, 안내 렌즈, 온-레이(onlay) 렌즈 등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렌즈는 콘택트 렌즈이다. "원거리 광학 도수", "원거리 시력 도수" 및 "원거리 도수"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 명료도를 목적하는 정도까지 교정하는데 요구되는 굴절 도수의 정도를 의미한다. "근거리 광학 도수", "근거리 시력 도수" 및 "근거리 시력"은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 명료도를 목적하는 정도까지 교정하는데 요구되는 굴절 도수의 정도를 의미한다.
"누진다초점 도수(progressive addition power)"는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주변부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근거리 시력 도수에서 중거리 시력 도수를 통해 원거리 시력 도수로 연속적으로 및 누진적으로 변화하거나, 원거리 시력 도수에서 중거리 시력 도수로, 또 근거리 시력 도수로 변화하는 도수를 의미한다. "도수 프로파일"은 누진다초점 도수의 영역 또는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 내의 도수 분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렌즈 쌍에서,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의 도수 프로파일은 렌즈 사이에서 상이하다. 보다 특히, 우세 안에 사용되는 렌즈용 도수 프로파일은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이 비-우세 안 렌즈용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 보다 높은 원거리 도수를 제공한다. 비-우세 안 렌즈는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에서 보다 높은 근거리 도수를 제공한다. 우세 안 및 비-우세 안에 대해 원거리 시력 도수 및 근거리 시력 도수의 보다 넓은 영역을 제공하여 렌즈 착용자에게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개선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서 밝혀졌다. 도수 프로파일의 차이는 종점의 반지름 위치를 변화시켜 얻을 수 있고, 이는 도수 프로파일 내에 누적 도수의 약 절반에 있는, 누진된 도수 위치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원거리 시력 영역의 종점은 우세 안 렌즈에서 광학 영역 주변부를 향해 약 0.1 내지 약 1.5mm 이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유용한 3개의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의 도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각각은 광학 영역 중심부의 중심의 근거리 도수에서 주변부의 원거리 도수로 누진한다. 그래프의 x축은 렌즈 중심(0)으로부터 높이 또는 거리이다. y축은 도수 누진에 따른 임의의 지점 x에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다. 도 1의 수평선 X는 원거리 내지 근거리 광학 도수에 대한 도수 변화에서 중간점이다. 도수 프로파일 A에 대해, 종점 R은 도수 프로파일 B 및 C와 비교하여 이의 프로파일에 누적 원거리 도수를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렌즈에서, 렌즈 쌍 중에 우세 안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A에 대하여 B 또는 C를 결합하거나, 덜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B에 대하여 C를 결합할 수 있다. 비-우세 안은, 우세 안 프로파일이 A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C와 결합하고, 덜 바람직하게는 B와 결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3개의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의 대안적인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2의 수평선 Y는 원거리 내지 근거리 광학 도수의 도수 변화의 중간점이다. 도시된 프로파일은,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당해 영역의 주변부로 이동함에 따라 근거리 시력에서 원거리 시력으로 모두 누진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같지 않다. 본 발명의 렌즈에서, 하나의 렌즈는 프로파일 D 또는 E와 결합하고, 당해 쌍의 제2 렌즈를 프로파일 F에 결합하여 서로 다른 렌즈 쌍을 제공한다. 프로파일 F는 바람직하게는 우세 안에 착용되고, 프로파일 D 또는 E는 비-우세 안에 착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콘택트 렌즈의 쌍은 하나의 렌즈가 우세 안에 착용되고 다른 하나의 렌즈가 비-우세 안에 착용된다. 도 1의 양태와 일치하는 렌즈 쌍에 대해, 우세 안 및 비-우세 안 둘 다에 착용된 렌즈는 광학 영역 중심의 근거리 도수에서 주변부의 원거리 도수로 누진하는 도수를 포함한다. 도 2의 양태와 일치하는 렌즈 쌍에 대해, 우세 안에 착용된 렌즈는,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방사선으로 움직임에 따라, 근거리 도수로 누진하는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원거리 도수를 갖는 표면을 갖는다.
