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19B1 -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19B1
KR101203119B1 KR1020110087880A KR20110087880A KR101203119B1 KR 101203119 B1 KR101203119 B1 KR 101203119B1 KR 1020110087880 A KR1020110087880 A KR 1020110087880A KR 20110087880 A KR20110087880 A KR 20110087880A KR 101203119 B1 KR101203119 B1 KR 10120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wire
opening
clo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광서
조진국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유)코리아농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코리아농업개발 filed Critical (유)코리아농업개발
Priority to KR102011008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스크린 고정부와 스크린 가동부에 의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와이어 가이드와 튜브클립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확하고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져 에너지 절감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튜브클립과 와이어 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줄여주도록 하고, 이송와이어에 설치되는 튜브클립이 탄성부재를 통해 완충되도록 결합되어 스크린 개폐시 발생되는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중방이나 트러스가 없는 구조에서도 개폐간격이나 방향을 원하는데로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크린 작동부의 이송와이어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심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끝단에 설치되는 이송튜브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설치되어 튜브결합부, 상부몸체, 하부몸체를 일체로 결합해줌으로써 이송와이어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 상기 너트와 하부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튜브결합부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원예시설의 스크린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Towing clamp and scre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의 개폐시 이웃하는 스크린의 맞닿는 부분의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 개폐시 발생되는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됨으로써 장치의 오작동과 파손을 방지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와 같은 원예시설이나 건물의 옥내외에는 동절기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온도변화에 따라서 걷어 내거나 덮어줌으로써 원예시설이나 건물의 옥내외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은 그 개폐방식이 권취 파이프에 말리거나 풀리는 권취방식과 예인용 로프에 의해 펼쳐지거나 주름이 잡히면서 걷히는 예인방식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예인방식은 스크린의 일측이 예인용 로프에 고정되어 예인용 로프가 별도의 구동축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으며, 걷힐 때에는 상기 예인용 로프에 예인용 클립을 설치하여 스크린을 걷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스크린은 밀폐시에 2개의 스크린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재의 낭비가 심하고, 겹쳐지는 부분에서 밀폐성이 저하되어 온도조절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인용 로프가 온도나 인장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처지게 되어 정확한 개폐위치 조절이 힘들고 주기적으로 예인용 로프를 다시 조여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크린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크린에 랙을 부착해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하여 스크린을 여닫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한 개폐거리의 조절이 가능하여 밀폐성이 우수한 랙피니언 개폐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랙피니언 개폐방식은 단가가 너무 높아 실제로 농가에서는 이를 적용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 개폐장치는 트러스나 중방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트러스나 중방의 설치 위치에 따라 스크린의 개폐 간격이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7-0121889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03759호 국내등록특허 제07872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스크린 고정부와 스크린 가동부에 의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와이어 가이드와 튜브클립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확하고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져 에너지 절감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튜브클립과 와이어 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줄여주도록 하고, 이송와이어에 설치되는 예인클램프의 결합강도를 탄성력을 통해 조절되도록 하여 스크린 개폐시 발생되는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중방이나 트러스가 없는 구조에서도 개폐간격이나 방향을 원하는데로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크린 작동부의 이송와이어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심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끝단에 설치되는 이송튜브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설치되어 튜브결합부, 상부몸체, 하부몸체를 일체로 결합해줌으로써 이송와이어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 상기 너트와 하부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튜브결합부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하부몸체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와셔; 상기 와셔와 하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와셔에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관통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튜브결합부의 하부면에 한 쌍의 삽입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원예시설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스크린; 상기 각 스크린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일측단을 고정해주는 스크린 고정부; 상기 각 스크린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스크린의 폐쇄시 지지프레임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고정부에 결합됨으로써 이웃한 두 스크린이 밀폐되도록 하는 스크린 가동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스크린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크린 가동부와 연결되는 예인클램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스크린 가동부를 이동시켜 스크린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스크린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예시설의 폭과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부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들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상, 하부에 위치하여 개방시 접혀지는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상부와이어 및 하부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가동부는,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의 타측단에 감겨져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튜브; 상기 스크린이 감겨진 이송튜브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움 결합되어 스크린이 이송튜브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각각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이송튜브가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클립은, 상기 이송튜브에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스크린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립몸체; 상기 상부와이어에 걸려져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클립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고리; 상기 하부와이어에 걸려져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클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와이어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프레임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와이어; 상기 이송튜브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클립몸체와, 상기 보조클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와이어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하부고리로 이루어진 보조튜브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일측단이 걸려지게 