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31B1 -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31B1
KR101203131B1 KR1020100090927A KR20100090927A KR101203131B1 KR 101203131 B1 KR101203131 B1 KR 101203131B1 KR 1020100090927 A KR1020100090927 A KR 1020100090927A KR 20100090927 A KR20100090927 A KR 20100090927A KR 101203131 B1 KR101203131 B1 KR 10120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water
lens
porous
solu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551A (ko
Inventor
박화성
조종수
윤동한
Original Assignee
(주)지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지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9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7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enabling passage of fluids, e.g. oxygen, tears, between the area under the lens and the lens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09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using liquids, e.g. solvents, swel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5Removing impurities from contact lenses, e.g.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1Micro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2Degradable water-soluble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염을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상기 수용성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염의 용해성을 이용하여 나노 수준의 크기의 구멍을 콘택트렌즈에 다수 형성함으로써, 산소투과율이 높은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CONTACT LENS AND THE POROUS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크기의 기공을 다수 콘택트렌즈에 형성시킴으로써 산소투과율이 향상된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재질에 따라서 하드콘택트렌즈와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구분된다.
재질이 단단한 하드콘택트렌즈는 렌즈의 형상이 비교적 잘 유지되므로 시력교정 기능이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제품 수명이 길며, 세척과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렌즈의 착탈시 각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고, 착용감이 좋지 못하며, 소수성이어서 렌즈가 쉽게 빠져버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하드콘택트렌즈는 산소투과율은 낮지만, 그 크기가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꺼풀을 깜박이거나 눈알을 움직이면 하드콘택트렌즈도 따라 움직이게 되어, 눈물이 엇갈리게 되어 각막에 대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진다.
하드콘택트렌즈는 소프트렌즈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렌즈의 직경은 8 ~ 9.0mm정도이며, 난시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 교정에 좋다.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비해 수명이 길고 세척이 쉽고 눈에 삽입, 제거하는 것도 용이하며, 용액에 대한 알레르기가 적다. 좌, 우안의 도수에 대한 눈의 차이가 문제가 되지 않고,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비해 시야가 넓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하드콘택트렌즈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광학 수지를 재료로 해서 만드는데, 이 수지의 특성은 광학적으로 우수하고 투명할 뿐만 아니라 생체에 대한 적응성이 있다는 것이다. PMMA로 만든 콘택트렌즈는 착용 상의 규칙을 잘 지킬 경우 충분한 안정성이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너무 빡빡하게 착용했다든지, 빼내지 않고 잠을 잤다든지 했을 경우 산소결핍으로 인해서 각막부종이나 각막상피미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하드콘택트렌즈일지라도 산소투과 기능이 있는 것은 이러한 증상은 가벼워지므로, 하드콘택트렌즈의 산소투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렌즈의 중심에 구멍에 만들거나 레이져 광선을 이용해서 무수히 많은 가는 구멍을 렌즈면에 뚫는 등 물리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하드콘택트렌즈의 가장 큰 결점은 산소를 전혀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하거나 특히 야간에 착용하고 잠을 잔 다음날 심한 통증을 겪는다는 것이다.
PHEMA(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VP(PolyVinyl Pyrrolidone) 등과 같은, 하드콘택트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질이 유연한 소프트콘택트렌즈는, 재질이 부드러워서 착용감이 좋고, 함수율이 30%~80% 정도이면서 친수성이어서, 렌즈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렌즈착용시 형상 변형이 초래되어 시력교정이 불안정하고,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제품 수명이 짧으며, 곰팡이나 세균이 붙지 않도록 자주 세척하고 소독해야 하므로 렌즈 관리가 상당히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그 크기가 하드콘택트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는데, 종래 친수성 소프트콘택트렌즈는 산소투과성이 좋지 못하여 안구가 충혈되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었다.