도 2의 양태의 비-우세 안에 착용된 렌즈는 또한, 목적하는 누진다초점 도수 및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중심 광학 영역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누진다초점 도수는,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방사선으로 움직임에 따라, 근거리 시력 도수에서 원거리 시력 도수로 이동한다. 렌즈의 하나는 이의 중심에서 원거리 시력 도수를 갖고 주변부에서 원거리 시력으로 누진하고, 다른 렌즈는 이의 중심에서 근거리 시력 도수를 갖고 주변부에서 원거리 시력 도수로 누진한다.
본 발명의 렌즈에서, 누진다초점 도수는 물체 측면 또는 앞면, 눈 측면 또는 뒷면, 또는 이들 표면 둘 다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에서, 원거리 광학 도수, 근거리 광학 도수 및 중거리 광학 도수는 구면 또는 원환체 도수이다.
누진다초점 도수는 공지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은 광학 영역에서 누진다초점 도수를 제공하고, 여기서, 이 영역의 속도 및 윤곽선은 수학식 I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1
상기 수학식 I에서,
Add(x)는 렌즈 표면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실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고;
x는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렌즈 표면 위의 임의의 점이고;
a는 상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Add피크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 또는 근시 교정에 요구되는 누적 도수이고;
xc는 차단 반지름이거나, 원거리 도수에서 근거리 도수로, 또는 근거리 도수에서 원거리 도수로 도수 변화하는 중간점이고;
n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변수이고;
Add는 렌즈의 근거리 시력 도수와 원거리 시력 도수 사이의 도수 차이와 동일한 값이다.
수학식 I에서, n은 렌즈에서 근거리 시력 도수에서 원거리 시력 도수로 및 원거리 시력 도수에서 근거리 시력 도수로 누진하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변수이다. n 값이 작을 수록, 보다 누진적일 수 있다. "속도" 또는 "윤곽선"은 근거리 도수에서 원거리 도수로의 도수 변화 기울기를 의미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광학 영역에서 누진다초점 도수가 제공되며, 여기서 당해 영역의 속도 및 윤곽선은 다음 수학식 II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2
상기 수학식 II에서,
Add(x)는 렌즈 표면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실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고;
x는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렌즈 표면 위의 임의의 점이고;
a는 상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Add피크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이고;
xc는 차단 반지름이고;
n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변수이고;
Add는 렌즈의 근거리 시력 도수와 원거리 시력 도수 사이의 도수 차이와 동일한 값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당해 영역의 속도 및 윤곽선이 다음 수학식 III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3
상기 수학식 III에서,
Add(x)는 렌즈 표면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실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고;
x는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렌즈 표면 위의 임의의 점이고;
a는 상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d는 1 내지 40 사이의 임의의 값이고;
Add피크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이고;
xc는 차단 반지름이고;
n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변수이고;
Add는 렌즈의 근거리 시력 도수와 원거리 시력 도수 사이의 도수 차이와 동일한 값이다.
