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847B1 -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847B1
KR101202847B1 KR1020120060720A KR20120060720A KR101202847B1 KR 101202847 B1 KR101202847 B1 KR 101202847B1 KR 1020120060720 A KR1020120060720 A KR 1020120060720A KR 20120060720 A KR20120060720 A KR 20120060720A KR 101202847 B1 KR101202847 B1 KR 10120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box
wing
conveyor
fram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하
Original Assignee
김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하 filed Critical 김명하
Priority to KR102012006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0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olding-down preforme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2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 B65B51/023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using applicator nozz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중공형의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 중공형의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나이상의 포장박스가 거치가능한 포장박스 거치대;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와 이격되어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로부터 진공압착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를 압착하여 제거가능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진공압착기; 상기 진공압착기에 의해 압착된 상기 포장박스를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 및 타측날개부를 접는 측면날개접이부;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와 타측날개부가 접힌 후,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포장박스의 하부날개부에 본딩제를 분사하고,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를 접고, 상기 하부날개부를 접어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날개접이부; 및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와 하부날개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딩제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하부날개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포장장치{Automatic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식 원목마루를 일정수량에 따라 종이 포장박스에 자동으로 넣고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등의 실내에는 마루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에 설치되는 마루의 종류는 원목을 비롯하여 합성수지 또는 합판등의 다양한 재질의 마루판이 설치된다.
최근 주택이나 아파트의 거실이나 실내에 마루바닥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사용인력이 절감되어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후 바닥의 손상된 부분의 교체나 보수가 용이하며 마루바닥의 교체시 이미 설치된 마루바닥을 조립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몇번이고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폐자재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원목마루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조립식 원목마루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18024호의 요홈부와 돌출부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서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조립식 원목마루를 일정 개수 단위로 종이 포장상자에 넣어 포장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원목마루를 종이상자에 삽입하고, 이를 포장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이로 인해 노동력 낭비와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92166호의 "포장장치"에서와 같이, 피포장재의 외부를 비닐과 같은 포장재로 감싸서 포장하는 자동 포장장치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있으나, 원목마루를 일정 개수 단위로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삽입하고 포장하는 장치는 종래에 없어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포장상자를 개별적으로 컨베이어에 안착시킨 후, 원목마루를 일정개수단위로 포장상자에 삽입하고, 포장상자의 날개를 접어 이를 자동으로 포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중공형의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 중공형의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나이상의 포장박스가 거치가능한 포장박스 거치대;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와 이격되어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로부터 진공압착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를 압착하여 제거가능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진공압착기; 상기 진공압착기에 의해 압착된 상기 포장박스를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 및 타측날개부를 접는 측면날개접이부;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와 타측날개부가 접힌 후,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포장박스의 하부날개부에 본딩제를 분사하고,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를 접고, 상기 하부날개부를 접어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날개접이부; 및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와 하부날개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딩제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하부날개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는 중공형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에 이송가능한 폭조절부; 및 상기 폭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진공압착기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당겨지면 배출되도록 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날개접이부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를 밀어주어 접어주는 제1접이부; 상기 포장박스의 타측날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향해 접어주기 위해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회전가압시키는 제2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포장박스의 단위 수량에 따라 상기 포장박스를 구분하고 이송시키는 분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말단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를 하부에서 가압하는 상하반전용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반전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의 하부가 가압되어 상기 포장상자의 상하가 반전되고, 반전시 상기 포장박스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반원형 완충기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공압착기는 복수개의 진공부재; 상기 진공부재가 설치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힌지연결된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힌지연결된 제2연결부; 상기 플레이트과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이동시킬 때 가이딩하는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힌지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장상자를 개별적으로 컨베이어에 안착시킨 후, 원목마루를 일정개수단위로 포장상자에 삽입하고, 포장상자의 날개를 접어 이를 자동으로 포장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노동력 낭비 문제와 제품 생산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빠른 시간 내에 조립식 원목마루를 단위 수량에 따라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포장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날개접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반전용 실린더 및 반원형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착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착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포장박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장치(60)은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포장박스 거치대(300), 진공압착기(400), 컨베이어(500), 측면날개접이부(600), 상하날개접이부(700), 가압부(800)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0)은 중공형으로 관통가능하고, 하부프레임(200)과 지지대(110)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프레임(100)의 상부에는 포장박스 거치대(300)가 설치되고, 중공형의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여 포장박스 거치대(300)에 거치된 하나 이상의 포장박스(A)가 한 개 씩 관통가능하다.