반면,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같은 소수성 폴리머를 재질로 하는 소프트콘택트렌즈는, 소수성 하드콘택트렌즈와 같이 곰팡이나 세균이 잘 붙지 않으므로 친수성 폴리머를 재질로 하는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비해서 세척과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수성이어서 렌즈를 착용하기가 쉽지 않고, 착용했다고 하더라도 안구로부터 쉽게 떨어진다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최근에는, 하드콘택트렌즈와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중간적인 물리적 특성을 지니면서 하드콘택트렌즈 계열로 분류되는, CAB(Cellulose Acetate Butylate)와 실리콘계 등의 산소투과성이 좋고 소수성인 RGP(Rigid Gas Permeable)렌즈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RGP콘택트렌즈는 소수성이어서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비해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므로 렌즈 내에 수분이 적어서 세균 발생으로 인한 안질환 발생의 위험이 낮고, 하드콘택트렌즈보다 산소투과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수성으로 인해 안구로부터 쉽게 떨어져서 착용이 어렵고, 착용시 오염 및 흠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친수성이면서 산소투과성이 우수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각막으로의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이 렌즈의 재질 변화를 통해서 구현하는 방법에만 치중되어 있어서,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착용 및 사용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용성 염의 용해성을 이용하여 나노 수준의 크기의 구멍을 콘택트렌즈에 다수 형성함으로써, 산소투과율이 높은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a) 수용성 염을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 (b)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상기 수용성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수용성 염의 분말을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건조시킨 후, 건조된 분말에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콘택트렌즈 원료에 믹싱한 후, 900W ~ 1KW의 초음파로 진동을 주어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는 소프트콘택트렌즈, 하드콘택트렌즈, RGP(Rigid Gas Permeable) 렌즈 또는 OK(orthokeratology)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 원료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ylate, HEMA), 엔-비닐 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 NVP), 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트리메틸실록시) 실란)(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 silane, TRIS),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methacylate, GMA),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N,N-dimethyl acrylamide, DMA),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silicone hydrogellens), 포스퍼릴콜린(phosphorylcholine, PC),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실리콘(silicone), 실리콘 아크릴레이트(silicone-acrylate, siloxane-methacrylate), 플루오로실리콘 아크릴레이트(fluorosilicone-acrylate ; FSA), 연성 불소 중합체(flexible fluoropolymer ; FFP), 스타린(styr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염은 NaC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aCl의 함량은 전체 콘택트렌즈 원료 물질에 대하여 0.5 ~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염을 5 ~ 80 n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의 성형은 선반절삭법(lathe cutting method), 회전주조법(spin casting method), 또는 고정주물법(static moulding method)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액은 물 또는 식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염의 용해성을 이용하여 나노 수준의 크기의 구멍을 콘택트렌즈에 다수 형성함으로써, 산소투과율이 높은 다공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콘택트렌즈 성형을 위한 고물주조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콘택트렌즈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콘택트렌즈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의 콘택트렌즈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
본 발명은 수용성 염을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상기 수용성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다수의 나노수준 크기의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산소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발명이며, 상기 나노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용성의 염을 나노크기로 제조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a) 수용성 염을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나노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용성 염을 사용한다. 수용성 염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염의 형태로 물과 같은 수용액에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인체에 착용하는 렌즈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없는 것이면 제한 없이 가능하며, 그 중 NaCl와 같은 수용성 염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를 보관하는 용액으로 사용되는 식염수에도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염을 나노 수준의 크기로 미세화시키는 방법으로는, 기존의 공지의 방법인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 방법은 기계적으로 덩어리(bulk)를 고 에너지로 분쇄하여 나노미터 크기까지 작게 하는 방법, 열 혹은 전자빔 등 높은 에너지를 가하여 대상 물질을 녹인 후 증발 응축시켜 나노미터 수준의 분말을 얻는 방법이다.
기계적 방법은 분쇄에 의하여 원래의 크기를 계속하여 줄임으로서 나노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고 에너지 볼밀을 주로 이용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화학적 방법은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핵을 생성시킨 후 원하는 크기까지 성장시켜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화학반응에 수반되는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적은 에너지 투입으로 합성이 가능하며 합성 반응속도가 빠르고 균일한 반응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방법으로는 졸-겔법, 수열합성법, 침전법, 에멀젼법, 열분해법 등이 있다.