수학식 I 내지 III는 각각 xc의 어느 한 쪽과 동일한 n 값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n 값은 x < xc인 경우 첫번째 값일 수 있고, x > xc인 경우 두번째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x = xc인 경우, n은 첫번째 또는 두번째 값일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누진다초점 도수의 중심 영역이 구비된 광학 영역을 갖는 렌즈를 제공하고, 이의 중심 영역의 직경은 약 2.5mm 미만이다. 이러한 양태에서, 근거리 시력 도수는 중심 영역의 중심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라 디자인된 렌즈의 중심 영역의 크기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휘도 수준에서 관찰된 렌즈 착용자의 동공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동공 직경은 개인의 동공의 실제 측정치일 수 있고, 개인들의 집단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 평균 직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공을 저, 중 및 고 휘도에서 측정하고, 이는 각각 2.5cd/m2, 50cd/m2, 250cd/m2에 상응하고, 적합한 장치, 예를 들면, 동공거리측정기(pupillometer)를 사용한다. 대안적으로, 중심 영역 직경은 연령, 누적 도수 또는 이들 둘 다의 함수로서 동공 크기의 적용가능한 데이타를 기준으로 한다. 동공 크기 데이타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 특허 제5,488,312호, 제5,682,223호, 제5,835,192호 및 제5,929,969호에 포함된 다수의 자료가 이용가능하고,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렌즈의 하나의 표면은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표면은 실린더 도수 또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를 결합하여 착용자의 난시를 교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린더 도수는 앞면 또는 뒷면에 누진다초점 도수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누진적 실린더 도수"는 렌즈의 광학 중심에서 광학 영역의 주변부로의 실린더 도수의 연속적이고 누진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실린더 도수는 시각 중심에서 주변부로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렌즈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 및 누진적인 축을 제공한다. "누진적인 축"은 렌즈의 광학 중심에서 광학 영역의 주변부로 이동함에 따라 한정된 범위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실린더 도수의 축을 의미한다. 실린더 도수는 시각 중심에서 주변부로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렌즈의 실린더 도수는 다음 수학식 IV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4
상기 수학식 IV에서,
y는 렌즈 위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순간적 실린더 도수이고;
P는 렌즈의 실린더 도수 영역의 너비를 조절하고, 0 초과, 바람직하게는 1이고;
A는 상수, 바람직하게는 0.5이고;
K는 피크 실린더 도수의 위치를 조절하고, +4 내지 -4의 값일 수 있고;
S는 목적하는 종점을 조절하고, 1 내지 50의 값일 수 있고;
Cyl는 렌즈의 최대 실린더 도수이다.
수학식 IV는 광학 영역의 중심 또는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렌즈 주변부까지 이동함에 따라 감소하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를 제공한다.
광학 영역의 중심 또는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렌즈 주변부까지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가 다음 수학식 V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5
상기 수학식 V에서,
y, A, P, X, K 및 Cyl에 대한 값 및 정의는 수학식 IV에서와 동일하다.
누진적 실린더 도수를 제공하는 또다른 유용한 수학식 VI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6
상기 수학식 VI에서,
y는 렌즈 위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순간적 실린더 도수이고;
P는 동공 분획이고, 0 내지 1일 수 있고;
x는 0.0 내지 20이고;
Cyl는 최대 실린더 도수이다.
수학식 VI는 광학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 도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대해 제공된다. 수학식 VII는 도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해 제공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7
광학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도수가 누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에 유용한 또다른 수학식 VIII 및 실리더 도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유용한 수학식 IX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8
Figure 112005042832907-pct00009
상기 수학식 VIII 및 IX에서,
y는 렌즈 위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순간적 실린더 도수이고;
P는 동공 분획이고, 90 내지 180도이고;
x는 0.0 내지 20이고;
Cyl는 렌즈의 최대 실린더 도수이다.
광학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로 감소되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를 디자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예는 수학식 X, XI 및 XII이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0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1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2
상기 수학식 X, XI 및 XII에서,
y는 임의의 점 x에서의 순간적 실린더 도수이고;
xc는 필터 변화에서 50% 차단이거나, 실린더 피크 도수의 1/2인 x 위치이고;
a는 상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n은 변화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1 내지 40이고;
Cyl는 최대 실린더 도수이고;
X는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순간적 반지름이다.