되는 제1지지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의 하측에서 제1지지와이어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지지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와 제2지지와이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의 일측단에 끼워져 스크린을 고정해주며, 상기 스크린 가동부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제2지지와이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와이어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이어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스크린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스크린을 고정해주며 상기 상부와이어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 끝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고정핀; 상기 스크린 고정핀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 가동부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장된 끝단은 상기 제1지지와이어에 결합되는 밀폐용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작동부는,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어 지지프레임상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축;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에 연결되고, 풀리에 연결되는 각 끝단은 상기 회전축에 다수 번 감겨지도록 구성되고,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에 감겨짐과 동시에 풀려지면서 이동하게 되는 이송와이어; 상기 이송와이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이송튜브에 연결되어 이송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스크린 가동부를 이동시켜주는 다수의 예인클램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크린 작동부의 이송와이어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심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끝단에 설치되는 이송튜브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설치되어 튜브결합부, 상부몸체, 하부몸체를 일체로 결합해줌으로써 이송와이어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 상기 너트와 하부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튜브결합부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 고정부의 와이어 가이드와, 스크린 가동부의 튜브클립의 결합을 통해 스크린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원예시설의 내부에서 데워진 따뜻한 공기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줄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속품인 튜브클립과 와이어 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크린 가동부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이동되고, 스크린 고정부는 제1지지와이어와 제2지지와이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크린을 지지해줌으로써, 스크린의 개폐시 안정적이고 정확한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이송와이어에 결합되는 예인클램프의 결합강도가 탄성부재를 통해 조절되어 스크린 개폐시 발생되는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됨으로써 장치의 오작동과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와이어가 가이드가 제1,2지지와이어와 및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연결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써의 역할을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중방이나 트러스가 없더라도 스크린 개폐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스크린의 개폐 간격이나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사용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프레임에 스크린 고정부와 스크린 가동부 및 스크린 작동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작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클립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클립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튜브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개폐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개폐장치의 밀폐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개폐장치의 예인클램프가 이송와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프레임에 스크린 고정부와 스크린 가동부 및 스크린 작동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작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지지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프레임(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스크린(2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스크린(20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스크린(200)의 일측단을 지지프레임(100)상에 고정시켜주는 스크린 고정부(300)와, 상기 각 스크린(200)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스크린(200)의 폐쇄시 지지프레임(100)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고정부(300)에 결합됨으로써 이웃한 두 스크린(200)이 밀폐되도록 하는 스크린 가동부(40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각 스크린 가동부(400)와 연결되어 스크린 가동부(400)를 이동시켜줌으로써 스크린(200)의 타측단이 이동되도록 하여 스크린(20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스크린 작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건축물이나 원예시설의 폭과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12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수평프레임(1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수평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200)의 상,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개폐시에 접혀지는 스크린(200)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상부와이어(130) 및 하부와이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00)은 원예시설의 골격을 형성하거나 건축물의 스크린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여 스크린(200), 스크린 고정부(300), 스크린 가동부(400), 스크린 작동부(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린 가동부(400)는, 스크린(200)의 일측단을 이동시켜 이웃하는 스크린(200)의 스크린 고정부(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스크린(2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200)의 타측단에 감겨져 스크린(200)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튜브(410)와, 상기 스크린(200)이 감겨진 이송튜브(410)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송튜브(410)에 감겨진 스크린(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각각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이송튜브(410)가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클립(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클립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클립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튜브클립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튜브클립(420)은 스크린(200)이 이송튜브(4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크린(200)의 일측단을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연결하여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튜브(4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홈(422)과, 상기 스크린 고정부(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42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립몸체(421)와, 상기 클립몸체(4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몸체(421)가 상부와이어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상부고리(424)와, 상기 클립몸체(4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몸체(421)가 하부와이어(14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하부고리(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몸체(421)는 끼움홈(422)을 통해 이송튜브(410)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423)에는 후술되는 스크린 고정부(300)의 와이어 가이드(33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이웃하는 스크린(200)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고리(424)와 하부고리(425)는, 일측면에 절개부(426)가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426)를 통해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끼워져 걸려지게 된다.