이 때 한 개씩 포장박스(A)를 포장박스 거치대(300)로부터 분리 배출시키기 위해 진공압착기(400)를 사용하여 포장박스(A)를 압착시킨 후 하부프레임(200) 방향으로 내리게 된다.
즉, 진공압착기(400)는 포장박스 거치대(300)와 이격되어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진공압착에 의해 포장박스(A)를 압착하여 하방으로 당기면 포장박스 거치대(300)로부터 포장박스(A)가 이탈되면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진공압착기(400)가 진공압착후 하방으로 이동되기 위해 진공압착기(40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진공압착기(400)에 의해 압착된 포장박스(A)는 하부프레임(200)에 설치된 컨베이어(500)에 안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장박스(A)는 컨베이어(500) 안착후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하면서 측면날개접이부(600)는 포장박스(A)의 측면의 일측날개부(A1)와 타측날개부(A2)를 접고, 일측날개부(A1)와 타측날개부(A2)가 접힌 후,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 간격 이송후, 포장박스의 하부날개부(A3)에 본딩제가 분사노즐(미도시)에 의해 분사된다.
분사후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날개접이부(700)에 의해 상부날개부(A4)가 접히고, 그 후 하부날개부(A3)가 접히게 되고, 하부프레임(200)의 측면 동일 선상에 위치한 가압부(800)가 포개된 하부날개부(A3)와 상부날개부(A4)를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본딩제에 의해 포장박스(A)의 포장이 완성되게 된다.
상하날개접이부(700)는 상부날개접이부(701)와 하부날개접이부(702)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0)에 부착된 상부날개접이부(701)는 상하이동가능한 실린더로서 포장박스(A)의 측면에 돌출된 상부날개부(A4)를 수직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주어 상부날개부(A4)가 접히게 하고,
마찬가지로, 하부날개접이부(702)는 상하 이동가능한 실린더이고, 하부프레임(200)에 부착되어 포장박스(A)의 측면에 돌출된 하부날개부(A3)를 수직하방에서 상방으로 밀어주어 하부날개부(A3)가 접히게 한다.
가압부(800)는 상하날개접이부(70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부날개부(A4)와 하부날개부(A3)가 겹쳐진후, 수평방향으로 포장상자를 가압시켜 포장상자의 날개부가 본딩제에 의해 결합되어 포장이 완성되도록 한다.
가압부(800)는 하부 프레임(2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실린더로서 수평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여 포장박스(A)를 측방에서 가압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 거치대(300)는 중공형의 외부프레임(310), 폭조절부(320), 롤러부(330)를 포함한다.
중공형 외부프레임(3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포장상자(A)들이 적층되어 적재가능하다.
외부프레임(310)의 측면에는 외부프레임(310)의 내벽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조절부(320)가 설치되어 포장박스(A)의 규격에 따라 외부프레임(310)의 내벽간의 거리를 조절가능하다.
폭조절부(320)의 끝단, 즉 외부프레임(310)의 내측에 위치한 폭조절부(320)의 말단에는 복수개의 롤러부(330)가 설치되어 규격에 따른 포장박스(A)가 롤러부(330)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포장박스 거치대(300)에 유지되게 되고, 다만, 포장박스 거치대(300)의 하방에 위치한 진공압착기(400)가 포장박스(A)를 진공압착시켜 수직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롤러부(330)에서 지지되던 포장박스(A)가 다소 휘어지면서 포장박스 거치대(300)의 수직하방으로 분리되어 배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날개접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날개접이부(600)는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포장박스(A)의 일측날개부(A1)가 컨베이어(500)의 진행에 의해 일정지점에 먼저 도달하는 쪽의 날개라고 할 때, 제1접이부는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컨베이어(500)에 안착된 포장박스(A)의 돌출된 일측날개부(A1)와 접촉가능하게 돌출되도록 곡선형의 꺽임구조로 되어 있어 일측날개부(A1)가 컨베이어(500)의 진행에 따라 올 때, 제1접이부(610)의 상방으로 돌출된 꺽임구조에 접촉하면서 접히게 된다.
포장박스(A)의 타측날개부(A2)는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 일정지점에 일측날개부(A1)가 도달된 후에 동일 지점에 후에 도달하는 측면 날개로서, 일측날개부(A1)의 접히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접혀야 되기 때문에 제1접이부(610)에 접촉하게 계속진행시키면 안된다.