광학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로 증가되는 누진적 실린더 도수를 디자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예는 수학식 XIII, XIV 및 XV이다.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3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4
Figure 112005042832907-pct00015
상기 수학식 XIII, XIV 및 XV에서,
y는 임의의 점 x에서의 순간적 실린더 도수이고;
xc는 필터 변화에서 50% 차단이거나, 실린더 피크 도수의 1/2인 x 위치이고;
a는 상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고;
n은 변화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1 내지 40이고;
Cyl는 최대 실린더 도수이고;
X는 순간적 반지름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은 실린더 도수가 존재하는 콘택트 렌즈 양태에서, 안정화 방법을 렌즈 내에 결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적합한 안정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리즘 밸러스트(prism ballast), 얇은 영역 및 두꺼운 영역, 양각(boss) 등 및 이들의 결합물을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정적 및 동적 안정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렌즈는 또한 렌즈의 표면 위의 렌즈 착용자의 각막의 역 토포그래피 고도 맵(inverse topographic elevation map)을 결합할 수 있다. 각막 토포그래피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막 토포그래퍼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 제조시, 고도 데이타는 초기에 렌즈 모델에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적용된다. 이어서, 렌즈를 눈에 착용하는 경우 데이타를 소프트 렌즈 굴곡 또는 랩(wrap)을 고려하여 변형한다. 따라서, 각막의 고도 및 랩의 둘 다의 효과를 각막 토포그래피 데이타를 사용하는 경우 고려한다. 이어서, 굴곡이 변형된 데이타를 CNC 그리드 패턴 위에 맵핑(mapping)하고, 렌즈 또는 몰드 장치 표면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토포그래피 데이타를 렌즈의 뒷면에 결합하고,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앞면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진 소프트 콘택트 렌즈이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371,147호, 제5,314,960호 및 제5,057,578호에 기재된 것, 하이드로겔, 실리콘-함유 하이드로겔 등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탄성체, 실리콘-함유 마크로머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은 실록산이거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디메틸 실록산 마크로머, 메타크릴옥시프로필 폴리알킬 실록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실록산 관능기, 실리콘 하이드로겔 또는 하이드로겔, 예를 들면, 에타필콘 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렌즈-형성 물질은 폴리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이고, 이는 피크 분자량이 약 25,000 내지 약 80,000이고, 다분산도가 각각 약 1.5 미만 내지 약 3.5 미만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교결합성 관능기에 공유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은 대리인 서류 번호 VTN 588, 미국 특허 출원 제60/363,630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안내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불활성 투명 플라스틱, 실리콘계 중합체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렌즈 형성 물질의 경화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 방사, 화학적, 전자기 방사 경화 등 및 이들을 결합한 방법을 포함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를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전체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몰딩한다. 보다 특히, 렌즈 물질을 경화하는데 적합한 정밀한 상태는 선택된 물질 및 형성될 렌즈에 좌우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안 렌즈용 중합 공정이 공지되어 있다. 적합한 공정은 미국 특허 제5,540,410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영역을 다이아몬드 터닝(turning)하거나, 본 발명의 렌즈를 형성하는네 사용하는 몰드로 다이아몬드 터닝하여 제조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적합한 액체 수지를 몰드 사이에 위치시키고, 압축하고, 수지를 경화시켜 본 발명의 렌즈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당해 영역은 렌즈 버튼(button)으로 다이아몬드 터닝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제1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광학 영역을 갖는 제1 렌즈 및
    제2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제2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2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광학 영역을 갖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제1 도수 프로파일과 제2 도수 프로파일이 상이하며,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주변부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진 다초점 도수가 근거리 시력 도수로부터 원거리 시력 도수로 누진하고,
    누진 다초점 도수가 하기 수학식 I, 수학식 II 또는 수학식 III에 의해 결정되는,
    콘택트 렌즈 쌍.