상기 절개부(426)의 절개 간격은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부고리(424)와 하부고리(425)에 끼워 넣을 경우에는 억지끼움 형태로 밀어 설치하고, 설치 후에는 상부고리(424)와 하부고리(425)에서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426)의 입구에는 V형 홈(427)을 형성하여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상부고리(424)와 하부고리(425)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튜브클립(420)들 사이에 이송튜브(410)를 안전하게 받쳐주고 스크린(200)의 개폐시 스크린 가동부(4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튜브클립(43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튜브클립(430)은 이송튜브(410)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432)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클립몸체(431)와, 상기 보조클립몸체(431)의 하부에 형성되어 보조와이어(15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하부고리(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고리(433)에는 상기 튜브클립(420)의 하부고리(425)와 같이 절개부(426)와 V형 홈(427)이 형성되어 보조와이어(150)에 연결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와이어(150)는 상기 보조튜브클립(430)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하부와이어(140)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이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린 고정부(300)는,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교차되어 양단이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200)의 일측단이 걸려지게 되는 제1지지와이어(310)와, 상기 제1지지와이어(310)의 하측에서 제1지지와이어(310)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제2지지와이어(320)와, 상기 제1지지와이어(310)와 제2지지와이어(320)에 결합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200)의 일측단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스크린(200)을 고정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관통되며, 상기 스크린 가동부(400)와 결합되어 스크린(200)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와이어(310)는 스크린(200)의 일측단이 걸려지게 됨으로써 스크린(200)의 일측단이 처지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와이어(320)는 와이어 가이드(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처짐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지지와이어보다 더 큰 직경과 강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330)는, 제2지지와이어(3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몸체(340)와, 상기 지지몸체(340)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스크린(2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스크린(200)을 고정해주는 스크린 고정핀(350)과, 상기 스크린 고정핀(350)의 일측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은 상기 제1지지와이어(310)에 연결되며 제1지지와이어(310)를 지지해주며 상기 튜브클립(420)의 삽입홈(423)에 삽입됨으로써 스크린(200)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용바(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34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지지와이어(32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와이어 끼움부(341)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끼움부(341)는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제1물림돌기(342)와 제2물림돌기(343)로 구성되며, 제1물림돌기(342)와 제2물림돌기(343) 사이에 제2지지와이어(32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1물림돌기(342)와 제2물림돌기(343)의 일측면에는 오목홈(344)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344)에 제2지지와이어(320)가 걸려지게 됨으로서 와이어 가이드(320)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 고정핀(350)은 상부 끝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린(20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밀폐용바(360)의 끝단에는 제1지지와이어(3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와이어체결홈(361)이 형성되고, 이 와이어체결홈(361)에 제1지지와이어(310)가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진다.
이러한 밀폐용바(360)는 지지몸체(340)와 스크린 고정핀(350) 보다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클립(420)의 클립몸체(421)의 삽입홈(423)에 삽입되어 스크린(200)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330)는 상기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지지몸체(340)와 스크린 고정핀(350)에 관통홀(345)이 형성된다.