따라서, 별도로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 위치되고, 제1접이부(610)와 이격되어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며,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접어주기 위해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2접이부(620)가 설치된다.
제2접이부(620)는 회전구동부(621)와 회전암(622)을 포함하여 회전암(622)에 의해 타측날개부(A2)를 접게 된다.
제1접이부(610)에 의해 일측날개부(A1)가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날개를 접고, 타측날개부(A2)는 제2접이부(620)에 의해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날개를 접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반전용 실린더 및 반원형 완충기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500)는 포장박스(A)의 단위 수량에 따라 포장박스(A)를 구분하고, 이송시키기 위해 분리판(510)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컨베이어(500)의 이송거리는 일정 위치별로 이송후 정지되어 각 단계별로 이미 설명드린 각 기능들이 수행되어 포장박스(A)가 자동포장되므로 일정 거리 이송후 정지를 위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그 말단, 즉 컨베이어(500)에 의해 포장박스(A)가 이송되어 끝단까지 도달된 후에는 컨베이어(500)의 말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하반전용 실린더(520)에 의해 포장박스(A)의 상하가 반전가능하다.
포장박스(A)의 일면에는 로고가 인쇄되어 있고, 그 반대면에는 상품 로고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므로 포장박스(A)에 조립식 원목마루를 넣고 포장이 마무리된 상태에서는 포장박스(A)의 로고가 보이도록 복수개 적재시켜 이를 파렛트 단위로 랩으로 감싸 차량 이동하게 되고 전시되는데 이를 위해 로고가 인쇄된 면이 윗쪽으로 가도록 포장박스(A)의 상하를 반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하반전용 실린더(520)는 포장박스(A)의 하단을 밀어올려 회전시키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실린더로서 하부프레임(200)에 설치되고, 포장박스(A)의 하부를 가압하면 포장박스(A)가 회전하면서 반전되는데, 이 때 회전후 떨어지는 충격력에 의해 내부 제품이나 외부 포장박스(A)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충격 완화를 위해 반원형 완충기(530)를 포장박스(A)가 회전후 안착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반원형상을 따라 포장박스(A)가 완충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반원형 완충기(530)는 지지대(110)에 고정설치된다.
상하반전용 실린더(520)가 직접 포장박스(A)의 하단을 밀어올릴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재(120)가 형성되고 회전부재(120)의 상단부에 포장박스(A)가 안착되면, 회전부재(120)의 하부를 상하반전용 실린더(520)가 밀어올려 포장박스(A)가 반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착기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착기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착기(400)는 플레이트(410), 진공부재(420), 제1연결부(430), 제2연결부(440), 실린더(450), 가이드부(46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진공부재(420)에 의해 포장박스 거치대(300)에 적재된 포장박스(A)를 개별적으로 압착시켜 포장박스 거치대(300)로부터 이탈시켜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500)에 안착시키게 된다.
플레이트(410)는 제1연결부(430)와 힌지연결되고, 제1연결부(430)와 제2연결부(440)도 힌지연결되며, 제2연결부(440)는 하부프레임(200)과 힌지연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플레이트(410)는 상부프레임(100)에 고정된 실린더(450)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다.
즉, 실린더(450)가 플레이트(410)를 상부로 당기게되면, 제1연결부(430)와 제2연결부(440)의 접혀 있던 힌지구조가 펴지면서 플레이트(410)도 상부로 상승가능하고, 제2연결부(440)는 하부프레임(200)과 연결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410)의 상승높이는 제한적이다.
플레이트(410)의 상승에 의해 진공부재(420)가 포장박스 거치대(300)의 하단에 위치한 포장박스(A)를 압착시키는 높이까지만 상승하면 된다.
포장박스(A)를 압착후에는 다시 실린더(450)가 하강하면서 제1연결부(430)와 제2연결부(440)가 다시 접혀 예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제1연결부(430)는 수직을 형성하여, 포장박스(A)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로 인해 접혀서 적재되었던 포장박스(A)가 펴지면서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제품을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된다.
