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88B1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88B1
KR101203588B1 KR1020090061118A KR20090061118A KR101203588B1 KR 101203588 B1 KR101203588 B1 KR 101203588B1 KR 1020090061118 A KR1020090061118 A KR 1020090061118A KR 20090061118 A KR20090061118 A KR 20090061118A KR 101203588 B1 KR101203588 B1 KR 10120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oltage value
target voltage
air condition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708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수에 따라 검출되는 현재 피드백 전압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두 전압값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출구가 개폐되도록 도어를 구동시키는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엑츄에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타측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와; 상기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하여 도어가 상기 출구의 타측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와;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제어방법에 따르면, 온도조절도어, 모드도어 및 인테이크 도어들의 정지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어, 엑츄에이터, 도어, 정지, 정지, 위치, 최적, 설정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OR DOOR ACTUATOR OF CA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조절도어, 모드도어 및 인테이크 도어들의 정지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 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17,18)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는 내/외기 유입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인테이크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16,17,18)중 부재 번호 16에 해당되는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이고, 부재번호 17에 해당되는 모드도어는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이며, 부재번호 18에 해당되는 모드도어는 플로어벤트(12c,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이 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
전술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모드도어(16,17,18) 및 상기 인테이크 도어(미도시)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 측면에 설치된 도어 엑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는데, 온도조절도어(15)에 의해 상기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가 조절되고, 모드도어(16,17,18)에 의해 상기 각 벤트(12a~12d)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모드도어(16,17,18) 및 상기 인테이크 도어(미도시)들은 그 작동 위치를 최적의 조건으로 선정되어야만, 도어 작동시의 접촉 소음 및 도어 엑츄에이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조절도어(15)를 구동시키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최적 작동위치 선정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a,b의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도어 엑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어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는 공조케이스(10)의 냉풍 유로(P1)를 형성하는 일측(10a)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0)의 온풍 유로(P2)를 형성하는 타측(10b)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가장자리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5a)가 통상적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 엑츄 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15)는 실링부재(15a)를 압축시키면서 공조케이스(10)의 일측(10a) 또는 타측(10b)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에,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15)가 공조케이스(10)의 일측(10a)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도어 정지 위치를 0%로 선정하고, 도어(15)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0b)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도어 정지 위치를 100%로 선정한 후, 실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전압값을 도어 위치인 0%~100%로 환산하여 도어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도어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구속 상태의 도어 작동 위치(0%,100%)를 최대 및 최소 제어 전압값으로 환산하여 도어 엑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게 되면, 도어(15)가 공조케이스(10)의 일측(10a) 또는 타측(10b)에 밀착된 구속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 정지시 접촉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도어의 변형 및 도어 엑츄에이터 내부에 설치된 감속기어 또는 출력기어에 무리가 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온도조절도(15) 뿐만 아니라 모드도어(16,17,18)에 동일하게 발생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온도조절도어, 모드도어 및 인테이크 도어들의 정지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수에 따라 검출되는 현재 피드백 전압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두 전압값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출구가 개폐되도록 도어를 구동시키는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엑츄에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타측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와; 상기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하여 도어가 상기 출구의 타측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와;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온도조절도어, 모드도어 및 인테이크 도어들의 정지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모드도어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온도조절도어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어 세부 작동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작동 상태에 따른 실링부재의 압출 상태를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17,18)에 모두 적용된다는 것을 명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드도어중 페이스 벤 트(12b)를 개폐하는 모드도어(17)와 온도조절도어(15)를 각각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도어(17)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a)에 도시된 도어(17)의 상태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구속 상태일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어(17)의 최적 정지 위치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어 엑츄에이터(30)는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회전수에 따라 검출되는 현재 피드백 전압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값과 비교하여 이 두전압값이 일치하도록 도어 엑츄에이터를 구동하여, 공조케이스(10)내에 설치된 모드도어(17)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피드백 전압값은 피드백 센서(34)로부터 센싱된 도어 엑츄에이터(30)의 모터(33) 출력 회전수에 따른 검출된 값이고, 목표 전압값은 도어 엑츄에이터(30)를 구동시켜 도어(17)가 공조케이스(10)의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부여되는 구동 전압값이다.