나노화된 수용성 염의 크기는 5 ~ 80nm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nm 미만인 경우 기공의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충분한 산소투과율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80nm를 초과하는 경우 안구용 콘택트렌즈에 요구되는 굴절률을 확보하기 어렵고, 견고성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b)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공지의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나노크기의 수용성 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콘택트렌즈 원료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ylate, HEMA), 엔-비닐 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 NVP), 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트리메틸실록시) 실란)(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 silane, TRIS),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methacylate, GMA),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N,N-dimethyl acrylamide, DMA),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silicone hydrogellens), 포스퍼릴콜린(phosphorylcholine, PC) 등과 같은 소프트렌즈용 원료,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실리콘(silicone), 실리콘 아크릴레이트(silicone-acrylate, siloxane-methacrylate), 플루오로실리콘 아크릴레이트(fluorosilicone-acrylate ; FSA), 연성 불소 중합체(flexible fluoropolymer ; FFP), 스타린(styrene) 등 같은 하드렌즈용 원료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원료 이외에 콘택트렌즈 제조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가교제, 개시제, 자외선 차단제 및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예로는 알릴메타크릴레이트(allylmethacrylate), 저급 알킬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alk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비닐에테르(divinylether),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methylene bismethacrylamide)등이있으며, 바람직한 예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이다.
상기 개시제의 예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디에톡시아세페논 등의 광개시제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등의 열중합개시제가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2-(4-벤조일-3-하이드록시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2-(4-benzoyl-3-hydroxyphenoxy)ethylacrylat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수용성 염을 나노화하는 공정 및 이를 콘택트렌즈 원료와 혼합하는 공정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상기 수용성 염의 분말을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건조시킨다. 그 후, 건조되어 얻은 분말에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콘택트렌즈 원료에 믹싱하고, 믹싱된 원료와 나노화 분말을 900W ~ 1KW의 초음파로 진동을 주어 원료 내의 분말을 나노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c)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
본 단계의 콘택트렌즈의 성형은 선반절삭법(lathe cutting method), 회전주조법(spin casting method), 또는 고정주물법(static moulding method)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단계의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중 고정주물법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의 사이에 상기 나노크기의 수용성 염이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넣어, 압력을 주어 성형하며, 성형시 콘택트렌즈의 경화를 돕기 위하여 열을 가할 수 있다.
(d)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내부에 섞여 있는 친수성의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용액은 물 또는 식염수와 같이 상기 수용성 염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본 단계에서 용해되어 나온 수용성 염의 자리에는 나노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다수의 나노 기공에 의하여 콘택트렌즈의 산소투과율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NaCl 나노화 공정
NaCl 분말 2g을 3차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진동 건조시킨 후, 얻어진 분말을 다시 진공 장치에 넣고, 강한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87.6g과 믹싱한다. 그 후 900W ~ 1KW의 초음파 진동기로 90분 정도 진동을 주어 NaCl을 나노화한다. 이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NaCl의 크기를 5 ~ 80nm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기공을 디자인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고 현미경에서 배율 계산을 한 후, 제작된 콘택트렌즈 사진의 기공과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5 ~ 80nm 였다.
콘택트렌즈 원료배합 공정
상기 나노화된 NaCl 분말이 믹싱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1g과 가교제인 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0.3g, 함수율을 높이기 위한 NVP(N-vinyl-pyrrolidone) 10g을 배합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콘택트렌즈 성형 공정
상기 배합된 콘택트렌즈 원료 물질을 파렛트에 충진 한 후, 몰드를 장착시키고, 오븐기에서 넣어 성형한다. 성형완료 후 콘택트렌즈로부터 파렛트를 분리하고, 몰드에서 렌즈를 깍아 분리시킨다. 분리된 렌즈의 표면을 다듬는 연마과정과 가장자리를 다듬는 엣지 과정을 거친 후, 제조된 렌즈는 식염수에 24시간 동안 함수시켜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수득한다.