즉 와이어 가이드(330)는 튜브클립(420)과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튜브클립(420)과 결합됨으로써 스크린(200)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튜브클립(420)을 가이드해주는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34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45)에는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346)가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330)는 제2지지와이어(320)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 하단에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배선됨으로써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면서 처짐을 방지해 주고 튜브클립(420)과 결합되어 스크린(200)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 가이드(330)가 제1,2지지와이어(310)(320) 및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연결되어 스크린(200)을 받쳐주는 구조부재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중방이나 트러스가 없더라도 스크린 개폐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와이어 가이드(330)가 제1,2지지와이어(310)(320) 및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여 스크린(200)의 설치시 필요에 따라 스크린(200)의 개폐 간격이나 개폐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예인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크린 작동부(500)는, 상기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 사이에서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교차되도록 지지프레임(100)상에 설치되고 모터(5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1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에 풀리(521)를 통해 연결되고, 풀리(521)에 연결된 각 끝단은 상기 회전축(510)에 다수 번 감겨지도록 연결되며 회전축(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회전축(510)의 회전시 회전축(510)에 감겨짐과 동시에 풀려지면서 이동하게 되는 이송와이어(520)와, 상기 이송와이어(52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튜브(410)에 연결되어 이송와이어(5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 가동부(400)를 이동시켜주는 예인클램프(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10)은 지지프레임(100)의 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되고 회전축(5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베어링(513)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 지지부(512)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510)에는 회전축(5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보조회전축지지부(514)를 더 설치하되, 이 보조회전축지지부(514)는 다수의 고정와이어(515)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보조회전축지지부(514)는 원예시설 또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512)의 간격이 클 경우 회전축(51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축(510)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회전축(5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예인클램프(530)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홀(54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이송와이어(520)가 놓여지는 하부몸체(540)와, 상기 하부몸체(5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와이어(520)를 가압고정하고 상기 관통홀(542)과 연통되는 관통홀(552)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550)와, 상기 상부몸체(5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튜브(410)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561)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52)과 연통되는 관통홀(562)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560)와, 상기 튜브결합부(560)와 상부몸체(550) 및 하부몸체(540)의 관통홀(542)(552)(562)을 관통하여 일체로 연결해 줌으로써 상부몸체(550)와 하부몸체(54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와이어(520)가 물려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570) 및 너트(571)와, 상기 너트(571)와 하부몸체(54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하부몸체(540)와 상부몸체(550) 및 튜브결합부(560)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5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와이어(520)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5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550)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541)에 끼워져 안착홈(541)에 놓여진 이송와이어(520)를 가압하여 이송와이어(520)에 예인클램프(5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돌기(5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와이어(520)는 안착홈(54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돌기(551)를 통해 가압됨으로써 하부몸체(540)와 상부몸체(55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80)는, 상기 볼트(570)에 끼워져 예인클램프(530)의 하부몸체(540)와 너트(571)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와셔(581)와, 상기 와셔(581)와 하부몸체(5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인클램프(530)는 탄성부재(580)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570)와 너트(571)를 통해 결합되는 상부몸체(550)와 하부몸체(540) 사이에 완충재 역할을 하여 상부몸체(550)의 가압돌기(551)가 하부몸체(540)의 안착홈에 놓여진 이송와이어(520)를 가압하는 힘 또한 완충된다.
즉 이송와이어(520)는 실제 작동시 회전축(510)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이동할 경우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몸체(550)의 가압돌기(551)가 이송와이어(520)를 너무 강하게 가압하면서 상부몸체(550)와 하부몸체(540)가 결합되어 있으면 예인클램프(530)가 이송와이어(5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려 하기 때문에 예인클램프(530)가 뒤틀려지면서 개폐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예인클램프(530)는 탄성부재(580)가 완충재 역할을 하여 이송와이어(52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와이어(520)에 의한 예인클램프(530)의 이동시 이송와이어(520)가 느슨해지거나 처질 경우 예인클램프(530)들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부몸체(550)의 가압돌기(551)가 이송와이어(520)를 강하게 가압하여 이송와이어(520) 상에서 이동되지 않게 되면, 예인클램프(530)가 이송튜브(410)에서 분리된다거나, 이송와이어(520)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은 탄성부재(580)에 의해 예인클램프(530)가 이송와이어(520) 상에서 어느 정도 유격을 갖도록 결합됨으로써 이송와이어(520) 상에서 조금 이동되면서 이송튜브(410)에 연결된 다른 예인클램프(530)들과의 위치가 맞게 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예인클램프(530)는 이송와이어(520)에 결합되어 이송와이어(5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송와이어(520)의 처짐 발생에 의해 예인클램프(530)들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탄성부재(580)의 완충작용에 의해 이송와이어(520) 상에서 이동되어 예인클램프(530)들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예인클램프(530)는 상기 하부몸체(54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543)와 상기 상부몸체(550)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돌기(54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5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부몸체(540)에는 끼움돌기(543)를 상부몸체(550)에는 끼움홈(553)을 형성함으로써, 끼움돌기(543)가 끼움홈(553)에 끼움 결합되어 상부몸체(550)와 하부몸체(540)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예인클램프(530)는 상기 상부몸체(550)의 상부에 관통홀(55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오목홈(554)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554)에 삽입되도록 상기 튜브결합부(560)의 하부면에 한 쌍의 삽입돌기(563)를 더 형성하여, 상부몸체(550)와 튜브결합부(56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크린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개폐과정을 설명 한다.