    수학식 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18
    수학식 I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19
    수학식 II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20
    상기 수학식 I 내지 III에서,
    Add(x)는 렌즈 표면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실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고;
    x는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렌즈 표면 위의 임의의 점이고;
    a는 상수이고:
    Add피크는, 수학식 I에서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 또는 근시 교정에 요구되는 누적 도수이고, 수학식 II 및 III에서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이고;
    xc는, 수학식 I에서는 차단 반지름이거나, 원거리 도수에서 근거리 도수로, 또는 근거리 도수에서 원거리 도수로 도수 변화하는 중간점이고, 수학식 II 및 III에서는 차단 반지름이고;
    d는 1 내지 40 사이의 임의의 값이고;
    n은 1 내지 40의 변수이고;
    Add는 렌즈의 근거리 시력 도수와 원거리 시력 도수 사이의 도수 차이와 동일한 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에서보다 제1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에서 원거리 시력 명료도를 교정하는데 요구되는 굴절 도수가 높은 콘택트 렌즈 쌍.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영역 주변부로 향한 제1 도수 프로파일의 종점의 위치가 제2 광학 영역 주변부로 향한 제2 도수 프로파일의 종점과 비교하여 0.1 내지 1.5mm 이격되어 있는 점에서 도수 프로파일들이 상이한 콘택트 렌즈 쌍.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제1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광학 영역을 갖는 제1 렌즈 및
    제2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 제2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을 포함하고 제2 렌즈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광학 영역을 갖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제1 도수 프로파일과 제2 도수 프로파일이 상이하며,
    광학 영역의 중심에서 주변부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진 다초점 도수가 근거리 시력 도수로부터 원거리 시력 도수로 누진하고,
    누진 다초점 도수가 하기 수학식 I, 수학식 II 또는 수학식 III에 의해 결정되는, 콘택트 렌즈 쌍
    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쌍의 제조방법:
    수학식 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21
    수학식 I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22
    수학식 III
    Figure 712012001512215-pct00023
    상기 수학식 I 내지 III에서,
    Add(x)는 렌즈 표면의 임의의 점 x에서의 실제의 순간적 누적 도수이고;
    x는 중심으로부터 거리 x에서 렌즈 표면 위의 임의의 점이고;
    a는 상수이고:
    Add피크는, 수학식 I에서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 또는 근시 교정에 요구되는 누적 도수이고, 수학식 II 및 III에서는 완전한 피크 굴절광학 누적 도수이고;
    xc는, 수학식 I에서는 차단 반지름이거나, 원거리 도수에서 근거리 도수로, 또는 근거리 도수에서 원거리 도수로 도수 변화하는 중간점이고, 수학식 II 및 III에서는 차단 반지름이고;
    d는 1 내지 40 사이의 임의의 값이고;
    n은 1 내지 40의 변수이고;
    Add는 렌즈의 근거리 시력 도수와 원거리 시력 도수 사이의 도수 차이와 동일한 값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제2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에서보다 제1 누진다초점 도수 영역에서 원거리 시력 명료도를 교정하는데 요구되는 굴절 도수가 높은, 콘택트 렌즈 쌍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영역 주변부로 향한 제1 도수 프로파일의 종점의 위치가 제2 광학 영역 주변부로 향한 제2 도수 프로파일의 종점과 비교하여 0.1 내지 1.5mm 이격되어 있는 점에서 도수 프로파일들이 상이한, 콘택트 렌즈 쌍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57014252A 2003-02-04 2004-01-22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3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57,873 US6802606B2 (en) 2003-02-04 2003-02-04 Multifocal contact lens pairs
US10/357,873 2003-02-04
PCT/US2004/001626 WO2004072711A1 (en) 2003-02-04 2004-01-22 Multifocal contact lens pai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336A Division KR20120051083A (ko) 2003-02-04 2004-01-22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407A KR20050107407A (ko) 2005-11-11
KR101203928B1 true KR101203928B1 (ko) 2012-11-23

Family

ID=327710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252A KR101203928B1 (ko) 2003-02-04 2004-01-22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7008336A KR20120051083A (ko) 2003-02-04 2004-01-22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336A KR20120051083A (ko) 2003-02-04 2004-01-22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02606B2 (ko)
EP (1) EP1592997A1 (ko)
JP (1) JP2006516760A (ko)
KR (2) KR101203928B1 (ko)