이때, 도어 엑츄에이터(30)는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검출된 피드백 전압과 설정값으로 인가되는 목표 전압값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도록 도어(17)를 구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어(17)의 정지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 6에 도시된 도어 엑츄에이터(30)의 내부 부품인 감속기어(36) 또는 출력기 어(35)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게 이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은,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7)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출구(도 2에 도시된 페이스 벤트(12b)를 의미함)(12b)의 일측(12c)에서 타측(12d)으로 이동중인 상태에서 타측(12d)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도 2(a)에 도시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7)에 부착된 실링부재(15a)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로, 도어(17)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출구(12b)의 타측(12d)에서 더 이상 회전 작동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스텝(S10)의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도어(17)가 공조케이스(10) 출구(12b)의 타측(12d)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다음으로, 상기 스텝(S20)을 수행한 다음, 도어(17)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12b) 타측(12d)으로 이동될 때 도어(17)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다.(S30)
이후, 상기 스텝(S20)의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도어(17)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12b) 타측(12d)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수행한다.(S40)
이렇게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페이스 벤트와 같은 출구(12b)를 폐쇄하는 도어(17)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출구(12b)를 형성하는 타측(12d)에 정지되는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 이내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5a)의 압축범위는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정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이유는 페이스 벤트와 같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출구(12b)의 구조에서, 도어(17)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부분(타측(12d를 의미)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1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페이스 벤트와 같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출구(12b)를 개폐하는 도어(17)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냉풍 유로(P1), 온풍 유로(P2) 양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구동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
즉, 냉풍 유로(P1)을 폐쇄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15)를 구동시키는 제어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온풍 유로(P2)를 폐쇄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15)를 구동시키는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은, 먼저, 도어(15)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출구(도 3에 도시된 온풍 유로(P2)를 의미함)의 타측(12d)에서 일측(12c)으로 이동중인 상태에서 일측(12c)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도 3(a)에 도시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에 부착된 실링부재(15a)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로, 도어(15)가 화살표 "B"방향으로 더 출구(12b)의 타측(12c)에서 더 이상 회전 작동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스텝(S10)의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도어(15)가 공조케이스(10) 출구(P2)의 일측(12c)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다음으로, 상기 스텝(S20)을 수행한 다음, 도어(17)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P2) 일측(12c)으로 이동될 때 도어(15)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다.(S30)
이후, 상기 스텝(S20)의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도어(15)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P2) 일측(12c)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수행한다.(S40)
이렇게 함으로써, 도 3(b)에 도시된 온풍 유로와 같은 출구(P2)를 폐쇄하는 도어(15)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출구(P2)를 형성하는 일측(12c)에 정지되는 위치를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최적의 범위내에서 설정함으로써, 도어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의 내부 부품을 보호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5a)의 압축범위는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정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도어(15)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형성된 냉풍 유로(P1)와 온풍 유로(P2)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를 출구(P1)의 일측(12c)과 출구(P2)의 타측(12d) 재설정된 도어 이동구간(X'-Y')을 실제 도어 이동가 되도록 하여, 도어 엑츄에이터(30)를 구동 제어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도어 이동구간(X-Y)보다 적은 X'-Y' 범주내에서 도어(15)가 이동하기 때문에, 도어(15)가 출구(P1)의 일측(12c)과 출구(P2)에 정지시의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며, 도어 엑츄에이터(30)의 내부에 설치된 감속기어(36) 또는 출력기어(35)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이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설명중 도 4에 도시된 스텝(S30)인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최적 목표 전압값은, 실링부재(15a)의 압축량이 비압축 상태보다 크며, 최대 압축량보다 작은 범위내에서의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을 이용한다.
여기서, 피드백 전압값은 재질 및 두께를 감안하여 실링부재(15a)가 비압축 상태일때의 도어 엑츄에이터의 구동 토오크를 전압값으로 환산한 것이고, 실링부재(15a)가 최대압축된 상태일때의 도어 엑츄에이터의 구동 토오크를 전압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링부재(15a)의 압축량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다 도어(15)의 회전 중심축(C)으로부터의 도어 길이(L) 조건을 더 반영하였을 때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도어의 최적 정지 위치를 선정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최적 목표 전압값을 산출하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정도로 실링부재(15a)가 압축되도록 도어(17,15)가 회전되어 공조케이스(10)의 타측벽(12d)에 대해 연장직선(P1)상에 위치된 상태를 조건1이라고 하고, 실링부재(15a)가 최대로 압축되도록 도어(17,15)가 회전되어 연장선상(P2)상에 위치된 상태를 조건2라고 할때, 조건1과 조건2 사이에서의 형성되는 각이 최적의 도어 정지각도(θ3)가 된다. 그리고, 부호 'D'는 실링부재(15a)가 압축되어 실링되는 길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어 세부 작동 상태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도어(17,15)중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실링부재(15a)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P1,12b)의 타측(12d)에 공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면서도 구속이 되지 않는 정도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도어(15,17)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2d)로부터 이격된 각도를 "θ1" 이라 하고, 실링부재(15a)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2d)에 접촉되었을때의 실링길이를 "D1"이라고 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c)에 도시된 도어(17,15)중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실링부재(15a)가 공조케이스(10)의 출구(P1,12b)의 타측(12d)에 최대로 압축되어 도어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구속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도어(15,17)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2d)로부터 이격된 각도를 "θ2" 라 하고, 실링부재(15a)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2d)에 최대 압축되었을때의 실링길이를 "D3"라고 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5a)가 공조케이스(10)의 타측(12d)에 최적의 상태로 압축되었을때의 실링길이를 "D2"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15,17)가 점선 상태일때의 "θ2"보다 크며, 실선 상태일때의 "θ1"보다 작은 범위인 "θ3"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θ1,θ2,θ3는 다음과 같은 θ2<θ3<θ1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도어(15,17)의 최적 정지 각도를 "θ2"보다 크며, "θ1"보다 작은 범위인 "θ3"를 산출하게 된다. 덧붙이자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5a)가 최적의 압축 상태인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적의 "θ3"라는 정지각도를 산출 위해, 도어(15,17)의 길이를 회전 중심점(O)에서의 길이를 "L"이라고 하고, 실링부재(15a)의 압축량을 "C"라고 하면, θ3=2×Sin-1(