먼저 개방되어 있는 스크린(200)을 작동하여 지지프레임(100)의 상부를 밀폐시킬 경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스크린 작동부(500)의 모터(511)를 구동시켜 회전축(5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이렇게 회전축(510)이 회전하면, 회전축(510)에 감겨진 이송와이어(520)의 일단은 회전축(510)에 감겨지게 되고 타단은 회전축(510)에서 풀려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와이어(520)에 결합되어 있는 예인클램프(530)가 이송와이어(5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예인클램프(530)의 튜브결합부(560)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 가동부(400)가 연동되어 이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튜브결합부(560)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 가동부(400)의 이송튜브(410)가 이웃하는 스크린(200)의 스크린 고정부(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송튜브(410)에 감겨진 스크린(200)이 펼쳐지면서 지지프레임을 상부를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예인클램프(530)는 하부몸체(540)와 상부몸체(550)의 안착홈(541)과 가압돌기(551) 사이에 이송와이어(5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볼트(570)와 너트(571)가 하부몸체(540)와 상부몸체(550)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이송와이어(520)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몸체(550)의 상부에 결합되는 튜브결합부(560)의 끼움부(561)를 통해 상기 이송튜브(410)에 연결되어 이송튜브(410)를 예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예인클램프(530)에 의해 이동되는 스크린 가동부(400)는 튜브클립(420)의 상부고리(424)와 하부고리(425)를 통해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크린(200)이 뒤틀리거나 처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는 상기 스크린 가동부(400)를 가이드해 줌과 동시에 개폐시에 접혀지게 되는 스크린(200)의 상, 하부를 구속해주어 스크린(200)의 개폐시 스크린(200)의 아래로 처지거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크린(200)이 안정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스크린 작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 가동부(400)가 이동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에서 접혀져 있던 스크린(200)이 펼쳐지면서 지지프레임(100)의 상부를 덮어주게 되고, 상기 스크린 가동부(400)가 스크린 고정부(300)에 결합됨으로써 원예시설 또는 건축물의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크린 가동부(400)와 스크린 고정부(300)의 밀폐과정을 도 14, 1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린 가동부(400)의 튜브클립(42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23)에 스크린 고정부(300)의 와이어 가이드(330)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바(360)가 삽입됨으로써 스크린(200)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크린(200)의 일측단은 스크린 고정부(300)의 제1지지와이어(310)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지지와이어(310)는 밀폐용바(360)의 끝단의 와이어 체결홈(361)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스크린가동부(400)의 튜브클립(420)에 형성된 삽입홈(423)에 정확하게 삽입이 이루어져 밀폐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200)이 밀폐된 상태에서 스크린(200)을 개방할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작동부(500)의 모터(511)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되, 스크린(200)을 밀폐할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510)을 회전하게 되면 스크린 가동부(400)가 스크린 고정부(300)에서 분리되어 밀폐되어 있던 스크린(200)이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도 16 에서와 같이 이송와이어(520)의 처짐 등으로 인해 예인클램프(530)들의 위치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탄성부재(580)의 완충작용에 의해 이송튜브(410)에 연결된 예인클램프(530)가 이송와이어(520)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이웃하는 예인클램프(530)들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예인클램프(530)가 이송튜브(410)에서 분리된다거나 이송와이어(520)가 절단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 고정부(300)의 와이어 가이드(330)와, 스크린 가동부(400)의 튜브클립(420)의 결합을 통해 스크린(200)의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원예시설이나 건축물 내부에서 데워진 따뜻한 공기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줄여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속품인 튜브클립(420)과 와이어 가이드(330)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크린 가동부(400)는 상부와이어(130)와 하부와이어(140)에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이동되고, 스크린 고정부(300)의 와이어 가이드(330)는 제1지지와이어(310)와 제2지지와이어(3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크린(200)을 지지해줌으로써, 스크린(200)의 개폐시 안정적이고 정확한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스크린 개폐장치는 상기 스크린을 플랙시블한 태양광 집열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태양광 집열판을 개폐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20) : 수평프레임 (130) : 상부와이어