<실시예 2>
NaCl 나노화 공정
NaCl 분말 0.5g을 3차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진동 건조 시킨 후, 얻어진 분말을 다시 진공 장치에 넣고, 강한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6g과 믹싱한다. 그 후 강한( 900W ~ 1KW) 초음파 진동기로 90분 정도 진동을 주어 NaCl을 나노화한다. 이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NaCl 의 크기는 5 ~ 80nm 크기의 나노화 분말이다.
콘택트렌즈 원료배합 공정
상기 나노화된 NaCl 분말이 믹싱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1g과 가교제인 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0.3g을 배합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콘택트렌즈 성형 공정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여 콘택트렌즈를 수득한다.
<실시예 3>
NaCl 나노화 공정
NaCl 분말 1g을 3차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진동 건조 시킨 후, 얻어진 분말을 다시 진공 장치에 넣고, 강한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5g과 믹싱한다. 그 후 900W ~ 1KW의 초음파 진동기로 90분 정도 진동을 주어 NaCl을 나노화한다. 이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NaCl 의 크기는 5 ~ 80nm 크기의 나노화 분말이다.
콘택트렌즈 원료배합 공정
상기 나노화된 NaCl 분말이 믹싱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1g과 가교제인 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0.4g을 배합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콘택트렌즈 성형 공정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여 콘택트렌즈를 수득한다.
<실시예 4>
NaCl 나노화 공정
NaCl 분말 2g을 3차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진동 건조 시킨 후, 얻어진 분말을 다시 진공 장치에 넣고, 강한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5g과 믹싱한다. 그 후 900W ~ 1KW의 초음파 진동기로 90분 정도 진동을 주어 NaCl을 나노화한다. 이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NaCl 의 크기는 5 ~ 80nm 크기의 나노화 분말이다.
콘택트렌즈 원료배합 공정
상기 나노화된 NaCl 분말이 믹싱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1g과 가교제인 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0.5g을 배합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콘택트렌즈 성형 공정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여 콘택트렌즈를 수득한다.
<비교예>
나노화된 NaCl 분말을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믹싱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작한다.
<실험예>
함수율 측정
렌즈의 함수율은 함수율측정기 디지털 ML-50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NaCl 함량(%) NVP 함량(g) 함수율 (%)
실시예 1 2 10 43.5
실시예 2 0.5 0 40.2
실시예 3 1 0 40.7
실시예 4 2 0 41.5
비교예 0 10 40.2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NaCl과 NVP를 모두 함유한 실시예 1의 함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NVP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2 ~ 4의 경우도 NVP를 함유한 비교예의 함수율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소투과도 측정
렌즈의 산소투과도는 O2 Permeo Meter - 201T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NaCl 함량(%) NVP 함량(g) 산소투과도(mmHg)
실시예 1 2 10 12.22
실시예 2 0.5 0 10.26
실시예 3 1 0 10.76
실시예 4 2 0 12.06
비교예 0 10 9.66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렌즈의 산소투과도는 NaCl 나노화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콘택트렌즈를 200배율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찍은 확대 이미지 사진을 각각 도 2 내지 도 5(실시예 1 내지 4) 및 도 6(비교예)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들의 렌즈 재질의 다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사진과 함수율, 산소투과도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NaCl 나노화 분말을 함유한 콘택트렌즈의 재질이 함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어 온 NVP(N-vinyl-pyrrolidone)를 투입한 렌즈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a) 수용성 염의 분말을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건조시킨 후, 건조된 분말에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콘택트렌즈 원료에 믹싱한 후, 강한(900W ~ 1KW) 초음파로 진동을 주어 나노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
    (b) 콘택트렌즈 원료에 상기 나노 크기의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콘택트렌즈 원료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및
    (d)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상기 수용성 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는 소프트콘택트렌즈, 하드콘택트렌즈, RGP(Rigid Gas Permeable) 렌즈 또는 OK(orthokeratology)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 원료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ylate, HEMA), 엔-비닐 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 NVP), 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트리메틸실록시) 실란)(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 silane, TRIS),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methacylate, GMA),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N,N-dimethyl acrylamide, DMA),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silicone hydrogellens), 포스퍼릴콜린(phosphorylcholine, PC),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실리콘(silicone), 실리콘 아크릴레이트(silicone-acrylate, siloxane-methacrylate), 플루오로실리콘 아크릴레이트(fluorosilicone-acrylate ; FSA), 연성 불소 중합체(flexible fluoropolymer ; FFP), 스타린(styr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염은 Na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NaCl의 함량은 전체 콘택트렌즈 원료 물질에 대하여 0.5 ~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염을 5 ~ 80 n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성형은 선반절삭법(lathe cutting method), 회전주조법(spin casting method), 또는 고정주물법(static moulding method)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물 또는 식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10.