CN (1) CN100487523C (ko)
AR (1) AR043028A1 (ko)
BR (1) BRPI0418410B1 (ko)
CA (1) CA2514613C (ko)
TW (1) TWI323795B (ko)
WO (1) WO2004072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2615A1 (en) * 2003-09-05 2005-03-1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ultifocal optical device design
FR2889601B1 (fr) * 2005-08-02 2007-10-12 Precilens Sa Lab Lentille multifocale pour la correction de la presbytie
US7322695B2 (en) * 2006-03-27 2008-01-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focal contact lenses
US7481533B2 (en) * 2006-10-30 2009-01-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design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US20080297721A1 (en) * 2007-05-29 2008-12-04 Amitava Gupta Lens designs for treating asthenopia caused by visual defects
TWI487516B (zh) * 2007-08-22 2015-06-11 Novartis Ag 老花眼的治療系統
US9216080B2 (en) 2007-08-27 2015-12-22 Amo Groningen B.V. Toric lens with decreased sensitivity to cylinder power and rot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974526B2 (en) 2007-08-27 2015-03-10 Amo Groningen B.V. Multizonal lens with extended depth of focus
US20090157179A1 (en) * 2007-12-11 2009-06-18 Pinto Candido D Ophthalmic Lenses Providing an Extended Depth of Field
EP2243052B1 (en) 2008-02-15 2011-09-07 AMO Regional Holdings System,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extending depth of focus
US8439498B2 (en) 2008-02-21 2013-05-14 Abbott Medical Optics Inc. Toric intraocular lens with modified power characteristics
US7753521B2 (en) * 2008-03-31 2010-07-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es for the correction of presbyopia and methods of designing the lenses
CN101697131B (zh) * 2009-11-04 2013-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可重定位文件动态加载的方法及装置
BR112012014908A2 (pt) 2009-12-18 2017-03-21 Abbott Medical Optics Inc lentes com echelette estreito, sistemas e métodos
US8331048B1 (en) 2009-12-18 2012-12-1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s of designing lenses having selected depths of field
US10278810B2 (en) 2010-04-29 2019-05-07 Ojo, Llc Injectable physiologically adaptive intraocular lenses (IOL's)
AU2011336183B2 (en) 2010-12-01 2015-07-16 Amo Groningen B.V. A multifocal lens having an optical add power progression, and 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8992012B2 (en) * 2011-06-23 2015-03-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systems for presbyopia
US9028063B2 (en) 2011-08-26 2015-05-1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anslating presbyopic contact lens pair
SG11201404584YA (en) * 2012-02-03 2014-08-28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MY189707A (en) * 2012-02-03 2022-02-28 Coopervision Int Ltd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KR101858788B1 (ko) 2012-02-03 2018-05-16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노안 대상체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관련 방법 및 용도
WO2013114208A1 (en) * 2012-02-03 2013-08-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KR102199677B1 (ko) 2012-10-17 2021-01-08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굴절 오류를 위한 렌즈들,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8888277B2 (en) 2012-10-26 2014-11-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with improved fitting characteristics
US9717628B2 (en) 2012-12-04 2017-08-01 Amo Groningen B.V. Lens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inocular customized treatments to correct presbyopia
JP5916957B2 (ja) * 2013-08-01 2016-05-11 株式会社メニコン 老視用コンタクトレンズセット