Figure 112009041020336-pat00001
)를 만족하는 조건을 반열할하였을때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을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5a)의 압축량(C)은 도 5에 도시된 실링부재(15a)의 실링길이(D)를 이용하여 산출하면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모드도어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온도조절도어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어 세부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작동 상태에 따른 실링부재의 압출 상태를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케이스 15,17 ; 도어
15a : 실링부재 30 : 도어 엑츄에이터
34 : 피드백 센서 35 : 출력기어
36 : 감속기어 40 : 컨트롤러

Claims (7)

  1. 회전수에 따라 검출되는 현재 피드백 전압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두 전압값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출구가 개폐되도록 도어를 구동시키는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엑츄에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타측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와;
    상기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하여 도어가 상기 출구의 타측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와;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출구를 통해 공기의 누설이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최적 목표 전압값은, 상기 실링부재의 압축량이 비압축 상태보다 크며, 최대 압축량보다 작은 범위내에서의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이고,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은, 상기 도어의 길이를 회전 중심점에서의 길이를 "L"이라고 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압축량을 "C"라고 하면, 2×Sin-1(
    Figure 112012040818783-pat00011
    )의 조건을 반영하였을 때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중인 상태에 서 상기 일측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도어 구속 판단단계와;
    상기 도어 구속 판단단계를 수행하여 도어가 상기 출구의 일측에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드백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일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의 구속 영역 전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된 도어 구속 상태의 피드백 전압값보다 상이한 최적 목표 전압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와;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 재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재설정된 최적 목표 전압값으로 상기 도어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도어 이동구간을 재설정하는 도어 이동구간 재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출구의 일측과 타측의 재설정된 도어 이동구간내에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은,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의 도어 길이 조건을 더 반영하였을 때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목표 전압값은, 상기 실링부재의 재질 및 두께의 조건을 더 반영하였을때 검출되는 피드백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090061118A 2009-07-06 2009-07-06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KR10120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118A KR101203588B1 (ko) 2009-07-06 2009-07-06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118A KR101203588B1 (ko) 2009-07-06 2009-07-06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08A KR20110003708A (ko) 2011-01-13
KR101203588B1 true KR101203588B1 (ko) 2012-11-21

Family

ID=4361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118A KR101203588B1 (ko) 2009-07-06 2009-07-06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982B1 (ko) * 2017-11-14 2021-1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739A (ja) * 1996-11-06 1998-05-26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0305727A (ja) 1997-05-08 1998-11-17 Calsonic Corp 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の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動作制御装置
JP2002036857A (ja) * 2000-07-26 2002-02-06 Denso Corp 空調装置用ドア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739A (ja) * 1996-11-06 1998-05-26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0305727A (ja) 1997-05-08 1998-11-17 Calsonic Corp 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の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動作制御装置
JP2002036857A (ja) * 2000-07-26 2002-02-06 Denso Corp 空調装置用ドア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08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3697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10215143A (ja) 建設機械の空調装置
KR10120358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엑츄에이터의 제어방법
JP631597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2425351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673323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160430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201201317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1084080A (ja) 自動車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故障判定方法
KR1015725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1510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05235B1 (ko) 자동차 자동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379203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110003707A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엑츄에이터 제어방법
KR1025366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2800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난방 제어방법
KR101236653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제어방법
JP7005377B2 (ja) サーボ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KR20130047970A (ko) 철도차량용 에어컨 풍량 조절장치
KR2008010273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124651A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및 이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494108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115243A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KR102364984B1 (ko) 스텝 액튜에이터 초기 작동 각도 검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