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KR1020100090927A 2010-07-26 2010-09-16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KR10120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927A KR101203131B1 (ko) 2010-07-26 2010-09-16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1713 2010-07-26
KR1020100071713 2010-07-26
KR1020100090927A KR101203131B1 (ko) 2010-07-26 2010-09-16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551A KR20120010551A (ko) 2012-02-03
KR101203131B1 true KR101203131B1 (ko) 2012-11-20

Family

ID=4583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927A KR101203131B1 (ko) 2010-07-26 2010-09-16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53B1 (ko) * 2020-01-29 2021-03-2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가 포함된 다공성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WO2021210824A1 (ko) * 2020-04-14 2021-10-21 김지태 천공구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콘택트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247A1 (ja) 2013-02-22 2014-08-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ボート削減方法、アボート削減装置、及びアボート削減プログラム
US9636050B1 (en) 2013-11-07 2017-05-02 Verily Life Scienc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hannel through a polymer layer using a protrusion
US10232531B1 (en) 2014-07-08 2019-03-19 Verily Life Scienc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olymer layer around a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US9907498B2 (en) 2014-09-04 2018-03-06 Verily Life Sciences Llc Channel formation
KR101989247B1 (ko) * 2017-12-05 2019-06-1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제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102185396B1 (ko) * 2018-09-28 2020-12-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질을 이용한 청광차단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2727A (ja) * 1997-06-09 1998-03-06 Japan Atom Energy Res Inst 細孔化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2727A (ja) * 1997-06-09 1998-03-06 Japan Atom Energy Res Inst 細孔化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53B1 (ko) * 2020-01-29 2021-03-2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가 포함된 다공성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WO2021210824A1 (ko) * 2020-04-14 2021-10-21 김지태 천공구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551A (ko) 201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131B1 (ko) 다공성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택트렌즈
KR101947974B1 (ko) 의료 디바이스, 코팅 용액의 조합 및 의료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4988025B2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製造用シロキサンモノマー
JP4907824B2 (ja) ヒドロゲル
CN1043428C (zh) 可湿的聚硅氧烷水凝胶组合物及其制法
JP6010832B2 (ja) 眼科学デバイス成型用金型及び関連する方法
CN102803999B (zh) 生物医学装置
JP5585537B2 (ja) 表面処理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EP0242080B1 (en) Copolymer compositions
CN102803998B (zh) 生物医学装置、高分子材料及包括其的接触镜
EP2443483B1 (en) Multi-armed macromonomers, polymeric materials and contact lenses comprising same.
Alam et al. Prospects for additive manufacturing in contact lens devices
JP2008511870A (ja) 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20003474A (ko) 산소 투과성 향상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품
JPWO2011004800A1 (ja) ハイブリッド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この製造方法及び水和処理方法
JPS61270723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108886A2 (en) Silicone-containing hard contact lens materials having increased oxygen permeability
JP2012514231A (ja) 湿潤性の向上した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JP4219485B2 (ja) 光学性含水ゲルからなる眼科用材料
JP2011507563A (ja) バイオメディカルデバイス
US6364934B1 (en) Method of making ocular devices
JP2008541798A (ja) 眼科用器具および方法
CN112442154A (zh) 一种复合的硅水凝胶角膜接触镜材料及其制备方法
TWI820002B (zh) 於中心光學區具增加之韌性的散光矯正軟式隱形眼鏡
KR20100136468A (ko) 개선된 렌즈 이송을 위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안과용 렌즈의 가공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