(140) : 하부와이어 (150) : 보조와이어
(200) : 스크린 (300) : 스크린 고정부
(310) : 제1지지와이어 (320) : 제2지지와이어
(330) : 와이어 가이드 (340) : 지지몸체
(341) : 와이어 끼움부 (342) : 제1물림돌기
(343) : 제2물림돌기 (344) : 오목홈
(345) : 관통홀 (346) : 절개부
(350) : 스크린 고정핀 (360) : 밀폐용바
(361) : 와이어 체결홈 (400) : 스크린 가동부
(410) : 이송튜브 (420) : 튜브클립
(421) : 클립몸체 (422) : 끼움홈
(423) : 삽입홈 (424) : 상부고리
(425) : 하부고리 (426) : 절개부
(427) : V형 홈 (430) : 보조튜브클립
(431) : 보조클립몸체 (432) : 끼움홈
(433) : 하부고리 (500) : 스크린 작동부
(510) : 회전축 (511) : 모터
(512) : 회전축지지부 (513) : 베어링
(514) : 보조회전축지지부 (515) : 고정와이어
(520) : 이송와이어 (521) : 풀리
(530) : 예인클램프 (540) : 하부몸체
(541) : 안착홈 (542) : 관통홀
(543) : 끼움돌기 (550) : 상부몸체
(551) : 가압돌기 (552) : 관통홀
(553) : 끼움홈 (554) : 오목홈
(560) : 튜브결합부 (561) : 끼움부
(562) : 관통홀 (563) : 삽입돌기
(570) : 체결볼트 (571) : 너트
(580) : 탄성부재 (581) : 와셔
(582) : 탄성스프링

Claims (13)

  1.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크린 작동부의 이송와이어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심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끝단에 설치되는 이송튜브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설치되어 튜브결합부, 상부몸체, 하부몸체를 일체로 결합해줌으로써 이송와이어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
    상기 너트와 하부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튜브결합부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하부몸체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와셔;
    상기 와셔와 하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와셔에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관통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튜브결합부의 하부면에 한 쌍의 삽입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5.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스크린;
    상기 각 스크린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일측단을 고정해주는 스크린 고정부;
    상기 각 스크린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스크린의 폐쇄시 지지프레임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고정부에 결합됨으로써 이웃한 두 스크린이 밀폐되도록 하는 스크린 가동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스크린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크린 가동부와 연결되는 예인클램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스크린 가동부를 이동시켜 스크린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스크린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건축물이나 원예시설의 폭과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부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들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상, 하부에 위치하여 개방시 접혀지는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상부와이어 및 하부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동부는,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의 타측단에 감겨져 스크린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송튜브;
    상기 스크린이 감겨진 이송튜브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움 결합되어 스크린이 이송튜브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각각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이송튜브가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클립은,
    상기 이송튜브에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스크린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립몸체;
    상기 상부와이어에 걸려져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클립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고리;
    상기 하부와이어에 걸려져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클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와이어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프레임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와이어;
    상기 이송튜브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클립몸체와, 상기 보조클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와이어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하부고리로 이루어진 보조튜브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크린의 일측단이 걸려지게 되는 제1지지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의 하측에서 제1지지와이어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지지와이어;