US10881504B2 (en) 2016-03-09 2021-01-05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WO2016040331A1 (en) 2014-09-09 2016-03-17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CA3013857A1 (en) 2016-02-09 2017-08-17 Amo Groningen B.V. Progressive power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P3432829B1 (en) 2016-03-23 2020-01-29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Ophthalmic apparatus with corrective meridians having extended tolerance band by modifying refractive powers in uniform meridian distribution
AU2017238487B2 (en) 2016-03-23 2022-03-03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Power calculator for an ophthalmic apparatus with corrective meridians having extended tolerance or operation band
CN112867944A (zh) 2018-08-17 2021-05-28 斯塔尔外科有限公司 呈现折射率纳米梯度的聚合物组合物
US11886046B2 (en) 2019-12-30 2024-01-30 Amo Groningen B.V. Multi-region refractive lenses for vision treat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876A (ja) * 1999-01-07 2000-07-18 Menicon Co Ltd 多焦点型眼用レンズ
JP2001503882A (ja) * 1996-11-15 2001-03-21 パーミアブ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焦点角膜コンタクトレンズ対
JP2002522803A (ja) * 1998-08-06 2002-07-23 ジョン ビー ダブリュー レット 多焦点非球面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377492A3 (en) 1992-01-28 1995-05-1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ultifocal refracting len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5517260A (en) 1994-03-28 1996-05-14 Vari-Site, Inc. Ophthalmic lens having a progressive multifocal z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U7955794A (en) * 1994-09-16 1996-03-29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US5574518A (en) * 1995-01-10 1996-11-12 Les Laboratoires Opti-Centre Inc. System incorporation two different sphero-non-spherical contact lenses for correcting presbytia
US5608471A (en) * 1995-07-03 1997-03-04 Westcon Contact Lens Co., Inc. Soft, bifocal contact lens
JP3683093B2 (ja) * 1998-03-11 2005-08-17 株式会社メニコン 多焦点型コンタクトレンズ
US6199984B1 (en) * 1999-03-17 2001-03-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varying power profiles
US6179420B1 (en) 1999-04-21 2001-01-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FR2803921B1 (fr) * 2000-01-14 2002-04-05 Essilor Int Jeu de deux lentilles ophtalmiques, gamme et procede pour constituer un tel jeu
US6364483B1 (en) * 2000-02-22 2002-04-02 Holo Or Ltd. Simultaneous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for treating visual disorders
US6652095B2 (en) * 2000-11-17 2003-11-25 Hsiao-Ching Tung Orthokeratology and bi-focal contact le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3882A (ja) * 1996-11-15 2001-03-21 パーミアブ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焦点角膜コンタクトレンズ対
JP2002522803A (ja) * 1998-08-06 2002-07-23 ジョン ビー ダブリュー レット 多焦点非球面レンズ
JP2000199876A (ja) * 1999-01-07 2000-07-18 Menicon Co Ltd 多焦点型眼用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083A (ko) 2012-05-21
KR20050107407A (ko) 2005-11-11
BRPI0418410B1 (pt) 2017-06-06
AU2004211145A1 (en) 2004-08-26
CA2514613C (en) 2012-09-04
CA2514613A1 (en) 2004-08-26
CN1748171A (zh) 2006-03-15
CN100487523C (zh) 2009-05-13
EP1592997A1 (en) 2005-11-09
WO2004072711A1 (en) 2004-08-26
JP2006516760A (ja) 2006-07-06
TWI323795B (en) 2010-04-21
US6802606B2 (en) 2004-10-12
AR043028A1 (es) 2005-07-13
TW200502619A (en) 2005-01-16
US20040150790A1 (en) 2004-08-05
BRPI0418410A (pt)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928B1 (ko) 콘택트 렌즈 쌍 및 이의 제조방법
US6899425B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KR101147279B1 (ko) 회전 안정화 콘택트 렌즈
KR101256359B1 (ko) 다초점 안용 렌즈의 설계방법
US6986578B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TWI519842B (zh) 用於矯正老花眼之鏡片及設計該鏡片之方法
TWI557465B (zh) 用於矯正老花眼之鏡片對、鏡片系統及方法
KR20100017229A (ko) 근시 진행의 예방을 위한 안과 렌즈
KR20120093337A (ko) 근시 진행의 예방을 위한 안과용 렌즈
KR20050084610A (ko) 안과용 누진 원주 렌즈
AU2004211145B2 (en) Multifocal contact lens pairs
CA2587796A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KR20110042242A (ko) 원환체 콘택트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