실린더(450)의 상하운동에 따라 플레이트(410)가 상하이동하도록 도와주는 가이드부(460)가 하부프레임(200)에 고정되고, 플레이트(410)는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된 가이드부(46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A: 포장박스 A1: 일측날개부
A2: 타측날개부 A3: 하부날개부
A4: 상부날개부 60: 자동 포장장치
100: 상부프레임 110: 지지대
120: 회전부재
200: 하부프레임 300: 포장박스 거치대
310: 외부프레임 320: 폭조절부
330: 롤러부 400: 진공압착기
410: 플레이트 420: 진공부재
430: 제1연결부 440: 제2연결부
450: 실린더 460: 가이드부
500: 컨베이어 510: 분리판
520: 상하반전용 실린더 530: 반원형 완충기
600: 측면날개접이부 610: 제1접이부
620: 제2접이부 621: 회전구동부
622: 회전암 700: 상하날개접이부
701: 상부날개접이부 702: 하부날개접이부
800: 가압부

Claims (5)

  1. 중공형의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지지대에 의해 연결된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나이상의 포장박스가 거치가능한 포장박스 거치대;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와 이격되어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로부터 진공압착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를 압착하여 제거가능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진공압착기;
    상기 진공압착기에 의해 압착된 상기 포장박스를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 및 타측날개부를 접는 측면날개접이부;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와 타측날개부가 접힌 후,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포장박스의 하부날개부에 본딩제를 분사하고,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를 접고, 상기 하부날개부를 접어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상하날개접이부; 및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날개부와 하부날개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딩제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하부날개부를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포장박스의 단위 수량에 따라 상기 포장박스를 구분하고 이송시키는 분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말단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를 하부에서 가압하는 상하반전용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반전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의 하부가 가압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상하가 반전되고, 반전시 상기 포장박스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반원형 완충기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 거치대는 중공형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에 이송가능한 폭조절부; 및
    상기 폭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진공압착기에 의해 상기 포장박스가 하방으로 당겨지면 배출되도록 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접이부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포장박스의 일측날개부를 밀어주어 접어주는 제1접이부;
    상기 포장박스의 타측날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향해 접어주기 위해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회전가압시키는 제2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착기는 복수개의 진공부재;
    상기 진공부재가 설치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힌지연결된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힌지연결된 제2연결부;
    상기 플레이트과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이동시킬 때 가이딩하는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힌지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장치.




KR1020120060720A 2012-06-07 2012-06-07 자동 포장장치 KR10120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0A KR101202847B1 (ko) 2012-06-07 2012-06-07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0A KR101202847B1 (ko) 2012-06-07 2012-06-07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847B1 true KR101202847B1 (ko) 2012-11-21

Family

ID=4756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20A KR101202847B1 (ko) 2012-06-07 2012-06-07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427A (zh) * 2021-04-19 2022-04-29 山东综艺联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酒盒冲压打孔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427A (zh) * 2021-04-19 2022-04-29 山东综艺联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酒盒冲压打孔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620B1 (ko) 케이스 형성 기계와, 블랭크로부터 케이스를 조립하고 펼쳐진 케이스를 배출하기 위한 기계
KR101318671B1 (ko) 완충재 스트립 자동 투입 방법
JP2008540202A (ja) 荷物積み降ろしシステム
CN104044762B (zh) 一种全型号铝材自动包装机
CN101880206A (zh) 一体化侧推式装箱机
CN106697358B (zh) 一种对血袋运输前进行包装的包装装置
KR102211493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CN211417740U (zh) 盒装药品自动装箱生产线
KR101202847B1 (ko) 자동 포장장치
KR102212178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접착제 도포 장치
CN112678266B (zh) 一种卧式纸箱装箱装置
US3782071A (en) Simultaneous carton former and loader
US20040144067A1 (en) Material bagging machine having a bag folder mounted thereon
KR101174840B1 (ko) 조립식 원목마루 자동생산시스템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CN208118539U (zh) 一种自动糊箱机
JPH07223618A (ja) 物品箱詰め装置
CN213008904U (zh) 一种自动开盒的糖果定量装盒系统
CN219257791U (zh) 封盖推进结构
CN214420896U (zh) 一种瓦楞纸包装盒打包机的压平装置
JP3005149B2 (ja) たばこ原料ケース詰め装置
CN111791535B (zh) 一种运输用纸壳箱粘黏设备
CN107600543A (zh) 一种电动车生产线包装箱展开输送系统
KR102408601B1 (ko) 자동 접지 분리식 티슈 제조장치
CN218806983U (zh) 叠纸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