    상기 제1지지와이어와 제2지지와이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의 일측단에 끼워져 스크린을 고정해주며, 상기 스크린 가동부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제2지지와이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와이어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이어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스크린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스크린을 고정해주며 상기 상부와이어가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 끝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고정핀;
    상기 스크린 고정핀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 가동부와 결합됨으로써 스크린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장된 끝단은 상기 제1지지와이어에 결합되는 밀폐용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작동부는,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교차되어 지지프레임상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축;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에 연결되고, 풀리에 연결되는 각 끝단은 상기 회전축에 다수 번 감겨지도록 구성되고,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에 감겨짐과 동시에 풀려지면서 이동하게 되는 이송와이어;
    상기 이송와이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이송튜브에 연결되어 이송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스크린 가동부를 이동시켜주는 다수의 예인클램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클램프는,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크린 작동부의 이송와이어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심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와이어를 가압해주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끝단에 설치되는 이송튜브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튜브결합부;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설치되어 튜브결합부, 상부몸체, 하부몸체를 일체로 결합해줌으로써 이송와이어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
    상기 너트와 하부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튜브결합부가 유격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KR1020110087880A 2011-08-31 2011-08-31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KR10120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80A KR101203119B1 (ko) 2011-08-31 2011-08-31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80A KR101203119B1 (ko) 2011-08-31 2011-08-31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119B1 true KR101203119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80A KR101203119B1 (ko) 2011-08-31 2011-08-31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967B1 (ko) 2015-05-04 2017-05-23 정영일 해가림 인양용 윈치장치
KR102056571B1 (ko) 2019-07-11 2019-12-16 배두직 밀폐성이 향상된 온실용 다단 스크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82Y1 (ko) 2001-08-14 2001-11-22 지상철 비닐하우스용 스크린 이송장치
KR200303759Y1 (ko) 2002-07-02 2003-02-12 이동욱 하우스 보온커튼 자동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82Y1 (ko) 2001-08-14 2001-11-22 지상철 비닐하우스용 스크린 이송장치
KR200303759Y1 (ko) 2002-07-02 2003-02-12 이동욱 하우스 보온커튼 자동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967B1 (ko) 2015-05-04 2017-05-23 정영일 해가림 인양용 윈치장치
KR102056571B1 (ko) 2019-07-11 2019-12-16 배두직 밀폐성이 향상된 온실용 다단 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4754B2 (ja) 窓の日よけ組立体
KR100876102B1 (ko)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US20160298372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203119B1 (ko) 스크린 개폐용 예인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개폐장치
US20160201374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150003779U (ko) 시설재배용 덮개 개폐장치
KR101347730B1 (ko)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보온용 부직포 권취용 베어링 틀을 이용한 부직포 개폐장치
CN109138147B (zh) 一种环保节能绿色建筑
CN204040335U (zh) 一种天蓬帘
KR20120138397A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CN205638081U (zh) 一种新型自动门
JP5609549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50109442A (ko) 비닐하우스의 덮게 자동개폐장치
CN209905596U (zh) 垃圾袋封口装置及智能垃圾桶
CN202406732U (zh) 一种上开式卷帘
CN209815389U (zh) 一种带断线保护的并线机
CN205223523U (zh) 一种带有织入边装置的织网机
CN112736700A (zh) 一种便于固定进出线的配电柜
KR20040095588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100341367B1 (ko) 비닐하우스보온커텐개폐장치구조
CN211367924U (zh) 一种输纱器用的张力器
KR200252382Y1 (ko) 비닐하우스용 스크린 이송장치
CN218894272U (zh) 厂房节能屋面结构
CN215185494U (zh) 一种基于无人机的柔性异物夹取采样装置
CN217102478U (zh) 一种针织大圆机绕线卷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